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룬제리

Wurundjeri
우룬제리
언어들
Woiwurrung 언어, 영어
종교
호주 원주민 신화, 기독교, 종교
관련 민족
분우룽, 자자우룽, 타웅룽, 와타우룽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그룹 이름 목록
찰스 트로이델의 메리 크릭 원주민

Wurundjeri족WoiWurrung 언어 그룹의 호주 원주민으로 Kulin 국가에 살고 있습니다.이들은 현재 Narm(Melbourne)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Birrarung(Yarra River) 계곡의 전통적인 소유주들이다.그들은 계속해서 이 지역과 호주 전역에 살고 있다.그들은 초기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야라 부족이라고 불렸다.

1985년 우룬제리족에 의해 설립된 우룬제리족 토지보상문화유산협의회.

민족명

호주의 초기 민족학자 알프레드 윌리엄 하우트에 따르면, 우룬제리의 이름은 Birrarung을 따라 [1]흔히 볼 수 있는 마나 또는 하얀 껌으로 알려진 유칼립투스 비미날리스라는 유칼립투스 종을 가리킨다.우룬제리의 전통 전승에 대한 일부 최신 보고서에는 그들의 민족명만나검을 뜻하는 우룬과 나무에서 발견되는 유충의 일종인 제리를 합쳐서 "위쳇티 그루브족"[2]을 의미한다고 쓰여 있다.

언어

Wurundjeri 사람들은 Kulin의 방언인 Woiwurrung을 사용합니다.Kulin은 Kulin 국가의 5개 그룹에 의해 사용됩니다.

클랜

서로 다른 [3]영토를 가진 우룬제리족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다른 씨족이 있습니다.

Wurundjeri 발룩:그들의 영토는 Baw Baw에서 Halesville에 이르는 지역과 Birrarung의 북쪽 지류(Yarra River)에서 Mirrangbamurn의 동쪽(Maribyrnong River)과 Gisborne에 이르는 지역을 포함한다.

Wurundjeri Willum:그들의 영토는 나름(멜본), 마리비롱 강 동쪽과 서쪽 지류, 게부르(마케도니아 산)까지를 포함한다.쿠룸 강(플렌티 강)에서 마리브리농 강까지 서반부를 포함한다.그들의 이름은 '캠프/쉘터'를 뜻하는 wilam에서 유래되었다.

마린 발루크:마리비르농 강 서쪽에서 쿠라코라캅(선버리)과 게부르(마케도니아 산) 분수령을 중심으로 한다.그들의 이름은 '마리브리농 강'이라는 뜻이다.

Gunung Willum Balluk: 게부르(마케도니아 산) 서쪽의 인접 우룬제리 국가부터 발리트구르크(Bulengurk)와 무날(Daylesford)까지.그들의 이름은 '강 대피소 늪'이라는 뜻이다.

Balluk Willum: Cranbourne 지역에서 왔습니다.그들의 이름은 '습지 대피소'를 의미하며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배수되기 전에 이 지역을 차지했던 늪을 가리킨다.

은가루크 윌럼: 코한와라불(단데농 산맥) 남쪽에서 왔습니다.

Kurung Jang Baluk: Melton 지역에서 왔습니다.그들의 이름은 구롱과 발룩에서 유래되었다.

나라

타국과의 기본 영토 경계

노먼 틴데일은 우룬제리가 약 12,500km2(4,800평방마일)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이들은 멜버른 주변의 야라강과 솔트워터강 지역을 거쳐 북쪽으로 실망산, 북서쪽으로 마케도니아, 우든드, 랜스필드까지 이어졌다.그들의 동쪽 국경은 바우바우 산과 힐즈빌까지 뻗어 있었다.그들의 남쪽 경계는 모르디알록, 와라굴, 모에까지 [4]접근했다.

우룬제리발룩족과 우룬제리윌람족은 야라밸리/야라강 유역 지역에서 하이델베르크[5]이르는 지역을 점령했다.

2021년 6월, 빅토리아 원주민 유산 평의회에 의해 제정된 후, 멜버른에 있는전통적인 소유주 그룹인 우룬제리와 분우룽 사이의 경계는 두 그룹 사이에 합의되었다.새로운 국경선은 도시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르며 우룬제리 에는 CBD, 리치몬드, 호손이, 부누롱 땅에는 앨버트 파크, 세인트 킬다, 콜필드가 포함된다.1836년 최소 10명의 와타우롱 희생자들과 함께 대학살이 있었던 코트렐 이 160미터(520피트) 이상에서 공동 관리되기로 합의되었다.두 단체를 대표하는 등록 원주민 정당은 부농토지협의회 원주민 주식회사우룬제리 위우룽 문화재 원주민 주식회였다.하지만, 이 국경들은 여전히 몇몇 저명인사들 사이에서 논쟁 중이며, 우룬제리 영토는 훨씬 [6]더 서쪽과 남쪽으로 퍼진다고 주장되어 왔다.

