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26 보병사단(미국)

26th Infantry Division (United States)
26 보병사단
Yankee Division.svg
26 보병사단 어깨 소매 기장
활동적인1917–1919
1923–1945
1947–1993
나라 미국
나뭇가지 미국 육군
유형보병
역할경보병
크기나누기
닉네임"양키 사단"
계약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지휘관
주목할 만한
지휘관들
클라렌스 랜섬 에드워즈 소장
로버트 그로우 소령

26사단은 미 육군보병사단이었다.매사추세츠 육군 국가 경비대의 주요 구성으로, 그것은 대부분의 역사 동안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오늘날 사단의 유산은 제26기동강화여단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1917년 7월 18일 결성되어 뉴잉글랜드 지역 출신 부대들로 구성된 MA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1917년 8월 22일 활동한 사단장은 사단의 지리적 구성을 강조하기 위해 '양키 사단'이라는 별명을 선택했다.제1차 세계대전에서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유럽으로 파견된 이 사단은 프랑스에서 광범위한 전투를 보았다.제2차 세계대전을 위해 다시 한번 유럽으로 보내진 이 사단은 프랑스를 통해 다시 전투를 벌이며 독일에 진출해 전쟁이 끝나기 전에 구센 포로수용소를 해방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도 사단은 국군의 현역 사령부로 남아 점차 통합되어 있던 다른 사단의 부대들을 포함하도록 지휘권을 확대하였다.그러나 사단은 어떠한 중대한 우발사태를 지원하거나 주요 전투를 보기 위해 소집된 적이 없으며, 결국 1993년 해체되어 제29보병사단 산하의 여단으로 재편되었다.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프랑스 육군 32군단 파사가 장군의 연대기 색깔 장식.

조직

26사단은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지 3개월 만인 1917년 7월 18일 26사단으로 처음 구성되었다.그 해 8월 22일 매사추세츠 보스턴에서 정식으로 활성화되었으며,[1] 보스턴 작가들과 작곡가들에 의해 "양키 사단 행진곡"과 "배터리 A 행진곡"과 같은 곡으로 축하되었다.그 직후, 사단장인 C. R. 에드워즈 소령은 기자회견을 소집하여 새로 결성된 사단의 별명을 정했다.에드워즈는 사단의 모든 하위 부대가 뉴잉글랜드메인, 매사추세츠, 뉴햄프셔, 로드아일랜드, 버몬트 주 출신이기 때문에 '양키 사단'의 제안에 합의하기로 했다.[2]그 직후, 사단은 이를 반영하기 위해 "YD" 모노그램이 있는 어깨 소매 휘장을 승인했다.[3]

전투순서

  • 본부, 26사단
  • 제51 보병 여단
  • 52 보병 여단
    • 103 보병 연대(뉴햄프셔 제1보병대 출신 제2보병 1,630명, 매사추세츠 제8보병대 F·H·K·M사 별거)
    • 104 보병 연대(매사추세츠 6보병 812명, 매사추세츠 8보병 812명, 매사추세츠 2보병 812명, F, H, K, M, 매사추세츠 8보병 소속)
    • 103 기관총 대대(스콰드론, 로드아일랜드 기병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 제51 야전포병여단
    • 101 야전포병 연대(75mm) (매사추세츠 1기, 뉴잉글랜드 해안포병 180명)
    • 102 야전포병연대(75mm) (매사추세츠 제2기, 뉴잉글랜드 해안포병 150명)
    • 103 야전포병 연대(155mm) (배터리 A, 뉴햄프셔 F.A., 로드아일랜드 F.A. 3개 배터리, 코네티컷 F.A. 2개 배터리, M부대, 로드아일랜드 기병대대대대대대대, 뉴잉글랜드 해안포병대 소속 부대)
    • 101번 트렌치 모르타르 배터리 (제1회 메인 F.A.)
  • 101 기관총 대대(스콰드론, 코네티컷 기병대, 제1버몬트 보병대 196명)
  • 101 공병 연대(제1기 매사추세츠 공병대, 제1기 메인 F.A. 100기, 뉴잉글랜드 해안포병대 479기)
  • 101 야전신호대(매사추세츠 제1야전신호대)
  • 본부 부대, 26사단 (매사추세츠 기병대 트로프 B)
  • 101기차본부 및 헌병대(매사추세츠 6보병 출신 남자 326명)
    • 101 탄약열차(버몬트 1보병 713명, 매사추세츠 해안포병 240명)
    • 101 보급 열차 (Troop B, Rhode Island 기병대, 메사추세츠 8 보병대 364명, M사 62명, 매사추세츠 6 보병대)
    • 101기 기관사 열차 (매사추세츠 6기병 82명)
    • 위생로101번길
      • 101호, 102호, 103호, 104호 구급차 회사 및 현장 병원(매사추세츠 구급차 회사, 1호 및 2호 매사추세츠 현장 병원, 1호 코네티컷 현장 병원, 1호 로드아일랜드 구급차 회사, 1호 뉴햄프셔 현장 병원)

