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근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근시
다른 이름near-sightedness, myopia, short-sightedness, near-sighted
근시의 눈의 변화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진료과안과
증상먼 거리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고 가까운 물체를 보면 정상적으로 보임. 두통, 안정 피로[1]
합병증망막 박리, 백내장, 녹내장[2]
병인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결합[2]
위험 인자가까운 곳을 보며 하는 작업, 실내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냄. 가족력[2][3]
진단 방식시력 검사[1]
예방어린이들의 경우 밖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할 것[4]
치료안경, 콘택트 렌즈, 수술[1]
빈도1,500,000,000명 (22%)[2][5]

근시(近視, 영어: Myopia, 의학: nearsightedness)는 빛이 망막 대신 그 바로 앞에 맺히는 증상을 말한다.[1] 이로 인해 먼 거리의 물체는 흐리게 보이는 반면 가까운 물체는 정상으로 보이게 된다. 그 밖의 다른 증상으로는 두통안정 피로를 포함할 수 있다.[1] 고도 근시의 경우 망막 박리, 백내장, 녹내장의 위험을 증가시킨다.[2]

음수(-)로 된 디옵터가 일반적으로 근시의 정도를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렌즈의 수치이다.

용어

[편집]

근시의 한자적 의미는 가까울 근(近), 볼 시(視)를 가리키며, 가까운 곳을 보고 먼 곳을 못 보는 것을 뜻한다. 근시의 영어 낱말 myopia(마이오피아)는 근시의 남성을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 낱말 μύωψ(myōps)에서 출발하여 근시를 뜻하는 코이네 그리스어 낱말 μυωπία(myōpia) 또는 μυωπίασις(myōpiasis)가 기원이다.[6][7][8][9][10]

근시의 반의어는 원시이다.

증상

[편집]
근시 (왼쪽), 정시 (오른쪽)

근시는 흐릿하게 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정상 범위에 속한다. 고도 근시의 경우 물체를 매우 가까이 두어야 선명하게 보이며 환자가 처방 안경을 쓰지 않으면 글을 읽을 수 조차 없다. 고도 근시는 -6 디옵터 이상으로 정의한다.[11]

대개의 경우 각막, 수정체 등의 굴절 이상으로 망막의 앞에 상이 맺히는 상태가 원인으로 나타난다. 멀리 있는 상이 잘 안 보이며 오목렌즈로 교정해준다. 교정시력을 측정하여 그에 맞는 도수의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로 시력을 교정하는데 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 이상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한 시력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어 안과의 숙련된 의사에 의한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다.

병인

[편집]

2012년 리뷰에 따르면 병인의 뚜렷한 증거는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12] 쌍둥이와 친척 관계에서는 비슷한 환경에서 근시를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은 틀림없으나 근시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요인이 더 중요시된다.[13]

정밀 작업설

[편집]

정밀 작업설(near work hypothesis)은 정밀한 작업으로 시간을 보낼 때 눈에 부담을 주고 근시의 위험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들은 이 가설을 지지하지만, 다른 연구들은 이를 지지하지 않는다.[3] 연관성은 존재하지만, 정밀 작업설이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3]

시각 자극설

[편집]

정상적인 시각 자극이 충분하지 않으면 부적절한 안구 성장을 초래하는데, 이것을 시각 자극설(visual stimuli hypothesis)이라 한다. 여기에서 "정상"은 안구가 장기간 진화해온 환경적인 자극을 가리킨다.[14] 이러한 자극에는 시각적으로 동적인 환경들 가운데 바다, 밀림, 숲을 포함한 다양한 자연 환경을 포함한다. 침침하거나 형광등을 갖춘 건물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은 자신의 눈에 적절한 자극을 주지 못하여 근시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14] 새끼 고양이나 원숭이와 같은 동물들의 눈을 장기간 가리는 실험에서는 안구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보여주었고 자극을 완전히 없애면 안구의 부적절한 성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15][16]

다른 위험 요인

[편집]

한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근시의 경우 더 높은 정밀 작업, 더 높은 학업 성취, 더 적은 스포츠 활동 시간에도 어느 정도 기인하는 면은 있지만 유전이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17]

햇빛에 장시간 노출하는 일은 보호 요인으로 간주된다.[13][18]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실외에 있는 시간이 부족하면 근시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19]

진단

[편집]

도수

[편집]

망막 위에 먼 거리의 상에 초점을 맞추는 수정체의 굴절력디옵터 단위로 측정한다. 이 기준으로 측정되는 근시는 여러 도수로 분류된다:[20]

나이에 따라

[편집]

근시의 발병은 종종 나이별로 분류할 수 있다:[20]

