위랑구족

Wirangu people

위랑구족남호주 서부 해안 지역에 사는 호주 원주민이다.

이름.

데이지 베이츠는 위랑구 민족명이 두 단어로 구성되었다고 말했다: 위랑구(구름)와 원가(말)[1]

언어

위랑구는 보통 튜라유라어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R. H. 매튜스와 같은 초기 민족학자들은 반갈라족, 나우오족, 위랑구족이 "언어와 [2]관습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민족"이었다고 말했다.

나라

Norman Tindale의 추정에 따르면, 위랑구 은 21,500 평방 마일(56,0002 km)이 넘는 원래의 부족 땅이 할당되었고, 북쪽Oldea, Kokatha,[3] Kondoolka같은 곳까지 내륙으로 확장되었다.

신화

조상 시대에는 큰 어미 뱀서쪽에서 줄디카피까지 내려왔다.거기서부터 그것을 죽이려는 두 남자(와티 쿠자라)[b]가 뒤따랐다.그들은 남동쪽으로 뱀을 쫓아 페딩가 물웅덩이까지 갔다.이 화강암 물웅덩이는 뱀의 캠프였다.평균 지름이 3피트인 바위의 대야 모양의 움푹 들어간 곳은 뱀의 둥지라고 한다.여기서 와티 쿠자라는 뱀을 찔러서 심하게 다쳤다.그들은 그것이 곧 죽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버리고 서쪽으로 돌아갔습니다.그러나 이 뱀은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약 2마일)에서 멀탄투라고 불리는 황토 팬으로 기어갈 수 있었다.여기서 그녀는 빨간색, 노란색, 흰색 황토색 퇴적물을 남기고 휴식을 취했다.붉은 황토색은 뱀이 흘린 피를, 흰 황토색은 배설물을, 노란색 황토색은 소변을 상징합니다.뱀은 이 점토판을 떠나 북동쪽으로, 그리고 서쪽으로 계속 그녀의 [5]캠프로 갔다.

연락처 이력

이미 백인과 접촉하기 전날, 위랑구는 코카타족의 [3]움직임에 의해 그들의 전통적인 영토의 일부에서 밀려나고 있었다.

대체 이름

  • 힐레리(본갈라 쿠야니 가명)
  • 질바라(Kokata의 별명, '남쪽 사람')
  • 나하라(Kokata 익명)
  • Ngoleiadjara(얀쿤자타라 익명)
  • 논가('남자'를 나타냄)
  • Tidni, Tidnie, Titnie. (본가쿠야니 가명)
  • 완비리(Kokata 별명, '해안민'
  • Wangon(언어명, '똥'의 경멸적 의미를 지닌다)
  • Willeuroo(반갈라 가명, 서쪽을 뜻하는 Wilyaru)
  • 윈다칸(은갈리아어를 나타내는 용어이기도 함)
  • 위롱구
  • 위룽
  • 위룽가, 위랑가
  • 일레아(힐러리의 변종)

출처 : Tindale 1974, 219 페이지

메모들

  1. ^ Tindale(1974년) 이후 부족 경계는 Hercus(1999년)에서 수정되었다.
  2. ^ 와티쿠자라라는[4] 두 명의 조상 영웅

인용문

  1. ^ 베이츠 1918 페이지 161
  2. ^ 매튜즈 1900, 페이지 79
  3. ^ a b 틴데일 1974 페이지 219
  4. ^ 베른트 1941, 7페이지
  5. ^ 베른트 1941, 17페이지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