[4]

해외

1917년 9월 21일 사단은 프랑스의 생나자르에 도착했다.[5]당시 서부전선에 도착한 것은 미국 원정군(AEF)의 2사단이었고, 1사단은 1사단에 합류하면서 완전히 미국에서 조직되었다.10월 29일 프랑스에서 2사단이 결성되고 42사단이 성 나사르에 도착하는 등 2개 사단이 추가로 미군 1차 파병을 완료했다.[6]사단의 병사들은 대부분 신병인 원시 신병이어서 사단은 즉시 훈련을 위해 뉴프샤토로 이동했다.[6]이 때문에 사단의 많은 병력은 경험이 풍부한 프랑스군에 의해 훈련되었다.[7]1918년 1월 미 1군단으로 조직된 다른 3개 사단과 함께 대대적으로 훈련한 뒤 2월 한적한 참호 구역으로 이동했다.[6][8]

26사단은 지난 4월 3일 생미히엘 인근 1사단을 구제하기 전까지 수개월간 체민 데스 다메스를 따라 비교적 조용한 라인 지역에 머물렀다.여기서 인수된 선은 서쪽의 압레몽 부근에서부터 시브레이-마르부아인, 세이체프리, 보이스 드 레미레스 앞까지 뻗어 있었고, 오른쪽의 보이스 드 레미레스까지는 프랑스 선이 미국 노선에 합류했다.사단 본부는 Bouck에 있었다.

이 부문에서 사단이 주둔하는 것은 적과 몇 차례 심각한 맞닥뜨린 것으로, 상당한 병력이 교전하고 있었다.더군다나 순찰대나 매복대 사이에서는 거의 밤마다 마주치는 일이 있었고, 양쪽의 포병들의 괴롭히는 발포도 매우 활발했다.

4월 10일, 12일, 13일에는 보이스 브루엘레(압레몬트 근교)에서 104보병대가 들고 있던 선과 왼쪽으로 프랑스군이 들고 있던 선들이 독일군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처음에는 적이 강하게 잡아놓지 않았던 몇몇 진보된 참호에서 발판을 확보했지만, 건장한 반격에 성공하여 심각한 손실을 입고 적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그 선은 완전히 재확립되었다.

지난 4월 말 독일 보병대는 전쟁 중 미국인에 대한 첫 공격 중 하나인 26사단의 진지를 급습했다.4월 20일 0400에서 독일군 야포들은 독일군[스톰트루퍼]이 마을을 향해 이동하기 전에 세이체프리 근방의 102 보병 진지를 포격했다.36시간 동안 계속된 포탄 상자 포격은 미국 부대를 고립시켰다.독일군은 102호 기관총회사와 보병 2개사를 제압하고 사단의 요소들이 집결해 마을을 탈환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참호를 뚫었다.독일군은 사단이 반격하기 전에 철수했지만 80명 사망, 424명 부상, 130명 생포 등 634명의 사상자를 냈고, 150명 사망자를 포함해 600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다.[9]비슷한 습격은 5월 27일 플라이에서 101보병, 6월 16일 시브레이에트마르부아인에서 103보병대를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26사단은 6월 28일 82사단에 의해 해제된 뒤 기차로 메아우로 이동한 뒤 7월 5일 샤토 티에리 북서쪽 노선에 다시 진입해 2사단을 해제했다.

