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간스키 자연보호구역

Yugansky Nature Reserve
유간스키 자연보호구역
러시아어: иаапппппппппппкккккк
(또한: )
Юганский заповедник. р. Негусьях.JPG
유간스키 자포베드니크
Map showing the location of Yugansky Nature Reserve
Map showing the location of Yugansky Nature Reserve
예비역 위치
위치한티만시 자치구
가장 가까운 도시우구트
좌표59°32′21″N 74°37′48″E / 59.53917°N 74.63000°E / 59.53917; 74.63000좌표: 59°32′21″N 74°37′48″E / 59.53917°N 74.63000°E / 59.53917; 74.63000000
면적648,636 헥타르(1602,814에이커, 2,504 sq mi)
확립된1982 (1982)
통치기구천연자원환경부(러시아)
웹사이트http://ugansky.ru/

유간스키 자연보호구역(러시아어: юаас)) (또한 )은 오브 강의 좌 지류인 볼쇼이 유간 강 유역의 러시아 '자포브드니크'(강력한 생태 보호구역)이다. 보호구역은 서시베리아 평야의 중부, 중부 오브 저지대의 남부에 있다. 옴스크 시에서 북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한티만시 자치구 서구츠키 구에 위치하고 있다. 보호구역은 1982년에 만들어졌으며 면적은 648,636 ha(2,504.40 sq mi)이다.[1][2]

지형

유간스키 보호구역은 남부 스레드놉스카야 저지대에 위치해 있다. 지형은 대부분 좁은 강 계곡과 광활한 습지다. 삼림지대는 보호구역의 64%를 차지한다. 숲은 36%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늪이다.[3]

기후와 에코레지온

유간스키 보호구역은 서시베리아 평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시베리아 타이가 에코레지온에 위치해 있다.

유간스키의 기후는 건기없는 아북극성 기후(Köppen기후분류 아바르틱기후(Dfc))이다. 이 기후는 온화한 여름(10.0°C(50.0°F) 위의 1~3개월만)과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26.6°F)이 특징이다.[4][5] 이 지역은 평균 92일간 서리가 내리지 않으며, 성장기는 137일이다. 지배적인 바람은 남서풍과 남풍이다.

식물과 동물

유간스키의 지형은 주로 범람원으로 삼나무와 전나무 숲으로 덮여 있다.[3] 보호구역은 40종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설치류 동물이다. 큰 포유류는 곰, 링스, 울버린으로 대표된다. 초식동물로는 고라니와 숲 순록이 있다.

피아트보그, 공중조망 유간스키 자연보호구역

생태관광주의

엄격한 자연 보호구역으로서, 유간스키 보호구역은 과학자들과 '환경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공원 관리소에 방문 준비를 할 수 있지만, 일반 대중은 대부분 폐쇄되어 있다. 마을에는 공교육을 위해 예비역이 운영하는 작은 자연박물관이 있다. 경영진은 미리 정비해 일반인에게 개방하는 습지대로의 '생태관광객' 루트를 개설했다. 그러나 이 예비역은 교통이 편리하고 거리가 멀며, 온라인과 가상 매체를 통해 대부분의 환경교육 활동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청은 우구트 마을에 있다. 가장 가까운 도시는 북쪽으로 300km 떨어진 수르굿이다.[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Yugansky Zapovednik (Official Site)" (in Russian).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Russia). Retrieved January 21, 2016.
  2. ^ "Yugansky Zapovednik" (in Russian).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Russia). Retrieved January 21, 2016.
  3. ^ a b "Yugansky" (in Russian). Zapovedniki-Mira. Retrieved February 13, 2016.
  4. ^ Kottek, Markus; Grieser, Jürgen; Beck, Christoph; Rudolf, Bruno; Rubel, Franz (2006).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PDF). Meteorologische Zeitschrift. 15 (3): 259–263. Bibcode:2006MetZe..15..259K. doi:10.1127/0941-2948/2006/0130.
  5. ^ "Dataset - Koppen climate classifications". World Bank. Retrieved September 14,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