  • 선천성 근시: 태어날 때 존재하여 유아기 동안에 지속된다.[26]
  • 청년 근시: 어린 시절 또는 10대 때 발생하며 21세가 될 때까지 굴절력의 변화가 지속될 수 있다. 21세가 되기 이전까지는 전 세계적으로 어떠한 형태의 시력교정술이라도 권장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26]
  • 학교 근시는 어린 시절, 특히 취학 연령 시기에 나타날 수 있다.[27] 이러한 형태의 근시는 학기 중에 가까운 곳에 눈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기인한다.[21]
  • 성인 근시
  • 조기 성인 근시는 20~40세 사이에 발병할 수 있다.[26]
  • 후기 성인 근시는 40세 이후에 발병할 수 있다.[26]

예방

[편집]

미국 국립 보건원에 따르면 현재 알려져 있는 근시의 예방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착용은 근시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28] 포괄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근시 예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안된 수술들은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 연구되지 않고 있다.[26]

어린 시절에 실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근시 예방에 효율적이라는 보고도 있다.[4]

관리

[편집]
안경은 근시를 보정하는데 흔히 사용된다.
교정 렌즈를 사용하여 근시를 보정하는 모습.

안경, 콘택트 렌즈, 시력 교정술이 근시 치료의 주된 선택 사항이다.[29] 레이저 수술이 불가능한 근시 환자는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대안으로 안내 렌즈의 이용이 가능하다. 각막 교정술은 특별한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여 각막을 평평하게 하여 근시를 줄여준다. 근시 정도가 낮은 환자들은 이따금 핀홀 안경을 사용하기도 한다.

안경

[편집]
카메라 세트를 통해 프리즘적 색 왜곡(prismatic color distortion)이 나타난다. -9.5 디옵터 안경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근시를 교정하고 있다. (왼쪽) 안경 모서리 주변으로 색채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모습을 확대한 모습으로, 색 견본 사이의 어둡고 밝은 모서리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른쪽)

교정 렌즈는 안구의 빛 굴절력을 감소시켜 준다. 여기에서 굴절력은 미터 단위의 초점거리역수디옵터로 표현된다. 근시의 교정 렌즈는 부정(-) 굴절력이 있으며, 그 정도가 심할수록 근시가 더 심화한 것을 나타낸다.

고도 근시 환자의 경우, 굴절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매우 부정적인 굴절력을 지닌 안경을 처방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경 처방을 받을 경우 렌즈 중심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물체의 축외에서 이탈해 보이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프리즘적 이동 및 색 분리가 발생하는데 이를 색수차라고 한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고도 근시 환자의 경우 색수차를 경험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렌즈가 각막과 함께 움직이며 착용자가 주시하는 중앙부에 늘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발병 현황

[편집]

세계적으로 8천만 명에서 2억 3천만 명 정도가 근시를 가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0] 근시가 발병하는 인구의 경우 나이, 국가, 성별, 인종, 직업, 환경 등 여러 요인으로 분포된다.[31][32] 테스트 및 데이터 수집 방식의 변화로 인해 유행성 및 진행도를 비교하기가 어렵다.[33]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70~90%의 확률로 근시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에서는 30~40%를 차지하며, 아프리카에서는 10~20% 수준이다.[32] 근시는 비유대인계 보다 유대인계에서 약 2배 정도 더 일반화되어 있다.[34] 근시는 아프리카계 사람들에게서 덜 발견된다.[31] 12~54세의 미국인의 경우, 근시는 백인 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5]

아시아

[편집]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 근시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근시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인구 중 최대 80%가 근시가 있지만 그 수치의 정확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36]
  • 중국의 근시율은 31%이다. 즉, 1,300,000,000명의 인구 중 400,000,000명이 근시이다. 중국 고등학교의 근시율은 77.3%이며, 대학의 경우 80%가 넘는다.[37]
  • 중국과 말레이시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성인 인구 중 최대 41%가 1.00 디옵터의 근시가 있으며,[38] 최대 80%가 0.5 디옵터이다.[39]
  • 17~40세의 요르단 인구의 경우 절반 이상(53.7%)이 근시이다.[40]
  •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인도의 근시율은 전체 인구 대비 6.9% 정도이다.[41][42]

유럽

[편집]
  • 영국에서 1학년 대학생들의 경우 영국 백인 기준으로 50%가, 영국의 아시아인 기준으로 53.4%가 근시로 조사되었다.[43]
  • 그리스에서 15~18세 학생 중 근시율은 36.8%로 조사되었다.[41]
  • 최근의 리뷰에 따르면 40세 이상의 서유럽 인구 중 26.6%는 적어도 -1.00 디옵터의 근시를 가지고 있으며, 4.6%가 적어도 -5.00 디옵터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44]

북아메리카

[편집]

