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무스 글라브라
Ulmus glabra울무스 글라브라 | |
---|---|
![]() | |
와이치 엘름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플랜태 |
클래드: | 기관지동물 |
클래드: | 안기오스페름스 |
클래드: | 에우디코츠 |
클래드: | 로시즈 |
순서: | 로잘레스 |
패밀리: | 울마과 |
속: | 울머스 |
하위 게놈: | U.Subg. 울머스 |
섹션: | U.S. 종파 울머스 |
종: | 유 글라브라 |
이항식 이름 | |
울무스 글라브라 | |
![]() | |
유통지도 | |
동의어 | |
Ulmus glabra, wych elm 또는 Scots elm은 유럽 느릅나무 종 중에서 가장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아일랜드 동쪽에서부터 우랄 산맥까지, 그리고 남쪽의 북극권에서 그리스의 펠로폰네세 산맥까지, 이란에서도 발견된다. 큰 낙엽수인 이 나무는 본질적으로 몬탄 종으로 해발 1500m(4,900ft)까지 자라며 습한 토양과 높은 습도를 가진 곳을 선호한다.[2] 이 나무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순수한 숲을 형성할 수 있으며 노르웨이의 베이언에서 위도 67°N의 북쪽에서 발생한다. 노르웨이 트롬쇠와 노르웨이 알타(70°N)[3]까지 북쪽 먼 곳까지 성공적으로 도입됐다. 그린란드(61°N) 남단 부근의 나르사수아크에도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나무는 단연코 영국 섬의 북쪽과 서쪽 지역에서 가장 흔한 느릅나무였으며, 현재 논란의 여지가 없는 유일한 영국 토착 느릅나무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스코틀랜드에는 이전의 풍부함 때문에, 이 나무는 때때로 스카치 엘름 또는 스코틀랜드 엘름으로 알려져 있다. 로몬드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엘렘의 라크'로 해석되고, '레만'은 렘이나 렘의 복수 형태인 '엘름'으로 해석되는 게일릭 라크 리먼의 부패라고 한다.[4]
버그만의 느릅나무(elm U. bergmanna)와 북동아시아가 원산지인 만주 느릅나무(merganus elm U. lacinata)와 같이 밀접하게 연관된 종들이 한때는 U. glabra에 포함되기도 했다.[5] 또 다른 가까운 친척은 히말라야나 카슈미르 느릅나무(kashmir elm U. wallichania)이다. 반대로 일부 당국에서 종으로 간주하는 코카서스의 울머스 타원체는 울머스 글라브라의 지역적 형태로 나열되는 경우가 많다.[6][7][8][9]
어원
"와치" (또한 "마녀"라는 철자)는 연약하거나 유연하다는 뜻의 올드 잉글리쉬 와이스에서 유래한 말로, 위커와 약자에게도 정의를 내린다. 제이콥 조지 스트럿의 1822년 저서 실바 브리타니카는 와이치 엘름(Wych Elm)이 때때로 '와이치 헤이즐'([10]Hamamamelis wych hazels)로 언급되었다고 증언한다.
