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우

Yang Wu
907–937
L.LIANG.jpg
자본광링 시
공용어중한자
정부군주제
왕자/왕/황제
• 907–908
양우
• 908–921
양룽옌
• 921–937
양부
역사시대오대십국 시대
• 당 지배하의 우국 건국
902
당나라의 멸망
907년 6월 1일
Yang Longyan이 스스로 왕이라고 선언하고 새로운 연호를 취임함
919
양푸는 황제로 즉위했다.
927년 11월 29일
남부 당에 의해 종료됨
937
통화
선행자
성공자
당 왕조
남탕
오늘의 일부중국

(an)는 화인안(華人安), 홍농(洪nong), 남우(南武), 양우(陽武)라고도 불리며 907년부터 937년까지 존재하던 중국 동부10국 중 한 나라였다. 수도는 장쑤(江蘇)시(江蘇)성(江蘇)성의 현대 양저우(陽州)이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우가 당나라에 의해 양싱미가 우의 태자로 추대된 902년에 시작되었다고 본다. 907년(당나라가 멸망한 때) 이후 우의 세 통치자는 모두 양싱미의 아들이었다. 초대 통치자 양우쉬웬장하오에 의해 살해되었고, 그의 뒤를 이은 두 형제는 처음에는 쉬웬이 사실상 지배하는 인형이었고, 이후 쉬웬의 양아들 쉬쯔가오(리비안)는 937년에 권력을 남용하여 남당을 세웠다. 마지막 통치자인 양푸는 유일하게 황제 칭호를 주장했고, 다른 통치자들은 왕이나 왕자였다.

창간

우의 시조 양싱미는 군정 쿠데타로 고향 현 루저우에서 정권을 잡기 전 의용군 생활을 시작했다. 약한 당나라 법정은 그의 입장만 확인할 수 있었다. 887년 화이난 총독 가오피아비시두오에게 붙잡혔다. 싱미는 그해 말 시두오를 격파하고 지방 수도 양저우(陽州)를 점령했으나, 그때쯤 피안은 시두오에게 사형에 처해졌다. 다른 반란군 지도자 순루는 시두오를 시켜 그의 군대를 죽이고 흡수하게 했다. 양싱미는 어쩔 수 없이 양저우를 버리고 루저우로 후퇴했다. 싱미는 루저우를 근거지로 하여 892년 양저우를 탈환할 수 있을 때까지 이웃 현을 점령하여 세력을 키웠다. 이 행위를 위해 당법원은 그에게 화이난의 군사총독을 내렸다.

여전히 명목상으로는 당나라에 충성하고 있는 반면, 경쟁 군벌들은 이제 그들 자신의 국적을 조각하고 있었다. 양싱미는 북쪽의 후량의 주원, 남쪽의 우유의 와 충돌하여 자신의 영토를 방어하는 데 성공했다. 902년 당 자오종 황제에 의해 양싱미가 우왕자로 책봉되었다.

독립

양싱미는 905년 사망하고 맏아들 양우가 뒤를 이었다. 907년 주원은 마지막 당나라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자신을 후량의 초대 황제라고 선포하였다. 양우는 이러한 변화를 인정하지 않고 당나라 마지막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다. 이때부터 우씨는 독립적이고 주권적인 실체였다.[1]

쉬웬의 권력 전복

아버지의 죽음으로 젊고 검증되지 않은 양우는 승승장구하는 수원의 책임자인 수웬에게 의지해 왔으나, 후에 수웬의 영향력에 분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양우는 몸을 풀기도 전에 908년 쉬웬과 동료 장하오에게 암살당했다. 원앙과 하오는 당초 우를 분파하여 량에게 복종할 계획이었으나 곧 낙마하였다. 쉬웬은 양우의 동생 롱얀을 설치하여 장하오를 살해하게 하였다. 양룽옌은 쉬웬을 국가의 진정한 통치자로 둔 단순한 꼭두각시였다. 원 총리는 스스로 런저우 총독을 만들어 진링으로 지휘권을 옮겼다. 수도에서의 정규 행정은 그의 아들 쉬즈쥔에게 맡겨졌다. 918년 지쉰이 살해된 후, 이 지위는 원앙의 의붓아들 지가오에게 계승되었다. 919년 양룽옌은 스스로 우왕(武王)을 선포하고 새로운 연호를 취임시켰고, 이에 따라 처음으로 우(武)가 주권국가를 공식적으로는 우가 주권국가를 자처했다. 룽옌은 922년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형 싱미의 넷째 아들 양푸가 뒤를 이었다. 전과 마찬가지로 쉬웬이 실권을 쥐고 있었다. 그는 양푸에게 스스로 황제를 선포하도록 권유하였으나, 927년 사망하였고, 927년 11월 29일 양푸는 우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쉬쯔가오는 대경장이자 챈슬러리 국장이 되었다.

영역 범위

우 수도는 광링(현재의 양저우)에 있었고, 오늘날 중남부 안후이, 중남부 장쑤(江蘇), 중남부(中部) 장쑤(江蘇)성, 장시(江西)성 상당, 후베이(湖北)성 동부를 개최하였다.

왕국의 종말

쉬쯔가오는 양싱미의 고집으로 쉬웬에게 입양되어 곧 자신이 유능한 사람임을 증명해 보였다. 927년 의붓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우에서 정권을 잡고 한동안 진링의 총독으로 계속 국가를 다스렸다. 마침내 937년에 그는 제왕과 양푸가 양맹의 반대를 진압한 후 퇴위했다고 선언함으로써 정식으로 권력을 장악했다. 2년 후, 당나라 왕자 쉬쯔가오의 후손과 리의 성을 되찾음으로써 쉬쯔가오는 리비안이 되어 당나라 복원을 선언했다. 그의 국가는 역사에 남탕으로 알려질 것이다.[1]

통치자

  • 904–905: Yáng Xíngmì 楊行密 (太祖孝武皇帝; Tài Zǔ Xiàowǔ Huángdì)
  • 905–908: Yáng Wò 楊渥 (烈宗景皇帝; Liè Zōng Jǐng Huángdì)
  • 908–921: Yáng Lóngyǎn 楊隆演 (高祖宣皇帝; Gāo Zǔ Xuān Huángdì)
  • 921–937: Yáng Pǔ 楊溥 (睿皇帝; Ruì Huángdì)

우·남당 지배자 가계도

참고 항목

참조

인용구

  1. ^ a b Mote, F.W. (1999).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p. 14.

원천

  • Kurz, Johannes L. (2011). China's Southern Tang Dynasty (937-976). Routledge. ISBN 9780415454964.
  • Ouyang, Xiu (2004). Historical records of the five dynasties. Translated by Richard L. Dav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2826-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