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프강 페트리치

Wolfgang Petritsch
볼프강 페트리치
Wolfgang Petritsch - Buchmesse Wien 2018.JPG
2018년 페트리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대표부
재직중
1999년 8월 18일 ~ 2002년 5월 26일
선행카를로스 베스텐도르프
에 의해 성공자패디 애쉬다운
개인 정보
태어난 (1947-08-26) 1947년 8월 26일(74세)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시민권오스트리아인
국적.슬로베니아

볼프강 페트리치(Wolfgang Petritch, 1947년 8월 26일 ~ )는 슬로베니아 출신의 오스트리아 외교관이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페트리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제고위대표를 역임했습니다.

초기 생활과 공부

페트리치는 클라겐푸르트카린트 슬로베니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슬로베니아와 독일어가 혼재된 환경에서 글라이나흐에서[1] 자랐다.모국어 외에도 영어, 프랑스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2]구사한다.

페트리치는 빈 대학에서 역사, 독일학, 정치학, 법학을 공부했고 1972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그는 또한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풀브라이트 장학사였습니다.1977년부터 1983년까지 브루노 크라이스키 연방총리의 비서 겸 공보 담당으로 2011년에 전기 출판을 했습니다.

외교관 경력

파리 OECD 오스트리아 사절단에서 1년간 근무한 후 1984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의 오스트리아 언론정보국 국장과 뉴욕의 오스트리아 유엔 상설 사절단 전권대사를 역임했습니다.1992~1994년에는 오스트리아 외무부에서 다자간 경제협력국장 대행과 연방총리부 유럽문제정보국장을 역임하며 오스트리아 연방정부의 EU 가입에 대한 정보 캠페인을 감독했다.1995년과 1997년에 그는 [3]비엔나시의 국제관계부장을 맡았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그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주재 오스트리아 대사였다.같은 기간, 1998년 10월부터 1999년 7월까지 는 코소보 유럽연합 특별대표로도 활동했다.그는 이런 조끼를 입고 1999년 2월과 3월 람부일레[3]파리에서 열린 코소보 평화회담에서 EU 협상팀의 의장직을 맡았다.

페트리치는 1999년 8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제고등대표(OHR)를 역임했습니다.이 역할에서 그는 1995년 데이튼 평화 협정의 민간 이행에 대한 최종 권위자였다.1999-2001년에는 후계국 간의 공공자산 및 부채 분배를 담당하는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SFRY)의 후계위원회 위원장도 맡았다(Vienna Agreement,[2] 2001년 6월).

2002년 오스트리아 선거에서 페트리치는 알프레드 구센바우어SPö함께 외무장관으로 출마했다.이미 투표 전에 그는 제네바 주재 오스트리아 유엔 상임대표로 임명되었고, 이후 2008년 초에 유엔 주재 오스트리아 대표로 복귀했다.

2003년 9월 페트리치는 제네바 유엔사무소, WTO 및 군축회의 오스트리아 상임대표로서 [4]2004년 케냐에서 열린 오타와 조약의 제1차 검토회의, 즉 나이로비 광산이 없는 세계에 관한 서밋의 의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2004~2005년에는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CE) 의장을 맡아 개혁을 [2]담당했다.

페트리치는 제네바를 떠난 [2]뒤 2013년까지 OECD 주재 오스트리아 대사 겸 상임이사 자격으로 파리로 갔다.

2021년 11월부터 Fetritch는 오스트리아 해외 서비스 자문 위원회의 일부입니다.

기타 포지션

2005년부터 2014년까지 페트리치는 제네바에 있는 유럽 통합 연구 센터(CEIS)의 회장을 맡았습니다.2007년부터 빈의 Paul Lazarsfelt Gesellschaft의 회장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암스테르담유럽문화재단 이사회의 의장을 역임했습니다.2009년부터 그는 비엔나 헤르베르트 켈만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2010년부터 2013년까지 그는 파리에서 평화구축 및 국가구축관한 국제대화(g7+)에 관한 선임자문그룹 멤버였다.나중에 그는 조셉 A로 임명되었다.하버드 대학[2]슘페터 펠로우입니다.그는 여전히 오스트리아 마셜 플랜 [2]재단의 회장을 맡고 있다.

작동하다

  • 1999년: 코소보: 마이텐, 박텐 = Kosova, Gemeinsam mit Karl Kaser und Robert Pichler, Wieser-Verlag, Clagenfurt 1999, ISBN978-3-85129-304-3
  • 2008: Das Kreisky-Prinzip: im Mittelpunkt der Mensch, gemeinsam mit Margaretha Kopeinig, Czernin-Verlag, Wien 2008, ISBN 978-3-7076-0277-7
  • 2009년: 지엘펑크트 유로파: von den Schlucht des Balcan und den Muhen der Ebene; Aufséte – Reden Kommentare인터뷰 도쿠멘테, 2001–2009, 비저-벨라그, 클라겐푸르트 2009, ISBN 978-3-85-129-85-85
  • 2010: Die Europaeische 찬스: Neustart nach der Krise, gemeinsam mit Margaretha Kopeinig, Verlag Kremayr & Scheriau, Wien 2010, ISBN 978-3-218-00807-5
  • 2010: 브루노 크라이스키: 다이 바이오그라피, 레지덴츠-베를라그, 상트 뵐텐/잘츠부르크 2010, ISBN 978-3-7017-3189-3
  • 2018: Epochenwechsel: unser digital-autoritéres Jahrhundrt, Christian Brandstétter Verlag, Wien 2018, ISBN 978-3-7106-0268-9

추가 정보

  • Solioz, Christophe; Petritsch, Wolfgang (December 2003). "The fate of Bosnia and Herzegovina: an exclusive interview of Christophe Solioz with Wolfgang Petritsch". Journal of Southern Europe and the Balkans. 5 (3): 355–373. doi:10.1080/14613190310001610788.

레퍼런스

외부 링크

외교직
선행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등대표부
1999–2002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