분류
아종
특히 린드퀴스트(1931년)를 비롯한 일부 식물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아종을 제안했다.[11]
- 종 범위의 남쪽에 있는 U. glabra subsp. glabra: 테이퍼링 베이스가 짧고 뾰족한 로브가 있는 넓은 잎,[12] 종종 짧고 갈퀴가 있는 줄기와 낮고 넓은 왕관을 가진 나무,
- U. glabra subsp. montana (Stokes) montana: 종의 범위 북쪽에 있는 린드크비스트: 잎이 좁아지고, 테이퍼링 기지가 길고, 급성 로브가 없으며,[12] 일반적으로 긴 단일 줄기와 키가 크고, 좁은 왕관을 가진 나무들.[13]
이러한 문자를 가진 개체군 사이에 많은 중첩이 관찰되며, 그 구별은 유전적 변화보다는 환경적 영향 때문일 수 있다; 아종은 플로라 유로파아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4]
설명
이 유형은 때때로 40m(130ft)의 높이에 도달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슴 높이(DBH)에서 직경 2m(6.6ft)까지의 짧은 보울로 지탱되는 개방된 크라운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뿌리 빨대는 보이지 않는다; 자연 번식은 씨앗만으로 이루어진다. 이 나무는 매우 질기고 유연한 어린 새싹들로 유명하다. 이 새싹들은 항상 많은 느릅나무의 산등성이나 '날개' 특성이 없다. 대체 잎은 길이가 6~17cm이고 너비가 3~12cm이며, 대개 비대칭 염기(symmetric base)로 오보동하며, 종종 짧은(<5mm) 피티클을 완전히 덮는다; 위쪽 표면은 거칠다. 청소년 또는 그늘에서 자란 새싹의 잎은 때때로 꼭지점 근처에 세 개 이상의 로브를 가지고 있다.[15] 10~20개의 성단으로 이루어진 초봄에 잎 앞에 완벽한 헤르마프로다이트 꽃은 10mm의 긴 줄기에 4mm의 가로가 있고 바람에 의해 오염되는 것은 열성적이다. 열매는 날개 달린 사마라로 길이 20mm, 너비 15mm이며, 가운데에 둥근 6mm 씨앗이 있으며 늦은 봄에 성숙한다.[16][17]
씨뿌리기, 코틀레돈 표시(K)
해충과 질병
이 종은 네덜란드의 느릅나무 질병에 잘 걸리기 쉽지만, 방아쇠 역할을 하는 느릅나무 껍질 딱정벌레가 숙주로서 선호하지 않는다.[18][19] 스페인 연구에서는 트리테르펜 알눌린이 있어 나무껍질이 들판 느릅나무보다 덜 매력적이지만 87μg/g의 마른 껍질에서는 울머스 레에비스(200μg/g)만큼 농도가 높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0] 게다가 일단 나무가 죽어가고 나면, 그 나무껍질은 곰팡이 포마에 의해 빠르게 식민지화되는데, 이것은 딱정벌레가 번식할 수 있는 나무껍질의 양을 급격히 감소시킨다.[21] 유럽의 실험에서는 내성이 뚜렷한 나무의 클론이 병원균에 접종되어 85~100%의 노화를 일으켜 이듬해까지 68%의 사망률을 보였다. 프랑스의 Cemagref(현재의 Irstea)에 의한 DNA 분석은 종내의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을 밝혀내 저항성 나무가 진화할 가능성은 다소 희박하게 되었다.[22]
켈스토르프의 스웨덴 산림수목 사육 협회는 삼엽수목과 사엽수형을 생산했지만, 이것들은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에 대해 일반적인 디플로이드 형태보다 더 저항력이 없는 것으로 증명되었다.[23]
이탈리아에서 시행된 실험에서, 그 나무는 느릅나무 노랑에 약간 또는 중간 정도의 민감성을 가지고 있고 느릅나무 딱정벌레 크산토갈루카 루테올라에 대한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24]
재배
와이치 느릅나무는 적당히 그늘이 지지만 강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깊고 풍부한 토양을 필요로 한다.[25] 그 종은 오랜 가뭄으로 인해 산성 토양과 홍수를 견딜 수 없다.[26][27] 모양 때문에 가로수로 거의 쓰이지 않지만, 도시 대기 오염, 제약을 받는 성장 조건, 심한 꽃가루에 놀랄 만큼 관용적일 수 있다.
