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톰 에디슨
Young Tom Edison영 톰 에디슨 | |
---|---|
![]() 영화 포스터 | |
연출자 | 노먼 타우그 |
작성자 | 휴고 버틀러 브래드베리 푸트 도레 샤리 |
제작자 | 존 W. 고려인 주니어 |
주연 | 미키 루니 페이 베인터 조지 밴크로프트 |
시네마토그래피 | 시드니 와그너 |
편집자 | 엘모 베론 |
음악: | 에드워드 워드 |
생산. 회사 | |
배포자 | 로우스 주식회사 |
발매일 |
|
실행 시간 | 86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영 톰 에디슨은 1940년 발명가 토마스 에디슨의 초기 생애에 관한 전기 영화로 노먼 타록 감독이 연출하고 미키 루니가 주연을 맡았다.이 영화는 메트로-골드윈-메이어가 1940년에 출시한 에디슨 바이오픽의 보완판 중 첫 번째 작품이었다.스펜서 트레이시가 주연한 에디슨은 두 달 후 에디슨의 인생 [1]2부작 이야기를 완성하며 뒤를 이었다.
이 영화는 1940년 2월 10일 토마스 에디슨이 어린 [2]시절을 보냈던 미시간 주 포트 휴런에서 특별 시사회를 가졌다.
줄거리.
이 영화는 상상력이 풍부한 소년 톰이 끊임없이 장난을 치고 화학 실험으로 현지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마을 사람들은 그를 문제아로 여긴다.남북전쟁이 발발하자 톰은 열차 안에서 음식과 간식을 팔고 나중에 신문지를 만들어 승객들에게 나눠주는 사업을 시작한다.영감의 일격으로, 톰은 밤에 여러 개의 램프의 빛을 큰 거울에 집중시켜 외과의사가 그의 어머니를 성공적으로 수술할 수 있도록 합니다.이야기는 톰이 열차 호루라기와 함께 기관사에게 강에 빠지기 전에 멈추라고 경고하며 필사적으로 모스 부호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끝난다.이 두 행동은 마침내 이제 영웅이 된 톰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출연자들
- 토마스 에디슨 역의 미키 루니
- 낸시 에디슨 역의 페이 베인터
- 새뮤얼 에디슨 역의 조지 밴크로프트
- 타니 에디슨 역의 버지니아 바이들러
- 넬슨 역의 유진 팔레트
- 딩글 역의 빅터 킬리언
- 조 딩글 역의 바비 조던
- J. M. 케리건 씨 역의 매카니 씨
- 닥터 펜더 역의 로이드 코리건
- 빌 에디슨 역의 존 켈로그
- 미스터 와델 역의 클렘 베번스
- 해리 섀넌, 육군 대위 브라켓
- Stanley Blystone, 육군 장교(비신뢰)
- 텔레그래퍼 역할의 올린 하울랜드 (미신용)
- 맥과이어 역의 미첼 루이스(미신정)
- 스펜서 트레이시가 토마스 에디슨의 초상화를 동경하는 남자 역 (비인정)
생산.
기차 장면은 캘리포니아 [3]투올룸네 카운티의 시에라 철도에서 촬영되었다.
접수처
영화가 개봉되자 루니는 1940년 3월 18일자 타임지의 표지에 자신의 사진을 실었다.동반된 기사는 루니를 "만화 속 얼굴의 밧줄머리에 카즈오 목소리를 가진 아이로, 이번 주까지 사진에 등장한 적이 없는데,[4] 그는 그것을 강도질하거나 과장되게 행동했다."라고 불렀다.이 영화는 루니의 가장 냉정하고 절제된 연기를 보여주었는데, 루니는 (그 자신처럼) 미국 사회의 맨 밑바닥에서 시작되었고, (그 자신처럼) 힘겹게 싸워야 했지만, (미키와 달리) 조사, 발명, [1]사고가 주된 활동이었던 한 소년이 승리했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프랭크 S. 뉴욕타임스의 너젠트는 "루니 씨의 초상화는 그의 앤디 하디보다 약간 덜 루니쉬한 정도로만 주제를 왜곡하고 있다"고 썼다.그 의미는 어린 톰 에디슨이 미키 루니쉬가 아니었다면 그 책임은 M이 아니라 에디슨에게 있다는 것이다.루니.그리고, 우리가 아는 한, 그것이 가장 현명한 태도일 수도 있습니다...분명한 것은 에디슨 역의 스펜서 트레이시입니다.앞으로 [5]어려운 임무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버라이어티지의 리뷰는 이 영화를 "엔터테인먼트 관점에서 본 영화 중 가장 훌륭한 전기 중 하나"라며 루니의 "과거 거품이 일었다"[1]고 칭찬했다.Harrison's Reports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 사진은 그 나라의 젊은이들에게 영감을 줄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과 [6]노인들 모두에게 큰 즐거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Film Daily는 이렇게 썼다: "미키는 타이틀 역할에서 훌륭하게 연기하고 그가 인기 있는 코미디 [7]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지하고 극적인 순간도 다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뉴요커'의 존 모셔는 이 영화를 "특별히 일상적인 작품"이라면서도 "건강한 면에서는 즐겁고 순수한 물건이며, 우리 나이 든 사람들이 젊은 층에 [8]의해서만 바라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영화는 미국 영화 협회 목록에 두 개 후보로 올랐다.
- 2003년: AFI의 100년...영웅과 악당 100명:
- 토마스 알바 "톰" 에디슨 – 영웅[9]
- 2006년: AFI의 100년...100[10] 치어스
레퍼런스
- ^ a b c "Young Tom Edison (1940)". Turner Classic Movies. Retrieved November 27, 2015.
- ^ "All Aboard! (Advertisement)". Film Daily. New York: Wid's Films and Film Folk, Inc.: 5 February 8, 1940.
- ^ Jensen, Larry (2018). Hollywood's Railroads: Sierra Railroad. Vol. Two. Sequim, Washington: Cochetopa Press. p. 19. ISBN 9780692064726.
- ^ "Cinema: Success Story". Time. March 18, 1940. Retrieved 2013-09-16.
Hollywood's No. 1 box office bait in 1939 was not Clark Gable, Errol Flynn or Tyrone Power, but a rope-haired, kazoo-voiced kid with a comic-strip face, who until this week had never appeared in a picture without mugging or overacting it. His name (assumed) was Mickey Rooney, and to a large part of the more articulate U. S. cinemaudience, his name was becoming a frequently used synonym for brat.
- ^ Nugent, Frank S. (March 15, 1940). "Movie Review - Young Tom Ediso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November 27, 2015.
- ^ "'Young Tom Edison' with Mickey Rooney". Harrison's Reports: 34. March 2, 1940.
- ^ "Reviews of the New Films". Film Daily. New York: Wid's Films and Film Folk, Inc.: 4 February 13, 1940.
- ^ Mosher, John (March 23, 1940). "The Current Cinema". The New Yorker. New York: F-R Publishing Corp. p. 78.
- ^ "AFI's 100 Years...100 Heroes & Villains Nominees" (PDF). Retrieved 2016-08-14.
- ^ "AFI's 100 Years...100 Cheers Nominees" (PDF). Retrieved 2016-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