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최신도입 네트워크rtk 활성화 방안연구

Download as pdf or txt
Download as pdf or txt
You are on page 1of 198

발간등록번호

11-1613436-000163-01

최신도입 네트워크 RTK


활성화 방안 연구

2017. 12.
제 출 문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장 귀하

귀 원에서 연구 위탁한 「최신도입 네트워크 RTK 활성화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과업지시서에 따라 제출합니다.

2017. 12.

한국측량학회 회장 박 병 욱
참 여 진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경 운 대 학 교 황 진 상

연 구 원 한 남 대 학 교 이 세 강

연구보조원 한 남 대 학 교 양 천 국

중급기술자 ㈜지오스토리 박 창 민

초급기술자 ㈜지오스토리 김 익 재

초급기술자 ㈜지오스토리 홍 성 준
자문위원
인하대학교 교 수 박 관 동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연 구 원 이 재 강

국토교통부 사 무 관 안 종 태

공간정보산업협회 팀 장 정 의 훈

㈜아센코리아 대표이사 황 국 연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지리정보원 측 지 과 장 강 인 구

국토지리정보원 위성측량담당 이 원 국

국토지리정보원 연 구 사 김 현 호
< 목 차 >

제1장 서론 ····································································································2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1. 연구의 배경 ············································································································2
1.2. 연구의 목적 ············································································································3
2. 연구범위 및 내용 ·······································································································4
제2장 이론적인 고찰 ·················································································6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6
1.1. SSR 방식과 OSR 방식 ························································································6
1.2. GNSS 보정신호의 종류 ·······················································································8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9
2.1. DGPS 보정신호 ·····································································································9
2.2. SBAS 보정신호 ···································································································10
2.3. RTK와 NRTK 보정신호 ···················································································14
2.4. PPP-RTK 보정신호 ···························································································20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23
1. 평가작업 개요 ···········································································································23
1.1. 평가 방법 ··············································································································23
1.2. 평가 항목 ··············································································································25
2. 정확도 평가 결과 ·····································································································26
3. 사용성 평가 결과 ·····································································································28
4. 성능지표 결정 ···········································································································29
4.1. 정확도 성능지표 ··································································································29
4.2. 사용성 성능지표 ··································································································34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39
1. 최신도입 NRTK 시스템 구축 현황 ·····································································39
- ii -
1.1. 시스템 도입 사례 ································································································39
1.2. 시스템의 구조 ······································································································40
1.3. 서비스 제공체계 ··································································································45
1.4. 관측 네트워크의 구성 ························································································46
2. 현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48
2.1. 문제점 분석 결과 ································································································48
2.2. 원인 분석 및 개선 방향 ····················································································54
3. 관측 네트워크 개선 방안 ·······················································································57
3.1. NRTK용 관측 네트워크 연구 사례 ································································57
3.2. 관측 네트워크 향상을 위한 실험 결과 ··························································60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64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64
1.1. 제도개선 대상 ······································································································64
1.2. 제도개선 내용 ······································································································65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70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74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82
1.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 모델 정립 ····························································82
1.1.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82
1.2. 문제점 및 개선사항 분석 ··················································································85
1.3.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모델 정립 ·························································89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91
2.1.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91
2.2. Level 1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3
2.3. Level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5
2.4. Level 3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7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98
3.1.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98
3.2. 교육·등록 웹사이트 운영 ··················································································99

- iii -
3.3. SW 인프라 구축 ·······························································································102
4.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방안 ·········································································103
4.1. 다변화 모델 ········································································································103
4.2. 계층형 NRTIP 서버 구성 ···············································································105
4.3. 위성 중계기 임대 ······························································································106
5.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111
5.1. 저가형 GNSS 수신기 기술 동향 ···································································111
5.2.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116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0
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전략 ······················································120
1.1. 비전과 목표 ········································································································120
1.2. 추진 전략 ············································································································122
1.3. 이행 과제 ············································································································127
1.4. 실행 계획 ············································································································128
2. 로드맵 수립 ·············································································································137
제8장 결론 ·······························································································140
부록 ············································································································143
참고문헌 ····································································································183

- iv -
< 표 목 차 >

<표 2.1> 보정신호의 종류에 따른 필요 통신 용량 비교(Gerhard 등, 2005) ··································8


<표 2.2> UDREi와 UDRE에 대한 매칭 표 ··························································································11
<표 2.3> 제공되는 오차정보의 종류에 따른 구현 가능 PPP 측위법의 종류 ·······························20
<표 3.1> 평가에 사용된 통합기준점의 분포와 수량 ··········································································23
<표 3.2> 평가에 사용된 장비 ··················································································································24
<표 3.3> 측점별 평가 내용 ······················································································································25
<표 3.4>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1σ, 380점, 단위:m) ·····························································26
<표 3.5>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3σ, 380점, 단위:m) ·····························································27
<표 3.6> 과대오차 점 수(기준 : 평면좌표 10cm, 타원체고 20cm) ·················································28
<표 3.7> 과대오차 점 수(기준 : 평면좌표 5cm, 타원체고 10cm) ···················································28
<표 3.8>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및 실패 비율 ··············································29
<표 3.9> NRTK 측량의 정확도 성능지표(1σ, 380점, 단위:m) ·························································30
<표 3.10> NRTK 측량의 정확도 성능지표(3σ, 380점, 단위:m) ·······················································30
<표 3.11> NRTK 측량의 사용성 성능지표 ··························································································34
<표 4.1> GNSmart를 사용하는 독일의 NTRIP 캐스터들 ····························································40
<표 4.2> 국토지리정보원 NRTK 메인 소프트웨어의 주요 모듈들 및 기능 ································42
<표 4.3> 최신도입 NRTK 서버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46
<표 4.4> 문제점 분석 결과 및 개선방향 요약 ····················································································55
<표 4.5> 여름철 충청도 지역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품질 수준 ·········································56
<표 4.6> 관측 네트워크별 고정해 산출 성공률과 평균 소요시간 ··················································58
<표 4.7> 절대위치 측정 정확도 평가 결과(단위:cm) ·········································································59
<표 4.8> 네트워크의 크기별 오차의 분포 ····························································································60
<표 4.9>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FKP 보정신호의 사용성 분석 ········································61
<표 4.10>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FKP 보정신호의 정확도 분석 ······································61
<표 4.11>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MAC 보정신호의 사용성 분석 ·····································61
<표 4.12>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MAC 보정신호의 정확도 분석 ·····································62
<표 5.1> 개정 대상 공공측량 작업규정 조항 ······················································································65
<표 5.2> 지적측량에서의 NRTK 측량에 대한 요구조건 및 부합 여부 ········································79
<표 6.1>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사항 ·······························86
<표 6.2>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의 NTRIP 캐스터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88
<표 6.3> MSM의 종류와 구성정보 ········································································································93
<표 6.4> MSM7의 종류 ····························································································································94
<표 6.5> MSM7의 구성정보 ····················································································································94
<표 6.6> 국토지리정보원의 SSR4RTCM 접속점에서 제공하는 정보 ············································95

- v -
<표 6.7>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98
<표 6.8> 일본의 QZSS를 이용한 NRTK 보정신호 전송가능성 분석 ··········································107
<표 6.9> QZSS 위성의 신호 체계 ········································································································109
<표 6.10> GNSS 관측데이터 활용 API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들········114
<표 6.11> BCM47755가 지원하는 GNSS 위성과 신호 ····································································115
<표 7.1> NRTK 등 시스템 개선 로드맵 ····························································································137

- vi -
< 그 림 목 차 >

<그림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그림 1.2> 연구의 목적 ····························································································································3
<그림 1.3> 연구의 내용과 범위 ················································································································4
<그림 2.1> SSR 방식의 보정신호와 OSR 방식의 보정신호 ······························································7
<그림 2.2> GNSS 보정신호의 구분 ·········································································································8
<그림 2.3> DGPS 보정신호의 활용을 위한 기준국의 선택과 거리에 따른 오차량의 증가 ·······9
<그림 2.4> SBAS 보정신호에 포함되는 오차 정보의 종류 ·····························································11
<그림 2.5> SBAS MT25 정보의 예(속도 코드는 1) ·········································································12
<그림 2.6> IGP 분포의 예 ························································································································13
<그림 2.7> IPP의 개념 ······························································································································13
<그림 2.8> RTK 보정신호의 구성 ·········································································································14
<그림 2.9> RTK 보정신호를 구성하는 기준국 정보의 예 ·······························································15
<그림 2.10> NRTK 보정신호 계산의 개념 ··························································································15
<그림 2.11> VRS 방식의 NRTK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념 ··························································16
<그림 2.12> FKP 방식 NRTK 보정신호의 대표적인 활용 개념 ····················································17
<그림 2.13> MAC 방식 보정신호의 기본 단위인 셀의 구성 ···························································19
<그림 2.14> MAC 방식 NRTK 보정신호의 대표적인 황용 개념 ··················································19
<그림 2.15> 1단계 PPP 측위를 결정하는 RTCM 메시지의 종류와 내용 ····································21
<그림 3.1> 평가점의 분포 ························································································································24
<그림 3.2>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1σ, 380점, 단위:m) ·························································26
<그림 3.3>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및 실패 비율 ··········································29
<그림 3.4> FKP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31
<그림 3.5> MAC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32
<그림 3.6> VRS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33
<그림 3.7>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분포 ··························································35
<그림 3.8> 고정해 산출에 쇼요된 시간 분석 ······················································································36
<그림 4.1> 연도별 GNSmart 시스템 도입 빈도 ·················································································39
<그림 4.2> NRTK 메인 소프트웨어의 구성 ························································································41
<그림 4.3> 국토지리정보원 GNSS 솔루션의 네트워크 구성도 ·····················································45
<그림 4.4>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관측네트워크 ········································································47
<그림 4.5> VRS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48
<그림 4.6>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49
<그림 4.7> FKP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50
<그림 4.8>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51

- vii -
<그림 4.9> MAC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52
<그림 4.10>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53
<그림 4.11>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관측 시 문제 지점들의 지역별 분포 ··········54
<그림 4.12> 여름철 천안 상시관측소의 멀티패스(MP1, MP2) 변화 ··············································56
<그림 4.13> 실험을 위한 3가지 크기의 GNSS 상시관측소 네트워크 구성 결과 ·······················58
<그림 4.14> 실험에 사용한 두 가지 종류의 네트워크 ······································································59
<그림 6.1> 국토지리정보원의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82
<그림 6.2> 최초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83
<그림 6.3>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84
<그림 6.4>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 구성안 ·················································89
<그림 6.5>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92
<그림 6.6> 1단계 SSR 보정신호의 구성 항목 ··················································································96
<그림 6.7> Level 2 보정신호의 활용 모델 ···························································································96
<그림 6.8> 현행 Level 3 보정신호의 정밀도 ·······················································································97
<그림 6.9> 현행 Level 3 보정신호의 정확도 평가 결과 ···································································97
<그림 6.10> 교육·등록 웹사이트 메인 화면 구성안 ···········································································99
<그림 6.11> 전용 웹사이트 활용 모델 ································································································100
<그림 6.12> 국가 GNSS 보정신호 활용 협의체 구성 방안 ···························································101
<그림 6.13> 규격화된 NRTK 보정신호 설명의 예 ··········································································101
<그림 6.14> SW 인프라 활용 모델 ······································································································102
<그림 5.15> 전용 App.의 활용 모델 ····································································································103
<그림 6.16>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모델 ····················································································104
<그림 6.17>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의 보정신호 전송체계 다변화 ····················································104
<그림 6.18> 독일 BKG의 계층형 NTRIP 서버 운영 모델 ···························································105
<그림 6.19> 국토지리원의 계층형 NRTIP 서버 운영 모델안 ························································106
<그림 6.20> 국제해사기구에서 운영하는 L밴드 통신위성과 통신영역 ······································107
<그림 6.21> 무궁화위성 5호기의 통신영역과 고도 ··········································································108
<그림 6.22> 서울 지역에서의 시간별 QZSS 위성 포착 위치 ························································110
<그림 6.23> QZSS 위성 발사 계획 ······································································································110
<그림 6.24> 저가형 GNSS 칩셋 개발 동향 ·······················································································111
<그림 6.25> NEO-M8P를 이용한 RTK 측위 결과 ··········································································112
<그림 6.26> RTKLib를 이용한 RT-PPP 측위 수행의 예 ······························································113
<그림 6.27> GNSS 관측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API 체계 ····································114
<그림 6.28> 스마트폰용 2주파 GNSS 칩셋(BCM47755) ·································································115
<그림 6.29> 방대한 규모의 민간사용자를 위한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116
<그림 7.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의 목표와 비전 및 전략 ·································121
<그림 7.2>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을 위한 이행과제 정의 ···································127

- viii -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 및 내용
제1장 연구개요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국토지리정보원은 정밀 측지측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VRS(Virtual Reference

System)방식의 네트워크 RTK(이하 NRTK)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으나 사용자 수


증가에 따라 시스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장하여야 하는 VRS 시스템의 한계를 극
복하고 보다 다양한 분야에 NRTK 서비스를 적용하고자 2012년부터 새로운 방식의

NRTK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새롭게 도입한


NRTK 시스템은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와 규정 부재 등의 이유로 활용도가 저
하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비 측지측량 분야에서의 고정밀 위

치정보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 방안 도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


라 신규 도입한 NRTK 시스템을 공공측량 등의 현업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와 규정
을 마련하고 다양한 민간 고정밀 위치결정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방향의

결정과 추진전략 수립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림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2 -
제1장 연구개요

1.2. 연구의 목적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된 본 연구는 두 가지 부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첫째,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공공측량 등 현업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와 관련


법·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이 제
공하는 새로운 보정신호(FKP, MAC 등)를 이용한 측량작업의 정확도와 사용성을 엄
밀하게 평가하여 성능지표를 결정함으로써 현업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다음으
로는 기본측량과 공공측량 및 지적측량 분야에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련된 세부 규정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측지측량 이외의 민간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관련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 무인
항공기, 위치기반서비스 등 고정밀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민간 활용 분야에서의
수요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수신기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하
는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들을 규정하였으며 목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1.2> 연구의 목적

- 3 -
제1장 연구개요

2. 연구범위 및 내용
본 연구는 180일간 수행하였으며 학술연구부문과 기술연구부문으로 구분하여 추
진되었다. 전국 7개 권역에 산재된 통합기준점 380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 측량을
수행함으로써 최신도입 네트워크 RTK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사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제반 시스템 개선 방향 수립 및 제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한 국내·외 GNSS 및 관련분야 기술개발 동향에 근거하여 측량 외 민간 고정밀 보
정신호 활용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추진 로드맵을 도축하

였다.

<그림 1.3> 연구의 내용과 범위

- 4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제2장 이론적인 고찰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다양한 오차의 개입으로 인해 GNSS 위성신호를 이용한 위치 결정 결과의 정확도
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GNSS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GNSS 보정신호가 개발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GNSS 보정신호

의 종류 및 특성과 관련된 이론적인 기본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1.1. SSR 방식과 OSR 방식
GNSS 보정신호는 두 가지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GNSS를 이용한 위치

결정 작업에 개입하는 각각의 오차값들을 개별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상태 공간


표현식(SSR; State Space Representation)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보정신호들이다.
다른 하나는 GNSS 수신기가 위치결정에 사용하기 위해 생산하는 관측값에 포함된

총량적인 오차값만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관측 공간 표현식(OSR; Observation


Space Representation)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보정신호들이다.

상기한 두 방식의 보정신호를 비교하면 <그림 2.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SSR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신호에는 GNSS 신호를 이용하여 GNSS 위성과 GNSS 안테나
사이의 위치관계를 추정할 때에 개입되는 다양한 종류의 오차에 대한 추정값이 포함
되어 있다. GNSS 위성 궤도 정보에 대한 보정 값, GNSS 위성 신호가 전리층과 대
류층을 통과할 때 발생한 지연량, GNSS 위성시계 오차 등을 개별적으로 계산하여
전송한다. GNSS 수신기는 이러한 개별적인 오차들을 분석하여 GNSS 신호 관측값
에 포함된 총량적인 관측 오차를 계산한다. OSR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신호에는 <그
림 2.1>의 하단에 정리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오차에 대한 추정값이 아닌 GNSS 관측
값의 총량적인 관측 오차를 직접 추정하여 GNSS 수신기에 전달한다. GNSS 기준국
에서 계산한 관측오차와 GNSS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GNSS 이
동국의 관측오차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 6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그림 2.1> SSR 방식의 보정신호와 OSR 방식의 보정신호

SSR 방식 보정신호와 OSR 방식 보정신호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두 가지이다. 첫


째, OSR 방식 보정신호는 기준국과 이동국의 사이가 길수록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
상을 나타내는 반면에 SSR 방식 보정신호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OSR 방식 보
정신호가 기준국의 관측오차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른 관측오차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동국의 관측오차를 추정하는 방식인데 거리에 따른 관측오차의 변화 추정값이 거
리가 멀수록 부정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OSR 방식의 보
정신호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기준국을 설치하여야 한다. SSR 방식의
보정신호를 서비스하는 경우에는 OSR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해야 하는
기준국의 수가 상당량 줄어든다.