와이치 느릅나무는 뿌리에서 빨아먹지 않고, 어떤 묘목도 통제되지 않은 사슴 집단에 의해 소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생은 매우 제한적이며, 어린 나무의 그루터기에서 나오는 싹에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감소는 극심했고, 와이치 느릅나무는 이제 이전의 많은 범위에 비해 흔치 않다. 6월 초에 채취한 연목재 절단물이 안개 속에서 상당히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기는 하겠지만, 종자로부터 또는 변을 입힌 재고 식물로부터 전파하는 것이 가장 좋다.[28]
와이치 엘름(Wych elm)은 19세기 에든버러에서 공원과 거리 나무로 널리 심어져 있었으며, 손실에도 불구하고 그곳에는 풍성하게 남아 묘목을 통해 재생되고 있다.[29][4] 18세기 뉴잉글랜드,[30] 19세기 캐나다(도미니온수목원, 오타와에서 U 몬타나로)와 호주에 소개되었다.[33]
사용하다
목재
와이치 느릅나무는 색칠, 미친 곡물, '파인트리지-브레스트' 또는 '캣츠포' 표시, 작업할 때 가끔 무지개빛 초록빛 광택이나 '블룸'으로 장인들이 높이 평가한다. 오래된 나무의 상사들은 '버러 엘름' 나무의 특징적인 틈새와 표시를 만들어 낸다.[34] 새싹이 돋아난 상사는 부르짖는 반면, 흔들리지 않는 상사는 부르짖는 것이다.
약
18세기 프랑스에서는 울무스 글라브라의 속껍질인 오르메 피라미데일은 만병통치약이라는 짧은 평판을 얻었다;[35][36] "그것은 가루로, 추출물로, 심지어 목욕물에서도, 엘릭시르로 복용되었다. 그것은 신경, 가슴, 배에 좋았어. 내가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 그것은 진정한 만병통치약이었습니다."[37] 미셸-필리프 부바트가 유명하게 잘라낸 이른바 '피라미달 느릅나무 껍질'이었다. 치료할 때까지 서두르라고 말했다.[37] 그것은 여전히 1893년의 약리학으로 나타났다.[36]
주목할 만한 나무

E. M. 포스터는 소설 하워드 엔드에서 16번이나 자신의 어린 시절 살던 룩스 네스트, 스티븐지, 허트포드셔의 집에서 자란 특별한 와이어크 엘엠을 인용했다. 이 나무는 호칭의 집 위에 걸려 있고, 십여 명의 남자가 쓸 수 없는 "...거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포스터는 나무를 "...집 위에 몸을 굽히고 힘과 모험을 뿌리째 뽑은 동지"라고 묘사한다. 소설의 와이치 느릅나무는 오래 전 시골 사람들에 의해 트렁크에 돼지 이빨이 박혀 있었고, 나무껍질을 좀 씹으면 치통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오직 연결만..."이라는 소설의 비문에 맞추어, 몇몇 사람들은 이 와이크 느릅나무를 인간과 지구와의 연결의 상징으로 볼 수도 있다. 소설의 주인공인 마가렛 슐레겔은 어떤 것이든 두려워한다.서풍이 불어 와이치 느릅나무가 쓰러지고 만물의 종말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1991년 영화 하워드 엔드의 각색에서 나무는 밤나무로 바뀐다.
영국 섬의 트리 레지스터에 등재된 영국 챔피언은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의 브라한에 있다.[38] 둘레는 703cm(2.23m DBH)이고 높이는 24m이다.[39]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표본이 2018년 홉튼 성 북쪽 들판에서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오래 전에 만들어진, 그것의 볼레 둘레는 2018년에 6.3미터였다. 에든버러에서 가장 오래된 표본은 현재 더딩스턴 골프장이 있는 더딩스턴 하우스(Guddingston House)의 옛 터에 있는 나무(5.2m)로 추정된다.[40] 에든버러에서 주목할 만한 다른 표본들은 리어월 가든과 메도우에서 발견될 것이다.[41]
유럽에서는 1620년에 심은 큰 나무가 이탈리아 피에몬트의 데몬테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베르게몰로에서 자란다(Bole-girth 6.2m, 2.0m DBH, 높이 26m, 2008).[42][43] 다른 고대 표본들은 오스트리아의 스티리아와 독일의 그렌자머에서 자란다. 1998년 슬로바키아의 시몬카 산의 위쪽 경사면에서 700여 그 이상의 건강하고 성숙한 나무들이 발견되었지만, 그들은 선천적인 저항보다는 병을 옮기는 딱정벌레로부터 격리된 덕분에 살아남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나무들의 50개의 복제 나무들은 그의 하이그로브 부동산과 클라에서 심기 위해 웨일즈 왕자에게 제공되었다.요크셔 주의 [44]팜
이탈리아 데몬테 인근 베르게몰로 1620번지에 심은 글라브라
컬티바스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 및/또는 기타 요인의 결과로 적어도 30개 이상의 품종이 경작용으로 유실될 수 있지만, 약 40개의 품종이 사육되었다.
