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코베트 3세
Young Corbett III영 코베트 3세 | |
---|---|
![]() | |
통계 | |
실명 | 랄프 조르다노 |
닉네임 | "영 코벳 3세" |
무게 | 웰터급 미들급 |
높이 | 5ft 7+1⁄2 인치(½ cm) |
리치 | 67인치(170cm) |
국적 | 미국인의 |
태어난 | 1905년 5월 27일 이탈리아 바실리카타 볼투레에 있는 리오네로 |
죽은 | 1993년 7월 15일 (88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오베리 |
스탠스 | 남포 |
권투 기록 | |
총싸움 | 155 |
이김. | 123 |
KO로 승리 | 33 |
손실 | 12 |
그리다 | 20 |
영 코벳 3세로 더 잘 알려진 랄프 지오다노(Ralph Giordano, 1905년 5월 27일 ~ 1993년 7월 15일)는 이탈리아 태생의 미국인 복서였다.1933년에는 세계 웰터급 챔피언, 1938년에는 NYSAC 미들급 챔피언이었다.[1]억센 왼손잡이였던 그는 펀칭력이 강하지는 않았지만 스피드와 결단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2]코벳은 역사상[3][4] 가장 위대한 남포 중 하나이자 역대 최고의 카운터펀치로 꼽힌다.[5]1959년 프레즈노 카운티 체육 명예의 전당,[6] 1982년 이탈리아 아메리칸 스포츠 명예의 전당,[7] 200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8]
전기
초년기
비토 지오다노와 젤소미나 카포비아코에서 [9]바실리카타의 이탈리아 지역 리오네로에서 태어나 아직 유아일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라파엘레 카파비앙카 지오다노로 잘못 등록됐다.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4년간 거주한 뒤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로 건너가 1919년 14세의 '뉴스보이'로 활동하면서 복싱을 시작했다.[10]어느 날 코벳과 친구가 새크라멘토로 가는 화물열차를 타고 거기서 성냥을 찾다가 실수로 메리스빌에 도착했는데, 그곳에서 그날 밤 권투쇼에 참석했다.프로모터에게 자신이 파이터라고 설득한 후, 코벳은 에디 모리스라는 좀 더 경험이 많은 권투선수를 상대했고, 그는 3라운드에서 그를 기절시켰다.그러나 코벳은 그의 연기로 7달러 50센트를 벌었다.[2]
1920년 에디슨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코벳은 더욱 진지하게 연습하기 시작했다.그는 링 아나운서가 자신을 랄프 지오다노로 내세우지 않겠다고 말했을 때 예명을 얻었고,[11] 그의 격투 스타일이 그에게 영 코벳 2세로 알려진 윌리엄 J. 로스웰을 연상시키거나 헤비급 챔피언 제임스 J. 코벳과 비슷한 헤어스타일을 했기 때문에 "영 코벳 III"라고 불렀다고 한다.[12]
권투 경력
코벳은 그의 시대의 많은 위대한 선수들과 싸웠으며, 그의 첫 75번의 기록적인 경기에서 단지 5번의 패배만을 겪었다.[2]그는 미래의 웰터급 챔피언 영 잭 톰슨과 4연전을 펼치며 3승을 거두며 한 차례 비겼다.그는 또한 잭 지빅 병장보다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새미 베이커, 웰터급 챔피언 재키 필즈와 미래의 미들급 왕 세페리노 가르시아.
1933년 2월 22일 1만 6천 명의 관중 앞에서 코벳은 샌프란시스코의 실스타디움에서 10라운드에 걸쳐 재키 필즈를 결정함으로써 세계 웰터급 챔피언쉽을 거머쥐었다.경기 3일 전 스파링 세션에서 받은 부러진 손으로 경기를 했고,[12] 5라운드에서 왼쪽 엄지손가락을 다쳤지만 굴하지 않고 계속 싸웠다.잭 케네디 주심은 "코벳이 첫 5라운드에서 악당"이라고 기억했다.그는 그를 호랑이처럼 찢어 놓았다.필즈는 자신을 보호할 수 없었다."[13]
3개월 후, 그는 명예의 전당 지미 맥라닌에게 1라운드 녹아웃 당했다.[14]그리고 나서 코벳은 미들급 사단으로 올라갔다.그는 미래의 라이트 헤비 챔피언 거스 레스네비치(TKO 5)를 비롯해 명예의 전당 미키 워커, 빌리 콘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1938년 2월 22일 프레드 아포폴리를 꺾고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그해 11월 18일 다시 아포톨리에 도전했으나 8회 만에 중단됐다.
