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릅나무병

Dutch elm disease
느릅나무병
Iepziekte op goudiep (Ophiostoma ulmi on Ulmus hollandica 'Wredei' 4 May 2009).jpg
황금 느릅나무의 네덜란드 느릅나무병
통용명DED
원인인자오피오스토마늑골
오피오스토마히말울미
오피오스토마노보울미
호스트느릅나무
벡터느릅나무껍질풍뎅이
EPO 코드세라울
분배유럽, 북미 및 뉴질랜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DED)은 느릅나무에 영향을 주는 주머니균(Ascomycota)에 의해 발생하며 느릅나무껍질 딱정벌레에 의해 전파된다.원래는 아시아 원산으로 여겨졌지만, 이 병은 우연히 미국과 유럽으로 유입되어 내성이 없는 느릅나무의 토착 개체군을 황폐화시켰다.그것은 또한 뉴질랜드에 도달했다."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이라는 이름은 요한나 웨스터디크 [1][2]교수와 함께 일했던 네덜란드의 식물병리학자인 Bea Schwarz와 Christine Buisman에 의해 1921년 그리고 나중에 네덜란드에서 확인되었다고 말한다.이 병은 울무스느티나무속에 속하는 종에 영향을 미치므로 네덜란드 느티나무 [3][4][5]잡종에는 특이하지 않다.

개요

병든 느릅나무의 왕관 내 여러 위치에서 분기사망, 즉 시들함

DED의 원인물질은 자낭균 마이크로펑기이다.[6]현재 3종이 알려져 있다.

느릅나무 줄기를 타고 갤러리에 먹이를 주는 딱정벌레
2010년 7월 뉴욕주 웨스트포인트에서 감염된 느릅나무

DED는 북미에서 3종의 딱정벌레에 의해 전파됩니다(패밀리:Curculionidae, 아과: Scolytinae):

유럽에서는 다슬기가 여전히 감염의 매개체 역할을 하지만, 큰 느릅나무 껍질 딱정벌레인 스콜리투스보다는 훨씬 덜 효과적입니다.H. 루피프는 질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지만 다른 매개체에 비해 비효율적이다.S. schevyrewi는 2003년 콜로라도와 유타에서 발견되었다.

보고된 다른 DED 벡터로는 스콜리투스 설시프론, S. 피그마우스, S. laevis, Pteleobius vittatusδ. kraatzi[11]있다.다른 느릅나무 딱정벌레 종들도 벡터일 가능성이 있다.

필드 저항

'장내성'은 일부 느릅나무가 생존하기보다는 애초에 감염을 피하는 다양한 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용어이다.분명한 예는 유럽 흰 느릅나무 울무스 라에비스가 될 것입니다.그것은 DED에 대한 유전적 저항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지만 트리테르펜인 알눌린을 합성하여 벡터 딱정벌레를 불쾌하게 만들고, 더 적절한 느릅나무에 대해 더 먼 곳을 바라보게 합니다.또 다른 이유는 딱정벌레가 실루엣을 깨지 않은 느릅나무들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느릅나무는 먹이를 먹을 때 거꾸로 매달리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감염을 피할 수 있습니다.

메커니즘

곰팡이가 더 이상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시도로, 나무는 자신의 목질 조직고무와 목질 세포벽의 방광과 같은 확장으로 막음으로써 반응합니다.목질(혈관 캠비움에서 생성된 두 가지 유형의 혈관 조직 중 하나, 다른 하나는 인두)이 식물의 나머지 부분에 물과 영양분을 전달하기 때문에, 이러한 플러그는 그들이 나무 줄기를 따라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과 영양분을 굶겨서, 결국 식물을 죽인다.

증상

감염의 첫 징후는 보통 나뭇잎이 시들기 시작하고 정상적인 가을 잎이 떨어지기 몇 달 전인 여름에 노란색으로 변하는 나무의 윗가지입니다.이는 나무의 나머지 부분까지 점차 확산되어 가지들이 더 많이 퇴보하게 됩니다.결국, 뿌리는 잎의 영양소에 굶주려 죽는다.종종, 모든 뿌리가 죽는 것은 아니다: 몇몇 종의 뿌리, 특히 영국의 느릅나무, 작은 울무스 '아티니아'는 약 15년 동안 번성하다가,[9] 그 후 그들 역시 굴복한다.

질병 범위

유럽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은 1910년 유럽 대륙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천천히 퍼졌고 결국 그리스와 [12]핀란드를 제외한 다른 모든 나라로 확대되었다.바렌디나 제라르다 스피렌버그는 네덜란드에서 1900년에서 1905년 이후 증상을 보이는 나무들에 대한 기록을 수집했고 1921년 그녀가[13] 이 정보를 출판한 것은 질병을 멈추기 위한 광범위한 연구와 실용적인 조치의 시작 중 하나였다.게다가, 이 병을 일으킨 곰팡이는 1921년 네덜란드의 선구적인 식물병리학자인 Bea Schwarz에 의해 네덜란드에서 분리되었고, 이 발견은 이 질병의 이름을 [14]얻게 될 것이다.그 후 1920년대와 30년대에 네덜란드와 미국에서 일하던 크리스틴 부이스만은 곰팡이 병원체의 성 단계를 확인하고 느릅나무 묘목의 실험 감염 방법을 개발하여 내성 [15]나무를 선택하게 되었다.

영국에서 이 병은 1927년 T R Peace에 의해 Hertfordshire의 [16]영국 느릅나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이 첫 번째 변종은 비교적 온화한 것으로, 느릅나무의 일부만을 죽였고, 종종 나뭇가지 몇 개를 죽였을 뿐이며, 바이러스에 취약했기 때문에 1940년까지 대부분 멸종했습니다.

워싱턴 D.C. 국립미술관 앤드류 W. 멜론 컬렉션 로어 마쉬 클로즈 1820년 솔즈베리 대성당

1967년경, 캐나다에서 소형 보트 산업으로 향하는 느릅나무 암반을 선적하는 동해안 항구를 통해 영국에 도착한 것으로 보이는 훨씬 더 치명적인 새로운 변종이 1973년 사우샘프턴 [16]부두에서 또 다른 화물이 검사되었을 때 확인되었다.이 변종은 유럽 느릅나무에 매우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프랑스는 [17]느릅나무의 97%를 잃은 반면, 영국에서만 2천 5백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죽었습니다.그 병은 북쪽으로 빠르게 퍼졌고, [16]10년 안에 스코틀랜드에 도달했다.

