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Word processor
WordPerfect, 1979년 미니컴퓨터를 위해 처음 출시된 후 마이크로컴퓨터에 이식됨
LibreOffice Writer, 가장 인기 있는 자유 오픈 소스 워드 프로세서 중 하나

워드프로세서(WP)[1][2]는 텍스트의 입력, 편집, 서식 지정 및 출력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종종 일부 추가 기능이 있습니다.

초기의 워드프로세서는 기능 전용의 독립형 장치였지만, 현재의 워드프로세서는 범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입니다.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의 기능은 단순한 텍스트 에디터와 완전한 기능을 갖춘 데스크톱 퍼블리싱 프로그램의 중간쯤에 있습니다.그러나, 이 세 가지 사이의 차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고 [3][4]2010년 이후에는 명확하지 않았다.

배경

워드 프로세서는 컴퓨터 기술에서 발전하지 않았다.오히려 기계에서 진화해 컴퓨터 분야와 융합했다.[5]워드 프로세서의 역사는 쓰기 및 편집의 물리적 측면을 점진적으로 자동화한 후 기업과 개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선한 것입니다.

워드 프로세싱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 초 미국 사무실에서 타이피스트에게 작업을 합리화한다는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고 등장했지만, 그 의미는 곧 전체 편집 사이클의 자동화로 옮겨갔다.

처음에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의 설계자들은 기존의 기술과 새로운 기술을 결합하여 독립형 기기를 개발함으로써 PC의 신흥 세계와는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했습니다.워드 프로세싱의 개념은 1950년대 이후 컴퓨터가 경영에 [6]응용되어 온 보다 일반적인 데이터 프로세싱에서 비롯되었다.

지금까지 워드프로세서에는 기계, 전자, 소프트웨어의 3종류가 있었습니다.

기계적인 워드프로세서

최초의 워드 프로세싱 장치(타자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이는 "문자 전사용 기계")는 헨리 밀에 의해 "인쇄기와 [7]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선명하고 정확하게 쓸 수 있는" 기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습니다. 세기가 더 지난 후, 또 다른 특허가 윌리엄 오스틴 버트라는 이름으로 타이포그래퍼에게 등장했다.19세기 후반에 크리스토퍼 라탐 숄스[8] "문학 피아노"[9]로 묘사되는 큰 크기였지만 최초의 알아볼 수 있는 타자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기계 시스템이 실행할 수 있는 유일한 "워드 프로세싱"은 페이지의 글자가 나타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페이지에 남겨진 공간을 채우거나, 줄을 건너뛰는 것이었습니다.수십 년이 지난 후에야 타자기에 전기와 전자제품이 도입되어 기계 부품으로 작가에게 도움이 되기 시작했다.워드 프로세싱(독일어 Textverarbeung에서 번역)이라는 용어 자체는 1950년대에 독일 IBM의 타자기 판매 임원 Ulrich Steinhilper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그러나 나중에 적용될 아이디어, 제품 및 기술의 대부분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1960년대 사무실 관리 또는 컴퓨터 문헌(회색 문헌의 예)에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71년까지 이 용어[10] 뉴욕타임즈에 의해 비즈니스상의 "버즈워드"로 인식되었다.워드 프로세싱은 보다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즉, 컴퓨터를 비즈니스 관리에 적용하는 것과 병행했습니다.

따라서 1972년까지 워드 프로세싱에 대한 논의는 비즈니스 오피스 관리와 기술에 전념하는 출판물에 보편화되었고, 1970년대 중반에는 비즈니스 정기 간행물을 참조하는 모든 오피스 매니저에게 이 용어가 친숙해졌을 것이다.

