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례 지진 (直隷地震 )은 1290년(지원 27년) 9월 27일 원나라 중서성 (직례 지역) 현 닝청현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의 진앙은 현대 행정구역 기준 중국 내몽골 자치구 지역이다. 지진의 규모는 표면파 규모 기준 Ms 6.8, 최대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IX에 달한다.[ 1] 사망자수는 추산에 따라 다르나 최저 7,270명에서 많게는 《원사 》의 기록에서 10만명에 달한다.[ 2]
문헌 기록에서는 지진으로 닝청 지역에서 창고 480곳과 수많은 주택이 파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외 현 창핑구 , 허젠시 , 런추시 , 슝현 , 바오딩시 , 이현 , 바이샹현 등이 지진 피해를 입었다.[ 1] 또한 지진으로 이현의 펑궈사 도 큰 피해를 입었다.[ 3]
역사지진
태산 (기원전 1813년?, M?)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윈난성 리장 (1515년, M?)
산시성 (1556년, M8.5)
백두산 인근 (1597년, M8)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광둥성 (1605년, M?)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퉁웨이-간쑤 지역 (1718년, M7.5)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충칭 (1856년, M?)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쓰촨성 뎨시 (1933년, M7.3)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신장 우차 (1985년, M7.4)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신장 가스 (1997년, M6.4)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신장 피산 (2015년, M6.4)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신장 징허 (2017년, M6.3)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신장 우스 (2024년, M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