1990년까지 영국이나 유럽 대륙의 상당 부분에는 성숙한 느릅나무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가장 독특한 영국 시골 나무 중 하나인 영국 느릅나무 단조 '아티니아' 스콜리투스 딱정벌레가 가장 좋아하는 느릅나무이기 때문에 특히 민감하다.전염병이 발병한 지 30년이 지나자 45m 이상 높이까지 자라던 이 나무들은 거의 모두 사라졌다.뿌리가 죽지 않고 뿌리 을 자라게 하기 때문에 이 종은 여전히 울타리에서 생존한다. 어리버리들이러한 어리버리들은 곰팡이의 새로운 공격에 굴복하기 전에 키가 5m 이상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그러나 클리핑으로 낮게 유지된 확립된 헤지들은 영국에서 질병이 발병한 이후 거의 40년 동안 분명히 건전하게 유지되었다.

브라이튼 A27에 서명하세요

유럽에서 가장 많은 성숙한 느릅나무가 현재 암스테르담과 헤이그에 집중되어 있다.2005년에 암스테르담은 "유럽의 엘름 도시"로 선포되었습니다. 암스테르담의 거리와 운하는 여러 세대의 연구 느릅나무(아래 참조)를 포함하여 최소 75,000개의 느릅나무가 줄지어 있습니다.저항성 나무).[18][19]헤이그에 있는 10만 그루의 성숙한 나무 중 약 3만 그루가 느릅나무로, 짠 바닷바람에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심어져 있다.1990년대 이후, 가장 유명한 10,000 느릅나무와 위생 벌채의 항진균제 주입 프로그램은 헤이그에서 연간 느릅나무 손실을 7%에서 1% 미만으로 줄였다(아래 참조).그 손실은 병에 강한 [20]품종을 심음으로써 메워진다.영국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성숙한 느릅나무는 이스트 서섹스브라이튼과 호브에 있으며, 1983년[21] 30,000마리의 느릅나무 중 일부는 4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이들의 생존은 영국 해협사우스 다운스 사이의 고립된 지역, 그리고 질병의 [22]증상을 보이는 즉시 감염된 나무 부분을 확인하고 제거하려는 지방 당국의 노력 덕분이다.1988년 네덜란드 느릅나무병([23]지방당국)(개정) 명령에 따라 현지 당국은 감염된 나무나 목재의 파괴를 명령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는 그들이 직접 하고 있어 느릅나무병의 [24]매개체인 느릅나무껍질 딱정벌레 스콜리투스 스펜의 수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위생 벌목은 [25]또한 지금까지 아일랜드에서 250,000마리의 느릅나무 대부분을 보존하고 있는데, 평균 기온과 풍속은 날기 위해 최소 20도의 온도와 [26][27]초속 5미터 미만의 풍속이 필요한 딱정벌레의 활동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병든 느릅나무 벌채, 에든버러, 2011년 11월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성숙한 느릅나무가 밀집한 은 에딘버러로,[28] 1976년 35,000마리에서 2009년에는 5000마리 이상이 남아 있었다.시의회는 전체 느릅나무 수를 15,000마리(2016년)[29]로 보고 있다.에든버러의 레이스 링크스와 메도우에는 영국 공원 중 가장 높은 농도의 성숙한 느릅나무가 있습니다(2014년).위생 벌채 정책으로 [30]인해 그 도시의 손실이 연평균 1000건까지 유지되었다.느릅나무는 17세기부터 파리에서 가장 흔한 나무였다. 1970년대 이전에는 약 3만 그루의 오르메 파리지엔이 있었다.오늘날 도시에는 큰 길(Avenue d'Italie, Avenue de Choisy, Bouvled de Grenelle, Bouvard Garibaldi)의 예와 로랑제리 튤러리 정원과 생제르브 앞에 있는 다른 두 개의 매우 오래된 표본 등 오직 1000개의 성숙한 느릅나무만이 남아 있다. 파리현재 손실은 질병에 강한 품종, 특히 네덜란드-프랑스 연구 느릅나무인 '낭겐'(Lutéce)으로 메워지고 있다.루테티아[31]

북미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감염된 느릅나무 제거 식목가

DED는 1928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오하이오 가구 산업에서 베니어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통나무를 수송한 것으로 믿어진다.격리 및 위생 절차는 전쟁의 요구가 그들을 [32]줄이기 시작한 1941년까지 대부분의 사례를 대도시 뉴욕시에서 150마일 이내에 보관했다.질병은 뉴잉글랜드에서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의 "엘름 시티"에서 유명한 느릅나무들을 거의 완전히 파괴하고 1950년 디트로이트 [33]지역, 1960년 시카고 지역, 1970년 미니애폴리스에 도달시켰다.1930년 북미에서 약 7700만 마리의 느릅나무 중 75% 이상이 1989년까지 [34]손실되었습니다.

워싱턴 D.C. 내셔널 몰 링컨 메모리얼 리플렉션 풀장 남쪽에 늘어선 미국 느릅나무들(2006년 11월 11일)

이 질병은 1950년대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에 심어진 미국 느릅나무 줄에 처음 나타났고 1970년대에 최고조에 달했다.미국 국립공원관리국(NPS)은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해 위생, 가지치기, 살균제 주입, DED 내성 미국산 느릅나무 재배종(Ulmus Americana 재배종 참조)을 포함한 많은 방법을 사용했다.NPS는 이 질병의 지역 곤충 매개체인 작은 유럽 느릅나무껍질 딱정벌레(Scolytus multistriatus)를 포획하고 살충제를 살포함으로써 퇴치시켰다.그 결과, 몰과 그 주변 지역에 심어진 미국 느릅나무의 개체수는 80년 [35]이상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DED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캐나다 동부에 도달해 1967년 온타리오, 1975년 매니토바, 1981년 서스캐처원 으로 확산됐다.토론토에서는 느릅나무의 80%가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으로 사라졌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오타와, 몬트리올, 그리고 다른 도시에서 더 많은 나무들이 희생되었습니다.퀘벡시[36]1981년에 시작된 예방 프로그램 덕분에 아직도 약 21,000마리의 느릅나무가 있다.1998년 6월 앨버타 주 웨인라이트의 느릅나무가 병에 걸린 채 발견돼 즉시 [37]파괴됐지만 현재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에서 벗어난 곳은 앨버타와 브리티시컬럼비아뿐이다.DED의 존재는 이후 몇 년 동안 이 영역에서 모니터링되었지만 다시 확인되지 않았다.오늘날 [38]앨버타는 세계에서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의 영향을 받지 않는 느릅나무가 가장 많다.