전기 기계식 및 전자 워드 프로세싱

1960년대 후반 IBM은 IBM MT/ST(Magnetic Tape/Selectric Typewriter)를 개발했습니다.이 모델은 IBM Selectric 타자기 모델이었지만, 자체 책상에 내장되어 자기 테이프 녹음 및 재생 설비와 제어 장치 및 전기 릴레이 뱅크와 통합되었습니다.MT/ST 자동 워드랩이지만 화면이 없습니다.이 장치는 사용자가 다른 테이프에 쓴 텍스트를 다시 쓸 수 있도록 했으며,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테이프를 보내 문서를 편집하거나 복사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협업을 허용했다.그것은 워드프로세서 산업의 혁명이었다.1969년에 테이프는 마그네틱 카드로 대체되었다.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MT/ST에 부속된 추가 장치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작업을 읽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1970년대 초, 워드 프로세싱은 몇몇 혁신의 개발과 함께 전자적 기능을 강화한 미화된 타자기에서 완전한 컴퓨터 기반(단일 목적 하드웨어만 사용)으로 서서히 전환되기 시작했다.PC가 등장하기 직전에 IBM은 플로피 디스크를 개발했다.1970년대 초에 CRT 화면에 문서를 표시하고 편집할 수 있는 최초의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이 등장했습니다.

이 시대에 이러한 초기 독립형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은 여러 선구적인 기업에서 설계, 구축 및 판매되었습니다.Linolex Systems는 1970년 James Lincoln과 Robert Oleksiak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Linolex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플로피 드라이브 및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했습니다.워드프로세서 비즈니스에서 응용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시스템이었고 자체 영업 인력을 통해 시스템을 판매했습니다.500개 이상의 사이트에 설치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Linolex Systems는 1975년에 300만대를 판매했습니다.이는 Apple 컴퓨터[11]출시되기 1년 전입니다.

당시 렉시트론사는 워드프로세서 전용 마이크로컴퓨터도 생산했다.렉시트론은 1978년까지 자사 모델에 풀사이즈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CRT)을 최초로 사용했다.렉시트론도 5개 사용PC 분야에서 표준이 된 1인치 4인치 플로피 디스켓.1대의 드라이브에 프로그램 디스크를 삽입하고, 시스템이 기동.그 후, 데이터 FD를 2번째 드라이브에 넣습니다.운영 체제와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이 하나의 [12]파일로 결합되었습니다.

초기의 워드 프로세서를 채용한 또 다른 기업으로는 1973년에 최초의 현대적인 텍스트 프로세서인 "바이덱 워드 프로세싱 시스템"을 개발한 Vydec이 있습니다.디스켓으로 콘텐츠를 공유하고 [further explanation needed]인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내장했다.바이덱 워드 프로세싱 시스템은 당시 12,000달러에 판매되었다(인플레이션 [13]대비 약 60,000달러).

Redactron Corporation(1969년 Evelyn Berezin에 의해 조직됨)은 타이프라이터, 카세트 및 카드 유닛을 수정/편집하고 최종적으로 데이터 비서라고 불리는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한 편집 시스템을 설계 및 제조했습니다.버로스사는 1976년에 [14]Redactron을 인수했다.

Wang Laboraties의 CRT 기반 시스템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에 가장 인기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Wang 시스템은 CRT 화면에 텍스트를 표시하여 오늘날 알려진 워드 프로세서의 거의 모든 기본 특성을 통합했습니다.초기의 컴퓨터화된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은 종종 비싸고 사용하기 어려웠지만(즉, 1960년대의 컴퓨터 메인프레임과 같이), Wang 시스템은 진정한 사무용 기계였고, 중규모 로펌과 같은 조직에서는 저렴한 가격이었고, 비서 직원들에 의해 쉽게 숙달되고 운영되었습니다.

워드프로세서라는 말은 Wang과 비슷한 CRT 기반의 머신을 지칭하게 되었습니다.IBM, Lanier(AES Data Machines - re-badged), CPT 및 NBI와 같은 전통적인 사무기기 회사에서 주로 판매되는 이러한 종류의 기계가 많이 등장했습니다.모두 전용 전용 시스템으로 가격은 10,000달러대였습니다.값싼 범용 컴퓨터는 여전히 취미 생활자들의 영역이었다.