퇴직과 사망
코벳은 1940년 8월 20일까지 권투에서 리차드 셰이크 레젤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했다.그는 123-11-17(33KO)의 기록으로 은퇴했다.[15][16]그는 후에 프레스노에서 술집을 운영했다.1945년 10월 2일, 코벳은 델라노 인근 99번 고속도로에서 심각한 교통사고에서 살아남아 두개골 골절과 기타 부상을 입었다.그는 알츠하이머병을 앓은 지 약 20년 만에 캘리포니아주 아우베리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프레스노에는 전투 태세와 권투 장갑으로 포즈를 취한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그 조각품은 클레멘트 렌지에 의해 실현되었다.
사생활
복싱 경력 외에도, 코벳은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의 체육 강사와 포도 재배자였다.[18]그의 사촌 알 만프레도(19121990년)도 복서였고 후에 복싱 감독이었다.코벳은 전 미식축구 안전팀 매트 지오다노의 증조부다.
프로 복싱 기록
155 싸움 | 123승 | 12패 |
---|---|---|
녹아웃으로 | 32 | 4 |
결정으로 | 89 | 8 |
실격으로 | 2 | 0 |
그리다 | 20 |
No. | 결과 | 기록하다 | 상대 | 유형 | 둥글다 | 날짜 | 위치 | 메모들 |
---|---|---|---|---|---|---|---|---|
155 | 이기다 | 123–12–20 | 셰이크 레인지 | PTS | 10 | 1940년 8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의 이탈리아 엔터테인먼트 파크. | |
154 | 이기다 | 122–12–20 | 해리 케힐 | PTS | 10 | 1940년 4월 1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콜리세움 볼 | |
153 | 이기다 | 121–12–20 | 데일 스파르 | PTS | 10 | 1940년 3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152 | 이기다 | 120–12–20 | 딕 포스터 | TKO | 7 (10) | 1939년 12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시빅 오디토리움. | |
151 | 손실 | 119–12–20 | 프레드 아포스톨리 | TKO | 8 (15) | 1938년 11월 18일 | 미국 뉴욕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 | 비어 있는 NYSAC 미들급 타이틀의 경우 |
150 | 이기다 | 119–11–20 | 글렌 리 | PTS | 10 | 1938년 7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스노의 라트클리프 스타디움 | |
149 | 이기다 | 118–11–20 | 재키 버크 | PTS | 10 | 1938년 5월 25일 |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 맥컬러스의 아레나. | |
148 | 이기다 | 117–11–20 | 프레드 아포스톨리 | PTS | 10 | 1938년 2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씰 스타디움. | |
147 | 이기다 | 116–11–20 | 딕 포스터 | PTS | 10 | 1937년 12월 1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46 | 손실 | 115–11–20 | 빌리 콘 | UD | 10 | 1937년 11월 8일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듀크스네 가든스. | |
145 | 이기다 | 115–10–20 | 빌리 콘 | PTS | 10 | 1937년 8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144 | 이기다 | 114–10–20 | 조 스몰우드 | PTS | 10 | 1937년 7월 21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143 | 이기다 | 113–10–20 | 데일 스파르 | PTS | 10 | 1937년 4월 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42 | 이기다 | 112–10–20 | 구스 레스네비치 | TKO | 5 (10) | 1937년 3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41 | 이기다 | 111–10–20 | 조 버널 | PTS | 10 | 1936년 9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스노의 프랭크 찬스 필드 | |
140 | 이기다 | 110–10–20 | 마이크 바손 | PTS | 10 | 1936년 7월 3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39 | 이기다 | 109–10–20 | 프랭키 브리트 | KO | 7 (10) | 1936년 7월 1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38 | 손실 | 108–10–20 | 루 브뤼야르 | PTS | 10 | 1935년 7월 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케자 스타디움 | |
137 | 이기다 | 108–9–20 | 베프 판 클라브렌 | PTS | 10 | 1935년 2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케자 스타디움 | |
136 | 이기다 | 107–9–20 | 베프 판 클라브렌 | PTS | 10 | 1935년 1월 2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시빅 오디토리움. | |
135 | 이기다 | 106–9–20 | 미키 워커 | PTS | 10 | 1934년 8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씰 스타디움. | |