앨버타주, 매니토바주, 서스캐처원주는 모두 나무딱정벌레가 [39][40][41]1년 중 가장 활동적인 시기인 느릅나무 가지치기(4월 발효, 9월 말, 7월 말, 8월 말)를 금지하고 있다.느릅나무 [41][42][43]장작을 사용, 보관, 판매, 운송하는 것도 불법이다.

북미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느릅나무 숲은 위니펙 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위니펙 시는 "유럽 느릅나무 도시"인 암스테르담의 최소 두 배인 200,000 느릅나무가 남아 있습니다.이 도시는 더스반 터프와 더치 트리그 [44][45]백신을 사용하여 이 질병과 공격적으로 싸우기 위해 연간 300만 달러를 지출하고 있다.

뉴질랜드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이 뉴질랜드에 퍼졌다.그것은 네이피어에서 발견되었고, 그곳에서 근절되었고 1989년 오클랜드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농림부는 국가 관리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했지만,[46] 우선 순위가 높은 해충에 더 많은 자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소되었다.2013년 7월 뉴질랜드, 특히 [47]오클랜드 남쪽 킹시트 병원 현장에서 대규모 발병 사건이 발생했다.오클랜드는 20,000마리의 [48]느릅나무가 있다.

예방적 치료

기계

병든 느릅나무가 벌목하기 전에 전파 속도를 늦춘다.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을 통제하기 위한 첫 번째 시도는 병든 목재를 제거하고 태우기 위한 가지치기였다.이 방법은 뉴욕주와 인근 지역에서 효과적이었지만, 그 비용 때문에 느릅나무가 가치 있는 명소로 여겨지는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비경제적이었습니다.

화학의

미국에서는 대서양 연안에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이 확산되자 느릅나무 곳곳에 뿌리는 DDT, 딜드린 살충제를 사용해 1년에 두 번 봄철과 여름에 저농도로 방제하는 데 방제가 집중됐다.초기 몇 년 동안, 관찰자들은 살충제가 미국 전역에[49] 질병의 확산을 지연시킨다고 생각했지만, 1947년 초에 많은 조류 종이 독이 든 무척추동물을 [49][50]섭취하여 대량으로 살처분되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1950년대에 살포된 지역에서, 지역 사람들은 아메리카 우드콕, 아메리카 로빈, 흰가슴 누트, 갈색 덩굴식물, 다양한 포에칠레 종과 같은 새들이 죽어가는 것을 목격했다.생물학자인 Rachel Carson은 결과적으로 위생 개선과 느릅나무 살포 반대 주장을 펼쳤는데, 그녀는 이것이 네덜란드 느릅나무 [51]질병에 대항하는 더 빠르고 더 나은 경험이 있는 지역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다.비록 Carson에 대한 현대의 비평가들은 새들의 죽음이 [52]토양에서의 수은 중독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었다고 주장했지만, 1962년 이후 느릅나무 껍질 딱정벌레에 대한 살포는 매우 빠르게 감소했고, 이러한 추세는 수년간의 [53]연구 후에 처음으로 위험한 부작용 없이 살균제의 도움을 받아 발견되었다.

1970년대에 도입된 Lignasan BLP(인산 카르벤다짐)는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최초의 살균제였다.이것은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여 나무 밑부분에 주입되어야 했고, 결코 특별히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그것은 여전히 "엘름 살균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아르보텍트(티아벤다졸 하이포스포인산염)는 몇 년 후 사용 가능해졌고, 효과가 입증되었다.Arbotect는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2년에서 3년마다 주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나무가 한번 감염되면 이 병은 근절될 수 없다.Arbotect는 인접한 느릅나무로부터의 뿌리 이식편 감염에 효과가 없다.수목 감염의 주요 형태인 딱정벌레 감염으로부터 3년간 99.5% 이상 효과가 있습니다.

아라모(프로피코나졸)는 최근 더 많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지만, 몇몇 대학 연구들은 그것이 주입되는 현재 계절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준다.알라모는 주로 참나무 시들음 치료에 추천된다.

멀티리아틴은 암컷 느릅나무껍질 딱정벌레에 의해 생성되는 페로몬으로 합성할 수 있다.그것은 곰팡이를 옮기는 수컷 딱정벌레를 잡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생물학적

네덜란드의 가로수와 공원 나무에서의 화학약품 사용 금지 때문에 암스테르담 대학은 1980년대 후반까지 생물학적 백신을 개발했다.Dutch Trig는 독성이 없으며 봄철 느릅나무에 주입된 병원성 기능을 상당 부분 상실한 균주의 포자 증류수에 부유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 변종은 느릅나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병원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믿어지며, 한 성장기 동안 DED로부터 그것을 보호합니다.이를 유도 [54]저항이라고 합니다.미국 느릅 나무와 재판, 덴버, 간수에 미국 느릅 나무와 6년짜리 실험에서 연간 네덜란드 elm 질병 손실은 1년에 1년 7%사이에서 0.4와 0.6%감소했다;성공했다[45] 크고 더 많은 신속한 감소에 발병률보다 해당 나무 공중 위생과 식물 빌eal관리 프로그램.[55]

예방 치료는 보통 나무가 특이한 상징적 가치를 가지고 있거나 풍경에서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만 정당화된다.

저항성 나무

캘리포니아 클레어몬트에 있는 스크립스 칼리지의 프린스턴 느릅나무 줄기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에[56] 내성이 있습니다.

저항성 품종과 품종을 선정하는 연구는 1928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고, 1937년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Ulmus america culturies 참조).네덜란드에서의 초기 노력에는 미국 마이너미국 글라브라의 교배가 포함되었지만, 후에 히말라야 또는 카슈미르 느릅나무 U. 왈리치아나를 항진균 유전자의 원천으로 포함시켰다.미국의 초기 노력은 시베리아 느릅나무 U. pumila와 미국산 붉은 느릅나무 U. 루브라를 교배시켜 내성을 가진 나무를 생산하는 것이었다.결과물은 미국 느릅나무의 전통적인 형태와 경관적 가치가 부족했다; 심어진 것은 거의 없었다.