두 번째 차이는 보정신호의 크기에서 나타난다. SSR 방식 보정신호가 OSR 방식


보정신호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통신용량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경감된다. <표
2.1>은 SSR 방식 보정신호와 OSR 방식의 보정신호인 VRS 및 MAC 보정신호의 필
요 통신 용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 7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표 2.1> 보정신호의 종류에 따른 필요 통신 용량 비교(Gerhard 등, 2005)

보정신호의 종류 필요 통신 용량(bps)
SSR 1,500
VRS(OSR) 4,800
MAC(OSR) 93,610

12개의 GPS 위성에 대한 보정신호를 1,000km × 1,000km 영역을 대상으로 서


비스 할 때 필요로 하는 통신 용량을 비교한 것으로 SSR 보정신호가 필요로 하는
용량의 크기가 OSR 방식에 비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GNSS 보정신호의 종류


GNSS 보정신호의 종류는 SSR 방식과 OSR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SSR 방식 보정신호로는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위성에서 송


출하는 보정신호와 차세대 보정신호로 여겨지고 있는 PPP-RTK 측위 지원 보정신
호를 들 수 있다.

<그림 2.2> GNSS 보정신호의 구분

OSR 방식의 보정신호에는 저가형 수신기를 이용한 m급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DGPS 보정신호(평균 1m 오차 수준, 최대오차 3m 수준)와 고정밀 위치결정을 지원

하는 NRTK(Network-based Real Time Kinematic) 보정신호가 대표적이다.

- 8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2.1. DGPS 보정신호
본래 DGPS는 넓은 의미로 차분(differential) 측위법의 의해 GNSS 관측값을 처리
하는 다양한 측위법들을 통칭하나 본 보고서에서는 GNSS 코드 관측값을 이용한 위
치결정 작업을 지원하는 OSR 방식의 보정신호로 그 의미를 한정하여 정리하였다.

DGPS 신호에는 GNSS 코드 관측값에 대한 보정값과 기준국의 위치 정보에 해당


하는 RTCM 메시지 1번과 3번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송파 위상에 대한 보

정값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코드 관측값에 대한 보정값은 곧 GNSS 위성과 GNSS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추정값인 의사거리에 대한 수정값이다. 이 값은 기준국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된 값이기 때문에 이동국과 기준국의 거리를 고려하여 이동국

위치에서의 보정값을 산술적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거쳐서 이동국 수신기에 적용된다


(참조 : <그림 2.3>). 하지만 이러한 계산 과정은 이동국과 기준국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정확하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부정확해 지기 때문에 기준국으로부터 일정한 거

리 내에 있을 때에만 정확도가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

DGPS 보정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NSS 수신기 사용자가 활용할 기준국을 직


접 선택하거나 GNSS 수신기의 개략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기준국을 자동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참조 : <그림 2.3> 좌측).

<그림 2.3> DGPS 보정신호의 활용을 위한 기준국의 선택과 거리에 따른 오차량의 증가

- 9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DGPS 보정신호의 정확도는 기준국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 증가에 따라 저하된다


(참조:<그림 2.3> 우측). 보정해야 하는 오차량이 일정하지 않고 거리에 따라 변화

하기 때문에 기준국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멀어질 경우에는 이동국의 위치 정확도


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하는 위치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대상
기준국을 계속해서 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기준국 선정의 불편함은

자동화된 프로세스의 구현을 통해 시스템 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거리 증가에 따


른 정확도 저하 문제는 DGPS 보정신호 사용에 있어서 장애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DGPS 보정신호 사용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은 두 가지였다. 첫


번째 방법은 네트워크 방식의 보정신호 계산 방법으로서 이동국 주변의 여러 기준국

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이동국에 적합한 보정신호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정밀한 위치 계산을 위한 기준국과 이동국의 거리 제한을 상당히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 방법은 기준국의 위치에 종속되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보정신

호를 개발하는 것이었으며 그 결과로써 개발된 보정신호가 SSR 방식의 SBAS 보정


신호이다.

2.2. SBAS 보정신호


SBAS 보정신호는 DGPS 보정신호의 한계를 개선하여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보정신호이다. 이를 위해 SBAS 보정신호는 기준국 위치에서의

코드 관측값에 대한 보정값 만을 제공하는 DGPS 보정신호와는 달리 코드 관측값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오차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GNSS 위성별 궤도오
차, 속도 오차, 시계오차, 의사거리 보정값을 각각 제공하고 이온층과 대류층에서의

굴절량(지연량)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기준국 위치에 종속되지 않고 넓


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보정신호를 제공한다.

<그림 1.4>는 SBAS 보정신호를 통해 사용자 수신기에 전달되는 오차 정보의 종


류를 정리한 것이다. 기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된 관측값의 총량적인 오차 정
보가 아니라 GNSS 위성별 오차 정보와 이온층 및 대류층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별
오차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SBAS 보정신호의 특성은 SSR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신호의 장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 10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그림 2.4> SBAS 보정신호에 포함되는 오차 정보의 종류

SBAS 보정신호를 구성하는 주요 정보에는 신속 보정값(fast corrections), 장기

보정값(long term corrections), 이온층 지연량 정보 및 대류층 지연량 정보가 있다.


신속 보정값에는 변화가 급격한 오차 요인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데 주로 위성별
의사거리 측정값에 대한 보정량과 신뢰도 정보로 구성된다. 의사거리 측정값에 대한

보정값은 GNSS 위성 시계의 시간오차로 은해 발생되는 오차량을 보정하기 위한 것


으로써 m 단위의 거리 보정량으로 제공된다. 보정값을 적용하여 계산한 의사거리에
대한 신뢰도 역시 m 단위의 잠재적인 오차량인 UDRE(User Differential Ranging

Error)로 제공되는데 UDRE 값을 직접 전달하지 않고 그 수준을 대표하는 지수인


UDREi를 제공한다(참조:<표 2.2>).

<표 2.2> UDREi와 UDRE에 대한 매칭 표


UDREi UDRE UDREi UDRE
0 0.75m 8 5.25m
1 1.00m 9 6.00m
2 1.25m 10 7.50m
3 1.75m 11 15m
4 2.25m 12 50m
5 3.00m 13 150m
6 3.75m 14 위성상태 파악 불가
7 4.50m 15 사용불가

- 11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표 2.2>를 참조할 때 특정 GNSS 위성 신호에 대한 UDREi 값이 1인 경우 해당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한 의사거리에 SBAS 보정량을 적용하는 경우 예상되는

거리 오차가 1m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특정 GNSS 위성 신호에 대한


UDREi 값이 14나 15이면 해당 위성 신호는 사용자의 위치 계산 과정에서 배재하여
야 한다. 위성 상태를 파악할 수 없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처

럼 GNSS 위성별 의사거리 보정값과 UDREi 수치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계산할 수 있다.

SBAS 보정신호의 장기 보정값 부분에는 다음과 같이 오랜 시간에 걸쳐서 점차적


으로 변화하는 오차량들에 대한 보정정보들이 포함된다.

■ 위성별 위치 보정정보

■ 위성별 속도 보정정보

■ 위성별 시계오차 보정정보

장기 보정값 정보는 SBAS MT(Message Type) 25 형식으로 제공되며 그 예를

도시하면 <그림 2.5>와 같다. 이 그림을 보면 위성의 위치, 속도에 대한 보정값과


위성 시계 오차에 대한 보정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5> SBAS MT25 정보의 예(속도 코드는 1)

- 12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SBAS 보정신호의 이온층 지연량 정보는 GNSS 신호가 이온층을 통과하며 굴절된
양을 사용자의 GNSS 수신기가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반 정보들로 구성된

다. 이를 위해 위도방향과 경도방향으로 각각 5° 간격으로 분포된 IGP(Ionospheric


Grid Point)들에서의 수직방향 이온층 정보를 제공한다(참조:<그림 2.6>).

<그림 2.6> IGP 분포의 예

사용자 수신기는 IGP 정보를 이용하여 <그림 2.7>에 정리한 바와 같은 개념으로


IPP(Ionospheric Pierce Point)에서의 수직방향 지연량을 계산하고 이를 경사방향

지연량으로 변환함으로써 측정된 의사거리를 수정한다.

<그림 2.7> IPP의 개념

- 13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대류층 지연량의 경우 사용자 수신기의 위치를 입력값으로 하는 고정 모델(fixed


model)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의사거리의 보정작업에 사용된다.

2.3. RTK와 NRTK 보정신호


OSR 방식으로 계산된 RTK 보정신호는 GNSS 신호 중 반송파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실시간 정밀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한다. 같은 OSR 방식의 보정신호인 DGPS


신호가 코드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정보들로 구성된 반면에 RTK
보정신호는 반송파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위치결정을 지원한다. 신호의 특성 상
반송파 데이터의 관측 주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
할 있다. 따라서 RTK 보정신호를 이용하여 결정한 좌표는 수 cm 수준의 오차범위
를 나타낸다.

RTK 보정신호는 기준국 정보, 반송파 데이터, 코드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로 구


성되며 RTCM 2.0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구성정보의 내용을 정리하면 <그림 2.8>과
같다.

<그림 2.8> RTK 보정신호의 구성

<그림 2.8>을 보면 RTK 보정신호가 OSR 방식의 보정신호 이기 때문에 위치 결


정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국의 위치, 장비, 고유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참조:<그림 2.9>) 기준국에서 측정한 반송파 데이터와 코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14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그림 2.9> RTK 보정신호를 구성하는 기준국 정보의 예

RTK 보정신호는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 수신기의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할 수 있


으나 OSR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신호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기준국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정확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
여 개발된 보정신호가 네트워크 방식으로 RTK 보정신호를 계산하여 생성할 수 있
는 NRTK 보정신호이다.

NRTK 보정신호를 계산하는 개념을 단순화 하여 설명하면 <그림 2.10>과 같다.

<그림 2.10> NRTK 보정신호 계산의 개념

- 15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네트워크 방식으로 계산한 RTK 보정신호인 NRTK 보정신호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의 인근에 배치된 다수의 기준국들로부터 RTK 보정신호를 수집한 후 이를 종

합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RTK 보정신호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생성


된다. 여러 기준국에서 계산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RTK 보정
신호를 계산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RTK에 비하여 보다 넓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NRTK 보정신호는 계산 방법과 신호의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


데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고 있는 NRTK 보정신호의 종류는 3가지이며 각각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3.1. VRS 방식의 NRTK 보정신호


VRS(Virtual Reference System) 방식의 NRTK 보정신호는 NRTK 서버가 다수
기준국에서 관측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RTK 신호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계산되며 그 형식은 RTK 보정신호와 동일하다.

<그림 2.11> VRS 방식의 NRTK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념

VRS 방식의 NRTK 보정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림 2.11>에 정리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GNSS 수신기가 GNSS 위성신호만을 이용하여 결정한 개략적인 위치
정보를 먼저 NRTK 서버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후 NRTK 서버는 제공된 위치정보

- 16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에 근거하여 가장 인접한 3개 이상의 기준국들을 선정하고 해당 기준국들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에 가장 적합한 RTK 보정신호를 계산·제공한다. 이처럼 개략

적인 사용자 위치정보의 제공과 해당 위치에 적합한 RTK 보정신호의 계산·제공 과


정이 실시간 반복되며 사용자의 정밀한 위치결정을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NRTK 보정신호 계산 작업을 전적으로 서버에 의존하여야 하고 사


용자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서버에 전송하여야하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환경 하
에서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보정신호의 계산을 지속
적으로 수행하여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서버의 연산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증가할수록 서버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

는 부담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VRS 방식의 NRTK 보정신
호 제공체계는 보정신호의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
서 활용되고 있다.

2.3.2. FKP 방식의 NRTK 보정신호


VRS 방식이 특정 지점에 대한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반면에 FKP((독)Flächen
Korrektur Parameter; (영)Area Correction Parameter) 방식은 기준국들이 형성하
는 관측망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신호를 제공한다.

<그림 2.12> FKP 방식 NRTK 보정신호의 대표적인 활용 개념

- 17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그림 2.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FKP 방식의 보정신호는 3개의 인접한 기준국들


로 구성된 삼각망 별로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각 삼각망에 대한 보정신호는 삼각망

내의 모든 지점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NRTK 서버는 여러


삼각망에 대한 보정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 수신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삼각망의 수
가 많은 수록 보정신호의 용량은 증가하게 된다. 삼각망별 보정정보의 구성과 특징

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Wubbena, G.와 A. Bagge(2002)의 연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NRTK 서버가 전송한 FKP 보정신호를 수신한 GNSS 수신기는 자신의 위치를 포
함하고 있는 삼각망에 대한 보정정보를 선택하며 이 정보로부터 자신의 위치에 적용

할 수 있는 보정신호를 계산하여 위치결정에 활용한다. 이러한 보정신호 활용구조로


인해 FKP 방식의 보정신호는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단
방향 통신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위치에 해당하는 보정신호

계산 작업을 사용자 수신기가 담당하기 때문에 서버의 보정신호 계산 부담이 경감되


어 일정한 용량의 서버 시설로도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넓은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보정신호의 물리적인 한계


와 단순한 신호구조로 인하여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위작업의 효율성과 정확도

가 타 보정신호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나는 사례가 있으나 정상적인 작업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2.3.3. MAC 방식의 NRTK 보정신호


MAC(Master Auxiliary Concept) 방식의 보정신호는 주기준국(master station)과

인접한 다수의 보조기준국(auxiliary)들로 구성되는 셀 단위의 보정신호이다(참조:


<그림 2.13>). 보조기준국들은 주 기준국을 중심으로 약 100km 이내의 범위에 위
치하여야 한다. MAC 방식 보정신호의 주기준국 부분은 GNSS 관측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보조 기준국 부분은 주 기준국 데이터를 보조하기 위한 사전 데이


터 분석 결과들로 구성된다.

<그림 2.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방식의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NRTK 서버


는 다수의 셀에 대한 보정신호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사용자 수신기는 통합된 정보
를 수신한 이후 자신의 개략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셀에 대한 정보를 선택한 후
셀로부터 RTK 보정신호를 추산하여 위치결정 작업에 활용한다.

- 18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그림 2.13> MAC 방식 보정신호의 기본 단위인 셀의 구성

<그림 2.14> MAC 방식 NRTK 보정신호의 대표적인 황용 개념

MAC 방식의 보정신호는 셀 영역 내의 모든 지점에 대한 보정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 방식에 비해 충분한 양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정밀한 위치결정 작업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범위 내의 모든 셀들에 대한 보정정보를 통합하
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방향 통신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 수신기에
적합한 보정신호의 계산을 수신기가 부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정 규모의 서버 용
량으로도 많은 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다.

- 19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2.4. PPP-RTK 보정신호


PPP-RTK 보정신호는 차세대 고정밀 위치결정 보정신호로 여겨지고 있으며 세계
각 국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SR 방식의 보정신호로서 같은 계열인
SBAS 보정신호에 비해 보다 다양하고 정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수 cm 오차 범위
의 위치결정 체계 구현을 목표로 한다.

PPP-RTK에서 PPP는 precise point positioning의 약자이다. PPP 측위법은 장시


간 취득한 GNSS 데이터를 이용하여 GNSS 측정값에 오차를 유발하는 여러 오차원
들을 정밀하게 모델링함으로써 별도의 기준국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관측지점의 위치

를 매우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이다. PPP-RTK 측위법은 여러 오차원들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정밀한 위치 결정 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측위법이다. 따라서 PPP-RTK 측위법에 사용되는 보정신호는 다양

한 오차요인들에 대한 보다 정밀한 추정값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PPP-RTK 측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저가의 1주파 GNSS 수신기를 이용한 수 cm


오차 범위의 정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현재는 PPP-RTK 측위 작
업에서 필요로 전체 오차정보들 중 일부분에 대하여서만 표준화가 되었다. 제공되는
오차정보의 종류가 적은 경우 PPP-RTK 측위보다 정확도와 성능이 낮은
DF-RT-PPP나 SF-RT-PPP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참조:<표 2.3>).