AEF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7월 사단 지휘하에 I군단이 투입되었다.[10]그 직후 아이신-마르네 운동이 시작되자, I 군단 휘하의 사단은 프랑스 6군단의 지휘 아래 동측을 보호하게 되었다.공세가 시작되자 사단은 7월 18일에서 25일까지 10마일을 이동하면서 벨라우 우드를 밀고 몇 주 동안 마르네 경주의 등골을 전진시켰다.8월 12일 다음 공세에 대비하기 위해 툴 근처 노선에서 철수했다.[11]당시 사단은 생미엘 전투생미엘에서 공세의 일부였다.그 후 사단은 전쟁의 마지막 주요 공격인 Meuse-Argonne에서 위치를 옮겼다. 캠페인은 그 직후 정전협정이 체결되었기 때문에 전쟁의 마지막이었다.[12]제1차 세계 대전 동안 26사단은 210일 동안 전투에 임했으며, 전투 중에 1,587명이 전사하고 12,077명이 부상당했다.[5]사단은 미국으로 돌아와 1919년 5월 3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데븐스에서 해산되었다.[1]

전쟁 사이에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몇 년 동안 사단은 주 방위군에 남아서 매사추세츠 전복으로 재편성되었다. 그 부하 부대의 상당수는 코네티컷, 메인, 로드아일랜드, 버몬트 출신의 병력이 포함된 새로운 부대인 제43보병사단에 재배치되었다.1921년, 코네티컷에서 온 102 보병 연대는 182 보병 연대로 대체되었다.1923년 메인 주 출신의 103 보병 연대가 181 보병으로 교체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전투순서

26사단은 1941년 12월부터 1942년 초까지 동부방위사령부(EDC)에 이동방어를 할 수 있었다. 104사단은 1943년 1월까지 이 임무를 수행했다.[14]

육군 전체의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그들 사이에 4개 연대를 관할하던 사단의 2개 여단 사령부는 3개의 별도 연대 명령이 포함된 구조물에 유리하게 해체되었다; 사단은 "삼각형" 구조로 재편성되어 1942년 2월 12일 26보병사단으로 재설계되었다.[15]1942년 1월 14일 제182보병연대가 뉴칼레도니아에 파견되어 아메리카 사단의 결성을 도왔으며, 1942년 1월 27일 제181보병연대는 26사단으로부터 해방되어 동부방위사령부로 재배치되었다.1943년 1월 27일, 328 보병 연대는 잃어버린 두 연대를 대체하기 위해 26 보병사단에 배치되었다.[15][16]

  • 본부, 26사단
  • 101 보병 연대
  • 104 보병 연대
  • 328 보병 연대
  • 본부 및 본부 배터리, 26사단 포병대
    • 101 야전 포병 대대(105mm)
    • 102 야전 포병 대대(105mm)
    • 180 야전포대(155mm)
    • 263 야전포대(105mm)
  • 101 공병대대대대
  • 의병대로114번길
  • 26 기병 정찰대(기계화)
  • 본부, 특수부대, 26사단
    • 26 보병사단 본사
    • 제726회 오드넌스 라이트 정비 회사
    • 제26회 채석장사
    • 제26회 신호 회사
    • 헌병 소대
    • 밴드
  • 26 방첩대 부대[17]

1943년 8월, 윌러드 스튜어트 폴 소장이 나머지 전쟁 기간 동안 지휘할 사단을 지휘했다.[18]26사단은 유럽작전극장(ETO)에 해외 배치하기 전 켄터키주 캠프 캠벨에서 훈련했으며 1944년 8월 말 서부전선으로 출발할 준비를 했다.