134 | 이기다 | 105–9–20 | 영 테리 | KO | 3 (10) | 1934년 4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시빅 오디토리움. | |
133 | 이기다 | 104–9–20 | 베이브 마리노 | PTS | 10 | 1934년 2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시빅 오디토리움. | |
132 | 손실 | 103–9–20 | 지미 매클라닌 | TKO | 1 (10) | 1933년 5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리글리 필드 | NYSAC, NBA, 더 링 웰터급 타이틀 잃음 |
131 | 이기다 | 103–8–20 | 재키 필즈 | PTS | 10 | 1933년 2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씰 스타디움. | NYSAC, NBA, 더 링 웰터급 타이틀 획득 |
130 | 이기다 | 102–8–20 | 조 글릭 | PTS | 10 | 1932년 12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박람회 강당 | |
129 | 이기다 | 101–8–20 | 세페리노 가르시아 | TKO | 9 (10) | 1932년 10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128 | 이기다 | 100–8–20 | 베이브 앤더슨 | TKO | 9 (10) | 1932년 8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스톡턴 | |
127 | 이기다 | 99–8–20 | 벨 화이트헤드 | PTS | 10 | 1932년 5월 1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시빅 오디토리움. | |
126 | 이기다 | 98–8–20 | 데이비드 벨라코 | PTS | 10 | 1932년 4월 2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에 있는 메모리얼 오디토리움 | |
125 | 이기다 | 97–8–20 | 세페리노 가르시아 | PTS | 10 | 1932년 4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 |
124 | 이기다 | 96–8–20 | 데이비드 벨라스코 | PTS | 10 | 1932년 3월 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23 | 이기다 | 95–8–20 | 가스통 레카드레 | PTS | 10 | 1931년 8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22 | 이기다 | 94–8–20 | 마이어 그레이스 | PTS | 10 | 1931년 6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헐리우드 레지옹 스타디움 | |
121 | 이기다 | 93–8–20 | 토미 허먼 | PTS | 10 | 1931년 5월 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20 | 이기다 | 92–8–20 | 폴 피론 | PTS | 10 | 1931년 3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19 | 이기다 | 91–8–20 | 파울리 워커 | PTS | 10 | 1931년 2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18 | 그리다 | 90–8–20 | 파울리 워커 | PTS | 10 | 1931년 1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 |
117 | 이기다 | 90–8–19 | 농부 조 쿠퍼 | KO | 1 (10) | 1930년 11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116 | 이기다 | 89–8–19 | 새미 잭슨 | PTS | 10 | 1930년 9월 3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오디토리움 | |
115 | 이기다 | 88–8–19 | 잭 톰프슨 | PTS | 10 | 1930년 7월 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이윙 필드. | |
114 | 이기다 | 87–8–19 | 앤디 디보디 | KO | 6 (10) | 1930년 5월 1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13 | 이기다 | 86–8–19 | 알프 로스 | PTS | 10 | 1930년 4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12 | 이기다 | 85–8–19 | 재키 필즈 | PTS | 10 | 1930년 2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레크리에이션 파크. | |
111 | 이기다 | 84–8–19 | 베이브 앤더슨 | PTS | 10 | 1930년 1월 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 포맨스 아레나. | |
110 | 이기다 | 83–8–19 | 토미 엘크스 | PTS | 10 | 1929년 12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09 | 이기다 | 82–8–19 | 버키 롤리스 | KO | 1 (10) | 1929년 8월 3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08 | 이기다 | 81–8–19 | 클라이드 채스테인 | PTS | 10 | 1929년 6월 2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07 | 이기다 | 80–8–19 | 앨 밴 라이언 | PTS | 10 | 1929년 6월 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106 | 이기다 | 79–8–19 | 피트 마이어스 | PTS | 10 | 1929년 4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105 | 이기다 | 78–8–19 | 프레드 마한 | PTS | 10 | 1929년 3월 1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104 | 이기다 | 77–8–19 | 알 그라시오 | TKO | 8 (10) | 1929년 2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103 | 그리다 | 76–8–19 | 피트 마이어스 | PTS | 10 | 1929년 1월 11일 | 미국 뉴욕 브루클린 에베츠필드. | |