2005년 미국 느릅나무 시험(National Elm Trial, USA)은 미국 전역의 재배지에 있는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10년간 평가를 시작했습니다.이 실험의 나무들은 전적으로 미국의 개발품들이었다. 유럽 재배품종들은 포함되지 않았다.최종 평가 결과에 따르면 미국 느릅나무(Ulmus america)가 선호하는 품종은 'New Harmony'와 'Princeton'이다.아시아 느릅나무가 선호하는 품종은 모튼 수목원 소개와 '뉴 호라이즌'[57]이다.

스웨덴의 최근 연구는 초기 플러싱 클론이 DED 민감성과 [58]감염 사이의 비동기 때문에 DED에 덜 취약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내병성 검사

느릅나무는 매년 생육이 최고조에 달한 5월 말에 균류 병원균을 접종해 내성을 테스트한다.테스트용으로 사육된 클론은 3~4세까지 성장합니다.유럽에서는 칼에 찔린 상처에 의해 접종이 캠비움으로 도입된다.하지만 네덜란드에서 개발된 이 방법은 미국에서 너무 심각하다고 여겨졌는데, 미국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유럽 고유의 더 큰 딱정벌레스콜리투스 스콜리투스보다 훨씬 덜 효과적인 질병 매개체가 바로 나무껍질 딱정벌레인 스콜리투스 멀티리아투스이다.USDA가 고안한 방법에 따르면 접종은 나무의 아래쪽 3분의 1에 있는 수피를 관통하는 지름 2mm의 구멍을 통해 캠비움으로 도입된다.이 방법은 나뭇가지에 구멍을 뚫어 나뭇가지에 먹이를 주는 딱정벌레에 의한 자연 감염을 시뮬레이션한 위스콘신 대학 팀에 의해 더욱 개선되었지만, 이 방법의 결과는 숙주의 유전적 저항을 과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그 결과, 온실 또는 맞춤형 식물 챔버 중 하나에서 통제된 환경에서 표본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여 질병의 내부 및 외부 증상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용이하게 했다.

또 다른 변수는 접종자의 구성입니다. 10 포자 / ml의 접종6 강도가 두 대륙에서 표준이지만, 그 구성은 두 대륙에 고유한 다른 오피오스토마 종, 아종 및 잡종을 반영합니다.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는 아메리카나, 노보울미라는 두 아종이 잡종과 함께 존재하지만, 북미에서는 ssp. novo-ulmi가 [59]알려져 있지 않다.미국에서 높은 내성을 보이는 미국산 품종 '프린스턴'[60]이 유럽에서 느릅나무병에 자주 걸린 것은 방법과 접종 방법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

잡종 품종

1984년 바게닝겐, 도르쉬캄프 임경계획연구소 느릅나무에서 독성이 있는 오피오스토마균주 접종

병내성 품종 잡종을 번식시키려는 많은 시도는 보통 이 곰팡이병에 대한 뚜렷한 내성을 가진 아시아 느릅나무 종들의 유전적 기여를 포함하고 있다.초기 작업의 대부분은 네덜란드에서 이루어졌다.네덜란드 연구 프로그램은 1928년에 시작되어 64년 후인 1992년에 종료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1000개 이상의 품종이 사육되고 평가되었습니다.비록 이 나무들의 저항력이 충분히 높지 않지만, '그로네벨드', '로벨', '도뎅', '클루시우스', '플랜틴'과 같은 품종들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이 프로그램은 세 가지 주요 성공을 거두었다: '콜루멜라', '난구엔' 루테체, 그리고 '와누' [61]바다는 모두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균을 접종했을 때 질병에 대해 극도로 높은 내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1987년 네덜란드 프로그램 생전에 '콜루멜라'만이 출시되었고, 루테스베다 복제에 대한 특허는 프랑스 국립 레체 아그로노미크(INRA)에 의해 구입되어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파리 부아빈센에서 20년간의 현장 시험을 거친 후, 2006년에 상거래를 개시했다.외부로

미국의 DED 연구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아시아 종으로는 시베리아 느릅나무, 일본 느릅나무 다비디아나 자포니카, 중국 느릅나무 파비폴리아 등이 있으며, 이는 DED뿐만 아니라 혹한의 겨울에도 견디는 잡종 품종 수십 종을 낳았다.북미와 유럽에서 가장 널리 심어져 있는 것은 '삿포로 가을', '호라이즌', '레보나'입니다.'레갈'과 '피오니어'와 같은 일부 잡종 품종은 네덜란드와 미국의 연구 결과물이다.미끄럽거나 붉은 느릅나무 루브라를 사용한 교배 실험으로 1940년대와 50년대에 '쿨쉐이드'와 '로즈힐'이 출시되었습니다; 이 종은 1993년에 특허를 받은 '레푸라'와 '레베라'의 암컷 모체로 교배된 마지막 종이지만, 아직 상업에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플로렌스의 Istituto per la Protezione delle Piante에서 초기 네덜란드 잡종 'Plantyn'과 교배된 다양한 아시아 종을 사용하여 [62]따뜻한 지중해 기후에 적응한 다양한 질병 내성 나무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2003년 내성이 매우 높은 나무 '산 자노비'와 '플리니오'[63]가 출시됐으며, '아르노'와 '피오렌테'는 2006년 특허를 취득해 2012년 상용화됐다.네 마리 모두 질병 저항성, 가뭄 내성 유전자의 근원인 시베리아 느릅나무 U. 푸밀라를 부모로 하고 있다.'모페오'는 2011년에 출시되었는데, 네덜란드 잡종 클론 '405'(여성 부모)와 중국 동부 안후이성과 장쑤성의 작은 나무인 천모우 엘름(Chenmou Elm)이 교배하면서 생겨났다.

네덜란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Dorschkamp 연구소의 오래된 검증 근거에 따르면, DED가 밀집된 지역에서 10대의 4세대 하이브리드가 생존하고 있습니다.테스트 완료 후 내성이 매우 높은 것도 있습니다.누드플랜트 어린이집에서는 2013년부터 새로운 하이브리드가 테스트되고 있습니다.