프랑스 모옌빅에 있는 26사단 기념관.

해외

사단은 오마르 브래들리 중장이 지휘하는 12군단의 일부인 윌리엄 후드 심슨 중장의 휘하에 미 9군단3군단에 배속되었다.[19]미국에서 프랑스로 직송되었고, 영국을 통해서는 발송되지 않았다.[20]제26기 ID는 1944년 9월 7일 체르부르유타 해변에서 프랑스에 상륙했으나 한 달이 지나도록 사단으로 전투에 들어가지 않았다.원소들은 9월 13일부터 30일까지 카트렛에서 수빌까지 해안가를 따라 순찰 근무를 하고 있었다.[21]328보병단은 10월 5일부터 15일까지 80보병사단과의 전투가 있었다.[22]그 후 사단은 조지 S. 패튼 중장의 미국 제3군단XII 군단에 재배치되었다.[19]10월 7일, 26대는 살롱네스-몽쿠르트-카날 뒤라인 아우 마르네 구역의 제4기갑사단을 해임하고, 방어 태세를 유지했다.사단은 10월 22일 몬코트 숲에서 제한적인 객관적 공격을 개시했다.이어 11월 8일, 26일 공세에 나섰고, 먼저 공격을 주도한 761사단은 11월 20일 디에우제를 데리고 사아르강을 건너 사아연합으로 진격해 12월 2일 가택 싸움 끝에 나포했다.12월 5일 마지노 요새에 도달하여 12월 8일 사레귀네로 진입하여 다시 집결하였다.[21]이 무렵에는 3군단에 재배치되었다.[19]

메츠에서의 휴식은 아르덴 전투인 불게 전투에서 독일군의 공세로 중단되었다.이 사단은 아르덴 돌파 전투에 참가하기 위해 12월 19일부터 21일까지 룩셈부르크로 북쪽으로 이동했다.12월 22일 람브라우치그로스부스에서 공격해 독일의 강력한 반격을 물리치고, 크리스마스날 격렬한 전투 끝에 아르스도르프를 포로로 잡았으며, 윌츠 강을 향해 공격했으나 결연한 독일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1945년 1월 5~8일 재집결된 뒤 1월 20일 윌츠강을 건너 다시 공격했다.[21]사단은 1월 21일 그루멜셰이드를 함락하고, 1월 24일 클레르프 강을 건넜다.사단은 XX 군단에 재배치되었다.[19]사단은 즉시 사르의 동쪽 둑으로 이동하였고, 사를로테른 지역에서 1월 29일부터 1945년 3월 6일까지 방어 태세를 유지하였다.

1945년 3월 13일 사단의 라인 강으로 향하는 이 사단의 드라이브는 뛰어내렸고, 3월 17일부터 메르치히를 거쳐 3월 21일까지 라인 강으로, 3월 25~26일에는 오펜하임에서 라인 강을 건넜다.[21]그 후 사단은 XII 군단에 재배치되었다.[19]3월 28일 하나우의 집집합 축소에 참여하여, 본강 교두보를 이탈하여 4월 1일 풀다를 거쳐 4월 5일 마이닝엔을 줄이는 데 기여하였다.오스트리아로 남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사단은 5월 5일 린츠를 체포하는 것을 도왔다.그것은 진격 방향을 바꾸어, 휴전 명령이 접수되었을 때, 블라타바 강을 건너 체코슬로바키아로 북동진하고 있었다.[21]하루 뒤 사단은 11기갑사단과 연계해 구센 포로수용소를 오버런해 독일군으로부터 해방시켰다.그곳에서 독일인들이 강제 노동을 이용해 지하 항공기 생산 시설과 함께 정교한 터널 시스템을 개척한 사실을 발견했다.캠프의 SS 장교들은 포로들을 안에 둔 채 터널을 철거할 계획이었지만 26보병과 11기갑사단의 움직임으로 이를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23]