102 | 손실 | 76–8–18 | 새미 베이커 경 | PTS | 12 | 1928년 9월 26일 | 미국 뉴욕 브루클린 에베츠필드. | |
101 | 이기다 | 76–7–18 | 새미 베이커 경 | PTS | 12 | 1928년 9월 13일 | 미국 뉴욕시 매디슨 스퀘어 가든 | |
100 | 이기다 | 75–7–18 | 닉 테스토 | KO | 5 (10) | 1928년 8월 1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오디토리움. | |
99 | 이기다 | 74–7–18 | 잭 지빅 | PTS | 10 | 1928년 6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98 | 이기다 | 73–7–18 | 토니 아제베도 | PTS | 10 | 1928년 4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야구장. | |
97 | 이기다 | 72–7–18 | 에디 로버츠 | KO | 9 (10) | 1928년 3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96 | 이기다 | 71–7–18 | 잭 톰프슨 | PTS | 10 | 1928년 2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주 무기고 | |
95 | 이기다 | 70–7–18 | 영 샘 랭퍼드 | PTS | 10 | 1927년 12월 2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내셔널 홀 | |
94 | 이기다 | 69–7–18 | 길베르토 아텔 | KO | 5 (10) | 1927년 12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내셔널 홀 | |
93 | 이기다 | 68–7–18 | 세일러 애쉬모어 | KO | 5 (10) | 1927년 11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92 | 이기다 | 67–7–18 | 데이브 쿡 | KO | 2 (10) | 1927년 11월 1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91 | 이기다 | 66–7–18 | 찰리 페라시 | PTS | 10 | 1927년 10월 2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콜리세움. | |
90 | 이기다 | 65–7–18 | 조 바르가스 | PTS | 10 | 1927년 9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89 | 이기다 | 64–7–18 | 프레디 맥 | PTS | 10 | 1927년 8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링크 | |
88 | 그리다 | 63–7–18 | 토미 화이트 | PTS | 10 | 1927년 7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링크 | |
87 | 그리다 | 63–7–17 | 잭 톰프슨 | PTS | 10 | 1927년 6월 2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링크 | |
86 | 이기다 | 63–7–16 | 잭 실버 | PTS | 10 | 1927년 6월 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85 | 이기다 | 62–7–16 | 프랭키 티어니 | PTS | 10 | 1927년 5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84 | 이기다 | 61–7–16 | 영 해리 윌리스 | 디큐 | 10 (10) | 1927년 4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83 | 그리다 | 60–7–16 | 빌리 머피 | PTS | 10 | 1927년 3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디토리움. | |
82 | 이기다 | 60–7–15 | 래리 머피 | PTS | 10 | 1927년 3월 1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81 | 이기다 | 59–7–15 | 필 살바도르 | TKO | 4 (10) | 1927년 1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80 | 이기다 | 58–7–15 | 딕 호페 | PTS | 10 | 1926년 12월 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헐리우드 레지옹 스타디움 | |
79 | 이기다 | 57–7–15 | 잭 스퍼 | TKO | 3 (10) | 1926년 11월 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78 | 이기다 | 56–7–15 | 조 셰이니 | PTS | 6 | 1926년 10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 |
77 | 이기다 | 55–7–15 | 제리 영 카펜테로 | TKO | 5 (10) | 1926년 10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76 | 이기다 | 54–7–15 | 찰리 페라시 | PTS | 10 | 1926년 9월 2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콜리세움. | |
