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2021년 12월)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도(國道)라고 한다.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 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며, 시내동지역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시장이 관리한다. 고속도로와 달리 2차로나 미포장로도 일정 구간이 존재하며, 1급에서 4급까지로 나뉜다. 각각의 도로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어, '몇 번 국도' 또는 '국도 몇 호선'으로 통칭된다.
일제강점기 시대였던 1938년에 《조선도로령》에 따라 처음 지정되었고, 이 때 지정된 노선은 1960년대 중반까지 대체적으로 유지되다가[1] 1967년에 이르러 현재의 노선이 지정되었다.[2]
노선 번호 부여 체계
[편집]대한민국의 일반국도 노선을 표기할 때는 파란색 타원에 흰색 숫자로 표기한다. 일반국도 노선 번호는 한자리 또는 두자리 수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방향으로 된 노선은 홀수로 번호를 붙이고 동서방향으로 된 노선은 짝수로 번호를 붙인다. 한자리 수로 된 일반국도는 가장 기본이 되는 축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두자리 수로 된 일반국도는 각 한자리 수의 일반국도를 이어주는 간선 역할을 한다.[3][4]
역사
[편집]- 1938년 12월 1일 : 조선도로령에 의해 국도 노선을 최초로 지정
- 1962년 1월 1일 : 조선도로령 폐지
- 1963년 2월 5일 : 각령 제119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에 의해 조선도로령에 있던 국도 노선이 보존됨.[5]
- 1966년 12월 27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각령을 개정해 조선도로령과 전혀 다른 지금과 같은 노선 뼈대가 형성되었다.[6]
- 1969년 12월 1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으로 변경[7]
- 1971년 8월 31일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을 폐지하고[8] 일반국도노선지정령을 제정.[9] 이 때 일부 1급국도가 고속국도로 분리되어 지정됨.
- 1972년 2월 22일 : 국도 제27호선 신설,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변경.[10]
- 1981년 3월 14일 : 국도 12개 노선을 신설하고 13개 노선을 연장해 지정함. 3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11]
- 국도 제1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호선 노선명을 '군산 ~ 경주선'에서 '군산 ~ 감포선'으로 변경,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2호선 노선명을 '제주 ~ 우회선'에서 '제주 제1우회선'으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으로 연장해 '완도 ~ 담양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4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군 장승포읍'에서 '경상남도 거제군 동부면'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5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으로 연장해 '나로도 ~ 담양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6호선 제주 제2우회선 노선 신설
- 국도 제1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으로, 종점을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으로 연장해 '돌산 ~ 양지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8호선 진도 ~ 구례선 노선 신설
- 국도 제1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0호선 시천 ~ 경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21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으로 연장해 '군산 ~ 장호원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2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로 연장해 '정주 ~ 순천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3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으로 연장해 '마량 ~ 천안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4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으로 연장해 '지도 ~ 울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7호선 종점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로 연장해 '녹동 ~ 군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8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서 '경상북도 영주시'로 연장해 '영주 ~ 포항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9호선 장동 ~ 대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0호선 변산 ~ 대구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1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남도 울산시'로 연장해 '울산 ~ 신고산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2호선 노선명을 '서산 ~ 대전선'에서 '만리포 ~ 대전선'으로 변경,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3호선 고성 ~ 선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4호선 기점을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으로 연장해 '당진 ~ 영덕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5호선 부산 ~ 강릉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7호선 거창 ~ 문산선 노선 신설
- 국도 제38호선 종점을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에서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으로 연장해 '평택 ~ 삼척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9호선 부여 ~ 의정부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0호선 대천 ~ 공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2호선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해 '인천 ~ 동해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서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으로 연장해 '발안 ~ 고성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5호선 해미 ~ 청평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6호선 종점을 '강원도 속초시'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으로 연장해 '인천 ~ 간성선'으로 변경하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7호선 반월 ~ 금화선 노선 신설
- 국도 제48호선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6호선 금화 ~ 양양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노선명을 '제주 ~ 회순선'에서 '제주 ~ 중문선'으로 변경
- 1981년 6월 24일 : 국도 제3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삼천포시'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해 '남해 ~ 초산선'으로 변경, 국도 제14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국도 제23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에서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으로 연장해 '강진 ~ 천안선'으로 변경[12]
- 1986년 5월 13일 : 직할시 출범 등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주요 경유지 수정[13]