일본어 워드프로세서 장치

일본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한 타이프라이터가 기업이나 정부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었지만, 컴퓨터·기기가 시장에 나오기 전까지는, 문자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에게 한정되어 있었다.1977년 [15][16]샤프는 도쿄 비즈니스쇼에서 일본어 필기 시스템을 탑재한 컴퓨터 기반의 워드프로세서 전용 기기의 시제품을 선보였다.

세계 최초 일본어 워드프로세서 도시바 JW-10(1979년 2월 출시, 도시바 과학연구소)

도시바는 1979년 [17]2월 일본 최초의 워드프로세서 JW-10을 출시했다.가격은 630만엔으로 45,000달러 상당.이것은 [18]IEEE이정표 중 하나로 선택됩니다.

도시바 Rupo JW-P22(K)(1986년 3월) 및 옵션의 마이크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JW-F201
샤프 쇼인 WD-J150

일본어 표기 시스템은 2바이트의 한자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기호마다 1개의 키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하다.일본어 워드프로세싱은 현재 퍼스널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입력 방식(시각적 피드백에 의한 일련의 키 누르기)의 발달로 가능해졌다.Oki는 1979년 3월, 이 가나 베이스의 키보드 입력 시스템을 탑재한 OKI WORD EDITOR-200을 발매했다.1980년에 몇몇 전자제품 및 사무기기 브랜드가 보다 콤팩트하고 저렴한 기기로 급성장하고 있는 이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1980년의 평균 단가는 200만엔(1만4300달러)이었지만,[19] 1985년에는 16만4000엔(1200달러)으로 떨어졌다.퍼스널 컴퓨터가 보급된 후에도 일본의 워드 프로세서는 휴대성이 높아져(처음에는 「사무용 컴퓨터」가 너무 커서 휴대할 수 없었다) 1980년대 [20]후반에는 개인에게도 비즈니스나 학문의 필수품이 되었다.워드프로세서라는 문구는 일본어로 '와프로' 또는 '와푸로'로 축약되어 있다.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워드 프로세싱의 마지막 단계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과 그 후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이루어졌다.훨씬 더 복잡하고 능력 있는 출력을 만들 수 있는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고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대중들이 그것들을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1970년대 후반까지 컴퓨터화된 워드 프로세서는 여전히 주로 대기업 및 중견기업(로펌 및 신문 등)의 문서를 작성하는 직원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몇 년 안에, PC의 가격 하락은 처음으로 모든 작가들이 집에서 편리하게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개인용 컴퓨터(마이크로컴퓨터)를 위한 최초의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은 Michael Shrayer SoftwareElectric Pencil로, 1976년 12월에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1978년에 WordStar가 등장했고 그 많은 새로운 기능들 때문에 곧 시장을 장악했다.그러나 WordStar는 초기 CP/M(Control Program-Microsoft) 운영체제용으로 작성되었으며, 새로운 MS-DOS(Microsoft Disk 운영체제)로 다시 작성되었을 때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WordPerfect경쟁사인 Microsoft Word는 XyWrite와 같은 성공적이지 않은 프로그램도 있었지만 MS-DOS 시대에는 주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대체했다.

대부분의 초기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복사"나 "굵은 글씨"와 같은 키를 누르지 않고 반니모닉 키 조합을 암기해야 했습니다.또한 CP/M에는 커서 키가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WordStar는 커서 탐색을 위해 E-S-D-X 중심의 "다이아몬드"를 사용했습니다.그러나 전용 워드 프로세서와 범용 PC의 가격 차이, 그리고 "킬러 앱"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예: VisiCalc 및 Lotus 1-2-3)에 의해 후자에 추가되는 가치로 인해 개인용 컴퓨터와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가 전용 머신에 대한 심각한 경쟁이 이루어졌고 곧이어 그 경쟁도 치열해졌습니다.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 레이저 프린터의 등장과 같은 혁신으로 워드 프로세싱에 대한 "표준" 접근법(WYSIWYG - What You See What You Get)은 여러 글꼴의 비트맵 디스플레이(Xerox Alto 컴퓨터 및 Bravo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서 발상) 및 "Parox" 및 "Paste"와 같은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합니다.Gypsy 워드프로세서를 통한 혁신).1983년 Apple Macintosh에서는 MacWrite, 1984년 IBM PC에서는 Microsoft Word에 의해 보급되었습니다.이것들은 아마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최초의 진정한 WYSIWYG 워드프로세서였을 것이다.특히 Macintosh PC와 Windows PC 모두에서 사용되는 TrueType 글꼴의 표준화에도 관심이 있습니다.운영체제 퍼블리셔는 TrueType 서체를 제공하지만, 주로 소규모 글꼴 출판사가 표준 글꼴을 복제하기 위해 변환한 기존 서체에서 수집됩니다.저작권 제한 없이 볼 수 있거나 폰트 디자이너에게 의뢰할 수 있는 새롭고 흥미로운 폰트에 대한 수요가 발생했다.

