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네자와 번

Yonezawa Domain
요네자와 번
米沢藩
도쿠가와 막부의 일본 통치하에.
1601–1871
자본요네자와 성
역사
• 유형다이묘
역사시대에도 시대
• 확립됨
1601
• 설정되지 않음
1871
오늘의 일부야마가타 현의 일부
요네자와 번 행정중심 요네자와 성의 해자

요네자와 번(米zawa藩, 요네자와한)은 에도 시대봉건적인 영토로, 일본 와 국(현 야마가타 현)에 위치하였다. 지금의 야마가타 시인 요네자와 성에서 중심을 이루었고, 그 영토는 오늘날의 남동부 야마가타와 국 오키타마 구에 걸쳐 확장되었다. 우에스기 씨족에 의해 역사 전반에 걸쳐 토자마 다이묘로서 초기수입이 30만 코쿠로, 이후 15만 대 18만 대까지 떨어졌다. 우에스기는 도립 다이묘(都立大,, 쿠니모치 다이묘)로 순위에 올랐으며, 이와 같이 에도 성의 대청(大廳,[1] 오히로마)에 쇼군 관중의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 영역은 1760-80년대에 불과 몇 십 년 만에 가난하고 부채가 많으며 부패하게 이끌었던 도메인에서 매우 번영한 도메인으로 전환되었다. 요네자와는 1830년 막부에 의해 잘 관리된 도메인의 전형으로 선언되었다. 학자 마크 라비나는 에도 시대(1603–1868) 봉건영역의 정치적 지위와 국가성격과 정체성의 개념을 분석하는 데 요네자와를 사례연구로 활용했다.[2]

역사

후에 요네자와 번이 된 지역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집권하여 무쓰 국 이와데야마로 다테의 이전을 선포한 1548년부터 1591년까지 센고쿠 시기의 상당 기간 다테 씨족에 의해 보유되었다. 가모 가문은 우에스기 휘하에서 아이즈를 통치하도록 하였고, 우에스기 가게카쓰 다이로가 그의 카로(어드바이저) 가네쓰구 나오에에게 30만 코쿠 수입을 주었다.

그러나 1600년 우에스기는 세키가하라 운동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반대하다가 패하여 새로운 막부 아래 토사마 다이묘(외지 영주)가 되었다. 그들의 수입과 120만 코쿠의 영토는 30만 코쿠로 줄어들어 아이즈(아이즈)에 보유하던 재산을 강제로 남겨두고, 가네쓰구 나오에(가네쓰구)로부터 되찾은 요네자와(요네자와)만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그들의 새로운 영토는 데와 국의 18만 코쿠, 이웃 무쓰 국의 12만 코쿠로 구성되었다. 이 30만 코쿠 영토는 도쿠가와 시대 우에스기 가문의 수입의 정점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한족과 마찬가지로 요네자와도 다이묘가 직접 통치하는 반독립국가로 활동했다. 우에스기는 신하들에게 막부에 대한 존경을 요구했고, 대중의 비난을 금했지만, 중앙 당국이 정한 칙령과 정책만을 강요하고 시행했다. 가신들은 영역 밖에서는 쇼군 법도를 따르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그 안에서 쇼군 명령은 다이묘가 전하지 않는 한 적용되지 않았다.[3]

1664년 요네자와 3대 다이묘 우에스기 쓰나카쓰가 후계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후계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동생 호시나 마사유키의 조언에 따라 결정되었다. 그는 쓰나카쓰의 여동생과 키라 요시나카의 아들인 우에스기 쓰나노리를 후계자로 삼자고 제안했는데, 이는 영토를 절반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데와 지방 내 15만 코쿠 부분에 불과하다. 이 결정은 우에스기와 그들의 행정부, 그리고 점점 더 가난해지는 농민들에게 심각한 재정난을 초래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제8대 다이묘 우에스기 시게타다는 막부에 도메인을 내주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했다. 대신 우에스기 하루노리에게 유리하게 다이묘 직을 사임하였고, 우에스기 하루노리는 이후 도메인의 행정 개혁과 경제 회생에 나섰다. 그는 엄격한 징계 조치를 도입했고, 자신의 계획에 반대하는 여러 명의 카로에게 사형을 명령했다. 막부에 의해 자신의 영역에 부과된 성 수리에 자금을 대기 위해 하루노리는 신하들에게 그들의 급료 축소에 동의할 것을 요청했다. 이러한 다양한 조치의 결과로 요네자와는 다시 상당히 번성하게 되었고, 덴메이 시대(1781–89년)에 일본을 휩쓴 대기근으로 큰 고통을 겪지 않았다. 1830년 막부는 정식으로 요네자와를 잘 다스리는 영토의 선택 사례로 선언했다.