NB: '엑소니엔시스' 엑서터 엘름(Exeter Elm)은 전통적으로 U. glabra의 한 형태로 분류되어 왔지만, 그 정체성은 이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잡종과 잡종 종
U. glabra는 U. minor와 자연적으로 혼합되어 Ulmus × hollandica 그룹의 엘렘을 생산하며, 이로부터 많은 품종이 생겨났다.
그러나 글라브라와 시베리아 느릅나무인 푸밀라의 잡종들은 현장에서 관찰되지 않고 실험실에서만 이루어졌지만, 인간이 소개한 두 종의 범위는 남유럽의 일부, 특히 스페인을 중심으로 겹친다.[20] U. glabra와 U. pumila의 러시아에서 교차로에서 Ulmus × Arbuscula라는 이름의 하이브리드 차가 생산되었다.
혈통이 U.S. 글라브라를 가진 하이브리드는 최근 유럽에서, 특히 네덜란드의 와게닝겐에서 실시한 인공 잡종 실험에서 강하게 등장했으며, 1960년 이후 많은 잡종 품종이 상업적으로 출시되었다.[46] 초기 나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을 괴롭혔던 초기 네덜란드 느릅나무 전염병에 대응하여 길러졌고, 1960년대 후반에 도착한 훨씬 더 치명적인 병균에 취약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추가 연구는 결국 1989년 이후에 발표된 질병에 효과적으로 면역이 되는 몇 그루의 나무를 생산했다.[47]
가입
- 북아메리카
- 미국 아놀드 수목원 391–2001호, 조지아에서 야생 채집
- 미국 바틀렛 트리 전문가 1505, 5103호, 미공개 원산지
- 도즈 수목원 [7], 미국 6그루의 나무, 자세한 정보 없음
- 미주리 식물원[8], 미국 악센트 번호 1969-6164, 1986-0160
- 미국 악센트 591-54, 255-81, 그리고 동의어인 미국 수카체비이 949-73, 181-76번
- 유럽
- [거의 모든 아르보레타에 잡혀 있음]
- 오스트랄라시아
예술에서
1878년 프린스 가의 에든버러 성에서 온 와이치 엘름스, 사무엘 보우
참고 항목
- 누가 Bella를 Wych Elm에 넣었는가? – 1944년 영국 Worcestershire의 Wych Elm 안에서 여성의 유해가 발견된 후 나타난 그래피티
참조
- ^ Barstow, M.; Rivers, M.C. (2017). "Ulmus glabr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61966807A61966819. doi:10.2305/IUCN.UK.2017-3.RLTS.T61966807A61966819.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Heybroek, H. M., Goudzwaard, L., Kaljee, H. (2009) 올름의 이엡, 카라케터붐 반 데 라게 란덴(:엘름, 저나라의 성격을 지닌 나무). KNV, Uitgeberij. ISBN 9789050112819
- ^ "Utbredelse - Naturhistorisk museum".