<표 2.3> 제공되는 오차정보의 종류에 따른 구현 가능 PPP 측위법의 종류

단계 제공되는 오차정보의 종류 구현 가능 측위 성능

위성 궤도오차 , 위성 DF-RT-PPP 고가의 2주파 수신기를


1 시계오차 , 코드데이터 · DF:Dual Frequency(2주파 수신기) 이용한 약 30cm(1σ) 오차
바이어스 · RT:Real Time 범위 위치 결정
1단계의 오차, 이온층 연직 SF-RT-PPP 저가의 1주파 수신기를
2 지연량 (VTEC), 반송파데이터 · SF:Single Frequency(1주파 수신기) 이용한 약 30cm(1σ) 오차
바이어스 · RT:Real Time 범위 위치 결정
1단계의 오차, 2단계의 오차, 저가의 1주파 수신기를
3 이온층 경사 지연량 (STEC), PPP-RTK 이용한 수 cm(1σ) 오차
대류층 지연량 범위 위치 결정

- 20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현재는 <표 2.3>의 단계 1에 해당하는 오차정보들에 대해서만 국제적인 표준이


마련된 상태이다. 단계 2 및 단계 3에 해당하는 오차정보들에서는 GNSS 보정신호

서비스 제공회사 별로 별도의 포맷을 규정하여 신호를 정의하여 PPP-RTK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다. 표준화가 완료된 PPP-RTK 관련 신호들을 예시하면 <그림
2.15>와 같다. GPS 위성과 GLONASS 위성에 대한 궤도 정보와 시계 정보 및 코드

데이터 바이어스 정보에 대한 표준이 정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15> 1단계 PPP 측위를 결정하는 RTCM 메시지의 종류와 내용

- 21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1. 평가작업 개요
2. 정확도 평가 결과
3. 사용성 평가 결과
4. 성능지표 결정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 NRTK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성능을 평가
하였다. 현재 제도화 되어 측량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가상기준점(Virtual
Reference System, 이하 VRS)방식 보정신호와 함께 최신 도입 NRTK 보정정보인

면보정계수(Flächen-Korrektur-Parameter, 이하 FKP) 방식과 주·보조기준점


(Master Auxiliary Concept, 이하 MAC) 방식의 보정신호를 평가하였다. 평가의 목
적은 정확도 분석 및 VRS와의 비교를 통해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제도화 가
능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1. 평가작업 개요
1.1. 평가 방법
전국에 산재된 380개의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현장 검증측량을 수행하였다. 통합

기준점 성과를 기준으로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량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으


며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등 작업 효율성을 대표할 수 있는 몇 가지 지표를 분석하
였다.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된 통합기준점의 분포와 수량을 정리하면 <표 3.1> 및

<그림 3.1>과 같다.

<표 3.1> 평가에 사용된 통합기준점의 분포와 수량

구분 행정구역 평가점
경기권 경기 , 서울 , 인천 52
충청권 충남 , 충북 , 대전 , 세종 83
호남권 전남 , 전북 , 광주 81
강원권 강원 73
경남권 경남 , 부산 , 울산 35
경북권 경북 , 대구 44
제주권 제주 12
합계 380

- 23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그림 3.1> 평가점의 분포

현장 검증팀이 통합기준점에서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라 NRTK 측량을 수행하되


VRS, FKP, MAC 보정신호를 각각 이용하여 좌표를 측정하였다. 검증측량에 사용한

장비는 범용성이 확인된 GNSS 측량 시스템이다. 외산 장비와 국산 장비를 사용하


였으며 모델명과 주요 사양을 정리하면 <표 3.2>와 같다.

<표 3.2> 평가에 사용된 장비

구분 외산 국산

사진

제조사 Trimble Leica Geosystems 아센코리아

모델명 R10 GS08 Plus AKT

주파수 L1, L2, L5 L1, L2 L1, L2, L5

- 24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1.2. 평가 항목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다양한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측
점별 평가 항목은 <표 3.3>과 같다. 각 평가 항목은 공공측량 작업규정 상의 NRTK
측량 방법·기준과 관련된 것들로서 각 NRTK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품질 평가에 활
용할 수 있다.

<표 3.3> 측점별 평가 내용

평가 항목 평가 방법

고정해 산출 가능여부 5분 이내에 고정해를 계산하면 성공


정확도 고시성과(평면좌표)와의 편차
고정해 산출 시간 최초 고정해 산출에 소요된 시간
고정해 산출 비율 전체 관측결과 중 산출된 고정해의 비율
측위 지속성 최초 고정해 산출 후 고정해 지속 여부

한 측점에서 5분이 경과하여도 고정해를 계산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측정실패로 분


리하였다. 고정해 산출시간에 지나치게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보정신호에 문제

가 있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효율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미국 NGS(National Geodetic Survey) 작업규정을 참조하면 매우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결정된 고정해는 과대오차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려운 것
을 알 수 있다.

정확도의 경우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라 세션평균, 세션별 성과의 가중평균에 의


해 계산된 좌표를 고시좌표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계산된 고시성과와의
편차가 관련 제도의 허용오차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평가함으로써 NRTK 보정신호의

적합성을 분석할 수 있다.

고정해 산출시간과 비율 및 측위지속성은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측량작업의 수행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주요 지표이다. 현장 평가 작업 시 측점별로 기록된 로그데
이터를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 25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2. 정확도 평가 결과
380점의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NRTK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80개 측점에서 계산한 고시성과와의 편차량 들로부터 정확
도를 대표하는 통계값을 산출하였다. <표 3.4>는 약 68% 확률범위의 오차를 나타

낸 것이고 <표 3.5>는 99% 확률범위의 오차를 나타낸다.

<표 3.4>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1 σ, 380점, 단위:m)


보정신호 VRS FKP MAC
좌표성분
위거 (m) 0.016 0.023 0.042
경거 (m) 0.015 0.019 0.022
타원체고 (m) 0.060 0.072 0.125

<그림 3.2>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1σ, 380점, 단위:m)

- 26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표 3.5>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3σ, 380점, 단위:m)


보정신호 VRS FKP MAC
좌표성분
위거 (m) 0.048 0.069 0.126
경거 (m) 0.045 0.057 0.066
타원체고 (m) 0.180 0.216 0.375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정리된 3, 4급 기준점의 평면오차 한계는 10cm(1σ)인걸 감


안할 때 제도화된 VRS 방식과 FKP는 전체 평가점 중 99% 이상의 측점에서 기준
을 충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C의 경우 두 제반시스템의 정비가 완전
히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가가 이루어진 관계로 다른 두 보정신호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해외 연구사례들을 참조할 때 MAC가 VRS, FKP와 동등 이상
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발표된 점을 감안하면 MAC 계산 시스템을 정비하여 제
도화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과대한 오차가 발생한 측정점의 수를 정리하면 <표 3.6>과 같다. 평면좌표의 과대

오차 기준을 10cm로 설정한 이유는 제도적으로 볼 때에 NRTK 측량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정밀한 평면측량이 3, 4급 공공기준점 이기 때문이다. 타원체고의 과대오
차 기준을 20cm로 설정한 이유는 NRTK로 수행할 수 있는 표고성과 측량이 현황측

량인데, 수치지도 보완측량을 현황측량법으로 수행한다고 할 때 오차 한계가 주곡선


간격의 1/3이기 때문이다. 1:1,000 축척의 수치지도를 NRTK 현황측량으로 보완한
다고 할 때에 약 33cm 오차 이내의 정확도를 나타내어야 하는데 지오이드 모델을

고려하여 타원체고로부터 표고를 계산할 때 개입되는 오차를 감안한다면 적어도


20cm 이하의 오차범위로 측량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표 3.6>을 볼 때 과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측정점의 수가 매우 적은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대부분 전체 측정점 수의 2% 이내에서 과대 오차가 발생하여 대부분
의 측점에서 현행 규정상의 정확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7>은
과대 오차 기준을 높여서 평면좌표 5cm, 타원체고 10cm로 설정했을 때 발생하는
과대오차 점 수를 정리한 것이다. 전체 측정점 중 약 10% 이내의 점에서 과대오차
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NRTK 측량법으로 높은 정확도를 필

- 27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요로 하는 측정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과대오차 방지를 위해 충분한 여유도를 확보하


는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표 3.6> 과대오차 점 수(기준 : 평면좌표 10cm, 타원체고 20cm)


보정신호 VRS FKP MAC
구분 평면좌표 타원체고 평면좌표 타원체고 평면좌표 타원체고
과대오차 0 2 2 5 4 4
점수 (0%) (0.6%) (0.6%) (1.5%) (1.2%) (1.2%)

<표 3.7> 과대오차 점 수(기준 : 평면좌표 5cm, 타원체고 10cm)


보정신호 VRS FKP MAC
구분 평면좌표 타원체고 평면좌표 타원체고 평면좌표 타원체고
과대오차 4 17 13 34 10 23
점수 (1.2%) (5.1%) (3.9%) (10.1%) (3.0%) (6.9%)

3. 사용성 평가 결과
NRTK 보정신호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해 정확도와 함께 평가되어야 하는 항목은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속적인 측정 가능성 등이다. NRTK 측량 시 고정해 계산
에 과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면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과대
오차가 포함된 좌표가 결정될 위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380개의 통합기준점에서
고정해 산출 시간, 고정해 산출 지속성을 평가함으로써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제도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측정을 시작한 후 고정해 산출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정리하면 <표 3.8>과


같다. VRS 방식이 평균 8.3초 소요되었으며 FKP와 MAC 방식이 약 14.5초 소요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 28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표 3.8>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및 실패 비율


평균 소요시간 실패 비율 과대시간 발생비율(1분 이상)
VRS 8.3 초 2회 (0.6%) 4회 (1.1%)
FKP 14.4 초 4회 (1.1%) 11회 (3.1%)
MAC 14.5 초 15(4.2%) 18회 (5.1%)

<그림 3.3>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및 실패 비율


4. 성능지표 결정
4.1. 정확도 성능지표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량작업의 정확도 성능지표를 결정하였다.
통계적인 모델에 근거한 수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3σ(99% 확률범위)를 기준으로 하
여 정상적인 통계범위를 벗어나는 값들을 검출·소거하였으며, 나머지 값들을 이용하
여 지표를 결정하였다.

<표 3.9>는 380개 평가점에서 발생한 고시성과와의 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 값을 정리한 것으로 68% 확률범위의 정확도 성
능지표라 할 수 있다.

- 29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표 3.9> NRTK 측량의 정확도 성능지표(1 σ, 380점, 단위:m)

North(m) East(m) Height(m) 이상점


FKP 0.022 0.019 0.076 4
MAC 0.021 0.022 0.059 20
VRS 0.018 0.016 0.060 2

<표 3.10> NRTK 측량의 정확도 성능지표(3 σ, 380점, 단위:m)

North(m) East(m) Height(m) 이상점


FKP 0.066 0.057 0.228 4
MAC 0.063 0.066 0.177 20
VRS 0.054 0.048 0.180 2

<표 3.10>은 99% 확률범위의 정확도 성능지표를 나타낸 것으로 <표 3.9>에 정리

한 값의 3배에 해당되는 수치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수치들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KP의 경우 100번 측량 했을 때 약 68점 정도의 수평좌표
오차가 2cm 수준임을 의미한다. 타원체고의 경우 100번 측량 한 결과 중 약 68개

의 점이 7.6cm 이내의 오차를 99개의 점이 22.8cm 이내의 오차를 나타냄을 의미한


다. MAC는 수평좌표의 오차 부분에서 FKP와 유사하고 타원체고 부분에서는 FKP
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통계모델에 부합하지 않는 이상값이 매우 많이
발생한 것을 볼 때 추가적인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VRS는 나머지 두 측정값
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정신호별 NRTK 측량의 정확도에 대한 성능지표 계산에 사용된 측점별 편차량


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그림 3.4> ~ <그림 3.6>과 같다. 현재 제도화
된 VRS의 경우 편차량의 분포가 낮은 범위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최신 도입
NRTK 보정신호들은 일부 과대한 편차들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30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그림 3.4> FKP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 31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그림 3.5> MAC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 32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그림 3.6> VRS를 이용한 NRTK 측량의 편차 분포

- 33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보정신호의 특성상 FKP와 MAC는 GNSS 수신기가 직접 정밀한 좌표 계산에 필


요한 각종 GNSS 오차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보정신호 전송 후

중앙시스템의 보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스템의 계산 부담과 네트워크


용량 부담을 상당히 덜 수 있는 유용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스템에
일일이 개입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GNSS 오차량을 계산하는 VRS에 비해서는 미

소하지만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2. 사용성 성능지표


현장에서의 사용자 편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정해 산출까지 소요
되는 시간이다. 380개 평가점에서 수행된 검증측량 시 소요된 시간들을 데이터로
사용하여 도출한 NRTK 측량의 사용성 성능지표를 정리하면 <표 3.11>과 같다.

<표 3.11> NRTK 측량의 사용성 성능지표

초기화 시간(초) 이상 점
FKP 13.30 16
MAC 13.81 30
VRS 7.78 10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지표를 계산하기 위하여 편차가 3σ 범위를 초과하는 점들을
이상점들로 분류하여 소거한 후 지표를 결정하였다. <표 3.11>을 보면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인 FKP와 MAC는 13~14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고정해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7.78초 정도의 시간 경과 후에 고
정해를 산출할 수 있는 VRS에 비해 약 5초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보정신호의 형태적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판단되며, 5초
정도의 추가적인 시간 소요는 작업자에게 약간의 불편함을 미치는 정도이기 때문에
제도화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그림 3.7>은 NRTK 보정신호의 종류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의 빈도 분포를 나


타낸 것으로, FKP와 MAC가 VRS에 비해 과대한 시간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34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그림 3.7> NRTK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분포

- 35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정확도와 활용성에 대한 성능지표에 있어서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인 FKP,


MAC가 VRS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은 보정신호의 형태적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해외 사례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8>은 이탈리아의 팔레르모 대학에서 수행한 VRS와
FKP 비교 연구 결과이다. VRS에 비해서 FKP가 고정해 산출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8> 고정해 산출에 쇼요된 시간 분석

- 3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1. 최신도입 NRTK 시스템 구축 현황


2. 현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3. 관측 네트워크 개선 방안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1. 최신도입 NRTK 시스템 구축 현황
국토지리정보원이 최근에 도입한 NRTK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은 독일의 Geo++사

가 개발한 GNSmart이다. 이 시스템은 NRTK 측위용 보정신호를 지원하는 최초의


상용 시스템으로써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 이후 꾸준히 개선되었다. 실용분
야에서의 필요를 만족시키는 성능과 정확도로 인해 1996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국가

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1.1. 시스템 도입 사례
Geo++사의 실적을 기준으로 분석한 GNSmart 시스템의 도입 사례를 연도별 빈
도로 정리하면 <그림 4.1>과 같다. 1996년부터 20년간 24개국에 79회 도입되었으
며 이를 볼 때에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

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인 GNSmart의 문제점과 개선사


항 분석 시 시스템 외적 부분, 즉 시스템에 공급되는 GNSS 관측데이터의 품질과
관측 네트워크의 적절성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14 13

12

10
도입 빈도(회)

8 7 7 7

6 5 5 5
4 4
4 3 3 3
2 2 2 2 2
2 1 1 1

도입 년도

<그림 4.1> 연도별 GNSmart 시스템 도입 빈도

- 3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전국 범위의 NRTK 측위 서비스를 구성하고 NRTK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


적인 사례로는 독일의 SAPOS(Satellite Positioning System) 서비스를 들 수 있다.

SAPOS는 독일의 연방공화국 16개 주의 측량 기관들의 실무 그룹에 의한 연합 프


로젝트이다. 독일의 NRTK 서비스인 HEPS는 독일을 구성하는 각 주 단위로 운영
하고 있으며, 이 중 GNSmart를 도입한 주는 <표 4.1>에 정리한 바와 같이 7개 이

다. 각 NRTK 서버는 공통적으로 FKP, MAC 및 VR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DGPS 서비스 또한 보편적으로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GNSmart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일부 서버에서 멀티 GNSS 위성활용 환경을 지원하
는 RTCM 3.2 프로토콜의 MSM(Multi Signal Massage)을 시범적으로 서비스 하고
있다는 점이다.