이 도메인은 1870년 인구조사당 2만3440가구 12만7277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에도 성으로 가는 사쿠라다몬 문 부근에 에도 1차 거주지(가미야시키)를 유지했다. 현장은 현재 법무부(일본) 본청이다.[4] 도메인의 2차 거주지(시모야시키)는 아자부에 있었고, 3차 거주지(나카야시키)는 시로가네에 있었다.

When the Boshin War erupted in 1868, and the shogunate came to an end with the abdication of shōgun Tokugawa Yoshinobu, the Uesugi joined the "Northern Alliance" (Ōuetsu Reppan Dōmei), voicing their support for the embattled Aizu domain and opposing Satsuma and Chōshū domination of the new imperial government, while stating an intent to "reconquer 일본, 정말 황제가 그 위에 군림할지도 모른다는 것을."[5] 연합회 회원들도 많은 분야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던 아이즈 초대 영주 호시나 마사유키에게 진 빚을 인정했다. 몇 달 후 연합군은 패배하였고, 새로운 메이지 정부는 4만 쿄쿠 영토를 축소하였으며, 부속 영토인 요네자와 신덴 한은 1869년에 폐지되었다. 요네자와 번은 2년 후, 전체적으로 한제가 폐지되면서 요네자와 현이 되었고, 그 후 오키타마 현과 합쳐져 야마가타 현을 형성하게 되었다.

요네자와의 마지막 다이묘인 우에스기 모치노리는 후에 하쿠샤쿠(카운트)라는 새로운 카조쿠 동족 칭호로 영합되었다.

다이묘 목록

이름 테뉴어 명목적 칭호; 의례상 작위 코트 랭크 수입
1 우에스기카게카츠 (上杉景勝) 1601–1623 에치고노카미(越越守); 추나곤(中中); 3rd (従三位) 30만 코쿠
2 우에스기 사다카츠 (上杉定勝) 1623–1645 Sakon'e-shōshō (左近衛少将) Lower 4th (従四位下) 30만 코쿠
3 우에스기 쓰나카쓰 (上杉綱勝) 1645–1664 Harima-no-kami (播磨守) );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30만 코쿠
4 우에스기 쓰나노리 (上杉綱憲) 1664–1703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5 우에스기요시노리 (上杉吉憲) 1703–1722 Minbu-taifu (民部大輔)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6 우에스기 무네노리 (上杉宗憲) 1722–1734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7 우에스기 무네푸사 (上杉宗房) 1734–1746 Minbu-taifu (民部大輔)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8 우에스기시게사다 (上杉重定) 1746–1767 Oi-no-kami (大炊頭 )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9 우에스기하루노리 (上杉治憲) 1767–1785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10 우에스기하루히토 (上杉治広) 1785–1812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11 우에스기 나리사다 (上杉斉定) 1812–1839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코쿠
12 우에스기 나리노리 (上杉斉憲) 1839–1869 Danjō-daihitsu (弾正大弼); Jijū (侍従) Lower 4th (従四位下) 15만 → 18만 코쿠
13 우에스기 모치노리 (上杉茂憲) 1869–1871 Shikibu-taifu (式部大輔); Jijū (侍従) 2nd (従二位) 18만 → 14만7000코쿠

