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이
보이기
지역이나 주 | 한국 |
---|---|
관련 나라별 요리 | 한국 요리 |
주 재료 | 앙금가루 |
비슷한 음식 |
응이는 곡물을 갈아 앙금을 가라앉힌 뒤, 그것을 말려 얻은 가루로 죽처럼 쑤는 음식이다.
이름
[편집]"응이"는 "율무"를 뜻하는 "의이(薏苡)"에서 나온 말이다. 원래 율무를 갈아 얻은 앙금으로 쑨 죽을 "의이죽(薏苡粥)"이라 불렀는데, 점차 율무가 아닌 다른 곡물을 갈아서 얻은 앙금으로 쑨 죽까지 통틀어 "응이"라 일컫게 되었다.[1]
종류
[편집]갈분응이,[2][3][4], 구선왕도고응이,[5] 녹두응이,[6] 녹말응이,[7][8][9] 메밀응이,[10] 보리응이,[11] 산약응이,[12] 수수응이,[13][14][15] 연근응이,[16] 연자응이,[11] 오미자응이,[1] 율무응이,[17][18]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최남순 (2009). 《미음, 응이, 미수, 장(漿) 및 갈수의역사적고찰 및 응이류의 기능성 함유 농후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 탐색》 (PDF). 율촌재단 식품관련 기초연구과제총서 1. 서울: 율촌재단. 1219~1271쪽.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요약문.
- ↑ “갈분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작자 미상 (18세기 말엽). 《시의전서》.
- ↑ 방신영 (1917). 《조선요리제법》.
- ↑ 빙허각 이씨 (1809). 《규합총서》.
- ↑ “녹두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녹말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한희순; 황혜성; 이혜경 (1957). 《이조궁중요리통고》. 학총사.
- ↑ 황혜성 (1976). 《한국요리백과사전》. 삼중당.
- ↑ “메밀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작자 미상 (18세기 중엽). 《군학회등》.
- ↑ “산약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수수응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이석만 (1934). 《간편조선요리제법》.
- ↑ 방신영 (1952). 《우리나라음식만드는법》. 청구문화사.
- ↑ 강인희 (1987).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
- ↑ 조선료리협회 (1960). 《조선료리》. 조선외국문도서출판사.
- ↑ 이용기 (1924).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이 글은 한국 요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