<표 4.1> GNSmart를 사용하는 독일의 NTRIP 캐스터들

NRTK 서버 IP 서비스 지역 솔루션 보정신호의 종류

SAPOS-BB www.sapos-bb-ntrip.de:2101 브란덴부르크 주 GNSmart FKP, MAC, VRS,


MSM_VRS, DGPS
SAPOS-BE www.sapos-be-ntrip.de:2101 베를린 주 GNSmart FKP, MAC, VRS,
DGPS
SAPOS-Geonord www.sapos.geonord.de:2101 자유 한자 도시 GNSmart FKP, MAC, VRS,
함부르크 DGPS
SAPOS-MV www.sapos-mv-ntrip.de:2101 맥클렌부르크 GNSmart FKP, MAC, VRS,
포어포메른 주 DGPS
SAPOS-NI www.sapos-ni-ntrip.de:2101 니더작센 주 GNSmart FKP, MAC, VRS,
DGPS
SAPOS-LSA www.sapos-lsa-ntrip.de:2101 작센안할트 주 GNSmart FKP, MAC, VRS
FKP, MAC, VRS,
SAPOS-SL www.sapos-sl-ntrip.de:2101 자를란트 주 GNSmart DGPS,
MSM_SINGLE

1.2. 시스템의 구조
국토지리정보원이 신규 도입한 NRTK 시스템의 구조를 소프트웨어 부분과 하드웨
어 및 네트워크 부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도시하면
<그림 4.2>와 같다.

- 4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2> NRTK 메인 소프트웨어의 구성

<그림 4.2>를 보면 전체 소프트웨어가 모듈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

음 알 수 있다. 서버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단일 기준국 자료처리 모듈(GNREF)을 통


해 일관성, 시간지연성, 완전성 등의 부분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이 단계에서 기준
국 좌표와 안테나 캘리브레션 정보 등을 적용한 단일 기준국 자료 처리가 수행되고,

데이터는 후처리를 위해 RINEX(Receiver Independent Exchange Format) 혹은


원시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GNSS 네트워크 계산 모듈(GNNET)이 단일 기준국 자료처리 결


과를 이용하여 GNSS 오차를 모델링 한다. 이 단계에서는 거리에 의존적인 오차원
들이 단일하고 일관된 상태공간모델(SSM, State Space Model)에 기준하여 추정하
며, SSM 정보는 실시간 응용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와 함께 상태공간표현식
(SSR, State Space Representation) 파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 4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SSR 파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의 예로써, 후처리
서비스를 위한 가상 RINEX 파일 생성, 특정 시간에 대한 SSM의 상태 표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모호정수 결정 및 기타 GNSS 오차원들에 대한 정


보를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NRTK 보정신호 생성 모듈(RTCM_OUT)이 FKP, VRS, MAX,


DGPS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의 보정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보정신호는 NTRIP
캐스터 모듈(GN_CASTER)을 통해 다양한 실시간 GNSS 정밀 측위 사용자들에게
전달된다. 원래 GNSmart는 RINEX 파일의 배포, GNSS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후
처리 형태의 GNSS 측위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듈도 포함할 수 있으나 국토지리정보

원 NRTK 시스템에는 실시간 측위 서비스 지원 모듈만 설치되었다.

GNSmart 내에서 모듈들 사이의 통신과 자료 전달은 공유 메모리 사용과 모듈 간


메시지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나의 모듈이 자료 처리를 완료하면 처리 결과를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고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다른 모듈들에 전송

하여 다른 모듈들이 처리 결과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GNSmart를 여러 대의 PC에 분산하여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CPU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키고 빠른 연산을 가능하게 한다.

GNSmart를 구성하는 주요 모듈들과 각 모듈들의 기능을 정리하면 표 3.5와 같다.

각 모듈들의 기능과 작업수행 내용을 보면 국토지리정보원에 도입된 NRTK 시스템


은 기존 NRTK 측위 솔루션에서 사용하던 관측 공간 모니터링(OSM:Observation
State Monitoring) 방법보다 개선된 방식은 SSM 방법으로 GNSS 측위 오차원들을
모델링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국토지리정보원 NRTK 시스템이 알고리즘 부분에서는 기존 시스템


보다 개선된 시스템인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밀한 오차 모델링을
지원할 수 있는 정밀한 안테나 캘리브레이션 정보 부재의 문제는 시스템의 성능과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표 4.2> 국토지리정보원 NRTK 메인 소프트웨어의 주요 모듈들 및 기능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수신기 연계 Receiver Input Ÿ 선택된 인터페이스(RS232, TCP/IP 등)를 통해
모듈 Module GNSS 수신기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취득하여
단일 기준국 처리 모듈인 GNREF에 전달

- 42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Ÿ GNSS 수신기 장비 별 모듈을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음
Ÿ GNALERT 모듈에 전송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로써 수신기로부터 데이터가 전송
되지 않거나, 고온, 저 전력 등의 문제가 발생하
였음을 알릴 수 있음
Ÿ RINEX 혹은 기타 형태로 원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렇게 저장된 자
료는 후처리 작업에 활용할 수 있음

Ÿ 단일 기준국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 자료


는 수신기 연계 모듈에 의해 준비된 관측자료임
Ÿ GNREF는 기준국들의 좌표와 안테나 캘리브레
단일 기준국 이션 자료를 적용하여 자료 처리를 수행
자료 처리 GNREF Ÿ GNREF는 단일 기준국을 대상으로 하는 보정
모듈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는 사용자에
게 RTCM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음
Ÿ RTCM 데이터는 일반적인 기준국-이동국 응용
에 적합하며 데이터는 1Hz 빈도로 생성·배포 됨
Ÿ 상태 공간 모델링(SSM)이라고 불리는 고정밀
GNSS 다중 기준국 솔루션을 실시간으로 계산
GNSS 하는 기능을 제공함
네트워크 계산 GNNET Ÿ GNNET은 방송파 위상 관측값을 처리하며, 처리
모듈 대상 관측값은 GNREF, RTCM_IN과 같은 다른
프로그램 모듈에서 제공한 값을 사용함
Ÿ 좌표와 궤도 오차, 전리층 지연 오차 등과 같은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음
Ÿ 계산된 보정신호를 RTCM 등의 다양한 포맷으
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함
Ÿ FKP, VRS, PRS(Pseudo Reference Station),
NRTK MAC, DGPS 형식의 보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
보정신호 계산 RTCM_OUT Ÿ 다양한 버전의 RTCM 포맷을 지원
모듈 Ÿ 보정데이터가 없다거나, 네트워크 인포메이션이
없다던지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GNALERT에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음

- 43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Ÿ NTRIP 캐스터의 역할을 수행
NTRIP 캐스터 GN_CASTER Ÿ RTCM_OUT과 같은 NTRIP 소스들을 관리
모듈 Ÿ NTRIP 클라이언트를 관리
Ÿ NTRIP 관리자의 접근을 관리
Ÿ GNSmart와 연결된 GNSS 상시관측소들의 상태
SMRTMON 에 대한 빠른 요약정보를 생성함
Ÿ 기준국 배치도를 비롯하여 기준국과 관련된 다
양한 정보들을 출력함

기타 모니터링 Ÿ 결정된 좌표를 모니터링


모듈 GNCMON Ÿ 실시간 측위 솔루션 계산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
시하고 출력함
Ÿ 알람 기능을 수행한 데몬 프로그램
GNALERT Ÿ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Ÿ 다른 모듈들로부터 경고 메시지가 도착하면 사
전에 설계된 기능을 수행함

시스템의 네트워크와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결과는 <그림 4.3>과 같다. 시스템
은 가상사설망(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GNSS 상시관측소 및 사용자
와 연계되며 네트워크 진입 부분에 통합보안솔루션(UTM:Unified Threat

Management) 장비인 Cisco사의 ASA 5520 장비가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의 위험


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고한다. 시스템은 이러한 구조의 내부 네트워크에 단일
한 서버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상사설망에서 부여한 GNSS 상시관측소의 IP

주소를 통해 상시관측소의 수신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다.

상기한 네트워크와 하드웨어 구조는 일반적인 NRTK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단일 서버에서 대부분의 정보처리와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긴급한 상황들에 취약한 구조이다. 시스템의 고장이나
정비 시에도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서버 시설을 운영
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보조 서버를 구동할 수 있는 이중화 구조의 도입이 필요한 것
으로 판단된다.

- 44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3> 국토지리정보원 GNSS 솔루션의 네트워크 구성도

1.3. 서비스 제공체계


2017년 12월을 기준으로 할 때 국토지리정보원의 최신도입 NRTK 서버에서 제공
하는 보정신호의 종류는 6개이다(참조:<표 4.3>). NRTK 보정신호인 FKP, MAC,
VRS 정보와 1개의 DGPS 보정신호를 제공하고 있다. GNSS 분야의 최근 동향을 반

영하여 SSR 방식의 보정신호를 1개 제공하고 있는데 이 보정신호는 2단계 SSR 보


정신호에 대한 일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온층에서의 연직방향 지연량 정보와
반송파 바이어스 정보 및 기타 보충정보로 구성된 제한적인 SSR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온전한 SSR 측위를 지원하기 보다는 사용자 GNSS 수신기 측에서
OSR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해외의 다른 국가에서 GNSmart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시스템과 비교할 때


보여지는 취약점은 두 가지로 보여진다. 첫째는 DGPS 보정신호에 GLONASS 정보
가 누락되어 신호의 활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며 둘째는 멀티 GNSS 활
용을 지원하는 MSM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서 이 신호를 필요로 하는 최신 수신기
들을 지원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 45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표 4.3> 최신도입 NRTK 서버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형태 구분 보정신호 포맷 상세포맷(갱신주기) 지원 신호 지원 위성

DGPS DGPS RTCM 2.2 1, 3(10) L1 GPS


RTCM 2.3 1, 3(17), 14(61), 16(301), L1/L2 GPS
20, 21, 22(17), 23(17), 24(17)
FKP 1004, 1006(17), 1008(31),
RTCM 3.1 1012(1), 1030(31), 1031(31), L1/L2
OSR 1033(60), 1034(10), 1035(10)
(관측공간 1004, 1006(17), 1008(31),
표현식) NRTK MAC RTCM 3.1 1012, 1014(10), 1017(10), L1/L2
1030(31), 1031(31), 1039(10)
GPS,
1004, 1006(17), 1008(30), GLONASS
VRS RTCM 3.1 1012, 1030(30), 1031(30), L1/L2
1032(10), 1033(60)
CMR+ CMR c0, c3, cmr+ L1/L2
SSR SSR SSR II RTCM 3.2 1230, 1264, 1265, 1266, 모든
(상태공간 2단계 4090.4.1, 1029 신호
표현식)

1.4. 관측 네트워크의 구성
2017년 8월을 기준으로 할 때 최신도입 NRTK 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GNSS
상시관측소는 29개소이며 보정신호를 계산하는 45개의 단위 삼각망들로 구성한 관
측네트워크를 도시하면 <그림 4.4>와 같다. 단위 삼각망들의 평균 변장은 88.95km
이고 그 표준편차는 29.63km로서 통계적으로 과대한 변장을 나타내는 2개이다. 기
준국과의 거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 OSR 방식 보정신호의 특성상 과대 변장을 가지
는 단위 삼각망들이 정밀한 NRTK 보정신호 계산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이
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정확도와 사용성 평가 작업 시 해당 삼각망에 해당되는 지점
들(통합기준점 U1108과 U화원13)의 평가 작업에 주목하였으나 특별한 이상은 발견
되지 않았다.

관측 네트워크 내부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NRTK 보정신호 활용 절차를


거쳐서 위치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일부 국토의 경우 관측 네트워크 외부에

- 4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위치하기 때문에 인접한 단위 삼각망의 정보를 기반으로 외삽(extrapolation)에 의


해 보정신호를 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정확도와 사용성 평가 지점 중 관측망

외부에 위치한 지점들은 19개 였으며 이 중 이상을 나타내는 지점은 1지점(통합기


준점 U0007)이었다. 해당 지점에서의 평가 결과 중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타원
체고 측정값만 20cm 이상의 과대한 값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보정신호를 이용한 평

가 결과는 정상적이었다.

<그림 4.4>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관측네트워크

- 47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2. 현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2.1. 문제점 분석 결과
380개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양호한 관측이 이루어졌으나 일부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하였
다. 고정해 산출에 실패하거나 고정해 산출까지 너무 많은 시간이 지연되는 지점들
이 있었으며 측정 정확도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들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가 발생한 지점들의 분포상황을 바탕으로 문제를 유발하는 구조적이고 시스템적인
요인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NRTK 보정신호의 품질과 정확도에 대해서
만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 결과 중 NRTK 시스템 정비, 관측환경 불량 등 외적 요인

들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한 결과는 제거하고 정상적인 운영상황에서 이상이 발생한


결과들만을 정리하였다.

제도화가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VRS 보정신호에 대한 평가는 FKP


와 MAC 보정신호의 목표 성능 결정을 위한 참고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림 4.5> VRS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 48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5>는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위치측정 결과에서 평면좌표 과대오차가


발생한 경우(좌측)와 타원체고 과대오차가 발생한 지점(우측)을 나타낸 것이다. 평면

좌표의 편차 한계는 3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cm로 설정하였으며 타원체고의


오차 한계는 20cm 설정하였을 때 편차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타원체고
오차한계를 초과하는 지점만 2개 발생하였다.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작업의

정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과대 오차의 발생 횟수가 적은 관계로 구조


적이고 시스템적인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그림 4.6>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 4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7> FKP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작업에서의 과대오차 발생 지점의 수는 VRS 보정신


호를 이용한 작업보다 약간 많았다. 10cm를 초과하는 평면좌표 오차 발생 지점이 2

개 지점이었으며 20cm를 초과하는 타원체고 오차가 발생한 지점은 5개 지점이었다


(참조:<그림 4.7>).

<그림 4.8>은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 측량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3개 지점에서 정밀 좌표 계산에 실패하였으며 11개 지점에서는 고
정해 산출에 1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
지점은 수량이 적고 별다른 경향을 찾아내기 어려웠으나 11개 이상점의 경우 충청
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지역에 서
비스 되고 있는 보정신호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
의와 원활한 현장작업 지원을 위해 원인을 규명하여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에서는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정상적인 측위작업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보정신호 생성에 사용되는 관측자료를 분석하고 생성된 보정신호의 품질을 검토하였
으며 그 결과를 다음 단원에 수록하였다.

- 5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8>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량작업의 정확도 평가 결과 과대오차가 발생한 지점들

의 위치를 정리하면 <그림 4.9>와 같다. 평면 좌표의 경우 4개 지점에서 과대 오차


가 발생하였으며 타원체고의 경우 3개 지점에서 과대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
생 빈도는 FKP 보정신호의 경우와 유사한 수준이며 특별한 경향과 분포는 나타나지

않았다.