종 및 종 품종

북미

1987년 위스콘신주 알링턴 실험장 느릅나무의 오피오스토마주 인공접종 결과

북미에서는 10종의 내성 미국산 느릅나무 품종이 현재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어떤 품종도 DED에 면역이 되지 않는다.고내성 품종도 감염될 수 있다.특히 가뭄이나 질병 유병률이 높은 다른 환경조건에 의해 이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경우.Princeton'을 제외하고는 나무가 아직 다 자라지 않았다; 나무는 60살이 될 때까지 성숙했다고 말할 수 없다.

주목할 만한 품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린스턴'은 1922년 프린스턴 누르시리즈가 경관적 가치를 인정해 선정한 품종이다.공교롭게도 이 품종은 1990년대 초 USDA가 실시한 접종 연구에서 내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1920년대에 심어진 나무들이 여전히 생존하고 있기 때문에, 성숙한 식물의 특성은 잘 알려져 있다.하지만, '프린스턴'은 유럽에서는 내성이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유럽에서는 이 질병의 주요 매개체인 더 큰 느릅나무 껍질 딱정벌레인 스콜리투스 스콜리투스가 나무에 훨씬 더 많은 곰팡이 포자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60] 2006년 영국 남서부하이그로브 하우스에 심어진 50그루 중 많은 수가 2011년까지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으로 죽었습니다.
  • 사실 '아메리칸 리버티'는 1970년대부터 여러 세대에 걸쳐 선택을 통해 생산된 중간에서 높은 저항력의 6개 품종 세트이다.'American Liberty'는 단일 품종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Liberty Elm'을 판매하는 육아소는 실제로 6개의 품종을 무작위로 분포시키고 있기 때문에, 불행하게도, 어떤 특정한 나무의 저항도 알 수 없다.품종 중 하나인 '인디펜던스'는 특허(U.S. Plant 특허 6227)에 의해 보호된다.가장 오래된 'American Liberty' 느릅나무는 1980년경에 심어졌다.
  • 1995년에 출시된 '밸리 포즈'는 통제된 USDA 테스트에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에 대한 모든 복제품 중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
  • 루이스 앤 클라크=2004년 루이스 앤 클라크 탐험대 200주년을 기념해 출시된 프레리 탐험대 TM은 노스다코타에서 발견된 나무에서 복제됐다.

2007년 캐나다 온타리오 구엘프 대학 수목원의 느릅나무 회복 프로젝트는 온타리오 전역에서 조사된 건강하게 생존한 오래된 느릅나무의 꺾꽂이가 내성이 높은 품종의 [64]선별적인 번식을 위해 격리된 내성이 있는 나무 둑을 만들기 위해 재배되었다고 보고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는 "The St."로 알려진 100년 된 거대한 생존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느릅나무들을 시험하고 있다. 미니애폴리스 세인트루이스에 위치한 "Croix Elm"입니다.폴, 세인트루이스 교외(애프턴)의Croix River 계곡 - 지정된 국립 경치 강 도로입니다.

미끄럽거나 붉은 느릅나무 미국 루브라는 다른 미국 종들보다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에 걸리기 조금 덜 걸렸지만, 이 품질은 미국 연구에서 대부분 무시된 것으로 보인다.교배 실험에 사용되었지만 품종은 선정되지 않았다(위 참조).

1993년 마리암 B.Sticklen과 James L.쉐럴드는 미국 느릅나무의 [65]DED 내성 변종 개발에 유전자 공학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이스트랜싱에 있는 미시간 주립대에서 실시된 NPS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2007년, 시러큐스 소재 뉴욕주립대 환경과학 및 임대의 AE Newhouse와 F Schrodt는 젊은 유전자 변형 미국 느릅나무가 DED 증상을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균근 [66]집락을 보였다고 보고했다.2013년까지 뉴욕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 연구진은 유전자 조작 DED 내성 미국 [67]느릅나무의 현장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유럽

유럽종 중에는 DED에 대한 타고난 저항력이 거의 없지만 벡터 나무껍질 딱정벌레에 의해 기피되고 감염되는 유럽흰 느릅나무의 독특한 예가 있다.최근의 연구는 트리터펜스테롤과 같은 특정 유기 화합물의 존재가 이 [68]병을 퍼뜨리는 딱정벌레 종에게 나무껍질을 매력적이지 않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유럽에서는 1990년대부터 국립연구기관에 의해 자연적 내성을 위해 생존한 들 느릅나무 복제 테스트가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중앙에서 평가 및 [69]발표되었다.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첫 번째 결과에 따르면 일부 국가에서는 극소수의 토종 느릅나무 유전자형이 상대적으로 DED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예를 들어 스페인에서는 2013년까지 평가된 약 5,000마리의 느릅나무 중 약 25개 유전자형(테스트 대상 중 0.5%)이 이 범주에 속하며, 이제 이들 중 상위 7개(유전자 및 미학)의 교배를 통해 효과적인 '현장 저항'을 가진 Ulmus 마이너 하이브리드가 생산되어 시장에 [70]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그리스의 [71]느릅나무 생존에 대한 재판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영국

영국에서 대부분의 작업은 산림위원회의 연구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산림위원회는 1920년대부터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을 의제로 삼고 있다.1994년에 존 깁스, 클라이브 브래지어, 조앤 웨버가 쓴 연구 정보 노트(no 252)가 발행되었고, 2010년에는 병리학 조언 노트와 더불어 더 많은 학술 논문의 흐름을 통해 주목할 만한 결과는 스코틀랜드에서 질병의 진행이 상당히 느리다는 관찰과 유전자가 되었다.c 엔지니어링은 영국 느릅나무의 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영국의 자연보호재단은 느릅나무(그러나 매우 민감한 영국 느릅나무는 아니다)를 도시와 [72][73]시골로 되돌리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생존한 토착 느릅나무의 복제품을 전파, 배포, 심었다.재단은 두 가지 느릅나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레이트 브리티시 느릅나무 실험'과 런던 느릅나무 프로그램인 '울무스 론디늄' - 이것들은 영국 시골에서 자라는 성숙한 부모 느릅나무로부터 마이크로프로파게이션을 통해 재배된 묘목을 사용한다: 부모 나무는 질병이 있는지 감시되고 있으며, 묘목은 학교와 커뮤니티에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재단의 온라인 느릅나무 지도에서 나무의 진행 상황을 감시하도록 요구받은 니티 그룹.런던에서는 왜 느릅나무가 살아남았는지, 다른 느릅나무는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에 걸려 죽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묘목을 제공받았다.두 프로젝트 모두 중단되었습니다.스코틀랜드에 대한 DED의 확산은 감염성이 높은 지역에 생존하는 소수의 Wych Elms U. Glabra에 관심을 집중시켰고, 에든버러 왕립 식물원은 선천적인 내성을 결정하기 위해 나무의 복제와 균류 접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2010년).[74]