- 1990년 10월 30일 : 국도 제29호선 시점을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에서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으로 변경해 '보성 ~ 대산선'으로 변경, 국도 제38호선 종점을 '강원도 삼척시'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연장해 '평택 ~ 동해선'으로 변경[14]
- 1996년 7월 1일 : 국도 3개 노선을 신설하고 6개 노선을 연장해 지정함. 41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 1개 노선 폐지.[15]
- 국도 제2호선 종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3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
- 국도 제4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월성군 감포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군산 ~ 경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6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종점을 '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인천 ~ 강릉선'으로 변경
- 국도 제7호선 기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14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군 남부면'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울산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로 연장해 노선명을 '거제 ~ 포항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종점을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에서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여천 ~ 용인선'으로 변경
- 국도 제19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
- 국도 제20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로 연장해 노선명을 '산청 ~ 포항선'으로 변경
- 국도 제21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전주시'로 연장, 종점을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으로 변경해 노선명을 '전주 ~ 이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2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정주시'에서 '전라북도 정읍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정읍 ~ 순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4호선 노선명을 '신안 ~ 울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26호선 종점을 '대구직할시 서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로 변경
- 국도 제29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보성 ~ 서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0호선 종점을 '대구직할시 서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로 변경
- 국도 제31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울산시'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부산 ~ 신고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소원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태안읍'으로, 종점을 '충청남도 대전시'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변경해 노선명을 '서산 ~ 대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선산군 선산읍'에서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고성 ~ 구미선'으로 변경
- 국도 제35호선 기점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변경
- 국도 제36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대천시'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보령 ~ 울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7호선 종점을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거창 ~ 파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38호선 기점을 '경기도 평택군 포승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서산 ~ 동해선'으로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대천시'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변경
- 국도 제42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에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연기 ~ 고성선'으로 변경
- 국도 제45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해미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산 ~ 가평선'으로 변경
- 국도 제46호선 기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인천 ~ 고성선'으로 변경
- 국도 제47호선 노선명을 '화성 ~ 철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48호선 기점을 '경기도 강화군 양사면'에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으로 변경
- 국도 제56호선 노선명을 '철원 ~ 양양선'으로 변경
- 국도 제59호선 광양 ~ 하동선 노선 신설
- 국도 제67호선 칠곡 ~ 구미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8호선 만포진 ~ 강계선 노선 폐지
- 국도 제82호선 평택 ~ 화성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노선명을 '제주 ~ 서귀포선'으로 변경
- 2001년 8월 25일 : 국도 7개 노선을 신설하고 15개 노선을 바꿈[16]
- 국도 제2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신안 ~ 부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11호선 기점을 '제주도 제주시'에서 '제주도 서귀포시'로, 종점을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제주도 제주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귀포 ~ 제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완도 ~ 금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여천군 돌산읍'에서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여수 ~ 용인선'으로 변경
- 국도 제18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서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으로 연장
- 국도 제19호선 종점을 '강원도 원주시'에서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남해 ~ 홍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1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남원 ~ 이천선'으로 변경
- 국도 제24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으로 연장
- 국도 제2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서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으로 연장
- 국도 제32호선 종점을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대전광역시 중구'로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예산 ~ 공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46호선 종점을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으로 변경
- 국도 제47호선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에서 '경기도 안산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안산 ~ 철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58호선 진해 ~ 청도선 노선 신설
- 국도 제59호선 종점을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광양 ~ 양양선'으로 변경