1990년대 윈도 운영체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가 등장하게 되었다.원래 "Microsoft Multi-Tool Word"라고 불렸던 이 프로그램은 곧 "Word processor"의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Enterprise, I. D. G. (1 January 1981). "Computerworld". IDG Enterpri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9. Retrieved 1 January 2019 – via Google Books.
  2. ^ Waterhouse, Shirley A. (1 January 1979). Word processing fundamentals. Canfield Press. ISBN 97800645372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9. Retrieved 1 January 2019 – via Google Books.
  3. ^ Amanda Presley (28 January 2010). "What Distinguishes Desktop Publishing From Word Processing?". Brighthub.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pril 2019. Retrieved 1 January 2019.
  4. ^ "How to Use Microsoft Word as a Desktop Publishing Tool". PCWorld. 28 Ma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August 2017. Retrieved 3 May 2018.
  5. ^ 프라이스, 조나단, 어반, 린다 핀.최종 워드 프로세싱 북.뉴욕: Viking Penguin Inc., 1984, 23ii 페이지.
  6. ^ W.A. Kleinshrod, "The Gal Friday is a Typing Specialist now", 행정관리 제32권, No. 1971, 페이지 20-27
  7. ^ Hinojosa, Santiago (June 2016). "The History of Word Processors". The Tech Ninja's Dojo. The Tech Ninj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8. Retrieved 6 May 2018.
  8. ^ Samuel W. Soule과 Carlos Glidden을 참조하십시오.
  9. ^ The Scientific American, The Type Writer, 뉴욕 (1872년 8월 10일)
  10. ^ W.D. Smith, "비즈니스 장비에 대한 지연 지속" 뉴욕 타임스, 1971년 10월 26일자 59-60페이지.
  11. ^ Linolex Systems, 내부 커뮤니케이션 및 공개, 3M 인수, The Petritz Collection, 1975.
  12. ^ "Lexitron VT1200 - RICM". Ricomputermuseum.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anuary 2019. Retrieved 1 January 2019.
  13. ^ Hinojosa, Santiago (1 June 2016). "The History of Word Processors". The Tech Ninja's Doj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18. Retrieved 1 January 2019.
  14. ^ "Redactron Corporation. @ SNAC". Snaccooperativ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18. Retrieved 1 January 2019.
  15. ^ "日本語ワードプロセッサ". IPSJコンピュータ博物館. Retrieved 2017-07-05.
  16. ^ "【シャープ】 日本語ワープロの試作機". IPSJコンピュータ博物館. Retrieved 2017-07-05.
  17. ^ 原忠正 (1997). "日本人による日本人のためのワープロ".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of Japan. 117 (3): 175–178. Bibcode:1997JIEEJ.117..175.. doi:10.1541/ieejjournal.117.175.
  18. ^ "プレスリリース;当社の日本語ワードプロセッサが「IEEEマイルストーン」に認定". 東芝. 2008-11-04. Retrieved 2017-07-05.
  19. ^ "【富士通】 OASYS 100G". IPSJコンピュータ博物館. Retrieved 2017-07-05.
  20. ^ 情報処理学会 歴史特別委員会『日本のコンピュータ史』ISBN 4274209334 p135-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