2001-2004년 스코틀랜드 던디 애버테이 대학의 실험에서 영국의 느릅나무 미국 단조 [75][76]'아티니아'는 DNA 코팅된 미세한 볼 베어링을 사용하여 항진균 유전자를 느릅나무 게놈으로 옮겨 질병에 저항하도록 유전공학적으로 조작되었다.그러나 GM 개발에 대한 적대감 때문에 나무를 시골로 내보낼 계획은 없다.

스페인

스페인에서는 임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질병 내성 느릅나무 발견을 담당한 스페인 국립대학교(Universidad Politecnica de Madrid)의 Superior de Ingenieros de Montes가 7개의 품종인 Elm Ulmus minor를 기르고 특허를 취득했습니다.다만, 그 후, 2종에서 시베리안 느릅나무의 DNA가 도입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6세기상업화(2020년)된 적은 없지만 순수 미국 마이너 클론 '아데무즈'는 2014년부터 영국에 수입돼 널리 재배되고 있다.

이전 발생 가능성

느릅나무의 쇠퇴

화석 꽃가루를 이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선사시대의 풍부한 나무였던 느릅나무가 기원전 4000년경 홀로센 중기에 북서유럽에서 거의 사라졌고, 기원전 1000년경에는 더 적은 규모로 사라진 것이 명백하다.대략적으로 동기화되고 널리 퍼진 이 사건은 '엘름 쇠퇴'로 알려지게 되었다.20세기 중반에 처음 발견되었을 때, 이 감소는 신석기시대 농부들에 의한 산림 개간과 동물 사료에 대한 느릅나무 구이의 영향에서 기인했지만, 정착민 수는 많지 않았을 것이다.최근 DED에 의해 야기된 파괴는 대체적인 설명을 제공해 왔다.질병과 관련된 변화의 징후를 보이는 느릅나무 밑의 검사에서 DED의 한 형태가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습니다.이 시기의 느릅나무 껍질 딱정벌레 화석들이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오늘의 컨센서스는 느릅나무 감소가 아마도 두 [77][78]가지 요인에 의해 추진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역사 시대

다른 곰팡이에 의해 야기된, 덜 파괴적인 형태의 질병이 북서유럽에서 한동안 존재했을 수도 있다.캠브리지 대학의 올리버 랙햄 박사는 북서유럽에서 느릅나무 질병이 발생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연륜의 징후[감염된 느릅나무의 연간 고리에 검은 얼룩이 있는 참조]는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이 1867년에 확실히 존재했음을 확인시켜준다"고 질병과 dy에 대한 현대의 설명을 인용하면서 썼다.느릅나무, 1883년 리처드 제퍼리의 책, 런던 근교의 자연:

느릅나무에 뭔가 문제가 있다.올 여름 초엽, 잎이 제법 떨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아, 여기저기서 마치 빨갛게 달궈진 쇠를 만지고 불에 탄 것처럼 나뭇가지가 나타나 모든 잎이 시들고 갈색으로 변했습니다.처음에 한 그루의 나무가 영향을 받았고, 그 다음에 세 번째 나무가 들판을 둘러보니 네댓 그루의 나무가 모두 불에 탄 것 같았다.[...] 이 말을 듣고 나는 그것이 100마일 떨어진 느릅나무 길과 무리 속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지역 환경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앞서, 랙햄은 "스콜리투스 파괴자라는 이름은 1780년경부터 옥스퍼드 [79]주변의 느릅나무를 파괴하고 있다는 증거로 이 큰 나무껍질 딱정벌레에게 주어졌습니다."라고 언급했다.

벨기에에서는 느릅나무가 1836년과 1896년 브뤼셀에서, 1885년과 1886년 겐트에서 죽었다.이후 발병에서는 느릅나무껍질 [80]딱정벌레의 소행으로 생각되었다.

