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샘플링

Work sampling

작업 샘플링은 다양한 정의된 활동 범주(예: 기계 설치, 두 개의 부품 조립, 유휴 등)에서 작업자가 소비한 시간의 비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 기법이다.[1] 직무 책임, 업무, 성과 역량, 조직 업무 흐름의 신속한 분석과 인정, 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모든 통계 기법 못지않게 중요하다. 다른 명칭으로는 '활동 샘플링', '발생 샘플링', '비율 지연 연구'[2] 등이 있다.

작업 샘플링 연구에서 장시간 작업자에 대한 많은 수의 관찰이 이루어진다. 통계적 정확성을 위해 연구 기간 중 무작위 시간에 관찰을 해야 하며, 그 기간은 피험자가 수행하는 활동 유형을 대표해야 한다.

작업 샘플링 기법의 한 가지 중요한 용도는 수동 제조 작업에 대한 표준 시간의 결정이다. 표준시간을 계산하는 유사한 기법은 시간 연구, 표준 데이터, 그리고 미리 결정된 운동 시간 시스템.........

작업표본연구의 특성

작업 샘플링 연구는 작업 조건과 관련된 몇 가지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 그 중 하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다. 작업 샘플링 연구는 보통 완료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주 또는 그 이상)이 있어야 한다.
  • 또 다른 특징은 복수 근로자들이다. 작업 샘플링은 일반적으로 한 명의 작업자가 아닌 여러 작업자의 활동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 세 번째 특징은 긴 사이클 타임이다. 연구에서 다루는 일은 비교적 긴 주기 시간을 가진다.
  • 마지막 조건은 비반복적 근로 사이클이다. 그 일은 그다지 반복적이지 않다. 업무는 하나의 반복적인 업무보다는 다양한 업무로 구성된다. 그러나, 작업 활동을 구별되는 수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작업 샘플링 연구 수행 단계

작업 샘플링 스터디 준비를 시작할 때 권장되는 몇 가지 단계가 있다.[1]

  1. 표준시간을 결정할 제조과제를 정의한다.
  2. 작업 요소를 정의하십시오. 이러한 단계들은 연구 중에 관찰될 과제의 정의된 분해 단계들이다. 근로자가 관찰되기 때문에 '유휴' '일 대기' '부조' 등 추가 범주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3. 연구를 설계하다. 여기에는 관측치를 기록하는 데 사용될 양식 설계, 필요한 관측치 수 결정, 연구에 포함할 일수 또는 이동 수 결정, 관측치 일정 수립, 필요한 관측치 수 최종 결정 등이 포함된다.
  4. 샘플링을 수행할 관찰자를 식별하십시오.
  5. 스터디를 시작하십시오. 연구에 영향을 받은 모든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알려야 한다.
  6. 공장을 무작위로 방문하여 관측치를 수집한다.
  7. 연구를 완료한 후 결과를 분석하고 제시한다. 이는 모든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하는 보고서를 작성하고 필요할 때 권고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작업 샘플링에 필요한 관측치 수 결정

작업 요소를 정의한 후에는 원하는 신뢰 수준에서 원하는 정확도에 대한 관측치의 수를 결정해야 한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비율의 표준 오차

= p 작업 시간

={\ 유휴 시간

= n개의 관측치 수

추가 작업 샘플링 적용

작업 샘플링은 제조 환경에서 작업자의 작업 중 시간 할당을 결정하기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3] 그러나, 이 기술은 또한 건강관리와[4] 건설과 같은 여러 다른 환경에서 작업을 검사하기 위해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5] 보다 최근에는 조직심리학과 조직행동의 학문분야에서 기초기술이 다양한 연구문제의 범위를 검토하기 위한 상세한 직무분석법으로 발전하고 있다.[6]

참고 항목

참조

  1. ^ a b Groover, M. P. 작업 시스템과 방법, 측정관리. Pearson Education International, 2007 ISBN978-0-13-140650-6
  2. ^ Sheth, V. 산업 공학 방법과 관행. Penram International Publishing, 2000, ISBN 81-87972-18-1
  3. ^ Tsai, W-. H. (1996). "A technical note on using work sampling to estimate the effort on activities under activity-based co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43 (1): 11–16. doi:10.1016/0925-5273(95)00189-1.
  4. ^ Ampt, A.; Westbrook, J.; Creswick, N.; Mallock, N. (2007).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and observational work sampling techniques for measuring time in nursing tasks".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 18–24. doi:10.1258/135581907779497576.
  5. ^ Buchholz, B.; Paquet, V.; Punnett, L.; Lee, D.; Moir, S. (1996). "PATH: A work sampling-based approach to ergonomic job analysis for construction and other non-repetitive work". Applied Ergonomics. 27 (3): 177–187. doi:10.1016/0003-6870(95)00078-X.
  6. ^ Robinson, M. A. (2010). "Work sampling: Methodological advances and new applications".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 Service Industries. 20 (1): 42–60. doi:10.1002/hfm.20186.

외부 링크

  • "Work sampling: Methodological advances and new applications".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doi:10.1002/hfm.20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