역사

최초의 유럽 정착민들은 북쪽과 남서쪽으로 풀이 무성한 평원의 넓은 구역으로 구성된 멜버른에서 내륙으로 뻗어있는 공원 같은 풍경을 우연히 발견했는데, 숲은 거의 덮이지 않았고, 이것은 많은 수의 참마 데이지(무농)가 번성한 것을 드러내기 위해 토착적인 판자 태우는 관행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되었다.a.[7] 이 무르농 뿌리와 다양한 덩이줄기는 전분과 [8]탄수화물의 주요 공급원을 형성했다.날씨의 계절적 변화, 음식의 가용성 및 기타 요인에 따라 캠프 장소가 결정될 것이며, 대부분은 Birrarung강과 그 지류 근처에 위치할 것이다.

Wurundjeri와 Gunung Willam Balug 일족은 뉴사우스웨일즈와 애들레이드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거래된 매우 가치 있는 그린스톤 도끼 채석장에서 디오라이트를 채굴했습니다.그 광산은 빅토리아에 [9][10]있는 다른 원주민 국가들 간의 경제적, 사회적 교류를 위한 복잡한 무역 네트워크를 제공했습니다.채석장은 1500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지하 수 미터의 구덩이를 포함한 18 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2008년 2월 이 유적은 문화적 중요성과 고고학적 가치로 [11]호주 국가유산에 등재되었다.

우룬제리 땅의 정착과 몰수는 우룬제리 지도자들이 외부인이 씨족 토지의 자원에 일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탄데룸 의식을 진행한 직후 시작되었다. 배트맨과 다른 백인들은 조약 형태로 기록된 이 상징적인 행위를 중세 위우롱의 모든 [12]영토에 대한 맹세와 동등하다고 해석했다.몇 년 안에, 1838년 Mullum Mullum Creek에서 찰스 뉴먼 소령과 Beal Yallock에서 James Anderson과 함께 Pound Bend 주변에서 정착이 시작되었고, 1년 후에 지금은 Anderson's Creek로 알려졌다.그들의 원주민 제거 조치는 소의 전횡과 밭의 소각과 함께 자가(家家)가 이끄는 게릴라 교전에 직면했다.그들은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고, 1840년 예링으로 가는 동안 앤더슨을 쫓아내기 위해 가까이에서 총을 쏘고 있었다.헨리 깁슨 선장이 그곳에 설치한 함정은 Jaga Jaga를 붙잡아 전투를 벌였고 Wurundjeri는 그의 석방을 위해 싸웠습니다.저항은 깨졌고 정착촌은 고통스러웠다.데리무트라는 장로는 나중에 이렇게 말했다.

보세요, 이 모든 것이 제 것입니다.여기 내내 데리무트는 한 번 있었지지금이야 어떻든, 난 곧 굴러떨어진다…왜 난 루브라가 없지?왜 난 사진기가 없는거지?여기 다 있잖아아이도 없고 루브라도 없다.나는 이제 [13][14]곧 쓰러져 죽는다.

코란데르크

1863년, 우룬제리 부족의 생존자들은 힐레스빌 근처의 코란데르크 역에 "허용한 점령"을 받고 강제로 재정착했다.식민지 정부와 연방 정부에 대한 수많은 탄원서, 서한, 위임장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잃은 것에 대한 보상으로서 이 땅의 증여는 거부되었다.코란데르크는 1924년에 문을 닫았고 컨트리를 떠나는 것을 거부하는 거주자 바 5는 다시 긱스랜드타이어스 호수로 옮겨졌다.