"수천 년 동안 느릅나무는 네덜란드 느릅나무과의 [81]자연적 균형을 이루며 번성했으며, 때때로 감염되는 네덜란드 느릅나무병과 싸워왔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1658년에 쓴 토마스 브라운 경은 "사이러스정원"에서 영국의 울타리를 통해 퍼지고 있는 느릅나무 병을 지적하고 [82]DED를 연상시키는 증상을 묘사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Schwarz, M.B. (1922). "Das Zweigsterben der Ulmen, Trauerweiden und Pfirsichbaume". Mededelingen Phytopathologisch Laboratorium, Willie Commelin Scholten. 5: 1–73.
  2. ^ Buisman, C. (1928). "De oorzaak van de iepenziekte". Tijdschr Ned Heidemaatsch. 40: 338–345.
  3. ^ "Dutch elm disease in Britain". UK Forestry Commis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8. Retrieved 6 June 2007.
  4. ^ Dutch Elm Disease. Plant Sciences. Macmillan Science Library.
  5. ^ Smalley, EB (1963). "Seasonal fluctuations in susceptibility of young elm seedlings to Dutch elm disease". Phytopathology. 53 (7): 846–853.
  6. ^ 자낭균: 육식동물문, 식물생물학, 제7판, W. H. Freeman and Company, 2005.
  7. ^ Clinton, G. P., McCormick, Florence A., 네덜란드 느릅나무병 Graphium ulmi; New Haven, 1936
  8. ^ M.D., C.M.; Mehrotra, M.D. (1995). "Ophiostoma himal-ulmi sp. nov., a new species of Dutch elm disease fungus endemic to the Himalayas". Mycological Research. 99 (2): 205–215. doi:10.1016/S0953-7562(09)80887-3. ISSN 0953-7562.
  9. ^ a b Spooner, Brian; Roberts, Peter (2010) [2005]. Fungi. Collins New Naturalist Library. Vol. 96. HarperCollins. p. 235. ISBN 978-0-00-740605-0.
  10. ^ 존슨, O. (2011년)영국과 아일랜드의 챔피언 트리.왕립 식물원, 큐ISBN 978-1842464526
  11. ^ Ижевский, С.С.; Никитский, Н.Б.; Волков, О.Г.; Долгин, М.М (2005). Иллюстрированный справочник. жуков-ксилофагов – вредителей леса 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PDF). Тула: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Уральское отделение, Коми научный центр, Институт биологии. (Izhevsky, SS; et al. (2005). "An illustrated guide to the xylophagous beetles injuring forests and timber in the Russian Federation". Russian Academy of Sciences, Ural Branch, Komi Science Center, Institute of Biology. Tula). p. 165.
  12. ^ 클로스톤, B. 스탠스필드, K. ed., After the Elm (런던, 1979년)
  13. ^ Spierenburg, Barendina (1921). "Een onbekende ziekte in de iepen (An unknown disease in elms)".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27 (5).
  14. ^ Holmes, Francis W.; Heybroek, H.M. (1990). Dutch elm disease: the early papers : selected works of seven Dutch women phytopathologists. APS Press. ISBN 978-0-89054-110-4.
  15. ^ 헤이브로크, H.M., Nijboer, R. (2013).크리스틴 요한나 부이스만(이탈리아), 4~6쪽. 네덜란드 민간 출판물.
  16. ^ a b c Harris, E. (2017년)유럽 느릅나무 울무스 라에비스 팔.임업계간지 제111권, 제4호, 2017년 10월, 페이지 263.왕립 임업 협회
  17. ^ "Lutèce®, a resistant variety brings elms back to Paris". All The News. Nantes, France: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INRA). 15 April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06.
  18. ^ "Amsterdam, City of Trees". DutchAmsterdam. 18 May 2011.
  19. ^ Amsterdamse Bomem 2011-07-24 Wayback Machine 아카이브 완료
  20. ^ "The City and its elm population". The Hague in the Netherlands. DutchTri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3.
  21. ^ 유럽 느릅나무병 연구, ed.D. A. Burdekin (런던, 1983년)
  22. ^ 브라이튼과 호브 시의회 페이지 느릅나무 컬렉션 Wayback Machine에서 2011-06-14 아카이브(2010년 6월 2일 참조)
  23. ^ "Dutch Elm Disease (DED)". Environment and Planning: Land and premises: Conservation: Trees & landscapes. Lewes District Council.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ly 2009.
  24. ^ Gupta, Tanya (11 November 2005). "How Brighton beat Dutch Elm menace". BBC News, South East.
  25. ^ 맨섬 느릅나무, geocomputation.org
  26. ^ Coleman, M.; A’Hara, S.W.; Tomlinson, P.R.; Davey, P.J. (2016). "Elm clone identification and the conundrum of the slow spread of Dutch Elm Disease on the Isle of Man". New Journal of Botany. 6 (2–3): 79–89. doi:10.1080/20423489.2016.1271612. S2CID 90001207.
  27. ^ prolandscapermagazine.com 2017년 2월 24일
  28. ^ Coleman, Max, Ed., Wych Elm (Edinburg 2009)
  29. ^ edinburgh.gov.uk/info/20064/parks_and_green_spaces/256/trees_and_woodlands
  30. ^ Coleman, Max (2009). Wych Elm. Royal Botanic Gardens Edinburgh. p. 47. ISBN 978-1-906129-21-7.
  31. ^ Ulmus 'Nanguen' www.foretpriveefrancaise.com [http://www.foretpriveefrancaise.com/data/info/127219-P.pdf : //www.foretpriveefrancaise.com/data/info/127219-P.pdf 2015년 9월 24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32. ^ 인생, 1944년 9월 11일, 58페이지
  33. ^ Baulch, Vivian (20 December 2001). "How Detroit lost its stately elms". Detroit News.
  34. ^ 뉴욕타임스, 1989년 12월 5일, nytimes.com nytimes.com =
  35. ^ Sherald, James L (December 2009). Elms for the Monumental Core: History and Management Plan (PDF). Washington, D.C.: Center for Urban Ecology, National Capital Region, National Park Service. Natural Resource Report NPS/NCR/NRR--2009/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9 November 2010. Retrieved 14 October 2010.
  36. ^ Beaucher, Serge (Autumn 2009). "Québec, terre des ormes". Contact (in French). Laval University. 28 (1).
  37. ^ CFIA 연간 해충 조사 보고서. 1999년 캐나다의 식물 검역 해충 및 질병 상황 요약(캐나다 식품 검사청에서 요청 시 이용 가능: http://publications.gc.ca/site/eng/9.831610/publication.html)
  38. ^ "Dutch Elm Disease". Alberta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18. Retrieved 14 December 2014.
  39. ^ "Hydro contractors snubbing Winnipeg elm-pruning ban, group suspects". CBC News. 26 July 2017. Retrieved 26 July 2019.
  40. ^ Agriculture, Alberta; Forestry (11 April 2018). "Elm pruning ban now in place". Alberta Farmer Express. Retrieved 26 July 2019.
  41. ^ a b "Pruning ban on elm trees starts April 1". CTV News Regina. 25 March 2019. Retrieved 26 July 2019.
  42. ^ Semeschuk, Darci. "Majestic Elms marked for removal". Souris Plaindealer. Retrieved 26 July 2019.