사상자

  • 총 전투 사상자: 10,701명[24]
  • 전사자: 1,850명[24]
  • 부상자: 7,886명[24]
  • 실종자: 159명[24]
  • 포로: 806[24]

전후

26사단은 1개의 유공부대 표창(3대대대 101보병연대, 1944년 11월 18-21일, WD GO 109, 1945년)을 받았다.병사들은 명예 메달 2개, 공로 크로스 38개, 공로 7개 군단, 은성 927개, 군인 메달 42개, 동성 메달 5331개, 항공 메달 98개를 획득했다.[25]사단은 미국으로 돌아와 1945년 12월 21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마일스 스탠디쉬에서 비활성화되었다.[1]

냉전

그 사단은 1947년 4월 11일 보스턴에서 재활성화되었다.[1]매사추세츠 육군 주 방위군의 주요 지휘부로 남아 있었으나, 육군 주 방위군 통합에 따라 다른 주로부터 부대를 장악했다.사단은 육군 국가방위군의 현역 예비역으로 남아 있었지만 냉전사태에 대비한 어떤 배치에도 선정되지 않았다.[12]1956년에 그 사단은 독특한 부대 휘장을 받았다.[3]

사단은 아마도 1959년에 펜토믹 조직에 따라 재편성되었다.사단의 5개 보병전투단은 제1전투단, 제101전투단, 제1전투단, 제1전투단, 제220전투단, 제1전투단, 제1전투단, 제1전투단, 제1전투단, 제2전투단, 제220전투단이었다.[26]제104보병연대는 1959년 5월 1일 제1전투집단, 제104보병으로 전투무기연대체제하에 재편성되었다.

1963년 조직개편 목표 육군 사단 계획에 따라 사단을 개편하였다.그 연대 명령은 여단에게 유리하게 비활성화되었다.101보병연대는 매사추세츠주 도체스터에 본부를 둔 제1여단, 제26보병사단이 되었다.104보병연대는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 본부를 두고 있는 제3여단, 제26보병사단이 되었다.1965년 사단의 부대 중에는 1-101 보병, 1-104, 2-104, 1–181, 1–182, 1-220 보병, 1-101 FA가 있었다.[27]사단은 경보병 사단으로 편성되었고, 동시에 제26항공대대를 창설하여 항공 지원을 제공하였다.1967년 코네티컷 육군 국가수비대43사단이 제43여단, 제26사단으로 통합되어 제26사단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28]

1987년 제26항공대대가 해산되고 그 자리에 제126항공연대가 생겨났다.126 항공연대의 대대는 새로운 사단 26 항공여단의 기초를 형성했다.1988년 3여단은 1·2대대와 104보병연대, 181·182보병연대 1대대를 편성하였다.[29]

1988년 4월 1일 사단은 매사추세츠주 캠프 에드워즈로 이전되었다.[1]사단 본부는 1여단, 26사단과 통합되었다.[30] 자리에 86보병여단이 사단에 원아웃 부대로 배치되었다.[28]

비활성화

백 오브 양키 디비전 위 백 백 챌린지 코인

냉전이 종식되기 전인 1985년 육군은 29사단을 재활성화했다.냉전이 종식되면서 육군은 병력을 재편성하고 더욱 통합하게 되었다.이에 따라 육군은 26사단을 여단으로 축소해 29사단의 지휘를 받기로 했다.[12]1993년 9월 1일 사단이 무력화되었고, 스프링필드에 근거지를 둔 26보병여단이 그 자리에 지정되었다.[1]3d 및 43여단, 26사단은 불활성화되었고, 86사단은 42사단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28]1995년 10월 1일 사단은 공식적으로 26여단, 29사단으로 지정되었다.[31]2004년 제26여단은 제26여단(양키) 전투단으로 전환했다.2005년에 42d 보병사단에 재배치되었고, 2006년에 42d에 배정된 후 제26기동강화여단으로 재편성 및 재설계되었다.

