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욕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욕계(欲界, 산스크리트어: kāma-dhātu, 팔리어: kāma-loka, 티베트어: 'dod pa'i khams, 영어: desire realm)는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로, 욕유(欲有) · 색유(色有) · 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욕유(欲有)와 동의어이다.[1][2][3][4]

불교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28천(二十八天)으로 나뉘지만, 수행론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욕계 또는 욕유에 해당하는 것은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의 1가지 (地)이다. 오취잡거지는 욕계 안에 있는 지옥취 · 아귀취 · 축생취 · 인간취 · 천상취(욕계 안의 것이므로, 3계의 28천 중 6욕천을 말함)의 5취(五趣)를 합하여 1지(地)로 한 것, 또는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 · 아수라도 · 인간도 · 천상도(욕계 안의 것이므로, 3계의 28천 중 6욕천을 말함)의 6도(六道)를 합하여 1지(地)로 한 것으로 미혹한 생존의 상태이다.[5][6][7]

3계9지(三界九地)와 욕계:

  1. 욕계(欲界) 또는 욕유(欲有)
    1.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
  2. 색계(色界) 또는 색유(色有)
    1.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2.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3.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4.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3. 무색계(無色界) 또는 무색유(無色有)
    1.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2.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3.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4.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星雲, "".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2. 星雲, "三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3. 운허, "有(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4. 운허, "三有(삼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5. 운허, "三界九地(삼계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6. 운허, "九地(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7. 곽철환 2003, "구지(九地)".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