- ^ a b 리헨스, R. H. (1983)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ISBN 9780521294621
- ^ Elwes, H. J. & Henry, A. (1913년) 영국 아일랜드의 나무들. 제7권 1848-1929. 2014년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재간행, ISBN 9781108069380
- ^ Elwes, Henry John, & Henry, Augustine, (1913년) 영국 및 아일랜드의 나무들, Vol.7, 페이지 1863-1864 [1]
- ^ 빈, W. J. (1988) 영국의 나무와 관목들, 제8판 머레이, 런던
- ^ Krussman, Gerd, Manual of Arrow-leaved Trees & Substbs (1984 vol) 3)
- ^ Richens, R. H, Elm (Cambridge 1983), 페이지 279
- ^ Jacob George Strutt (1822). Sylva Britannica. p. 66. 확장된 1830년판 전문.
- ^ Bertil, Lindguist (1931). "Two varieties of North West European Ulmus glabra". Botanical Society Report. 9: 785. Retrieved 29 August 2017.
- ^ a b 마이킹 & 야코블레프: '북방 봉합 구역 울무스 글라브라의 잎 형태학 및 엽록체 DNA의 분리: 뚜렷한 빙하 리푸지아의 영향'; 스칸디나비아 학술지, 21(2):99-107, 2006년 4월
- ^ bioportal.naturalis.nl L.1587168 Ulmus glabra Huds. subsp. montana (stokes) lindq, 1937년 요크셔 주, 시르스크
- ^ 플로라 유로페아: 울무스 글라브라
- ^ 콜먼, M(에드) (2009). 와이치 엘름 왕립 식물원 에든버러. ISBN 978-1-906129-21-7
- ^ 빈, W. J. (1981년). 영국의 나무와 관목들은 7번째 판에 단단하다. 머레이, 런던.
- ^ White, J. & More, D.(2003). 영국과 북유럽의 나무들. 캐셀즈, 런던
- ^ 임업위원회 영국, 네덜란드 엘름병
- ^ 브래지어, C. M. (1996)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 관리 분야의 새로운 지평. 20-28페이지: 숲 연구에 관한 보고서, 1996. 임업위원회 영국 런던 HMSO[2]
- ^ a b 마르틴-베니토 D, 컨셉시온 가르시아-발레조 M, 알베르토 파야레스 J, 로페스 D. 2005. 스페인의 엘름에 있는 트라이테르페네. Can. J. for. res. 35: 199–205(2005).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7-06-28. Retrieved 2007-06-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웨버, J. (1980).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에 대한 자연적인 생물학적 통제. 네이처, 292, 449–451
- ^ 솔라 외 (2005). Ophiostoma novo-ulmi에 대한 저항성을 위해 유럽 엘름의 선별. 산림과학, 134–141. 51 (2) 2005. 미국 포리스트들의 사회.
- ^ 갔다, J. (1954년) 네덜란드 엘름병 - 15년간의 혼종과 선정 작업의 요약(1937–1952) 유럽 식물병리학 저널 02(1954); 60(2): 109–1276.
- ^ Mittempergher, L; Santini, A (2004). "The history of elm breeding" (PDF). Investigacion Agraria: Sistemas y Recursos Forestales. 13 (1): 161–177.
- ^ 에들린, H. L. (1949) 영국의 삼림 지대 나무들 런던의 Batsford.
- ^ 토마스, P.A., 스톤, D. 라포르타, N. (2018) Biologic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Ulmus glabra. 생태학 저널 106권 4호 영국 생태 학회. [3]
- ^ CAB International (2005) 임업 컴펜디엄. 영국 월링포드 CAB 인터내셔널
- ^ 베켓, K. & G. (1979) 토종 나무와 관목 심기. 영국 노리치 자롤드 & 선즈.
- ^ 콜먼, 맥스, 에드, 와이치 엘름 (Edinburg, 2009)
- ^ Browne, Daniel Jay (1851). The Trees of America. New York: Harper & Brothers. p. 481.