75 | 이기다 | 53–7–15 | 세일러 애쉬모어 | KO | 5 (10) | 1926년 9월 10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 | |
74 | 이기다 | 52–7–15 | 조 레이먼 | PTS | 10 | 1926년 8월 2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콜리세움. | |
73 | 이기다 | 51–7–15 | 빌리 알제리 | PTS | 10 | 1926년 8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콜리세움. | |
72 | 이기다 | 50–7–15 | 레오 클라로 | KO | 3 (10) | 1926년 7월 2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 | |
71 | 이기다 | 49–7–15 | 영 파프케 | PTS | 10 | 1926년 7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70 | 그리다 | 48–7–15 | 빌리 알제리 | PTS | 10 | 1926년 7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피스모 비치 | |
69 | 이기다 | 48–7–14 | 잭 스퍼 | PTS | 10 | 1926년 6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68 | 이기다 | 47–7–14 | 조 슈로커 | PTS | 10 | 1926년 6월 1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67 | 이기다 | 46–7–14 | 영 버메이 | KO | 3 (6) | 1926년 5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 | |
66 | 이기다 | 45–7–14 | 영 잭 톰프슨 | PTS | 6 | 1926년 5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65 | 이기다 | 44–7–14 | 대니 매코이 | KO | 4 (6) | 1926년 5월 10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 | |
64 | 이기다 | 43–7–14 | 프리먼 블랙 | TKO | 4 (6) | 1926년 2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63 | 그리다 | 42–7–14 | 딕 호페 | PTS | 8 | 1926년 2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 | |
62 | 이기다 | 42–7–13 | 존 배팅 워드 | PTS | 10 | 1926년 1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의 태프트 아레나. | |
61 | 이기다 | 41–7–13 | 지미 카터 | KO | 5 (6) | 1926년 1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60 | 이기다 | 40–7–13 | 잭 가르시아 | TKO | 5 (6) | 1925년 10월 2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태프트의 태프트 아레나. | |
59 | 이기다 | 39–7–13 | 조 파월 | PTS | 8 | 1925년 7월 7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의 폴리스볼파크. | |
58 | 이기다 | 38–7–13 | 프랭키 토머스 | PTS | 6 | 1925년 6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의 폴리스볼파크. | |
57 | 그리다 | 37–7–13 | 영 샘 랭퍼드 | PTS | 10 | 1925년 6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베이커스필드 컨 A.C. | |
56 | 이기다 | 37–7–12 | 빌리 레이즈 | PTS | 6 | 1925년 5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55 | 이기다 | 36–7–12 | 조 셰이니 | PTS | 6 | 1925년 5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54 | 이기다 | 35–7–12 | 키드 코펙스 | 디큐 | 6 (8) | 1925년 4월 27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53 | 손실 | 34–7–12 | 잭 매카시 | PTS | 10 | 1925년 3월 24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52 | 이기다 | 34–6–12 | 길버트 갤런트 | KO | 2 (10) | 1925년 3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51 | 그리다 | 33–6–12 | 율리우스 제식 | PTS | 4 | 1925년 2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50 | 이기다 | 33–6–11 | 인디언 마이크 도일 | PTS | 4 | 1924년 12월 1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49 | 그리다 | 32–6–11 | 율리우스 제식 | PTS | 4 | 1924년 11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48 | 이기다 | 32–6–10 | 조 셰이니 | PTS | 4 | 1924년 11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 |
47 | 이기다 | 31–6–10 | 세일러 스미스 | PTS | 4 | 1924년 10월 3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 페드로의 최고 하급 장교 클럽 | |