근시는 미국에서 흔한 질병으로, 근래 수십년 동안 극적으로 증가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1971~1972년, 미국보건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는 미국에서 최초의 대표 추정치를 제공하였으며, 12~54세 인구 중 발병률이 25.0%였다. 같은 방식을 사용할 때 1999~2004년의 근시 발병률은 41.6%까지 치솟은 것으로 짐작되었다.[45]

최근의 리뷰에 따르면 40세 이상의 미국인 중 25.4%가 적어도 -1.00 디옵터의 근시가 있으며, 4.5%는 적어도 -5.00 디옵터이다.[4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acts About Refractive Errors”. 《NEI》. October 2010. 2016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2. Foster, PJ; Jiang, Y (February 2014). “Epidemiology of myopia.”. 《Eye (London, England)》 28 (2): 202–8. doi:10.1038/eye.2013.280. PMC 3930282. PMID 24406412. 
  3. Pan, CW; Ramamurthy, D; Saw, SM (January 2012). “Worldwid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myopia.”. 《Ophthalmic & physiological optics : the journal of the British College of Ophthalmic Opticians (Optometrists)》 32 (1): 3–16. doi:10.1111/j.1475-1313.2011.00884.x. PMID 22150586. 
  4. Ramamurthy D, Lin Chua SY, Saw SM (2015). “A review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myopia during early life, childhood and adolescence”. 《Clinical & Experimental Optometry》 (Review) 98 (6): 497–506. doi:10.1111/cxo.12346. PMID 26497977. 
  5. Holden, B; Sankaridurg, P; Smith, E; Aller, T; Jong, M; He, M (February 2014). “Myopia, an underrated global challenge to vision: where the current data take us on myopia control.”. 《Eye (London, England)》 28 (2): 142–46. doi:10.1038/eye.2013.256. PMC 3930268. PMID 24357836. 
  6. μυωπία, μυωπίασις, μύωψ, μύειν, ὤψ.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A Greek–English Lexicon at the Perseus Project.
  7. Beekes, Robert (2010).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2. With the assistance of Lucien van Beek. Leiden, Boston: Brill. 988–9쪽. ISBN 9789004174184. 
  8. “μυωπία”. 《Dictionary of Standard Modern Greek. Institute for Modern Greek Studies of the Art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그리스어). 2016년 2월 19일에 확인함. 
  9. 〈myopia〉. 《옥스포드 영어사전》 2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89. 
  10. 하퍼, 더글러스. “myopia”. 《온라인 어원 사전》. 
  11. 《Etio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high-degree myopia. Part I》, 2014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12. Sivak, Jacob (2012). “The cause(s) of myopia and the efforts that have been made to prevent it”. 《Clinical and Experimental Optometry》 95 (6): 572–582. doi:10.1111/j.1444-0938.2012.00781.x. ISSN 0816-4622. PMID 22845416. 
  13. Dolgin Elie (2015). “The myopia boom. Short-sightedness is reaching epidemic proportions. Some scientists think they have found a reason why”. 《Nature》 519: 276–278. doi:10.1038/519276a. 
  14. Lieberman, Daniel E. The Story of the Human Body: Evolution, Health, and Disease. New York: Pantheon Books, 2013. Print
  15. Smith III; Maguire G.W.; Watson J.T. (1980). “Axial lengths and refractive errors in kittens reared with an optically induced anisometropia”. 《Investigate Ophthalmology and Vision Science》 19: 1250–55. 
  16. Hubel D.; Weisel T.N. (1985). “Myopia and eye enlargement after neonatal lid fusion in monkeys”. 《Nature》 266: 485–88. 
  17. Mutti DO; Mitchell GL; Moeschberger ML; Jones LA; Zadnik K (2002). “Parental myopia, near work, school achievement, and children's refractive error”.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3 (12): 3633–3640. PMID 12454029. 
  18. Cui, Dongmei; Trier, Klaus; Ribel-Madsen, Søren Munk (May 2013). “Effect of Day Length on Eye Growth, Myopia Progression, and Change of Corneal Power in Myopic Children”. 《Ophthalmology》 120 (5): 1074–1079. doi:10.1016/j.ophtha.2012.10.022. PMID 23380471. 
  19. Sherwin, Justin (2011년 10월 25일). “Lack of outdoor play linked to short-sighted children”. 《BBC News》. 2011년 10월 25일에 확인함. 
  20. Grosvenor T (July 1987). “A review and a sugges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myopia on the basis of age-related prevalence and age of onset”. 《Am J Optom Physiol Opt》 64 (7): 545–54. doi:10.1097/00006324-198707000-00012. PMID 3307441. 
  21. Cline, D; Hofstetter HW; Griffin JR (1997). 《Dictionary of Visual Science》 4판. Boston: Butterworth-Heinemann. ISBN 0-7506-9895-0. 