오늘의 우룬제리

나머지 모든 우룬제리족은 베베잔의 딸 애니 바테(부라트)와 아들 로버트 완딘(완둔)을 통해 베베잔의 후손이다.베베잔은 우룬제리족의 응우룽가에타였으며 1835년 [15] 배트맨의 "대우" 서명에 참석했다.Wurundjeri의 장로인 Joy Murphy Wandin은 Wurundjeri 문화를 보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최근 우룬제리 문화는 사람들이 "말하기"나 "말하기"나 "말하기"가 금지되면서 훼손되었다.또 다른 손실은 가족들로부터 빼앗긴 아이들의 손실이다.이제 과거의 지식을 찾아서 문서로부터 수집해야 합니다.이것을 찾아냄으로써, 우룬제리는 그들의 과거를 현재로 가져와 소속된 장소를 재현할 것이다."보관 장소"는 우리 민족의 미래 세대를 위한 물건을 보관하는 것이지, 모두를 위한 전시회가 아니며, 달러를 벌기 위한 자원이 아니다.저는 앞으로도 우룬제리족의 [a]우룬제리 문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85년 영연방과 빅토리아 시대의 법률에 따라 법적 역할을 수행하고 더 넓은 공동체 [16][17]내에서 우룬제리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우룬제리 부족 토지 보상문화재 협의회가 설립되었습니다.

Wurundjeri 어르신들은 종종 방문객들이 참석한 가운데 행사에 참석합니다.그 행사에서 그들은 Woiwurrung 언어로 시골 인사를 합니다.

Wominjeka yearmenn koondee-bik Wurundjeri-Ballak, 간단히 말해서 Wurundjeri 사람들[18][19] 나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주목받는 사람들

윌리엄 바라크 (코란데르크)

Ngurungaeta:

  • 베베잔(?1836) : 응우룽가에타, 윌리엄 바락의 아버지이자 빌리벨라리의 동생
  • 빌리벨러리(1799~1846) : 우룬제리윌람 씨족의 응구룽가에타.
  • Simon Wonga (1824–1874) : 1851년까지 응우룽가에타에서 사망할 때까지.빌리벨라리의 아들.[20]
  • 윌리엄 바라크(1824~1903) : 1874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우룬제리윌람 일족의 응우룽가에타.
  • 제임스 완딘(1933년–2006년): 죽을 때까지 응우룽가에타, 호주의 지배적인 축구 선수
  • Murrundindi: ngurungaeta 2006년부터 현재까지

그 밖에 주목할 만한 우룬제리족은 다음과 같다.

대체 이름/철자

  • Coraloon(?)
  • 군궁윌람
  • 쿠쿠루크(북쪽 성씨)
  • Mort Noular(언어명)
  • 은가루크윌람
  • 은테르 갈라
  • Nuthergalla (ngatha = 멜버른 [21]방언의 juda "no").
  • 우롱기
  • 우룬제리[22]
  • 와렝바다와
  • 웨인워라
  • 와이어웨이오
  • 웨어롱
  • 와로롱
  • 워와루
  • 와부롱
  • 와우룽, 와우룽 시
  • 와우룽
  • 와우롱
  • 워워룽
  • Woiworung(사용한 언어의 이름, woi + worung = 스피치)
  • Woiwurru (woi = no + wur:u = 립)
  • 웨이우룽, 웨이우룽, 웨이우룽
  • 우이우롱
  • 와우룽
  • 우룬디라발루크
  • 우룬제리
  • 우룬제리
  • 우룬제리발루크
  • 야라 야라
  • 야라야라 쿨리스(쿨린=남자)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Joy Murphy Wandin은 Ellender & Christiansen 2001, 페이지 121에서 인용했다.

인용문

  1. ^ Howitt 1889, 페이지 109, 주 2.
  2. ^ 엘렌더 & 크리스티안센 2001, 페이지 35
  3. ^ Nicholson, Bill and Mandy (2016). Wurundjeri's Cultural Heritage of the Melton Area (PDF). Melbourne: Melton City Council.
  4. ^ 틴데일 1974, 페이지 208-209.
  5. ^ "Indigenous Sporting Heroes". Retrieved 1 July 2021.
  6. ^ Dunstan, Joseph (26 June 2021). "Melbourne's birth destroyed Bunurong and Wurundjeri boundaries. 185 years on, they've been redrawn".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2 July 2021.
  7. ^ Gammage 2012, 페이지 45-46.
  8. ^ 파스코 1947년
  9. ^ 맥브라이드 1984, 페이지 44
  10. ^ 1994년 프레슬랜드
  11. ^ 국가 유산 목록
  12. ^ 바윅 1984, 페이지 122
  13. ^ 야가 자가의 항전
  14. ^ Clark 2005, 페이지?
  15. ^ VAHC 2008.
  16. ^ 애보츠포드 컨벤트 뮤즈 2007.
  17. ^ Gardiner & McGaw 2018, 페이지 22
  18. ^ 완딘 2000.
  19. ^ 플래너건 2003.
  20. ^ "Simon Wonga". State Library of Victor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09.
  21. ^ 틴데일 1974, 페이지 209
  22. ^ Howitt 1889 페이지 109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