46 | 이기다 | 30–6–10 | 피트 프랜시스 | PTS | 4 | 1924년 9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45 | 손실 | 29–6–10 | KO 켈리 | PTS | 4 | 1924년 5월 27일 | 미국 캘리포니아 버논의 아레나. | |
44 | 손실 | 29–5–10 | 아드 카데나 | PTS | 4 | 1924년 5월 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 페드로의 최고 하급 장교 클럽 | |
43 | 그리다 | 29–4–10 | 잭 스퍼 | PTS | 4 | 1924년 5월 2일 | 미국 캘리포니아 헐리우드 레지옹 스타디움 | |
42 | 그리다 | 29–4–9 | 에디 두디 | PTS | 4 | 1924년 4월 2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의 드림랜드 링크 | |
41 | 그리다 | 29–4–8 | 샘 로비데오 | PTS | 4 | 1924년 4월 2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 페드로의 최고 하급 장교 클럽 | |
40 | 이기다 | 29–4–7 | 배틀링테코 | PTS | 4 | 1924년 4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베이커스필드 베이커스필드 스타디움 | |
39 | 이기다 | 28–4–7 | 베니 베리스 | PTS | 4 | 1924년 4월 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38 | 그리다 | 27–4–7 | 조 셰이니 | PTS | 4 | 1924년 3월 1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IDE 홀 | |
37 | 그리다 | 27–4–6 | 제이 로버츠 | PTS | 4 | 1924년 3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파센다 | |
36 | 그리다 | 27–4–5 | 베니 베리스 | PTS | 4 | 1924년 3월 4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35 | 이기다 | 27–4–4 | 조 벨 | PTS | 4 | 1924년 1월 30일 | 머시드 A.C., 머시드, 캘리포니아 주 | |
34 | 손실 | 26–4–4 | 트렌치킹 | PTS | 4 | 1923년 12월 29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33 | 이기다 | 26–3–4 | 에디 하든 | PTS | 4 | 1923년 11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32 | 이기다 | 25–3–4 | 클라렌스 산체스 | PTS | 4 | 1923년 11월 1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31 | 이기다 | 24–3–4 | 토미 오리어리 | PTS | 4 | 1923년 11월 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의 L 스트리트 아레나. | |
30 | 이기다 | 23–3–4 | 조르기 리 | PTS | 4 | 1923년 10월 31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29 | 이기다 | 22–3–4 | 프랭키 비에라 | PTS | 4 | 1923년 10월 1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28 | 이기다 | 21–3–4 | 영 프레델라 | PTS | 4 | 1923년 9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의 야구공원 | |
27 | 그리다 | 20–3–4 | 키드 리치 | PTS | 4 | 1923년 9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 툴레어 페어그라운드. | |
26 | 이기다 | 20–3–3 | 클라렌스 산체스 | KO | 3 (4) | 1923년 7월 1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25 | 이기다 | 19–3–3 | 에디 마호니 | PTS | 4 | 1923년 6월 2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비살리아 | |
24 | 이기다 | 18–3–3 | 리 베버 | PTS | 4 | 1923년 5월 2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IDE 홀 | |
23 | 이기다 | 17–3–3 | 키드 허드슨 | KO | 2 (4) | 1923년 5월 1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22 | 이기다 | 16–3–3 | 조 시마스 | PTS | 4 | 1923년 4월 2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 |
21 | 이기다 | 15–3–3 | 클라렌스 산체스 | PTS | 4 | 1923년 4월 1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20 | 이기다 | 14–3–3 | 버드 라일리 | SD | 4 | 1923년 4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 베이커스필드 아레나. | |
19 | 이기다 | 13–3–3 | 팻 라이언 | KO | 1 (4) | 1923년 2월 16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IDE 홀 | |
18 | 이기다 | 12–3–3 | 리 베버 | PTS | 4 | 1923년 2월 9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핸퍼드 | |