  22. "Glaucoma." Archived 2006년 8월 19일 - 웨이백 머신 EyeMDLink.com. Retrieved 27 August 2006.
  23. Larkin GL. "Retinal Detachment." eMedicine.com. 11 April 2006.
  24. "More Information on Glaucoma." AgingEye Times. Retrieved 27 August 2006.
  25. Messmer DE (1992). “Retinal detachment”. 《Schweiz Rundsch Med Prax.》 (독일어) 81 (19): 622–625. PMID 1589678. 
  26.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1997). “Optometr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are of the Patient with Myopia” (PDF). 2006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7일에 확인함. 
  27. Morgan I; Rose K (January 2005). “How genetic is school myopia?”. 《Prog Retin Eye Res》 24 (1): 1–38. doi:10.1016/j.preteyeres.2004.06.004. PMID 15555525. 
  28. Near-sightednes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0.
  29. “AO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Myopia” (PDF).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2006.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7일에 확인함. 
  30. Dunaway D, Berger I. "Worldwide Distribution of Visual Refractive Errors and What to Expect at a Particular Location" Archived 2007년 1월 29일 - 웨이백 머신. infocusonline.org.
  31. Verma A, Singh D. "Myopia, Phakic IOL." eMedicine.com. 19 August 2005.
  32. Fredrick DR (May 2002). “Myopia”. 《BMJ》 324 (7347): 1195–9. doi:10.1136/bmj.324.7347.1195. PMC 1123161. PMID 12016188.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ssion (1989). Myopia: Prevalence and Progression,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ISBN 0-309-04081-7
  34. Jensen, A.R. (1998) The g Factor.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Publishers, ISBN 0275961036
  35. Sperduto RD; Seigel D; Roberts J; Rowland M (1983). “Prevalence of myopia in the United States”. 《Arch. Ophthalmol.》 101 (3): 405–7. doi:10.1001/archopht.1983.01040010405011. PMID 6830491. 
  36. “Discovery of Gene May Provide Treatment for Near-sightedness”. Disabled-world.com. 2010년 9월 12일. 2012년 8월 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7. 全国近视眼人数近4亿 近视已影响国人健康 Archived 2012년 10월 27일 - 웨이백 머신. Xinhua News Agency. Retrieved on 21 April 2013.
  38. Chandran S (1972). “Comparative study of refractive errors in West Malaysia”.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56 (6): 492–495. doi:10.1136/bjo.56.6.492. PMC 1208824. PMID 5069190. 
  39. Wu HM; Seet B; Yap EP; Saw SM; Lim TH; Chia KS (2001). “Does education explain ethnic differences in myopia prevalence? A population-based study of young adult males in Singapore”. 《Optom Vis Sci》 78 (4): 234–239. doi:10.1097/00006324-200104000-00012. PMID 11349931. 
  40. Mallen EA; Gammoh Y; Al-Bdour M; Sayegh FN (2005). “Refractive error and ocular biometry in Jordanian adults”. 《Ophthalmic Physiol Opt》 25 (4): 302–9. doi:10.1111/j.1475-1313.2005.00306.x. PMID 15953114. 
  41. Mavracanas TA; Mandalos A; Peios D; Golias V; Megalou K; Gregoriadou A; Delidou K; Katsougiannopoulos B (2000). “Prevalence of myopia in a sample of Greek students”. 《Acta Ophthalmol Scand》 78 (6): 656–9. doi:10.1034/j.1600-0420.2000.078006656.x. PMID 11167226. 
  42. Mohan M; Pakrasi S; Zutshi R (1988). “Myopia in India”. 《Acta Ophthalmol Suppl》 185: 19–23. PMID 2853533. 
  43. Logan NS; Davies LN; Mallen EA; Gilmartin B (April 2005). “Ametropia and ocular biometry in a U.K.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Optom Vis Sci》 82 (4): 261–6. doi:10.1097/01.OPX.0000159358.71125.95. PMID 15829853. 
  44. Kempen JH; Mitchell P; Lee KE; Tielsch JM; Broman AT; Taylor HR; Ikram MK; Congdon NG; O'Colmain BJ; Eye Diseases Prevalence Research Group (2004).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s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Western Europe, and Australia”. 《Arch. Ophthalmol.》 122 (4): 495–505. doi:10.1001/archopht.122.4.495. PMID 15078666. 
  45. Vitale S; Sperduto RD; Ferris FL (2009). “Increased Prevalence of Myopia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71–1972 and 1999–2004”. 《Arch Ophthalmol》 127 (12): 1632–9. doi:10.1001/archophthalmol.2009.303. PMID 20008719.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