명예

이 사단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6명의 선거유세인을, 제2차 세계대전에서 4명의 선거유세인을 받아, 총 10명의 선거유세인을 작전기간 동안 받았다.[32]

캠페인 스트림러머

갈등 스트리머 연도
제1차 세계 대전 샴페인-마르네 1917
제1차 세계 대전 아이신마르네 1917
제1차 세계 대전 세인트미히엘 1917
제1차 세계 대전 뮤즈 아르곤네 1917
제1차 세계 대전 일레 드 프랑스 1918
제1차 세계 대전 로레인 1918
제2차 세계 대전 북프랑스 1944
제2차 세계 대전 라인랜드 1945
제2차 세계 대전 아르덴-알레이스 1945
제2차 세계 대전 중부 유럽 1945

지휘관

사령관 몇 해
클라렌스 랜섬 에드워즈 소장 1917–1918
프랭크 E. 뱀포드 준장 1918–1918
해리 C 소장 헤일 1918–1919
비활성 1919–1923
에드워드 로렌스 로건 중령 1923–1928
알프레드 F 중장 1928–1930
에를란드 F 소령 물고기 1930–1934
대니얼 니덤 소령 1934–1939
로저 W. 에크펠트 소령 1939–1943
윌러드 스튜어트 폴 소령 1943–1945
할란 N 준장하트니스 1945–1945
스탠리 에릭 라인하트 소령 1945–1945
로버트 그로우 소령 1945–1945
비활성 1945–1947
윌리엄 1세 소령 로즈 1947–1951
에드워드 D 소령 시로이스 1951–1956
레지날드 A 소령마우레르 1956–1957
장군님오티스 M. 휘트니 1957–1962
리처드 J. 퀴글리 소령 1962–1967
레이먼드 A 소령윌킨슨 1967–1970
에드워드 F 소령로건 1970–1973
니콜라스 델 토르토 중령 1973–1980
제임스 A 소령데일리 1980–1982
조지프 P 소령헤가티 1982–1985
조지프 J. 살라디노 육군 소장 1985–1988
장군님체스터 E.고르스키 1988–1991
도날드 R 소령브루넬라 1991–1993

레거시

매사추세츠주 128번 국도 보스턴 시내 일대 벨트웨이는 26사단을 기리는 의미에서 '양키 사단 고속도로'라는 별칭이 붙었다.[33]구센 강제 수용소를 해방시키는 데 기여한 공로로,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은 독일 강제 수용소 해방을 돕기 위해 35개 미국 사단 중 한 곳으로 예우하며, 입구와 유명한 추도식을 위해 끊임없이 사단의 색깔을 날리고 있다.[34]

부서의 주목할 만한 멤버들 월터 Krueger,[35]에드워드 로렌스 로간은 J. 로렌스 Moffitt, 양키의 세계 1차 대전으로부터에서 마지막 살아남은 베테랑, 병장 스터 비, 분열 세계 전쟁 I.[36]PFC마이클 J. 퍼킨스, 보스턴 남부의 분열의 한 회원은 주민에 전투에서 개를 포함한다.테마화한제1차 세계대전에서 프랑스의 명예의 알. 103d 보병 H사의 조지 딜보이 PFC는 1918년 7월 18일 바우셰스 철도역 근처에서 치명상을 입은 독일의 기관총 전위대에 대한 행동으로 명예훈장을 받았다.[37]또한 사단원 2명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명예훈장, 루벤 리버스, 알프레드 L을 받았다. 윌슨.[38][39][40][41]건축학과 학생인 빅토르 룬디는 1944년 26기로 편입되었다. 그는 1944년 5월과 11월 사이에 분단된 삶에 창을 여는 인물, 장소, 장면을 기록한 스케치를 제작했다.룬디는 2009년 남아 있는 스케치들을 의회도서관에 기증했으며, 소장품은 온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다.[42]