17 | 이기다 | 11–3–3 | 지미 브래디 | PTS | 4 | 1923년 2월 6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16 | 이기다 | 10–3–3 | 빌리 콜 | KO | 2 (4) | 1923년 1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15 | 이기다 | 9–3–3 | 빌리 조던 | TKO | 2 (4) | 1923년 1월 9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14 | 이기다 | 8–3–3 | 에디 오코넬 | PTS | 4 | 1922년 10월 24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IDE 홀 | |
13 | 이기다 | 7–3–3 | 키드 스완 | KO | 2 (4) | 1922년 1월 20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IDE 홀 | |
12 | 그리다 | 6–3–3 | 키드 하디 | PTS | 4 | 1921년 12월 1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툴레어 | |
11 | 손실 | 6–3–2 | 에디 맥거번 | PTS | 4 | 1921년 9월 27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10 | 이기다 | 6–2–2 | 영 피터스 | PTS | 4 | 1921년 1월 10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터빌 | |
9 | 이기다 | 5–2–2 | 테리 맥거번 | PTS | 4 | 1920년 9월 28일 |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즈노 시빅 오디토리움. | |
8 | 이기다 | 4–2–2 | 키드 크리스 | KO | 2 (4) | 1920년 7월 2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7 | 이기다 | 3–2–2 | 키드 크리스 | PTS | 4 | 1920년 7월 2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6 | 이기다 | 2–2–2 | 테리 호건 | PTS | 4 | 1920년 7월 1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5 | 그리다 | 1–2–2 | 테리 호건 | PTS | 4 | 1920년 6월 1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4 | 손실 | 1–2–1 | 에디 모리스 | KO | 3 (4) | 1920년 2월 5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매리스빌 | |
3 | 손실 | 1–1–1 | 잭 오키프 | KO | 3 (4) | 1920년 1월 1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산마테오 플로럴 A.C. | |
2 | 그리다 | 1–0–1 | 키드 제프리스 | PTS | 4 | 1919년 10월 3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
1 | 이기다 | 1–0 | 영 맥거번 | PTS | 4 | 1919년 9월 28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 |
참고 항목
참조
- ^ "The Lineal Welterweight Champs". Cyber Boxing Zone.
- ^ a b c 로버츠, 스코트, 페이지 90
- ^ 역대 최고의 12개 남포, thefightcity.com, 6-21-16일에 검색됨
- ^ 복싱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남포 10위, bleacherreport.com, 6-21-16일 회수
- ^ Ken Blady, The Jewish Boxers Fame Hall of Fame, SP Books, 1988년, 페이지 205
- ^ "Fresno County Athletic Hall of Fame Home". Fresno County Athletic Hall of Fame Home. Retrieved 2017-02-02.
- ^ Young Corbett III/NIASHF, NIASHF.com, 7-10-14일에 검색됨
- ^ Young Corbett III/IBHOF, IBHOF.com, 3-28-08에 검색됨
- ^ "Article about Young Corbett III" (PDF). Retrieved 2014-05-21.
- ^ "Young Corbett III - Boxrec Boxing Encyclopaedia". Boxrec.com. Retrieved 2014-05-21.
- ^ 허드슨 주니어, 페이지 70
- ^ a b "Young Corbett's lounge was a place the Champ welcomed friends and strangers alike". fresnobee.com. 2016-12-31. Retrieved 2018-04-10.
- ^ 로버츠, 스쿠트, 페이지 91
- ^ "McLarnin Spotted Flaw, Stunned Young Corbett - Los Angeles Times". Articles.latimes.com. 1999-03-29. Retrieved 2014-05-21.
- ^ "Young Corbett III". Ibhof.com. Retrieved 2017-03-16.
- ^ "Young Corbett III, Boxer, 88". nytimes.com. Retrieved 2018-04-10.
- ^ "Fifty years ago Young Corbett III was welterweight champion..." upi.com. Retrieved 2018-04-10.
- ^ Young Corbett III - Non'cera 솔로 로코 마졸라(이탈리아어)
참고 문헌 목록
- 제임스 B.로버츠, 알렉산더 G.스쿠트, 복싱 레지스터: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 공식 기록서, 맥북스 출판사, 2006
- 데이비드 L.허드슨 주니어, 컴뱃 스포츠: ABC-CLIO, 2009년 레슬링, 격투, 종합격투기 백과사전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영 코벳 3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