- 국도 제75호선 가평 ~ 화천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7호선 부산 ~ 인천선 노선 신설
- 국도 제79호선 의령 ~ 창녕선 노선 신설
- 국도 제87호선 포천 ~ 철원선 노선 신설
- 국도 제88호선 영양 ~ 울진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5호선 남제주 ~ 북제주선 노선 신설
- 국도 제99호선 기점을 '제주도 제주시'에서 '제주도 서귀포시'로, 종점을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제주도 제주시'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서귀포 ~ 제주선'으로 변경
- 2008년 1월 3일 : 국도 제4호선의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17]
- 2008년 11월 17일 : 국도 5개 노선을 연장하고 18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 5개 노선을 폐지[18]
- 국도 제1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대전광역시)
- 국도 제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거제 ~ 중강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1호선 서귀포 ~ 제주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2호선 제주 제1우회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4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16호선 제주 제2우회선 노선 폐지
- 국도 제1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2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읍'에서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으로 변경하고 노선명을 '태안 ~ 대전선'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5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7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8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0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합덕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당진 ~ 공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43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6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59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67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에서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칠곡 ~ 군위선'으로 변경
- 국도 제77호선 종점을 '인천광역시 동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부산 ~ 파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82호선 주요 경유지 변경
- 국도 제87호선 기점을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으로 변경
- 국도 제95호선 남제주 ~ 북제주선 노선 폐지
- 국도 제99호선 서귀포 ~ 제주선 노선 폐지
- 2012년 1월 26일 : 13개 노선의 경유지를 변경[19]
- 국도 제1호선 충청남도 논산시 구간 경유지 변경
- 국도 제2호선 무안 ~ 삼향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경유지 변경
- 국도 제3호선 경상남도 진주시, 경기도 광주시 구간 경유지 변경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호선과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호선과 중첩 구간 삭제 및 국도 제13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18호선과 중첩 구간 변경 및 국도 제17호선과 중첩 구간 삭제, 국도 제13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25호선 경상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26호선 전라북도, 경상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29호선 전라북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30호선 전라북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6호선과 중첩 구간 추가
- 국도 제77호선 경상남도, 전라남도 국도 중첩 구간 변경
- 2013년 12월 24일 : 국도 제43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로 연장하고 노선명을 '세종 ~ 고성선'으로 변경[20]
- 2014년 7월 14일 : 도로법 전면개정으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폐지[21]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일반국도 노선 지정과 함께 일부 노선 변경[22]
- 국도 제6호선 종점을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서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로 변경
- 국도 제13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로 변경
- 국도 제14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으로 변경
- 국도 제20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으로 변경
- 국도 제23호선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으로 변경
- 국도 제33호선 종점을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서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로 변경
- 국도 제37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로 변경
- 국도 제39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로 변경
- 국도 제75호선 기점을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로 변경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 진주시 구간 경유지 변경[23]
- 2016년 7월 13일 : 국도 제34호선 종점 지번 변경[24]
- 2017년 7월 1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국도 제43호선 화성시 ~ 수원시 구간 경유지 변경, 국도 제87호선 총 연장 변경[25]
- 2020년 11월 13일: 새만금 동서도로 개통을 앞두고 국도 제12호선(군산-김제선) 지정[26]
- 2021년 6월 22일 : 8개 국도 노선 변경[27]
- 국도 제4호선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에서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로 변경. 이에 따라 '군산 ~ 경주선'에서 '부안 ~ 경주선'으로 변경 (새만금 남북도로 경유)
- 국도 제5호선 기점을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에서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으로 변경. 이에 따라 '거제 ~ 중강진선'에서 '통영 ~ 중강진선'으로 변경
- 국도 제15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에서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로, 종점을 '전라북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송치리'로 변경. 이에 따라 '고흥 ~ 담양선'에서 '고흥 ~ 남원선'으로 변경
- 국도 제17호선 종점을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에서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로 변경. 이에 따라 '여수 ~ 용인선'에서 '여수 ~ 광주선'으로 변경
- 국도 제27호선 기점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에서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로 변경. 이에 따라 '고흥 ~ 군산선'에서 '완도 ~ 군산선'으로 변경
- 국도 제38호선 기점을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로 변경. 이에 따라 '서산 ~ 동해선'에서 '태안 ~ 동해선'으로 변경
- 국도 제19호선과 국도 제87호선 총 연장 변경
노선 목록 (2024년 기준)
[편집]- 시점 및 종점, 길이의 정보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도로 노선의 지정 고시를 기준으로 하며, 이후 변경된 내용은 국토교통부의 고시에 따른다.