참조

  1. ^ a b c d e f 윌슨, 327페이지
  2. ^ 전투훈장, 100페이지.
  3. ^ a b "The Institute of Heraldry: 26th Infantry Division". The Institute of Herald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17. Retrieved 24 September 2009.
  4. ^ Composition of National Guard Divisions and Disposition of Former National Guard Unit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18. pp. 7–13.
  5. ^ a b 연감, 페이지 528.
  6. ^ a b c 스튜어트, 25페이지
  7. ^ 스튜어트, 26페이지
  8. ^ Ayres, Leonard P. (1919). The War with Germany (Second ed.). Washington, D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26.
  9. ^ James Hallas (1999). "Seicheprey". In Anne Cipriano Venzon (ed.). The United State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Routledge. pp. 537–540. ISBN 0-8153-3353-6.
  10. ^ 스튜어트, 페이지 36
  11. ^ 스튜어트, 37페이지
  12. ^ a b c "GlobalSecurity.org: 26th Infantry Division". GlobalSecu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09. Retrieved 24 September 2009.
  13. ^ 맥그래스, 168페이지
  14. ^ '매사추세츠 주(州) 104 보병 연대 보유' 미 104 보병 연대 재향군인회 주최로 발간 배포된 '매사추세츠 주(州) 104 보병 연대 보유'
  15. ^ a b 스탠튼, 101-102페이지
  16. ^ 스탠턴, 232 페이지
  17. ^ 연감 592페이지
  18. ^ 전투훈장 101쪽
  19. ^ a b c d e 전투훈장 105쪽
  20. ^ 전투훈장, 페이지 106.
  21. ^ a b c d e 연감, 페이지 529.
  22. ^ 전투훈장, 104쪽
  23. ^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6th Infantry Division".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Retrieved 28 October 2009.
  24. ^ a b c d e 육군 전투 사상자 및 비전투 사망, 최종 보고서(Antistical and Accounting Office of the Assistant General, 1953년 6월 1일)
  25. ^ 전투훈장 102쪽
  26. ^ 오밀러, 티모시 S. "미 육군 보병, 포병, 갑옷/카발리 대대, 1957-2011
  27. ^ 티모시 오밀러, '미 육군의 유아 사단 구성품' 65?
  28. ^ a b c 맥그래스, 페이지 192.
  29. ^ "3Rd Brigade 26Th Infantry Division".
  30. ^ 윌슨, 328페이지
  31. ^ 맥그래스, 194페이지
  32. ^ 윌슨, 페이지 330.
  33. ^ 수잔 로즈그랜트, 데이비드 R. 램프, 128번 도로: 보스턴 하이테크 커뮤니티로부터의 교훈, 베이직 북스, 1992년 ISBN 0-465-04639-8
  34. ^ "US Army Unit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09. Retrieved 18 October 2009.
  35. ^ Holzimmer, Kevin C. (2007). General Walter Krueger: Unsung Hero of the Pacific War. Lawrence, Kansas: University Press of Kansas. ISBN 978-0-7006-1500-1.
  36. ^ "The Price of Freedom: Americans at War – Stubby". Smithsonian Institution. Retrieved 18 October 2009.
  37. ^ Holman, John. "History of the 26th "Yankee" Division". Hampton Library. Lane Memorial Library. Retrieved 5 September 2016.
  38. ^ "Medal of Honor Recipients — World War II (A-F)". United States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September 2009. Retrieved 24 April 2008.
  39. ^ "Medal of Honor Recipients — World War II (G-L)". United States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08. Retrieved 24 April 2008.
  40. ^ "Medal of Honor Recipients — World War II (M-S)". United States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08. Retrieved 24 April 2008.
  41. ^ "Medal of Honor Recipients — World War II (T-Z)". United States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08. Retrieved 24 April 2008.
  42. ^ "World War II Sketches by Victor A. Lundy".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29 January 2020.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