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라나아제
Xylanase엔도-1,4-β-자일라나아제 | |||||||||
---|---|---|---|---|---|---|---|---|---|
식별자 | |||||||||
EC 번호 | 3.2.1.8 | ||||||||
CAS 번호 | 9025-57-4 | ||||||||
데이터베이스 | |||||||||
인텐츠 | IntEnz 뷰 | ||||||||
브렌다 | 브렌다 엔트리 | ||||||||
ExPASy | NiceZyme 뷰 | ||||||||
케그 | KEGG 엔트리 | ||||||||
메타사이크 | 대사 경로 | ||||||||
프라이머리 | 프로필 | ||||||||
PDB 구조 | RCSB PDB PDBe PDBum | ||||||||
진 온톨로지 | AmiGO / QuickGO | ||||||||
|
자일라나아제(EC 3.2.1.8)는 선형 다당류 자일란을 자일로스로 [1]분해하여 식물 세포벽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헤미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식물 물질을 사용 가능한 영양소로 분해하기 위해 식물원에서 미생물이 번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자일라나아제는 곰팡이, 박테리아, 효모, 해조류, 원생동물, 달팽이, 갑각류, 곤충, 씨앗 등에 의해 생성되지만 포유류는 자일라나아제를 생성하지 않습니다.[2]그러나 자일라나아제의 주요 상업적 공급원은 필라멘트 [2]균류이다.
자일라나아제의 상업적인 용도에는 제지 공정 전 목재 펄프의 무염소 표백 및 사일라지의 소화성 향상(이 경우 발효 퇴비화에도 [3]사용됨)이 포함된다.
펄프 및 제지 산업에서의 사용과는 별도로, 자일라나아제는 가금류에 대한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된다. 밀가루는 반죽 처리 및 구운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1], 커피, 식물성 기름 및 전분의 추출을 위해, 농업 사일라지 및 곡물 사료의 영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리고 펙트와 함께 사용된다.아마, 마, 황마 및 모시와 같은 식물 섬유원의 탈지 및 과일 주스의 명확화를 위한 이나아제 및 셀룰라아제.자일라나아제 효소의 미생물 공급원에서의 선별에서부터 생산 방법, 특성화, 정제 및 상업 [1][2][4][5][6][7][8][9][10][11][12]분야에서의 응용에 이르기까지 생명 공학에서의 주요 특징에 관한 많은 과학 문헌이 있다.
또한 Puratos [nl[13]에서 제조한 반죽 컨디셔너 s500 및 us500의 주요 성분이다.이 효소들은 반죽의 가공성과 물의 [13]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미래에는 자일라나제를 사용할 수 없는 식물성 [14]물질로부터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동의어
엔도-(1->4)-베타-자일란 4-자일라노히드로라아제, 엔도-1, 4-자일라나아제, 베타-1, 4-자일라나아제, 엔도-1, 4-베타-자일라나아제, 1, 4-베타-자일라노히드로라아제
레퍼런스
- ^ a b Beg QK, Kapoor M, Mahajan L, Hoondal GS (August 2001). "Microbial xylanase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a review".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56 (3–4): 326–38. doi:10.1007/s002530100704. PMID 11548999. S2CID 21581967.
- ^ a b c Polizeli ML, Rizzatti AC, Monti R, Terenzi HF, Jorge JA, Amorim DS (June 2005). "Xylanases from fungi: propert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7 (5): 577–91. doi:10.1007/s00253-005-1904-7. PMID 15944805. S2CID 22956.
- ^ 굴자르, 트리코데르마 롱기브라치툼에서 자일라나아제 생산 및 부분 정제.생명공학 및 신경과학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발표되었습니다.CUSAT, 2004.P33[verification needed]
- ^ Subramaniyan S, Prema P (2002). "Biotechnology of microbial xylanases: enzymology, molecular biology, and application".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logy. 22 (1): 33–64. doi:10.1080/07388550290789450. PMID 11958335. S2CID 13386317.
- ^ Kulkarni N, Shendye A, Rao M (July 1999). "Molecular and biotechnological aspects of xylanases". FEMS Microbiology Reviews. 23 (4): 411–56. doi:10.1111/j.1574-6976.1999.tb00407.x. PMID 10422261.
- ^ Ahmed S, Riaz S, Jamil A (August 2009). "Molecular cloning of fungal xylanases: an overview".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4 (1): 19–35. doi:10.1007/s00253-009-2079-4. PMID 19568746. S2CID 8548871.
- ^ Sá-Pereira P, Paveia H, Costa-Ferreira M, Aires-Barros M (July 2003). "A new look at xylanases: an overview of purification strategies". Molecular Biotechnology. 24 (3): 257–81. doi:10.1385/MB:24:3:257. PMID 12777693. S2CID 34083448.
- ^ Alves-Prado HF, Pavezzi FC, Leite RS, de Oliveira VM, Sette LD, Dasilva R (May 2010). "Screening and production study of microbial xylanase producers from Brazilian Cerrado". Applie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161 (1–8): 333–46. doi:10.1007/s12010-009-8823-5. PMID 19898784. S2CID 8378197.
- ^ Prade RA (1996). "Xylanases: from biology to biotechnology". Biotechnology & Genetic Engineering Reviews. 13: 101–31. doi:10.1016/S0140-6701(97)80292-5. PMID 8948110.
- ^ Sunna A, Antranikian G (1997). "Xylanolytic enzymes from fungi and bacteria".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logy. 17 (1): 39–67. doi:10.3109/07388559709146606. PMID 9118232.
- ^ Chávez R, Bull P, Eyzaguirre J (June 2006). "The xylanolytic enzyme system from the genus Penicillium". Journal of Biotechnology. 123 (4): 413–33. doi:10.1016/j.jbiotec.2005.12.036. hdl:10533/177866. PMID 16569456.
- ^ Geiser E, Wierckx N, Zimmermann M, Blank LM (July 2013). "Identification of an endo-1,4-beta-xylanase of Ustilago maydis". BMC Biotechnology. 13: 59. doi:10.1186/1472-6750-13-59. PMC 3737115. PMID 23889751.
- ^ a b "- Enzy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9, 2006. Retrieved March 29, 2006.[인용필수]
- ^ Lee CC, Wong DW, Robertson GH (January 2005).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xyn11A gene from Lentinula edodes". The Protein Journal. 24 (1): 21–6. doi:10.1007/s10930-004-0602-0. PMID 15756814. S2CID 5823517.
- Marcia Wood (November 29, 2005). "Shiitake Mushrooms' Secret May Benefit Earth-Friendly Fuel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추가 정보
- Dashek WV (1997). "Xylanase".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CRC Press. pp. 313–5. ISBN 0-8493-9480-5.
Xylans can by hydrolyzed by β-xylanase
- 리스크 평가 요약, CEPA 1999.트리코데르마 리세이 1391A.
- 리스크 평가 요약, CEPA 1999.트리코데르마 리세이 P345A.
- 리스크 평가 요약, CEPA 1999.트리코데르마 리세이 P210A.
- 리스크 평가 요약, CEPA 1999.트리코데르마롱이브라치툼 RM4-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