- 현재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까지 연결된 노선은 국도 1, 3, 5, 7, 31, 43호선이다.
- 행정 구역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을 따르며, 이북 지역도 이북5도위원회가 정한 행정 구역으로 표기하였으므로, 실제 북한의 행정 구역과는 다를 수 있다.
표지 | 노선 번호 |
시점 | 종점 | 길이[29] |
---|---|---|---|---|
1 |
1 |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신항 교차로)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평안북도 신의주시) |
509.9 km (전체 1068.3 km) |
2 |
2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 (장산도항)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 |
477.4 km |
3 |
3 |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초전삼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 |
540.9 km (전체 1096.3 km) |
4 |
4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 (수조교차로) |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전촌리 (전촌삼거리) |
417.9 km |
5 |
5 |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동 (발개삼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평안북도 자성군 중강진) |
576.5 km (전체 1252.2 km) |
6 |
6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 (연곡 교차로) |
274.3 km |
7 |
7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함경북도 온성군) |
484.3 km (전체 1191.7 km) |
11 |
11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가덕도신공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송정육교사거리) |
11.9 km |
12 |
12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관리도리 (관리도)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새만금나들목) |
34.2 km |
13 |
13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완도 교차로)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 (양전삼거리) |
308.9 km |
14 |
14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저구사거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 (청림삼거리) |
315.9 km |
15 |
15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나로우주센터)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송치리 (장안교차로) |
223.5 km |
17 |
17 |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 | 437.6 km |
18 |
18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 (금골 교차로) |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 |
282.6 km |
19 |
19 |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 | 494.6 km |
20 |
20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 (현대제철삼거리) |
230.2 km |
21 |
21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 (대강면사무소)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진암 나들목) |
430.9 km |
22 |
22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연지사거리)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동 (의료원앞 교차로) |
204.5 km |
23 |
23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동성사거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 (천안 나들목) |
395.7 km |
24 |
24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진리 (임자면사무소)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삼호교남 교차로) |
404.0 km |
25 |
25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석동교차로)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국동리 (국동교차로) |
319.5 km |
26 |
26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군산공항)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 |
235.6 km |
27 |
27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 (고금도성당)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1가 (중앙사거리) |
287.5 km |
28 |
28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리 (성곡 나들목) |
204.8 km |
29 |
29 |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보성 나들목)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 330.1 km |
30 |
30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 (영전사거리) |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 |
355.1 km |
31 |
31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일광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 |
627.6 km (전체 750.0 km) |
32 |
32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모항리 (만리포)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서대전네거리) |
180.7 km |
33 |
33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신월리 (신월 나들목)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 (도개 교차로) |
211.3 km |
34 |
34 |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 (원당 교차로)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덕곡 교차로) |
311.5 km |
35 |
35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덕천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천동 | 458.6 km |
36 |
36 |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 (대천항)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수산 교차로) |
388.2 km |
37 |