- 5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9> MAC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량 작업의 사용성을 분석한 결과 많은 문제점이 발견

되었다. <그림 4.10>을 보면 고정해 계산을 수행하지 못한 지점이 23개이고 고정해


계산까지 1분 이상의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지점이 16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검사 측량 횟수 중 약 10.3%에 해당하는 횟수만큼 고정해 계산 실패나 과대

시간 소요 현상이 발생했다는 점은 MAC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신호에 구조적인 문


제가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상기한 평가 결과를 고려한다면 MAC 보정신호 활용체계를 실용화하기 전에 제반


시스템과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밀한 재조정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FKP 보정신호
에 비해 보다 풍부한 보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MAC 신호의 특성 상 정확도와 활
용성 부분에서 FKP 보정신호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
다. 따라서 MAC 방식 보정신호의 제도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시스템에 대
한 정밀한 재조정을 수행한 이후 별도의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정확도와 사용성 재
검증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 52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10>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FKP 및 MAC 방식의 보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점과 사용성을 평가한 결과들 중


문제가 발생한 지점들의 권역별 분포 현황을 정리하면 <그림 4.15>와 같다. 그림을
보면 주로 충청권역에서 수행한 평가작업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타 지역에 비해 강원도가 약간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원인 분석 결과
강원도 지역 현장작업 당시 중앙국 시스템 조정 작업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53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FKP
10 9 35
9 29.5
30
8
7 25
6 20
16.2
5
4 15
10 10.1 9.2 9.6
3 2 2 7.3 10
2 1 5
1 0 0 0 0 0 0 0 0 0 0
0 0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실패 장시간 초기화 시간

MAC
14 35
31 12
12 30
10 9 25
8 17.3 20
6 10.8 11.1 10.7 15
8.8 7.6
4 3 3 10
2 4 3
2 1 1 1 5
0 0 0 0
0 0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실패 장시간 초기화 시간

<그림 4.11>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관측 시 문제 지점들의 지역별 분포

2.2. 원인 분석 및 개선 방향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에 대한 평가결과를 정리하여 해결 대상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정리하면 <표 4.4>와 같다. FKP 보정신호는 정확도와 사용성 모두에서 양
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충청도 지역에서의 사용성 저하 문제(고정해 산출에 과대

- 54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였다. MAC 보정신호는 380점


에 대한 검사측량을 수행하였을 때 10.3%에 해당하는 39개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

하여 고정해 계산에 실패하거나 과대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MAC 보


정신호를 계산하는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선작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
다. 해외의 연구 사례들은 MAC 보정신호의 품질과 성능이 FKP 보정신호와 유사하

거나 조금 더 우수한 것으로 발표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경우 동일한 GNSS


인프라를 사용하는 동일한 시스템에서 FKP 보정신호와 MAC 보정신호를 모두 생산
하고 있기 때문에 MAC 보정신호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게 나타나
는 현상은 시스템 전반적인 재설정과 조정작업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고 판
단된다.

<표 4.4> 문제점 분석 결과 및 개선방향 요약

FKP 보정신호 MAC 보정신호

제도화 가능성 일부 개선 후 가능 전반적인 개선 후 가능


해결 대상 문제점
충청도 지역에서의 과대한 측위 실패 및
사용성 저하 문제 시간 지연 빈도
충청도 지역 FKP 전체 보정정보 계산
개별 개선 방향
보정신호와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상시관측소의 문제점 시스템 조정 및 주요
파악 및 조치 파라메터 재설정
공통 개선 방향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 개선을 통한 정확도 향상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문제점 분석 결과에 따라 충청도 지역 FKP 보정신호와 상


시관측소의 문제점 파악 및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관측 네트워크 개선방안에 대
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림 4.8>을 볼 때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한 FKP 보정신호
의 계산에 사용한 GNSS 데이터는 천안, 논산, 괴산 상시관측소들로부터 취득된 것
임을 알 수 있다. 현장 관측이 수행된 여름철에 3개 상시관측소가 수집하는 GNSS
데이터의 품질을 살펴보면 <표 4.5>와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표를 보면 천안
상시관측소에서 수신한 GNSS 데이터에 사이클 슬립이 발생하는 비율이 타 관측소
및 국내 평균 수준보다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1파와 L2파를 분석

- 55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하여 계산해 낸 다중경로 오차의 길이인 MP1과 MP2 값이 과대한 것을 알 수 있


다. 이러한 사항들은 천안 상시관측소의 GNSS 데이터 수신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

는 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FKP 보정신호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


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장 관측 당시 논산 상시관측소의 GLONASS 데이터가
누락된 점 또한 사용성 저하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4.5> 여름철 충청도 지역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품질 수준


상시관측소 국내 평균
천안 논산 괴산
품질요소 수준
수신율(%) 94.21 98.98 95.34 96.99
사이클 슬립 비율(%) 0.46 0.08 0.015 0.21
MP1(m) 0.76 0.52 0.47 0.47
MP2(m) 0.65 0.49 0.46 0.45
정상운영 여부 정상 GLONASS 누락 정상 정상

<그림 4.12> 여름철 천안 상시관측소의 멀티패스(MP1, MP2) 변화

- 5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GNSS 데이터의 품질 문제와 GNSS 상시관측소의 정상적인 운영 문제는 관측소


주변 환경과 운영 상황의 개선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

들의 개선을 통해 충청도 지역에서 발생한 사용성 저하 문제는 충분히 개선 가능하


다고 판단된다.

3. 관측 네트워크 개선 방안
NRTK 보정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GNSS 상시관측소들로 구성된 관측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시관측소들의 정밀한 좌표와 실시간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OSR 방식으로 보정신


호를 계산하여야하기 때문이다. 기준국과 이동국 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OSR 방
식 보정신호의 특성상 관측 네트워크의 적합한 구성은 NRTK 보정신호의 품질에 많

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올바른 관측 네트워크 구성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FKP 방식 및 MAC 방식의 보정신호 계산에 활용하고 있는 관
측 네트워크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향상된 네트워크 구성방법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

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1. NRTK용 관측 네트워크 연구 사례


NRTK용 관측 네트워크의 구성방법에 대한 연구 사례들은 주로 네트워크를 구성
하고 있는 기준국의 배치 밀도와 기준국간 거리의 적절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OSR
방식인 NRTK 보정신호의 특성 상 기준국의 배치 밀도가 높고 기준국간 거리가 짧
을수록 양호한 정확도의 보정신호 계산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가정하고 최적 배치
밀도 분석, 허용 가능한 기준국간 거리 등을 검토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
었다.

호주 퀸즈랜드 주 정부와 퀸즈랜드 대학 연구팀은 공동으로 GNSS 상시관측소 네

트워크의 포괄범위가 NRTK 측위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림


4.13>과 같이 3가지 종류의 관측네트워크를 구성하였는데 네트워크의 포괄 범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Tri#1 네트워크의 기준국간 평균 거리는 69km, Tri#2는

118km, 그리고 Tri#3은 166km로 구성하였다. 네트워크의 포괄면적과 기준국간 평


균 거리가 측위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 57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그림 4.13> 실험을 위한 3가지 크기의 GNSS 상시관측소 네트워크


구성 결과

관측 네트워크별 고정해 산출 성공률과 평균 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는 <표 4.6>

과 같다. 네트워크의 포괄면적인 작은 Tri#1에서 생성한 보정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가 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성공률이 높고 평균 소요시간도 짧은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표 4.6> 관측 네트워크별 고정해 산출 성공률과 평균


소요시간

- 58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표 4.7> 절대위치 측정 정확도 평가 결과(단위:cm)

관측 네트워크별 정확도 평가 결과를 정리한 <표 4.7>을 보면 Tri#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측량한 결과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네트워크

의 포괄면적이 증가할수록 과대 오차의 크기가 증가하고 안정성도 저하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관측 네트워크가 NRTK 측위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또 다른 사례로는


박진솔 등(2014)이 국내의 NRTK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한 연구를 들 수 있
다. 이 연구에서는 <그림 4.14>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관측 네트워크를 구성
하고 각 네트워크 정보를 활용한 FKP 측위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림 4.14> 실험에 사용한 두 가지 종류의


네트워크

- 5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표 4.8> 네트워크의 크기별 오차의 분포

네트워크 A 네트워크 B 네트워크

좌표성분 편차의 범위 표준편차 편차의 범위 표준편차

North(m) -0.032 ~ 0.019 0.007 -0.098 ~ 0.052 0.018


East(m) -0.029 ~ 0.020 0.005 -0.050 ~ 0.051 0.012
Up(m) -0.056 ~ 0.083 0.018 -0.147 ~ 0.192 0.054

<표 4.8>에 정리한 정확도 평가 결과를 보면 크기가 작은 A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생성한 FKP 보정신호를 이용하여 결정한 좌표의 오차 범위가 B 네트워크를 이용한

경우보다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 관측 네트워크 향상을 위한 실험 결과


기존 연구사례를 참조할 때 설정할 수 있는 가정은 FKP 및 MAC 보정신호 생성
에 사용하는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를 VRS 보정신호 생성에 사용하는 관측 네트워크
수준으로 증가시키면 측위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것이었다. FKP 및 MAC 보정신호

생성용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가 VRS 관측 네트워크에 비해 낮기 때문에 이동국과


기준국 간의 거리가 보다 멀 수밖에 없고 이는 OSR 방식 보정신호의 정밀도를 저하
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신도입 NRTK 생성용 관측 네트


워크를 구성하는 GNSS 상시관측소의 밀도를 변화시켜 가며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
였다. 하나의 네트워크는 현행 FKP 보정신호 생성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는 VRS용 네트워크와 동일하게 밀도를 높여서 구성하였다.
서로 다른 구성의 관측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123개 통합기준점에서 NRTK 측
위를 실시하여 정확도와 사용성을 비교하였다.

<표 4.9>와 <표 4.10>을 보면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를 증가시켰을 때 FKP 보정


신호의 사용성은 약간 저하되고 정확도는 약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실험을 시작할 때 설정했던 기본 가정에 부합하지 않은 결과이다.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가 높을수록 사용성과 정확도가 향상될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실험

- 6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결과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4.9>를 보면 밀도가 향상된 강화


관측망을 사용한 경우의 고정해 산출 실패 빈도가 현행 관측망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대한 초기화 시간이 발생한 점 수 및 평균 초기화 시


간 부분에서도 현행 관측망을 사용한 결과가 더 양호하였다.

<표 4.9>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FKP 보정신호의 사용성 분석


관대한 초기화
실패 평균 초기화 시간
시간
현행 관측망 2점 0점 9초
강화된 관측망 3점 1점 10 초

<표 4.10>에 정리한 정확도 비교 결과를 보면 밀도를 강화한 관측망을 사용한 경

우가 현행 관측망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오차 수준이 수 mm 정도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과대 오차의 발생 빈도도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10>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FKP 보정신호의 정확도 분석


수평과대오차 수직과대오차
σN(m) σE(m) σH(m)
점수 점수

현행 관측망 0.0201 0.0201 0.0512 3점 6점


강화된 관측망 0.0187 0.0173 0.0475 2점 3점

<표 4.11>과 <표 4.12>는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를 증가시켰을 때 MAC 보정신호


를 이용한 위치결정 작업의 정확도와 사용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이다.

<표 4.11>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MAC 보정신호의 사용성 분석


관대한 초기화
실패 평균 초기화 시간
시간

현행 관측망 7점 1점 11 초
강화된 관측망 5점 1점 10 초

- 6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표 4.12> 관측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른 MAC 보정신호의 정확도 분석

수평과대오차 수직과대오차
σN(m) σE(m) σH(m)
점수 점수

현행 관측망 0.0173 0.0178 0.0441 2점 4점


강화된 관측망 0.0195 0.0163 0.0476 2점 5점

MAC 보정신호의 경우 FKP와는 달리 사용성은 약간 향상되고 정확도는 조금 저


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정해 산출 실패 지점의 수는 작아지고 평균 고정해 산
출 시간이 줄어들었으나 위치결정 오차는 수mm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관측 네트워크의 밀도 증가가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개선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 62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1.1. 제도개선 대상
현행 공공측량 작업규정은 NRTK 측량방법 중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방법만을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도입 NRTK 방법
인 FKP와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NRTK 측량을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

련 규정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외의 작업규정 중 NRTK 측량과 관


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보다 신뢰할만한 측량작업의 수행을 위해 현행에서 개선되어
야 하는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최신도입 NRTK 측량방법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결과와 해외 작업규정 분석 결과


에 근거하여 설정한 현행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개선 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VRS 방식 외에 최신 도입 NRTK 측량에 해당하는 FKP, MAC 방식 측량을 활


용할 수 있도록 개정

■ 다양한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NRTK 측량을 수행할 수 있

도록 개선

■ 측량 작업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현장관측 방법의 개선(중복측정작업 관련 규정


의 강화)

■ 보정정호의 품질 확보를 위한 현장 점검사항 추가(보정신호의 도달 지연시간 관


련 내용 추가, 암각 및 SNR 지표 관련 내용 추가)

■ 보정신호의 품질 향상을 위한 상시관측소와 사용자 수신기의 제반요소 개선

상기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정한 현행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조항은 총 8개


이다. 수정한 조항과 수정 내용 및 수정 근거를 정리하면 <표 5.1>과 같다.

- 64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표 5.1> 개정 대상 공공측량 작업규정 조항

개정 조항 개정 내용 근거 자료

VRS 에 국한된 규정을 개선하여 FKP, MAC 미국 NGS 규정 ,


167 조 Ÿ
등도 활용 가능하도록 수정 캐나다 NRTK 매뉴얼
, 금번 실험 결과 등
175 조 Ÿ VRS 에 국한된 규정을 개선 미국 NGS 규정 ,
Ÿ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를 위한 명칭 변경 금번 실험 결과
176 조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를 위한 명칭 변경 미국 NGS 규정 ,
Ÿ
금번 실험 결과
177 조 Ÿ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를 위한 명칭 변경 일본 멀티 GNSS
Ÿ 오류 방지를 위한 PCV 파일 적용 의무화 측량 규정
178 조 Ÿ 중복관측 작업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시간 미국 NGS 규정
차 규정 추가
정밀 관측을 위한 암각 , SNR, 보정신호 지 미국 NGS 규정 ,
179 조 Ÿ
연시간 관련 내용 추가 일본 멀티 GNSS
측량 규정
180 조 Ÿ 보정신호 지연시간 및 무결성 관련 내용 추가 미국 NGS 규정
184 조 VRS 보정신호에 국한된 규정을 개선 미국 NGS 규정 ,
Ÿ
금번 실험 결과
1.2. 제도개선 내용
현행 공공측량 작업규정은 NRTK 보정신호들 중 VRS 방식의 보정신호만을 이용
하여 측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NRTK 보정신호를 활용
하여 측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편하기 위해서는 167조와 175조 및 184조에
대한 개정되어야 한다. VRS 방식 외에 FKP와 MAC 방식의 보정신호를 공공측량
작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관련 규정 개선안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 65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67조 개선안
제 167조(운용방식) 네트워크 RTK 측량은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1. 이동점에 설치한 GNSS 수신기로 GNSS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2. 단독측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점의 대략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3.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RTK 서버로 부터 다음 각 목 중 하나

이상의 보정정보를 2초 이하의 지연시간 내에 수신한다.

가. 가상기준점 방식(VRS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정보

나. 면보정계수 방식(FKP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정보

다. 주-보조기준점 방식(MAC 방식)으로 계산된 보정정보

4. 이동점의 개략적인 위치와 관측자료 및 수신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기선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동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 다양한 종류의 보정신호(VRS, FKP, MAC)를 사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변경

175조 개선안
제 175조(관측) 관측은 선점도를 기초로 이동점에 GNSS 수신기를 정확히 설
치하고 GNS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RTK 서버에서
수신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기선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동점의 좌표를 결정하

고 기록하는 작업이다.

* “가상기준점” 용어를 삭제하여 여러 종류의 NRTK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


184조 개선안
제 184조(정리) ①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은 다음과 같으며, 공공측량시행자가
지시 또는 승인한 경우에는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

6. 보정정보 수신자 로그파일

......

* “VRS 접속자 로그파일” 용어를 “보정정보 수신자 로그파일”로 변경하여 여러 종류의


NRTK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

- 66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해진 이동통신 기술과 근거리 통신 기술을 NRTK 측량


작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특정 통신기술에 국한된 표현을 완화하였다.

176조 개선안
제 176조(기기 성능 및 장비구성) ① .....,

② 관측을 위한 수신기 이외의 장비는 다음을 포함한다.

......

6. 수신기와 컨트롤러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 또는 무선 연결

......

8. 컨트롤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블 또는 무선 연결

* “블루투스”란 제한적인 용어를 삭제

NRTK 측량기기의 점검사항에 대한 규정인 177조에 GNSS 안테나의

ARP(Antenna Reference Point) 정보와 PCV(Phase Center Variation) 정보에 대


한 점검규정을 추가하여 보다 정밀한 측량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177조 개선안

제 177조(기기점검) ① ...... ② ......

