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하
자기비하(self-deprecation)는 자기 자신을 과소평가(belittling), 저평가(undervaluing), 경멸(disparaging)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비난(reprimanding)하는 행동,[1] 혹은 과도하게 겸손한 행동을 말한다.[2][3] 자기비하는 불만 제기, 겸손 표출, 최상의 반응 호소, 유머 등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호감이나 다정함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된다.[4] 자기비하는 종종 낮은 자존감(self-esteem)과 우울 및 불안과도 관련 있다. 소셜 미디어 특히 Z세대(Generation Z)에게서 흔해지고 있다.[5]
'자기비하(self-deprecation)'는 정확히 '자기저평가(self-depreciation)'인데, 전자는 라틴어로 기도자(prayer)를 뜻하는 'precari'에서 와서 '자기자신을 저주하는 기도를 하다'라는 뜻을 갖지만, 후자는 라틴어로 가치(value)를 뜻하는 'precium'에서 와서 '자기 자신을 저평가하다'라는 뜻을 갖기 때문이다.
목적
[편집]자기방어
[편집]자기비하는 스토아학파(Stoicism)에서 모욕에 대한 반응으로서 권장하였다.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는 대신, 스스로를 더 모욕하는 방식으로 같이 하는 것이다. 스토아학파에 따르면, 이는 모욕으로부터의 고통을 제거할 것이다. 또한 이는 상대가 상처 주려고 의도한 말투에 발끈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실망시킴으로서, 이후 다시 그러한 시도를 할 기회를 제거한다.[6] 사람은 타인에게 비판받는 것보다 자기가 자기를 비판하는 것을 선호한다.[7]
그러나 연구자들은 자기비하자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는 자기가 칭찬받을만 하지 못하다고 느끼며, 자신의 권위를 비하할 수 있다.[8]
호감
[편집]자기비하를 하면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고 칭찬을 꺾어서 더욱 호감 가게 하도록 한다.[9] 사람은 보통 자랑하기 좋아하고 자기를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에 부정적인 인상을 갖는다. 이러한 사람들은 교만한 것으로 인지되지만, 부정적인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묘사할 때는 나타나지 않는다.[9] 무언가 달성한 이후에 자신의 달성이 타인의 자기개념(self-concept)를 위협하는 것을 우려하면 자기비하를 하기도 한다. 부유하거나 성취를 많이한 정치인처럼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약점을 강조하고 성공을 낮추는 식으로 자기비하를 하면 더 긍정적으로 인지되기도 한다.[9]
공손
[편집]기존의 영국문화에서 자기비하는 겸손(modesty)의 한 요소로 인지되고 있다. 겸손은 덕목으로 여겨진다. 북미와는 반대로 자신감(self-confidence) 표출은 오히려 자기과시로 여겨진다.[10] 영국,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 자기를 크게 드러내는 것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11] 영국인의 일반적인 행동에서 자기비하는 타인을 먼저 배려하는 방식으로 공손함을 표하는 것이다.[10]
코메디
[편집]자기비하는 북미에서 코메디로 여겨지며, 로드니 데인저필드(Rodney Dangerfield),[12] 우디 앨런(Woody Allen),[13] 네이선 필더(Nathan Fielder),[14] 돈 노츠(Don Knotts),[15] 조앤 리버스(Joan Rivers)[16]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elf-deprecation”. 《The Free Dictionary》. Farlex. 2010년 6월 8일에 확인함.
- ↑ Self-Deprecation - Personality & Spirituality
- ↑ Self-deprecation | Define Self-deprecation at Dictionary.com
- ↑ Speer, Susan A. (2019). “Reconsidering self‐deprecation as a communication practice”.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8 (4): 806–828. doi:10.1111/bjso.12329. ISSN 0144-6665. PMC 6851542. PMID 31102414.
- ↑ Zizzo, Kira. “How Self-Deprecating Humor has Defined the Mental Health Issues of Gen Z in an Alarming Way”. 《the Rock Online》. 2022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William Irvine, 2013, 'A Slap in the Face'
- ↑ Speer, Susan A. (2019). “Reconsidering self‐deprecation as a communication practice”.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8 (4): 806–828. doi:10.1111/bjso.12329. ISSN 0144-6665. PMC 6851542. PMID 31102414.
- ↑ “Self-Depreciation: Why Do We Do It? | Arcadia University”. 《www.arcadia.edu》. 2022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ustin, Adrienne B.; Costabile, Kristi A.; Smith, Lauren (2021). “Social judgements, social media, and self-deprecation: Role of information source and valence on trait and favorability judgements”. 《Journal of Media Psychology》. doi:10.1027/1864-1105/a000299. S2CID 238075562.
- ↑ 가 나 Sara Mills, English Politeness and Cla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ISBN 1108340415, Section 3.3.4: "Self-deprecation"
- ↑ “Self-Deprecation”. Debrett's. 2014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4일에 확인함.
- ↑ Muresianu, John (2021년 8월 2일). “Liberal Arts Blog — Rodney Dangerfield (1921–2004) and the Art of Self-Deprecation”. 《Medium》. 2021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Forward, The (2009년 6월 10일). “Is self-deprecation killing Jewish comedy? - Israel News | Haaretz Daily Newspaper”. Haaretz.com.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 ↑ Sarah, Osman. “CHATTING WITH: "NATHAN FOR YOU" CREATOR NATHAN FIELDER”. 《Young Hollywood》. 2016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Don Knotts Obituary: View Don Knotts's Obituary by The Washington Post”. Legacy.com. 2006년 2월 25일.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 ↑ Morris, Wesley (2010년 6월 20일). “The many faces of Joan Rivers”. 《The Boston Gl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