37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 (절부사거리)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 (당동 나들목) |
448.2 km |
38 |
38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내리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단봉동 (단봉삼거리) |
362.4 km |
39 |
39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가탑 교차로)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가능 교차로) |
225.4 km |
40 |
40 |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운산리 (운산1교)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전막 교차로) |
145.6 km |
42 |
42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 |
336.1 km |
43 |
43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
277.2 km (전체 294.4 km) |
44 |
44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덕평리 (상평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 (청곡 교차로) |
137.2 km |
45 |
45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휴암리 (해미 교차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청평댐입구삼거리) |
202.6 km |
46 |
46 |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 (인천역사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상리 교차로) |
281.7 km |
47 |
4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양촌 나들목)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김화 교차로) |
133.8 km |
48 |
48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인화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서울도로원표) |
68.0 km |
56 |
56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학사 교차로)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 (청곡 교차로) |
205.7 km |
58 |
58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 (마천육교)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매전삼거리) |
82.8 km |
59 |
59 |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용지삼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월리 (송현사거리) |
494.2 km |
67 |
67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왜관 교차로)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금구리 (군위 나들목) |
40.5 km |
75 |
75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 (신천삼거리)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 85.0 km |
77 |
77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옛시청사거리)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자유 나들목) |
1239.4 km |
79 |
79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무전리 (백야오거리)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부곡리 (유어삼거리) |
111.6 km |
82 |
82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내기삼거리)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하갈리 (향남 교차로) |
31.2 km |
87 |
87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리 (내촌육교)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대마사거리) |
61.1 km |
88 |
88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리 (문암삼거리)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평해 교차로) |
38.5 km |
폐지된 일반 국도
[편집]표지 | 노선 번호 |
시점 | 종점 | 길이 | 비고 |
---|---|---|---|---|---|
11 |
1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40.5 km | 지방도 제1131호선으로 변경 |
12 |
12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176.0 km | 지방도 제1132호선으로 변경 |
16 |
16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172.8 km | 지방도 제1136호선으로 변경 |
78 |
78 | 평안북도 강계군 만포읍 |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 | 55.0 km | 1996년 7월 1일 폐지 |
95 |
95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29.0 km | 지방도 제1135호선으로 변경 |
99 |
99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36.7 km | 지방도 제1139호선으로 변경 |
모든 구간이 북한 관할에 있는 일반 국도
[편집]표지 | 노선 번호 |
시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
8 |
8 | 황해도 장연군 해안면 | 함경남도 원산시 |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 은율군 은율면 - 평안남도 진남포시 - 평양시 - 강동군 강동면 - 양덕군 양덕읍 - 함경남도 문천군 덕원면[30] |
9 |
9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함경남도 혜산군 혜산읍 | 함경남도 풍산군 풍산면 - 갑산군 갑산읍 |
10 |
10 | 평안북도 용천군 부남면 |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 |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 - 신의주시 - 의주군 의주읍 - 삭주군 청수읍(수풍) - 벽동군 벽동면 - 초산군 초산면 - 강계군 만포면(만포진) - 자성군 자성면 - 중강면(중강진) - 후창군 후창면(후창강구) -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신갈파진) - 혜산군 혜산읍(혜산진) -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 회령군 회령읍 - 종성군 종성면 |
41 |
41 | 경기도 개성시 | 함경남도 원산시 | 황해도 금천군 금천면 - 서촌면(시변) - 강원도 이천군 이천면 - 함경남도 덕원군 부내면(덕원) |
50 |
50 | 황해도 옹진군 옹진읍 | 경기도 개성시 | 황해도 해주시 - 연백군 연안읍 |
51 |
51 | 황해도 해주시 | 평안남도 평원군 숙천면 |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 평안남도 진남포시 - 강서군 함종면 - 평원군 한천면 - 영유읍 |
52 |