계보

  • 나가오 다메카게(1489–1543)
    • 우에스기 켄신(1530–1578)
    • 아야고젠(1524–1609), m. 나가오 마사카게(1526–1564)
      • Simple silver crown.svgI. 우에스기 카게카츠, 요네자와 1대 다이묘 (1601) (1556–1623; r. 1601–1623)
        • Simple silver crown.svgII. 사다카쓰, 요네자와 2대 다이묘(1604–1645; r. 1623–1645)
          • Simple silver crown.svg III. 쓰나카쓰, 요네자와 3대 다이묘 (1639–1664; r. 1645–1664)
          • 우메미네인 (토미코) (1643–1704), m. 키라 요시나카 (1641–1703)
            • Simple silver crown.svgIV. 쓰나노리, 요네자와 4대 다이묘 (1663–1704; r. 1664–1703)
              • Simple silver crown.svgV. 요시노리, 요네자와 5대 다이묘 (1684–1722; r. 1703–1722)
                • Simple silver crown.svg VI. 무네노리, 요네자와 6대 다이묘 (1714–1734; r. 1722–1734)
                • Simple silver crown.svg VII. 무네후사, 요네자와 7대 다이묘 (1718–1787; r. 1734–1746)
                • Simple silver crown.svg8세. 시게사다, 요네자와 8대 다이묘 (1720–1798; r. 1746–1767)
                  • 가쓰히로(1760-1807)
                    • Simple silver crown.svgXI. 나리사다, 요네자와 11대 다이묘 (1788–1839; r. 1812–1839)
                      • Simple silver crown.svgXII. 나리노리, 요네자와 12대 다이묘(1820–1889; r. 1839–1869)
                        • Simple silver crown.svgXIII. 모치노리, 13대 다이묘, 14대 가장, 1대 카운트(1844–1919, 다이묘: 1869; 주지사: 1869–1871, 14대 가장: 1869–1919; 카운트: 1884)
                          • 노리아키, 2대 백작, 15대 족장 (1876–1953; 15대 족장: 1919-1953; 2대 백작: 1919–1947)
                            • 다카노리, 16대 가장(1917–1995; 16대 가장: 1953–1995)
                              • 쿠니노리, 17대 가장(b. 1943; 17대 가장: 1995– )
                                • 히로노리 (1969년 b)
                  • Simple silver crown.svg X. 하루히토, 요네자와 10대 다이묘 (1764–1822; r. 1785–1812)
            • 토요히메, M. 쿠로다 나가사다 아키즈키 4대 다이묘(1695~1754)
              • 하루히메, m. 아키즈키 다네미쓰, 다카나베 6대 다이묘 (1718–1787)
                • Simple silver crown.svg IX. 하루노리, 요네자와 9대 다이묘 (1751–1822; r. 1767–1785)

[6]

어드바이저

에도 시대에 걸쳐 요네자와 번의 유명한 고문(카로)으로는 다카후사 치사카, 마타시로 이오프로, 다카마사 치사카 등이 있었다.

보조 도메인

요네자와 신덴 번

요네자와 신덴 번(米沢新田, 요네자와 신덴 한)은 1719년 요네자와 번 4대 다이묘 쓰나노리의 넷째 아들인 우에스기 가쓰치카를 위해 설립되어 1만 코쿠의 새로운 쌀 수입을 할당하였다. 이 도메인은 요네자와 번의 자회사로 계속되었는데, 모가의 어린 아들들의 잇따른 지배를 받았다. 보신 전쟁에서 요네자와 번이 패하자 요네자와 신덴 번이 모국으로 재흡수되었고, 마지막 다이묘인 우에스기 가쓰미치는 이후 시샤쿠(방문수)라는 카조쿠 페어리지 칭호를 받았다.

이름 테뉴어 명목적 칭호; 의례상 작위 코트 랭크 고쿠다카
1 우에스기 카츠치카(上杉勝) 1719–1749 스루가노카미 (駿河守) Lower 5th (従五位下) 1만 코쿠
2 우에스기 가쓰요시(上杉勝) 1749–1785 스루가노카미 (駿河守) Lower 5th (従五位下) 1만 코쿠
3 우에스기 가쓰사다(上杉勝) 1785–1815 스루가노카미 (駿河守) Lower 5th (従五位下) 1만 코쿠
4 우에스기 가쓰요시(上杉勝) 1815–1842 스루가노카미 (駿河守) Lower 5th (従五位下) 1만 코쿠
5 우에스기 가쓰미치(上杉勝) 1842–1869 사도노카미 (佐渡守) Lower 5th (従五位下) 1만 코쿠

참조

  • Papinot, E (1910).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 사사키스구루우(2004) Boshin Sensō 戊辰戦争. 도쿄 : 츄오코론신샤.

외부 링크

메모들

  1. ^ 요네자와한
  2. ^ 마크 라비나(1999년). 근대 초기의 토지영주권.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3. ^ 토비, 로날드(2001) "국가를 역사로부터 복원: 근대 초기의 국가" Monumbita Nipponica 56:2. p206.
  4.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0, 2015. Retrieved February 28,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링크) 에도 daimyo.net (일본어)
  5. ^ 존 R. 블랙 젊은 일본: 요코하마와 예도, 볼. II(런던: Trubner & Co., 페이지 213–215
  6. ^ 계보(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