- ^ Saunders, William; Macoun, William Tyrrell (1899). Catalogue of the trees and shrubs in the arboretum and botanic gardens at the central experimental farm (2 ed.). Ottawa. pp. 74–75.
- ^ canadiantreetours.org
- ^ 스펜서, 로저, 에드,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의 원예 식물, 제2권 (시드니, 1995), 울머스, 페이지 103-118 [4]
- ^ Coleman, Max, Ed, Wych Elm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2009년)
- ^ 사이먼 모레롯, 쿠르스 엘레멘테르의 자연과학의 자연과학 파마슈티크..., 1800, 페이지 349 "피라미달이라는 거만한 이름의 느릅나무... 그것은 덧없는 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 ^ a b 조르주 뒤자르댕-보메츠, 포뮬라레 프라티크 데 테라푸티크 외 약리학, 1893년, 페이지 260
- ^ a b 가스통 드 레비스, 기념품 외 초상화, 1780-1789, 1813, 페이지 240
- ^ The Brahan Elm, forestry.gov.uk
- ^ "The Woodland Trust" (PDF).
- ^ CEC 정보; 나무는 홀리루드 고등학교의 기병 공원 드라이브 옆에 있는 구글 스트리트뷰에서 볼 수 있다.
- ^ 에든버러 와이치엘름 사진 [5] [6]
- ^ 이탈리아의 자연 총대주교: 피에몬테 - 올모 디 베르헤몰로, 접근 날짜: 2016년 11월 23일
- ^ "Google Maps". Google.co.uk. Retrieved 7 February 2017.
- ^ http://www.ecosystems.sk/pages/news41.html
- ^ "Ilmenaus bekannteste und vermutlich Europas älteste Ulme fiel dem Unwetter zum Opfer". ilmenau.de. 2015. Retrieved 2017-08-29.
- ^ Green, Peter Shaw (1964). "Registration of cultivar names in Ulmus". Arnoldia. Arnold Arboretum, Harvard University. 24 (6–8): 41–80. Retrieved 16 February 2017.
- ^ Heybroek, H.M. (1993). "The Dutch Elm Breeding Program". In Sticklen, Mariam B.; Sherald, James L. (eds.). Dutch Elm Disease Research. New York, USA: Springer-Verlag. pp. 16–25. ISBN 978-1-4615-6874-2. Retrieved 26 October 2017.
추가 읽기
- 콜먼, 맥스, 에드: 와이치 엘름(Edinburg, 2009; ISBN 978-1-906129-21-7) 스코틀랜드의 와이어크 느릅나무와 장인들이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연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울머스 글라브라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외부 링크
- Ulmus glabra 분포도: linnaeus.nrm.se [10]
- Jobling & Mitchell, '영국 엘름의 현장 인식', 임업위원회 소책자
- 동의어 목록
- 숲 농경지 (그린랜드)
- 씨앗에서 wych elm을 기른다.
- 울무스 글라브라 정보, 유전자 보존 단위 및 관련 자원. 유럽 산림 유전자원 프로그램(EUFORGEN)
- Myking & Yakovlev: '북방 봉합 구역의 Ulmus 글라브라의 잎 형태학 및 엽록체 DNA 분리: 뚜렷한 빙하 리푸지아의 영향'; 스칸디나비아 학술지, 21(2):99-107, 2006년 4월 [11]
- "Herbarium specimen - E00824735". Herbarium Catalogu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Ulmus 딱지 제분소라고 적힌 시트. = Ulmus Montana With.
- "Herbarium specimen - E00824732". Herbarium Catalogu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Ulmus montana라고 표시된 시트 = Ulmus glabra Huds. RBGE 시료, 1900
- "Herbarium specimen - E00824730". Herbarium Catalogu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1899년 스코틀랜드 알란 교각의 Ulmus glabra Huds로 묘사된 시트
- "Herbarium specimen - E00824764". Herbarium Catalogu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쌍떡잎과 씨뿌리 잎, 울무스 딱지 밀. = Ulmus Montana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