52 |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 황해도 신계군 신계면 | 황해도 해주시 - 평산군 남천읍 |
53 |
53 | 황해도 신계군 신계면 | 평안남도 평양시 | 황해도 수안군 수안면 - 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 |
54 |
54 |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 황해도 봉산군 사리원읍 | 황해도 신천군 신천읍 - 재령군 재령읍 |
61 |
61 |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 | 평안북도 삭주군 청수읍 | 평안북도 구성군 방현면(남시) - 구성면 - 삭주군 삭주면 |
62 |
62 | 평안남도 평원군 숙천면 |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 | 평안남도 순천군 순천읍 - 신창면 - 맹산군 왕천면(북창) - 맹산면 |
63 |
63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평안북도 초산군 도원면 |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면 - 운산군 위연면(온정) - 초산군 도원면(화목) |
64 |
64 |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 | 함경남도 함흥시 | 평안북도 구성군 구성면 - 평안남도 덕천군 덕천면 - 영원군 영원면 - 함경남도 함주군 주지면(지경) |
65 |
65 | 평안남도 평양시 | 평안북도 자성군 자성면 | 평안남도 순천군 사인면 - 순천읍 - 개천군 개천읍 - 평안북도 희천군 희천읍 - 강계군 강계읍 - 후창군 남신면(가산) |
71 |
71 | 함경남도 장진군 상남면(갈전) | 함경남도 삼수군 신파면(신갈파진) | 함경남도 장진군 상남면(속사리) - 하동면(운산강구포) |
72 |
72 | 평안북도 위원군 위원면 | 함경남도 장진군 신남면(하갈) | 평안북도 위원군 대덕면(광천) - 강계군 점촌면 - 의관면(운송) - 용림면(평남진) |
73 |
73 | 함경남도 단천군 단천읍 |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용양) - 함경북도 길주군 양사면(합수) - 무산군 삼사면(유평동) - 연사면(사지동) |
74 |
74 | 함경남도 장진군 하동면(운산) | 함경남도 단천군 단천읍 | 함경남도 풍산군 풍산면 - 천남면(홍군) |
76 |
76 | 함경남도 갑산군 갑산면 | 함경북도 성진시 | 함경남도 갑산군 진동면(동점) - 함경북도 학성군 학성면(업억) |
80 |
80 | 함경남도 혜산군 혜산읍(혜산진) |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 | 함경북도 길주군 양사면(박암 - 합수 - 재덕) |
81 |
81 | 함경북도 청진시 (나남) |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 함경북도 청진시 (수성) - 부령군 부령면 - 서상면(고무산) - 무산군 동면(풍산) |
83 |
83 | 함경북도 청진시 |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 | 함경북도 청진시 (수성) - 부령군 서상면(고무산) - 회령군 창두면(고풍산) - 회령읍 - 종성군 행영면 |
91 |
91 |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면 |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서원동) - 용덕면(고건원) |
92 |
92 |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서수라) |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서원동) - 웅기읍 |
93 |
93 |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서수라) | 함경북도 경흥군 경흥면 |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 - 경흥면 |
94 |
94 |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 함경북도 경흥군 경흥면 | 함경북도 종성군 행영면 - 경흥군 노서면 - 아오지읍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각령 제1191호, 1963.2.5)
- ↑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대통령령 제2845호, 1967.1.1)
- ↑ 도로 노선번호 이렇게 붙인다, 대전일보, 2006년 8월 29일 작성.
- ↑ “국토해양부 '행복누리' 공식 블로그 - 한국의 도로번호는 어떻게 만들었나?”.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각령 제119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1963년 2월 5일 제정.
- ↑ 대통령령 제2845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의건, 1966년 12월 27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4357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 1969년 12월 1일 전부개정.
- ↑ 대통령령 제5771호 1급국도와2급국도의노선지정령, 1971년 8월 31일 타법폐지.
- ↑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71년 8월 31일 제정.
- ↑ 대통령령 제609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72년 2월 22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81년 3월 14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81년 6월 24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86년 5월 13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3154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90년 10월 30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8월 25일 전부개정.
- ↑ 대통령령 제205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월 3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2008년 11월 17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23562호 일반국도 노선지정령, 2012년 1월 26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25025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2013년 12월 24일 일부개정.
- ↑ 대통령령 제25456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2014년 7월 14일 타법폐지.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172호, 2016년 4월 8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53호, 2016년 7월 13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66호, 2017년 7월 11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814호 도로 노선 지정”, 《대한민국관보》 (19876), 2020년 11월 13일, 117-118쪽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2021년 6월 22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395호, 2024년 8월 2일.
- ↑ 10 m 단위에서 반올림.
- ↑ 국도 노선 지정 규정 상에는 덕원군 부내면(덕원)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덕원군은 1942년에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