③ GNSS 수신기 이외의 기기 점검항목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1. GNSS 위성신호 수신이 정상일 것

2. 이동통신 연결이 정상일 것

3. 수신기, 컨트롤러, 이동통신 단말기 간 유선·무선 연결이 정상일 것

4. GNSS 수신기, 컨트롤러 및 통신기기의 배터리가 완충되어 있을 것

5. 구성 장비의 펌웨어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것

6. GNSS 안테나는 ARP 정보와 PCV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어야 하며 컨트롤


러에 관련 정보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을 것

* 6호를 추가하여 실시간 측량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안테나 정보가


올바르게 활용되도록 함

- 67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NRTK 측위와 같은 실시간 이동측량 방법은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상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정적 GNSS 측량에서와 같은 장기간의 데이터 취득 작업이 생

략되기 때문에 측량 결과의 신뢰성을 충분히 점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


주기상재난이나 NRTK 보정신호 제공시스템의 이상동작과 같은 비 정상 상황이 발
생하였을 때에 현장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정확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

다. 실시간 측량법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정기적으로 동일


지점에 대한 중복관측을 실시하여 측정 결과의 일관성이 확보되는지의 여부를 점검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중복관측 점검 규정을 강화
하여 보다 높은 신뢰도의 현장측량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178조를 다음과 같
이 개선하였다.

178조 개선안

제 178조(중복관측 점검) 정밀도 점검을 위해 같은 지점을 중복 관측하는 경우

는 다음의 순서로 수행한다.

1. 30m 최소 이상 이동 후 모든 관측위성을 초기화한다.

2. 최초 관측 후 재 관측까지의 시간차는 20분 이상이어야 한다.

3. 점검하고자하는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고정해를 얻을 때까지 기다린다.

4. 재측정한 좌표값이 제 183조제 3항의 요구정밀도를 만족하는지 점검한다.

* 미국 NGS 규정을 참조하여 2호를 추가함으로써 중복관측 점검작업의 신뢰도를 향상


시키고자 함

실시간 측량법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관측작업에 대한 규정에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실수와 추가적인 오차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는 내
용이 수록되어야 한다.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 179조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179조의 ①을 수정하여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위치해석 작업의 범위를 축소시


킬 수 있는 내용들을 일반화 하였으며 최저 고도각, 신호대 잡음비 및 보정정보의
최대 전송지연시간에 대한 규정을 추가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측량작업에 대한 신뢰도

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68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79조 개선안

제 179조(관측 실시) ① 네트워크 RTK 관측은 선점도를 기초로 이동점에


GNSS 수신기를 설치하고 GNSS 위성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서버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RTK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기선해석 등 위치계산 작업을 수행함으로
써 이동점의 좌표를 결정한다.

②...... ③...... ④......

⑤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5° 설정을 기본으로 하되 지장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20°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⑥ 사용가능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장애물 때문에 수신불가 또는 다중경로 가능


성이 있는 위성 및 신호대 잡음비가 비정상인 위성은 위치결정에 사용되지 않
도록 한다.

⑦...... ⑧...... ⑨......

⑩ 장비에서 표시하는 정밀도가 허용정밀도(수평 5㎝, 수직 10㎝) 이내이고 보


정정보의 전송지연시간이 2초 이내인 경우 실제 관측을 실시한다.

...... ......

*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위치해석 작업의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설명을 개선


* 최저 고도각, 신호대 잡음비의 고려, 보정정보의 최대 전송지연시간 관련 규정을 추
가하여 현장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함

실시간 측량법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180조의 관측 시 주의사항 부분을 다


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먼저 보정정보의 전송지연시간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2초
이상의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경우의 측량성과는 활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
에 점검하지 않던 항목인 무결성 부분을 점검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NRTK 측량
의 무결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에는 우주기상재난, 서버 이상, GNSS 상시관측소
이상 등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감지되었을 때에는 관측작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내
용을 규정에 추가하였다. 이 규정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GNSS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현상들을 감지하여 현장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제반 시스템과 서비스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 69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80조 개선안

제 180조(관측 시 주의사항) ① ...... ② ...... ③ ......

④ 장비에서 표시하는 보정정보 전송지연시간이 2초를 초과하는 경우 관측에서


제외한다.

⑤ 관측기간 중 네트워크 RTK 결과는 계속 고정해를 유지해야 한다.

⑥ GNSS 안테나 주위 10m 이내에는 자동차 등의 접근을 막는다.

⑦ 관측 중 네트워크 RTK 서버 이상, 태양풍 등의 우주기상재난 감지, 장비이


상 등이 발생하면 관측을 중단한다.

⑧ 관측 중에는 수신기 인근에서 무전기 등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장비의 사용

을 금한다.

⑨ 관측 중의 특이사항(날씨, 상공의 시계확보, 주위상황 및 기타)을 별표48의


네트워크 RTK 관측기록부에 명시한다.

* 관측 시 주의사항 규정에 보정정보의 전송지연시간에 대한 점검 항목과 서버 이상,


우주기상재난, 장비 이상 등에 대한 주의 항목을 추가함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기본측량을 구성하는 여러 측량작업들 중 NRTK 측량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지상기준점 측량, 현지보완측량이다.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과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의 해당 부분을 수정하여 다양한 NRTK 측량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NRTK 보정신호를 활용하는 측량작업들을 기본측량에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의 경우 36조에서 다루고 있는 지상기준점 측량의 구분


과 사용할 수 있는 측량방법 부분을 수정하고 36조와 관련된 별표의 내용을 수정함
으로써 측량공정 내에 다양한 종류의 NRTK 측량법을 적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련 규정에 대한 수정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70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36조 개선안

제36조(측량의 구분) 지상기준점 측량은 평면기준점 측량과 표고기준점 측량으


로 구분하며 그 실시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평면기준점측량 : 삼변, 삼각, 다각, GNSS 정적측량, 네트워크 RTK 측량

2. 표고기준점측량 : 직접수준측량

3. 불가피한 경우에는 다른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 지상기준점 측량방법 중 평면기준점측량 부분에 네트워크 RTK 측량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추가함

상기한 36조 수정 내용을 현업화 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별표의 내용을 수정하여

NRTK 측량법 및 관련된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야 한다. 먼저 별표 6의 지상기준점


측량 작업방법 부분에 아래와 같이 NRTK 측량방법과 관련된 내용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별표 6 개선안

1. 다각 망 측량에 의한 경우

구분 1급 기준점측량 2급기 준점측량


항목
1개 다각 망에서의 기지점 수 2+신점수/5 이상(단수절상)
단위 다각형의 변수 10변 이하 12변 이하
5변 이하 6변 이하
노선의 수 수목 등 지형의 상황에 따라서 계획기관의 승인을
얻어 변수는 증가할 수 있다.
절점간 거리 250m이상 150m이상
3km 이하 2km 이하
노선장 GPS측량기를 사용하여 정적측위법으로 측
량하는 경우는 5km이하로 한다.
편심거리의제한 S /e ≥ 6 (S:측점간거리, e:편심거리)
선점은 두 기지점을 잇는 직선에서 앙측40°이하
노선도형 의 지역 내 선점하고 노선중의 협각은 60°이상
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지형의 상황에 따라 부
득이 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 71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2. 네트워크 RTK 측량의 경우

가. RTK 연산기능이 구현된 2주파 수신기 이상의 GNSS 수신기를 사용한다.

나. 위성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보정정보를 사용한다. 사용 가능한


보정정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가상기준점 방식(VRS 방식)으로 계산한 보정정보

2) 면보정 방식(FKP 방식)으로 계산한 보정정보

3) 주-보조기준점 방식(MAC 방식)으로 계산한 보정정보

다. 작업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관측대상지점에 GNSS 안테나를 연직방향으로 설치

2) GNSS 위성신호를 수신하며 단독측위 등의 방법으로 개략적인 위치를

결정

3)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RTK 서버로부터 보정정보를


수신

4) GNSS 위성신호와 개략적인 위치정보 및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기선해석 실시 및 고정해 계산

* 지상기준점측량 작업방법 내용에 NRTK 측량법에 관한 내용을 추가함

동일 규정의 별표 7에는 지상기준점측량 작업 수행 시 유의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


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현행 규정에는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방법 및 정적
GNSS 측량법에 대한 현장 관측 규정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별표 6에 NRTK
측량방법을 추가하는 경우 별표 7에 관련 현장 관측작업 작업지침이 포함되어야 한
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의 별표 7에 추가되어야 하는 NRTK 측
량 관련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현장 관측 작업에 대한 지침과 함께 유의
하여야 하는 사항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 72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별표 6 개선안

1. T·S 측량 ......

2. GPS 관측 ......

3. 네트워크 RTK 측량

가. GNSS 수신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RTK 관측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1) 안테나 폴은 관측점 위치에 연직방향으로 정확히 위치시키고 단단하게


고정한다.

2) 안테나 참조점까지의 높이를 mm 단위까지 측정하여 수신기에 입력한다.

3)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5° 설정을 기본으로 하되 지장물이 많은 지역에


서는 20°로 설정한다.

4) 장비에서 표시하는 정밀도가 허용정밀도(수평 5㎝, 수직 10㎝) 이내이고


보정정보의 전송지연시간이 2초 이내인 경우 관측을 실시한다.

5) 고정해가 계산되기 시작하면 측정좌표를 저장하기 시작하며 구체적인 관

측 내용은 다음의 표와 같다.

구분 내용
세션 수 3회
세션 관측시간 고정해를 얻고 나서 10초 이상
데이터 취득 간격 1초
나. 관측 수행 시 다음의 사항에 유의한다.

1) 고정점과 이동점의 기상환경이 크게 다른 경우에는 관측을 수행하지 않는다.

2) 장비에서 표시하는 PDOP이 3 이상인 경우 관측을 수행하지 않는다.

3) 장비에서 표시하는 정밀도가 수평 5㎝ 이상 또는 수직 10㎝ 이상인 경


우 관측에서 제외한다.

- 73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4) 장비에서 표시하는 보정정보 전송지연시간이 2초 를 초과하는 경우 관측


에서 제외한다.

5) 관측기간 중 네트워크 RTK 결과는 계속 고정해를 유지해야 한다.

6) GNSS 안테나 주위 10m 이내에는 자동차 등의 접근을 막는다.

7) 관측 중 네트워크 RTK 서버 이상, 태양풍 등의 우주기상재난 감지, 장


비이상 등이 발생하면 관측을 중단한다.

8) 관측 중에는 수신기 인근에서 무전기 등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장비의 사

용을 금한다.

9) 관측 중의 특이사항(날씨, 상공의 시계확보, 주위상황 및 기타)을 관측기


록부에 명시한다.

* NRTK 측량을 위한 현장작업 방법과 유의사항을 추가함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 NRTK 측량과 관련이 있는 또 다른 부분은 현지조


사측량 관련 규정이다. 이 작업에 대하여서는 활용 가능한 측량방법이 별도로 규정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상기준점 측량정확도 수준을 만족하는 NRTK 측량을 적용


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의 경우 지상기준점과 검사점의 설치 시 GPS에 의한 4


급 기준점측량방법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관련 규정인 「공공측량 작업규정」
을 보면 NRTK 측량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기준점의 종류가 3급 및 4급 공공삼각
점이기 때문에 항공레이저측량을 위한 평면기준점 측량에 NRTK 측량법 적용이 가
능한 실정이다. 하지만 NRTK 측량법은 표고기준점 측량에 적용할 수 없도록 규정
되어 있기 때문에 항공레이저측량용 표고기준점의 설치는 다른 측량방법으로 수행하
여야 한다.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법을 지적측량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는 시스템의 활용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신도입 NRTK 서

비스가 지적측량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과 정확도를 나타낸다면 보다

- 74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활발한 활용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현재의 지적측량 관련 규정들 중에서 NRTK 측량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규정


으로는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과 「지적확정측량규정」이 있으며 이 규정들에
는 NRTK 측량에 대한 내용과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전국적인 측량
을 통한 정확도와 성능 평가 결과가 지적측량 해당 규정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지적분야 활용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먼저,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에 포함되어 있는 NRTK 관련 내용을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 8조

제8조(이동측량) ① GNSS측량기를 사용하여 지적도근측량 또는 세부측량을 하


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 또는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

측량에 의한다.

②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및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


량(Network-RTK)으로 실시할 경우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관측전 이동국 GNSS측량기의 초기화 작업을 완료할 것

2. 관측 중 위성신호의 단절 또는 통신장치의 이상으로 보정정보를 안정적으


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이동국 GNSS측량기를 재초기화 할 것

3. GNSS측량기 안테나를 기준으로 고도각 15°이상에 정상 작동중인 GNSS


위성이 5개 이상일 것

4. GNSS측량기에 표시하는 PDOP이 3이상이거나 위치정밀도가 수평 ±3㎝


이상 또는 수직 ±5㎝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할 것

5. 1, 2회의 관측치가 제5항제4호의 오차 이내일 경우에는 1회 관측치를 기


준으로 결과부를 작성

6. 지역좌표를 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GNSS측량기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를 이용하여 좌표변환 계산방법에 의할 것

7. 관측시간 및 관측횟수는 다음 표에 따른다. 다만,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


측량(Single-RTK 측량) 시 기선거리는 5㎞이내로 한다.

- 75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③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측량)에 의한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기지점에 기준국을 설치하고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지적도근점 이나 경


계점 등을 이동국으로 하여 GNSS측량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이동하며 관
측을 실시할 것

2. 관측 노선(단위)을 포함하도록 기준국을 달리하여 2회 관측할 것

④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Network- RTK 측량)에 의한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이동국은 보정정보 생성에 사용되는 상시관측소 네트워크 내부에 있을 것.

다만 부득이한 경우 네트워크 외부에서 10㎞ 이내일 것.

2.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위성기준점 네트워크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고정해를


얻고 이동국을 순차로 이동하면서 관측을 실시할 것

⑤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및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


량(Network-RTK)에 의한 경우 제2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조건을 만족하

지 못하거나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측량방법을 달리하여 실시한다.

1. 초기화 시간이 3회 이상 3분을 초과하는 경우

2. 보정정보의 송수신이 불안정한 경우

3. 보정정보 지연시간이 5초 이상인 경우

4. 세션 간 측량성과의 오차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 76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다음으로, 「지적확정측량규정」에 포함되어 있는 NRTK 측량 관련 규정을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지적확정측량규정 10조
제10조(위성측량 기준) ①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에 의한
세부측량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지적기준점에 기준국(Base)을 설치하고 구하고자 하는 필계점에 이동국


(Rover)을 차례로 이동하며 관측을 실시한다.

2. 관측은 기준국을 달리하여 2회 관측한다.

3. 관측시간 및 관측횟수는 다음에 의하며 관측기록부 및 결과부는 별지 제2

호 및 별지 제3호에 의한다.

4. 1, 2회의 관측치가 제4항제4호의 오차 이내일 경우에는 1회 관측치를 기


준으로 결과부를 작성한다.

②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Network-RTK)에 의한 세부측량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이동국은 보정정보 생성에 사용되는 상시관측소 네트워크 내부에 있을 것.


다만 부득이한 경우 네트워크 외부에서 10㎞ 이내일 것.

2. 관측시간 및 관측횟수는 다음에 의하며, 관측기록부 및 결과부는 별지 제2


호 및 별지 제3호에 의한다.

3. 1, 2회의 관측치가 제4항제4호의 오차 이내일 경우에는 1회 관측치를 기


준으로 결과부를 작성한다.

③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및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


량(Network-RTK)으로 세부측량을 할 경우의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 77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관측전 이동국 GNSS 측량기의 초기화 작업을 완료해야 한다.

2. 관측 중 위성신호의 단절 또는 통신장치의 이상으로 보정정보를 안정적으


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이동국 GNSS 장비를 재초기화하여야 한다.

3. 안테나를 기준으로 고도각 15도 이상에 정상 작동중인 GNSS위성이 5개


이상이어야 한다.

4. 위성수신기에 표시하는 PDOP이 3이상이거나 위치정밀도가 수평 ±3㎝ 이


상 또는 수직 ±5㎝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하여야 한다.

④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및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


량(Network-RTK)에 의한 경우 제3항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측량방법을 달리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초기화 시간이 3회 이상 3분을 초과하는 경우

2. 보정정보의 송수신이 불안정한 경우

3. 보정정보 지연시간이 5초 이상인 경우

4. 세션 간 측량성과의 오차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⑤ 필계점의 좌표산출은 소수점 이하 셋째자리까지 하고 결정은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한다.

⑥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 및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


량(Network-RTK)에 의한 좌표계산은 별지 제4호에 따라 계산한다.