  43. ^ Release, Stopded (14 November 2016). "Elm pruning ban over until March". Alberta Farmer Express. Retrieved 26 July 2019.
  44. ^ "Elm Bark Beetle Control Program" (PDF). City of Winnipeg. 2009.[영구 데드링크]
  45. ^ a b Rumbolt, Colin (17 November 2009). "Dutch elm vaccine tested in Winnipeg". the Manitoban.
  46. ^ "Dutch Elm Disease". Biosecurity New Zealand. 26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2. Retrieved 1 October 2012.
  47. ^ "Elm disease strikes out south". Manukau Courier. Fairfax NZ News. 18 August 2013.
  48. ^ 오클랜드 느릅나무, bts.nzpcn.org.nz/bts_pdf/ABJ58(1)2003-38-45-Elms.pdf
  49. ^ a b Benton, Allen H. (January 1951). "Effects on Wildlife of DDT Used for Control of Dutch Elm Disease".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15 (1): 20–7. doi:10.2307/3796765. JSTOR 3796765.
  50. ^ Dempsey, Dave (2001). Ruin & Recovery: Michigan's Rise as a Conservation Lead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 126. ISBN 978-0-472-06779-4.
  51. ^ Carson, Rachel (2002). Silent Spring. pp. 105–115. ISBN 978-0-618-24906-0.
  52. ^ Berlau, John (2006). Eco-Freaks: why Environmentalism Is Hazardous to Your Health. p. 33. ISBN 1-59555-067-4.
  53. ^ "New Fungicide Fights Dutch Elm Disease". Chem. Eng. News. 42 (37): 29–31. 1964. doi:10.1021/cen-v042n037.p029.
  54. ^ Dutch Trig®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2010-11-17 정보
  5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13. Retrieved 5 August 2013.{{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56. ^ "Elm Tree Lawn Begins New Life". Scripps College News. Scripps College. 14 April 2008. Retrieved 18 February 2021.
  57. ^ (1).
    (2)그리핀, 제이슨 J., 야코비, E, 윌리엄 R., 맥퍼슨, 그레고리, Sadof, CliffordS.;(알.(2017년)."Ten-Year 성능 미국 국립 엘름 재판의"(PDF).Arboriculture &, 도시 산림.국제 사회 Arboriculture.43(3):107–120. doi:10.17660/ActaHortic.2018.1191.5.ISSN 0567-7572.OCLC 7347020445.2월 7일, 2021년까지 Retrieved.등급에 따르면, 미국 느릅 나무를 우선적 cultivars과 'Princeton'그리고 아시아의 느릅 나무를 우선적 cultivars는 모턴 수목원 소개와 'New Horizon'‘뉴 하모니’ 있었다.
  58. ^ Ghelardini, L. (2007) 버드 버스트 페놀로지, 휴면기 방출 및 느릅나무 질환에 대한 민감성(Ulmus spp).박사논문 제2007호:134호스웨덴 웁살라, 스웨덴 농업과학대학교 천연자원 및 농업서비스학부
  59. ^ Mittempergher, L; Santini, A (2004). "The history of elm breeding" (PDF). Investigacion Agraria: Sistemas y Recursos Forestales. 13 (1): 161–177.
  60. ^ a b Brookes, A.H. (2013). "Disease-resistant elm cultivars, Butterfly Conservation trials report, 3rd revision" (PDF). Lulworth UK: Butterfly Conserv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9 May 2014.
  61. ^ 국립 레체르체 아그로노미크 연구소내성 품종인 루테스가 느릅나무를 파리 [1], 프랑스 파리
  62. ^ Santini, A.; Fagnani, A.; Ferrini, F.; Mittempergher, L.; Brunetti, M.; Crivellaro, A.; Macchioni, N. (2004). "Elm breeding for DED resistance, the Italian clones and their wood properties" (PDF). Invest Agrar: Sist Recur for. 13 (1): 179–1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October 2007.
  63. ^ Santini, A.; Fagnani, A.; Ferrini, F.; Mittempergher, L. (2002). "San Zanobi and Plinio elm trees". HortScienc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7 (7): 1139–41. doi:10.21273/HORTSCI.37.7.1139.
  64. ^ "Elm Recovery Project". Guelph, Ontario, Canada: University of Guelph Arboret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9. Retrieved 22 November 2019.
  65. ^ Sticklen, Mariam B.; Sherald, James L. (1993). Chapter 13: Strategies for the Production of Disease-Resistant Elms. Mariam B.; Sherald, James L. (eds.). Dutch Elm Disease Research: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es. New York: Springer-Verlag. pp. 171–183. ISBN 9781461568728. LCCN 93017484. OCLC 851736058. Retrieved 22 November 2019 – via Google Books.
  66. ^ Newhouse, AE; Schrodt, F; Liang, H; Maynard, CA; Powell, WA (2007). "Transgenic American elm shows reduced Dutch elm disease symptoms and normal mycorrhizal colonization". Plant Cell Rep. 26 (7): 977–987. doi:10.1007/s00299-007-0313-z. PMID 17310333. S2CID 21780088.
  67. ^ "Appendix Two: Current Genetically Engineered Tree Field Trials in the US" (PDF). Genetically Engineered Trees: The New Frontier of Biotechnology. Washington, D.C.: Center for Food Safety. November 201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9. Retrieved 22 November 2019.
  68. ^ Martín-Benito, D.; García-Vallejo, M.; Pajares, J.; López, D. (2005). "Triterpenes in elms in Spain" (PDF). Can. J. For. Res. 35: 199–205. doi:10.1139/x04-15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June 2007.
  69. ^ '오피오스토마 novo-ulmi'에 대한 내성을 위한 유럽 느릅나무 선별 (2005년 산림과학) [2]
  70. ^ '스페인 클론'(2013년 10월) resistantelms.co.uk
  71. ^ 【O】【μ】【α】【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디아만티스 & H. Perlerou) [3]
  72. ^ ""Super tree" from Northamptonshire helping to fight Dutch Elm Disease and repopulate woodlands". northamptonchron.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73. ^ "'Young elms return to London', conservationfoundation.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13. Retrieved 16 November 2013.
  74. ^ 콜맨 2009
  75. ^ '최초 유전자 조작 네덜란드 느릅나무 재배', unisci.com
  76. ^ resistantelms.co.uk, FAQ '질병관리'
  77. ^ Coleman 2009, 페이지 17
  78. ^ "The mid-Holocene Ulmus decline: a new way to evaluate the pathogen hypothe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11. Retrieved 4 November 2011.
  79. ^ 올리버 랙햄, 시골의 역사 (런던 1986), 페이지 242~243, 232
  80. ^ Meulemans, M.; Parmentier, C. (1983). Burdekin, D.A. (ed.). "Studies on Ceratocystis ulmi in Belgium" (PDF). Forestry Commission Bulletin (Research on Dutch Elm Disease in Europe). London: HMSO (60): 86–95.
  81. ^ Vaclav Vetvichka, 교목 및 관목 (런던 1985)
  82. ^ Oliver Rackham, The History of the Countryside (런던 1986), 페이지 242-3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