상기한 두 규정의 NRTK 측량 관련 내용을 볼 때 최신도입 NRTK 측량시스템의


지적분야 활용가능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첫 째, 관련 규정의 용어정의 부분에서 NRTK 측량법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

기 때문에 VRS 보정신호 외에 FKP 및 MAC 보정신호 모두 지적측량에 활용할 수


있다. 지적확정측량규정에 정리된 NRTK 측량법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Network- RTK 측량)"이란 3점 이상의 위성

- 78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기준점을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정보와 이동국이 수신한 GNSS 반송파 위상


신호를 실시간 기선해석을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지적측량분야 규정에서는 NRTK 측량의 명칭을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


(Network- RTK 측량)”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명칭에 대한 규정에 있어서도 OSR
방식의 NRTK 보정신호 대부분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명칭과 내용의 규정에 비
추어 볼 때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NRTK 보정신호들은 지적측량 분야
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둘 째, 규정이 요구하고 있는 성능과 정확도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험결과와 비


교할 때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지적측량 분야 적용에 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정확도 및 보정신호의 품질과 관련하여 지적측량 작업규정에서 요구하는 기준

과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부합여부를 정리하면 <표 5.2>와 같다.

<표 5.2> 지적측량에서의 NRTK 측량에 대한 요구조건 및 부합 여부

요구조건 부합 여부

중복관측 시 평면교차 : 5cm FKP는 95%, MAC는 93.2%, VRS는


97.9% 확률로 충족 가능
현장 측량 시 허용 정밀도 기준 고정 해 산출 시 대부분 정밀도 기준
(수평 3cm, 타원체고 5cm) 충족
보정정보 도착지연 시간 : 5초 이내 1.xx 초 이내에 보정신호 전송 가능

표를 보면 최신도입 NRTK 서비스가 중복관측 시 평면교차 5cm의 오차범위를

90% 이상의 확률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장 측량 시 사용


자 수신기가 계산하여 표출하는 정밀도 기준이나 보정정보의 도착지연시간 기준도
최신도입 NRTK 서비스가 충분히 만족시키며 이러한 성능과 정확도를 고려할 때 지

적측량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7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1.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 모델 정립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4.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방안

5.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1.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 모델 정립
본 단원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GNSS 보
정신호 제공 서비스에 적용되어야 하는 개선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1.1.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국토지리정보원은 현재 2개의 NRTK 보정신호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림

6.1>에 정리한 바와 같이 NRTK 보정신호, DGPS 보정신호 및 PPP 보정신호를 사


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림 6.1> 국토지리정보원의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 8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전국적인 VR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국내에서 최초로 도입한


NRTK 시스템은 두 가지 종류의 NRTK 보정신호와 단독 기준국(single base

station) RTK 보정신호를 상시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시스템의 IP 주소


(http://vrs3.ngii.go.kr, 포트번호 : 2101)에 접속하여 <그림 6.2>와 같은 정보제공
항목과 정보의 특성 및 접속점(mount point)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접속

점을 선택하여 GNSS 보정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림 6.2> 최초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최초 도입 NRTK 시스템은 VRS 방식의 보정신호와 단독 기준국 보정신호를


RTCM 2.3, RTCM 3.1 및 CM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제공하
는 보정신호와 시스템의 특성 상 사용자는 자신의 개략적인 위치를 주기적으로 시스
템에 전송하여야 한다. 시스템은 주어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
재 위치에 적합한 VRS 보정신호를 계산하여 전송하거나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GNSS 상시관측소의 RTK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VRS 보정신호의 특성 상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보정신호를 지속적

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예로써 시스템에 접속하여 보정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가 10


명인 경우 10개의 보정신호 계산 프로세스가 동시에 구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
식은 시스템의 연산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사용자 수의 증가에 따라 제반 인프라

를 확장해야 한다.

- 8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새로운 형식의 보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된 NRTK 시스템은 4가지 종류의
NRTK 보정신호와 DGPS 보정신호 및 SSR 방식의 PPP 보정신호를 제공한다. 사용

자는 시스템의 IP 주소(http://fkp.ngii.go.kr, 포트번호 : 2201)에 접속하여 <그림


6.3>와 같은 정보제공 항목과 정보의 특성 및 접속점(mount point)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접속점을 선택하여 GNSS 보정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림 6.3>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주된 특징은 전국의 모든 지역에


서 활용할 수 있는 보정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단방향 통신환경에서도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FKP와 DGPS 보정신호는 29개 상시관측소들로 구성된 관측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삼각망 단위의 보정정보를 포함한다. MAC 보정신호는 5~10
개의 상시관측소 정보들로 구성된 다수의 셀 단위 보정신호를 집적하여 구성함으로
써 역시 전국 범위의 보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 수신기는 전국 범위의 보정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에 적합한 삼각망


혹은 셀을 자동적으로 선택한 후 필요로 하는 보정정보를 추산하여 적용하는 방식으

로 위치계산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정신호 활용방식으로 인하여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은 전국 범위의 보정신호 계산·전송 작업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에 접속한 개별 사용자용 보정신호 계산에 대한 부담을 가지지 않는다. 이로

- 8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인해 추가적인 시스템 확장에 대한 부담이 적으며 일정한 용량의 시스템 인프라를


활용하여 방대한 규모의 사용자층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 중 측량 이외의 분야에서 활용 가


능성이 높은 신호는 DGPS와 PPP 보정신호이다. DGPS 보정신호는 일반적인 DGPS
신호와 달리 기준국 별 보정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네트워크 방식으로 계산된 전국
범위의 보정신호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이 신호는 저가형 DGPS 수신
기를 활용한 1m 오차 범위(최대오차 3m 수준)의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
원하면서도 이동 시 근접한 기준국 선택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는 PPP 신호는 2단계 RT-PPP 신호로서 1주파 수신기

를 이용한 실시간 PPP 측위를 지원하여 0.3m 오차 범위(최대오차 1m 수준)의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궤도오차, 시계오차 등 GNSS 위성과 관련된 오차정보와 함
께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의 바이어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저가형 수신기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PPP 신호는 SSR 방식의 신호로써 기준
국 위치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인접 기준국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방식으로 계산된 전국 범위 보정신호에 비해 통신용량이 적은 장점을 가지

고 있다.

NRTK 보정신호가 고가의 GNSS 수신기를 이용한 수 cm 오차범위의 고정밀 측위


작업을 지원하는 반면에 DGPS와 PPP 수신기는 저가형 수신기를 이용한 약 1m 오
차범위의 위치결정을 지원한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신호들은 비 측량분야의 일반인
들이 차량항법이나 LBS(Location Based Service) 분야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보정신호라고 할 수 있다.

1.2. 문제점 및 개선사항 분석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하는 GNSS 보정신호 제공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현재의
시스템에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개선대상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문제점 분석

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의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활용하는 사용자들의 지적사항을


분석하였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정상적이고 효율적인 GNSS 수신기 활용을 위해
개선되어야 하는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 8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1>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사항


구분 문제점 설명
Ÿ 보정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통신망
통신비용의 사용자 부담 을 이용한 데이터 사용요금을 부담
Ÿ 보정신호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의
부재
Ÿ 비전문가가 GNSS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활용 가이드의 부족
서비스 활용 가이드 Ÿ GNSS 보정신호의 적용을 위한 GNSS 수신기별
부족 설정작업의 어려움
Ÿ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의 종류와 기대 정
확도·성능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 사양서의
부재
서비스
전반적인
Ÿ 시스템 정비 등의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
문제점
례가 있음
시스템의 항상성 부족 Ÿ 시스템 고장, 재난, 각종 사고 등의 상황이 발생
하여도 시스템의 연속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
는 시스템 개선이 필요
Ÿ 통신장치 교체, 전기공급 중단 등의 사유로
상시관측소의 항상성 GNSS 상시관측소 운영이 중단되는 사례가 있음
부족 Ÿ GNSS 보정신호 생산의 핵심 인프라인 GNSS 상
시관측소의 연속적인 운영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
Ÿ GNSS 보정신호의 품질과 정밀도에 문제가 발생
무결성 정보의 부재 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정
보제공 수단의 부재
Ÿ DGPS 보정신호에 GPS 위성 신호에 대한 보정
DGPS 보정신호에 정보만 포함되어 있음
GLONASS 정보 누락 Ÿ GLONASS 위성 신호에 대한 보정정보의 추가가
필요함
Ÿ 1, 2단계 PPP 보정신호가 모두 제공되어야만 2단
PPP 보정신호의 계 RT-PPP 측위를 구현할 수 있음
보정신호 구성정보 누락 Ÿ 현재의 PPP 보정신호에는 위성궤도, 위성시계,
별 문제점 코드데이터 바이어스에 대한 정보가 누락됨
Ÿ 전국 범위로 수행된 MAC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MAC 보정신호의 품질 평가 결과 여러 문제점이 도출됨
불안정성 Ÿ MAC 보정신호 계산 체계에 대한 조정과 재설정
필요
최신 보정정보의 부재 Ÿ RTCM 3.2 프로토콜의 MSM(Multi Signal
Messages)과 같은 최신 RTCM 보정신호의 부재

- 8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1>에 정리한 문제점들과 개선사항들 중 국토지리정보원 보정신호의 활용범


위 확장에 주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보정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지불해

야 하는 통신비용의 문제이다. 일반 사용자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보정신


호를 사용하려면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NRTK 서버에 접속하여 보정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무선인터넷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이동통신망을 활

용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신한 정보의 용량에 해당하는 사용료를 민간 이동통


신 사업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추가적인 비용 발생은 차량항법시스템이나 LBS용
GNSS 수신기를 사용하는 민간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해소
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실시간 정밀측량작업 지원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국토지리정보원의 보정신호


서비스가 자율주행자동차, 무인항공기, 차량항법시스템 등 민간 분야에 폭넓게 활용
되기 위해서는 NRTK 시스템과 GNSS 상시관측소의 항상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보

정신호 제공체계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자동차, 항공기와 같은 고속 이동체


의 운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기타 정밀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민간분야 솔루션들의 운영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

한 상황들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토지리정보원의 보정신호 제공체계와


GNSS 상시관측소의 설비를 강화하여 상시적이고 신뢰할만한 서비스 제공체계를 갖
추어야 할 것이다.

시스템의 항상성을 확보할 지라도 우주기상재난,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상황으로

보정신호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신호전송 중단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


한 경우 시스템은 상황 정보를 보정신호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여 사용자 활용
시스템이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무결성(integrity) 정보는 보정신호와
GNSS 위성 신호의 신뢰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이다. SSR 방식의 보정신호
인 SBAS 보정신호에는 무결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수신기는
GNSS 위성신호 중 신뢰할 만한 상태가 아닌 신호들을 위치결정 작업에서 배제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NRTK 시스템이 민간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만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SBAS 신호의 경우와 같이 서비스 하는 보정신
호들에 대한 무결성 정보 제공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별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하여서는 <표


6.1>의 하단에 정리하였다. DGPS 보정신호와 PPP 보정신호에는 일부 정보가 누락

- 8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 개선을 통해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


요하다. MAC 보정신호는 금번 현장 평가를 통해 정확도와 사용성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조정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에 최근 들어 새롭게 표준화
된 보정신호가 누락되어 있는 점 또한 개선대상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GNSS 위성 신호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보정신호인 MSM(Multiple Signal


Message) 신호들이 추가된다면 시스템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표 6.2>를 보면 독일의 경우 일부 주에서 MSM 신호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MSM 신호들은 멀티 GNSS 활용을 위한 제반 정보를 제공한
다는 특성 외에도 저가형 1주파 GNSS 수신기를 이용한 RTK 측위법을 지원한다는
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신호이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덴 르
<표 6.2> 독일 브란 부 크 주의 NTRIP 캐스터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접속점 포맷 구성 메시지 (갱신주기) 지원 위성
1004(1), 1005(10), 1007(10), 1012(1),
VRS_3_2G_BB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2(10), 1033(10)
1004(1), 1005(10), 1007(10), 1012(1),
MAC_3_2G_BB RTCM 3.3 1013(60), 1014(10), 1017(10), 1021(30), GPS+GLO
1023(30), 1025(30), 1030(30), 1031(30),
1033(10), 1039(10)
1004(1), 1005(10), 1007(10), 1012(1),
FKP_3_2G_BB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3(10), 1034(10),
1035(10)
FKP_2_1G_BB RTCM 2.3 1(1), 3(13), 16(59), 20(1), 21(1), 22(13), GPS
23(11), 24(10)
VRS_2_1G_BB RTCM 2.3 1(1), 3(13), 16(59), 20(1), 21(1), 22(13), GPS
23(11), 24(10)
EPS_BB RTCM 2.3 1(1), 3(13), 16(59), 31(1) GPS+GLO
EPS_2_2G_BB RTCM 2.3 1(1), 3(13), 16(59), 31(1) GPS+GLO
1074(1), 1005(10), 1007(10), 1084(1),
MSM_3_2G_VRS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2(10), 1033(10),
1230(1)
EPS_2_1G_BB RTCM 2.3 1(1), 3(13), 16(59), GPS

- 8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1.3.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모델 정립


국토지리정보원의 NRTK 시스템에 접속하면 다양한 종류의 보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접속점(mount point)들을 확인할 수 있다. GNSS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에 명칭만으로는 접속점으로부터 어떠한 종류의 보
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어떠한 품질의 위치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보정신호의
품질과 정확도에 따라 대표적인 서비스 모델을 규정하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

해 활용해야 할 접속점이 무엇인지를 안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재까지의 GNSS 보정신호 생성 기술의 종류와 보정신호의 품질을 고려할 때 대


표적인 서비스 모델을 3가지로 구분하여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정신호를 활용할 때 기대할 수 있는 위치정확도를 고려하여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그림 6.4>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림 6.4>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 구성안

Level 3 보정신호는 저가형 GNSS 수신기를 지원하는 보정신호로써 1m 오차 수


준(최대오차 약 3m)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이다. GNSS 데이터 중 코드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할 수 있으며 보정신호의 형식은 DGPS 신호

- 8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형식으로서 기준국 위치 기준의 코드 데이터 보정값을 제공한다. 전국 범위의 보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삼각망 형태의 단위 정보들을 집적한 형태를 가지는

FKP-DGPS 형태의 보정신호이다. Level 3 보정신호는 RTCM 2.x 형식의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기존 저가형 GNSS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SSR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저가형 GNSS 수신기가 출시되기 전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될 것이라 예상된다.

Level 2 보정신호는 1주파 수신기를 이용한 RT-PPP(Real Time Precise Point


Positioning) 측위를 지원하는 신호로써 보급형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다. SSR 형식
의 보정신호로서 GNSS 측위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다양한 오차원들에 대한 명시

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Level 2 보정신호는 두 가지 종류의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


다. 하나는 코드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결정 작업만을 지원할 수 있는 저가형 수신기
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 데이터와 반송파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보급형 수신기 이다. 전자는 Level 2 보정신호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Level 3 보정


신호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후자는 Level 2 보정신호 전체를
활용하여 1m 이하의 오차범위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Level 1 보정신호는 RTK 측위를 지원하여 수 cm 오차범위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evel 1 보정신호는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 시스템 독립형 서비스 : FKP 및 MAC 방식의 보정신호를 제공하며 시스템이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보정신호 연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수신기가 수
행하기 때문에 단방향 통신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함.

■ 시스템 종속형 서비스 : VRS 방식의 보정신호를 제공하며 시스템이 사용자 위


치에 적합한 보정신호 연산 작업을 직접 수행하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환경 하에
서 활용이 가능함.

■ 시스템 독립형 SSR 서비스 : SSR 방식의 보정신호로써 PPP-RTK 측위법을 지

원하며 넓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다양한 오차정보를 제공하기 때


문에 단방향 통신환경에서 활요이 가능함.

시스템 종속형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위치에 적합한 보정신호의 계산 작업에 시

스템이 지속적으로 개입해야하기 때문에 시스템 인프라에 대한 부담이 큼으로 한정

- 9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된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시스템 독립형 서비스와 시스템 독립형 SSR 서비스는 제반 시스템이 사용자 수

신기의 위치결정 작업에 관여하지 않아도 되는 방송형 보정신호 제공한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부담이 적기 때문에 방대한 민간 사용자층을 지원하도
록 서비스 하는 것이 적합하다. 시스템 독립형 SSR 서비스는 타 Level 3 서비스에

비해 정보의 양이 적기 때문에 통신용량에 대한 부담이 매우 경감된다. 따라서 위성


통신을 이용한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구성에도 활용 가능하다.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GNSS 보정신호 제
공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로드맵과 3개

서비스 모델별 세부 개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1.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국토지리정보원의 보정신호 제공체계는 사용자가 다양한 GNSS 위성 신호를 활용
할 수 있도록 보조해야 하며 수신기가 최대한 성능을 발휘하여 정밀한 위치를 측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보정신호 제공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 로드맵을 정리

하면 <그림 6.5>와 같다.

로드맵의 추진 단계를 시간적으로 구분 짓는 것은 보정신호의 생산에 필수적인 주


요 인프라들을 설치하는 시기이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GNSS 상시관측소의
수신기와 안테나를 멀티 GNSS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교체하고 있다. 전체 상

시관측소의 수신기와 안테나 교체가 완성되면 국토지리정보원의 NRTK 시스템은


GPS, GALILEO, Beidou, GLONASS 위성을 모두 지원하는 보정신호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생산하고 있는 GNSS 보정신호들은 GPS와 GLONASS 위성을 사용

하는 수신기만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상시관측소의 장비들을 멀티 GNSS


장비로 교체하는 것은 보정신호의 품질과 활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두 번째 중요한 시기는 보정신호 생산체계의 항상성을 확보하고

무결성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가 설치되는 시기이다. 현재의 보정신호 생산


체계의 중대한 취약점인 무결성 정보제공체계 부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이

- 9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을 위한 전체 로드맵의 추진 단계를 구분


짓는 중요한 계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림 6.5>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멀티 GNSS 장비의 도입이 완료되기 전에는 각각의 보정신호 제공 체계가 GPS


위성과 GLONASS 위성을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고 다양한 종류
의 사용자 수신기에서 이루어지는 위치결정 작업을 충분히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

어야 한다. Level 1 보정신호의 경우 일주파 수신기를 이용한 고정밀 위치결정 작업


을 지원할 수 있도록 MSM 신호를 추가하여야 하며 Level 2 보정신호에는 누락되
었던 RT-PPP 측위법 지원 정보가 보충되어야 한다. 현재의 Level 2 보정신호에는

위성의 시계오차와 궤도오차 및 코드 데이터의 바이어스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이 누


락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빠른 시일 내에 추가하여야 할 것이다. Level 3 보정신호
에는 현재 GLONASS 위성 신호에 대한 지원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서 사용성이 저

하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RTCM Message Type


1과 함께 RTCM Message Type 31을 제공하여야 한다.

멀티 GNSS 장비가 도입된 이후에는 각각의 보정신호에 Beidou 위성 신호와

- 9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Galileo 위성신호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들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 중 Level 3 보정


신호는 현재의 메시지 체계가 GPS 위성과 GLONASS 위성만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

에 새롭게 RTCM Message Type 41을 추가시킴으로써 다양한 멀티 GNSS 위성신


호를 지원하는 보정신호 제공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멀티 GNSS 인프라와 관련 보정신호 제공체계가 개선된 이후에는 무결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각각의 보정신호에 무결성 정보를 탑
재하기 위한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후 Level 1 보정신호에 경사방향 이온층 지
연량 정보와 대류층 지연량 정보를 추가하여 PPP-RTK를 지원하는 보정신호를 구
성함으로써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에 대한 개선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2.2. Level 1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Level 1 보정신호는 RTK 측량에 의한 수 cm 오차수준의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
하는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이다. 현재 Level 1 서비스는 시스템 독립적인 FKP
·MAC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시스템 종속적인 VR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
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다. 활용도 높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Level
1 보정신호에 최근에 개발된 RTCM 표준인 MSM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MSM
은 RTCM Message Type 1070~1129에 해당하는 보정신호를 특정하는 용어로서

점차 다양해지는 GNSS 위성 모두에 대한 보정정보 제공을 위해 개발되었다.

<표 6.3> MSM의 종류와 구성정보

MSM의 종류 구성 정보
MSM1 DGNSS 측위용 코드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2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3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4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정보 제공
MSM5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다이렉트 도플러 정보 제공
MSM6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정보를 고해상도로 제공
MSM7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다이렉트 도플러 정보를 고해상도로 제공

- 9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MSM은 GPS, GLONASS, Galileo, QZSS, Beidou, SBAS 위성들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MSM은 MSM1에서 MSM7까지의 7개의 종류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종류별 구성 내용을 정리하면 <표 6.3>과 같다.

Level 1 보정신호에 MSM이 추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이유


는 보다 다양한 GNSS 위성들에 대한 보정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의
RTCM 3.1이나 3.2 형식으로는 Beidou 위성과 같이 새로운 위성에 대한 보정정보
를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포괄적이고 확장성 있는 RTK용 보정신호인 MSM
을 서비스하여 여러 GNSS 위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6.4> MSM7의 종류

GNSS 시스템 MSM7 메시지

GPS 1077
GLONASS 1087
Beidou 1127
Galileo 1097

<표 6.5> MSM7의 구성정보

구성정보 해상도 기 존 해상도


Pseudorange 0.6mm 20mm
Carrier Phase 0.14mm 0.5mm
Carrier to Noise Ratio 0.1 dB Hz 0.25 dB Hz
Direct Doppler 0.1mm/s 해당 없음

두 번째 이유는 MSM에 포함된 다이렉트 도플러정보 때문이다(참조:<표 6.4>,


<표 6.5>). 이 정보는 기존에 2주파 이상의 신호를 이용하여 GNSS 수신기에서 생
성할 수 있었던 정보이다. 다이렉트 도플러정보를 보정신호에 포함시키면 저가형 L1
수신기를 이용한 cm 오차 범위의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에도 L1 RTK

- 9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장비들이 상용화 되었었으나 10분 이상 소요되는 고정해 계산 시간 때문에 활용성


이 현저히 낮았다. MSM7에 포함된 다이렉트 도플러정보를 활용한 1주파 장비를 이

용하여 1분 정도의 시간 내에 RTK 고정해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의 장비를


이용하여도 정밀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Level 1 서비스에 SSR 방식의 PPP-RTK 보정신호를 추가하는 것


이 필요하다. PPP-RTK 보정신호는 보급형 1주파 GNSS 수신기를 이용하여 RTK
측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가의 장비로도 고정밀 위
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미래의 보편적인 고정밀 위치결정체계
의 구현에 적합한 보정신호라고 할 수 있다. 현재 PPP-RTK 보정신호를 표준화하기

위한 작업이 지속되고 있으며 일부 민간업체에서는 자체적인 형식을 개발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일본의 QZSS 위성을 통해 제공될 예정인
CLAS(Centimeter Level Augmentation Service)이다. 이 서비스는 10cm 이하의

오차범위로 사용자 수신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저가의 GNSS 수신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내에서도 PPP-RTK 측위
법에 의한 고정밀 위치결정 체계의 보편화를 위해 QZSS CLAS와 유사한 형태의 보

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구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Level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현재 Level 2 보정신호는 SSR 방식의 RT-PPP 포맷으로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는 최신도입 NRTK 서버에서 접속점 “SSR4RTCM”을 통해 Level 2 보정신호를 수
신할 수 있다. 현재의 신호를 구성하는 RTCM 메시지들은 <표 6.6>과 같다.

<표 6.6> 국토지리정보원의 SSR4RTCM 접속점에서 제공하는 정보


구성 메시지 제공 정보
RTCM MT 1230 GLONASS L1 및 L2파의 코드 및 반송파 바이어스
RTCM MT 1264 이온층 구면조화정보
RTCM MT 1265 GPS 위성의 반송파 바이어스
RTCM MT 1266 GLONASS 위성의 반송파 바이어스
RTCM MT 4090.4.1 Geo++ 사에 배정된 메시지 포맷
RTCM MT 1029 유니코드 형식의 문자 정보

- 9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6>을 보면 현재 Level 2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보정신호들이 2단계


SSR 메시지들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온층 정보와 반송파 및 코드 바이어스 정보들

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SSR 보정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사용자 수신기에


서 OSR 방식의 보정신호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
러한 용도의 사용 외에 일반적인 RT-PPP 측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림 6.6>에

정리한 바와 같은 1단계 SSR 보정신호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1단계 SSR


보정신호에는 GNSS 위성의 궤도와 시계오차 및 코드 데이터에 대한 바이어스 정보
등을 제공한다.

<그림 6.6> 1단계 SSR 보정신호의 구성 항목

Level 2 보정신호의 활용모델은 <그림 6.7>과 같다. 1주파 수신기 중 코드 데이

터와 반송파 데이터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보급형 수신기에서의 활용에 적합하며


코드와 반송파 데이터를 모두 이용한 실시간 PPP 작업을 지원하여 0.3m 오차 범위
(최대오차 1m 수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Lvl
<그림 6.7> e e 2 보정신호의 활용 모델

- 9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2.4. Level 3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Level 3 보정신호는 GNSS 위성 별 코드 데이터 보정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국을 포괄할 수 있는 삼각망 단위의 집적된 정보구조를 가진다. OSR 방식으로서
1m 오차 수준(최대 오차 : 3m 수준)의 위치결정을 지원한다. <그림 6.8>은 Level
3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평가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Lvl 밀
<그림 6.8> 현행 e e 3 보정신호의 정 도

Lvl
<그림 6.9> 현행 e e 3 보정신호의 정확도 평가 결과

현재의 Level 3 보정신호 제공서비스의 가장 큰 단점은 GLONASS 위성 정보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RTCM Message Type 31번을
추가하여 GLONASS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에는 RTCM Message
Type 41번 정보를 추가하여 다양한 GNSS 위성들 모둘에 대한 보정정보를 제공하
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9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측량과
GNSS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보정신호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지원 서비스들이 구축되어야 한다.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의 구성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1.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전문 지식이 부적한 일반 사용자들이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
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축되어야 하는 서비스들을 정리하면 <표
6.4>와 같다.

<표 6.7>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지원서비스 운영 내용
Ÿ 보정신호 활용 매뉴얼 및 교육정보 제공
Ÿ 사용자 등록 지원
Ÿ 관련 장비 활용 매뉴얼 제공
교육·등록 웹사이트 Ÿ 기타 GNSS 정보 제공
Ÿ 보정신호 제공 서버 접속 코드
Ÿ 보정신호 다운로드 등 통신 코드
Ÿ 보정신호 활용 코드
개발자용 소스코드 Ÿ 좌표변환 등 기타 활용 코드 및 매뉴얼
Ÿ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도록 소스코드를 라이
브러리 화
Ÿ 라이브러리 활용 매뉴얼 제공
개발자용 라이브러리
Ÿ 다양한 GNSS 장비별 통신 프로토콜 지원
Ÿ 보정신호의 다운로드와 활용 지원
Ÿ 무결성 정보 제공
전용 App. Ÿ 기타 공간정보 활용기능 및 매뉴얼 제공

- 9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교육정보와 GNSS 보정신호 활용 매뉴얼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운영이 필요하며 시스템 개발자들이 보정신호 활용기능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도

록 지원하는 소스코드와 라이브러리의 개발과 배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보유


하고 있는 GNSS 장비와 보정신호 서비스를 손쉽게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용
App.의 개발과 배포가 필요하다.

3.2. 교육·등록 웹사이트 운영


측량과 GNS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정밀 보정신호를 원활하
게 사용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용 웹사이트의 운영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관심
사항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그림 6.10>과 같이 민간 사용자층의 주된
관심사를 반영하여 웹사이트 메인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무
인항공기 분야와 자율주행자동차 분야 및 정밀농업에서의 고정밀 위치정보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관심 분야를 선택하면 관련 정보 파
악과 사용자 등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6.10> 교육·등록 웹사이트 메인 화면 구성안


웹사이트에는 보정신호 활용을 위한 사용자 등록 기능이 있어야 하며, 보정신호의
종류와 특성, 사용법, 사용자 매뉴얼, 개발지 지원 매뉴얼 등 보정신호의 활용에 필

- 9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자 등록 기능의 경우 사용자 수가 많은


일반 사용자들은 시스템 독립적인 FKP나 MAC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측지측량분야 종사자는 제반


인프라가 제한적인 VRS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어떠


한 보정신호를 사용해야 하고 어떠한 수신기를 적용해야 하는지를 궁금해 할 것이
다. 또한 수신기 제품별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싶을 것이다. 이러한 일
반 사용자들의 궁금함과 정보사용 순서 및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그림 6.11>과 같
은 정보조회 체계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을 보면 특정 보정신호를 활용하

기 위한 제품별 매뉴얼 정보제공 부분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민간


GNSS 수신기 판매사 등으로 구성된 민간 협의체 웹사이트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
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수신기 제품 각각에 대한 활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공정보의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는데 관련 정보의 효과적인 구


축과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가 필요하다.

<그림 6.11> 전용 웹 사이트 활용 모델

새로운 GNSS 장비에 대한 정보, 변동 상황 등이 종합적으로 집적되고 유지관리


되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이트 운영을 위해 관련 학술단체, GNSS 장비업체 등

- 10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이 모여서 <그림 6.12>와 같은 민간 협의체를 구성하여 이들이 자발적으로 정보 갱


신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 6.12> 국가 GNSS 보정신호 활용 협 의체 구성 방안


웹사이트를 통해 제동되는 교육정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일반화 되고 규
격화 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용어로 구성
된 개념 설명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보정신호 구성체계의 전반적인 틀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정보가 필요하다(참조:<그림 6.13>).


<그림 6.13> 규 화된 NRTK 보정신호 설명의 예

- 10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3.3. SW 인프라 구축
사용자 편의를 위한 SW 인프라는 소스코드와 라이브러리 및 App.으로 구분할 수
있다. SW 인프라는 일반 사용자와 시스템 개발자들이 보정신호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SW 자원을 제공하며 그 활용 모델을 정리하면 <그림 6.14>과 같
다. SW 인프라에는 통신 기능이 구현되어 있어서 국토지리정보원 제공정보를 다운
로드 하여 GNSS 수신기 혹은 관련 장비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
자 장비에 적합한 포맷 변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비들의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한 정보와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시스템 개발과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림 6.14> S W 인프 라 활용 모델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보정신호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면 전용 App.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그림 6.15>에 예시한 바와
같은 App.을 개발하여 배포한다면 일반 사용자들은 보정신호를 매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App.을 설치한 후 보정신호 제공시스템 로그인 정보와 활용하고자 하는 보
정신호의 종류 및 GNSS 장비 모델명 정도만 설정하면 정밀 보정신호를 이용한 높
은 정확도의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전용 App.은 다양한 GNSS
장비에 대한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무결성 정보제공 기능아 구현되어 있
어야 한다.

- 10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그림 5.15> 전용 App.의 활용 모델

4.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방안


4.1. 다변화 모델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는 NTRIP 서버를 중심으로 유·무선 인터넷 통신만
을 활용하는 단일화된 방식이다. 사용자에게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NTRIP 서버는 국

토지리정보원 중앙국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중앙서버로 부터만 보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서버 중심의 단일한 통신망을 이용한 보정신호 제공체
계는 몇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보정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용 무선

통신망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단일 서버는 증가하는


사용자를 감당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하드웨어 및 통신 인프라를 확충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림 6.16>과 같은 보정신호 제공

체계 다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송체계 다변화를 위해 도입한 모델은 계층형 NRTIP 서버 모델과 위성통신망을


활용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L밴드 통신위성을 통해 보정신호를 무료로 수신할 수 있
으며 위성통신 사각지대에서만 NTRIP 서버로부터 보정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최소한
의 비용으로 상시적인 보정신호 활용이 가능해 진다. NTRIP 서버는 국토지리정보원

- 10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에서만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관에 분배하여 국토지리정보원과 동일한 신호


를 배포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증가에 따른 시스템과 네트워크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림 6.16>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 변화 모델

타 기관에서는 <그림 6.17>과 같이 지상 DMB 통신망을 이용한 보정신호 전송체

계를 구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변화 모델에서 DMB 통신은 제외하였다.


<그림 6.17> 국립해 측위정보원의 보정신호 전 체계송 다변화

DMB 통신을 제외한 이유는 두 가지이다. 먼저 지상 DMB 통신은 위성통신에 비


해 사각지대가 많기 때문이다. GNSS 보정신호를 상시적으로 전송하기 어렵기 때문

- 10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많은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다. 또한 최근 들어 급감하는


DMB 사용자 수를 고려할 때 GNSS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사업자 확보와 관련 제품

생산업체의 운영이 매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4.2. 계층형 NRTIP 서버 구성


계층형 NRTIP 서버 운영체계는 보정신호를 생산하는 메인 서버에서 전국범위로
계산된 보정신호를 특정 서버에 전송하고 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정신호를 배포
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메인 서버에서 모든 사용자들을 상대하는 것이 아

니라 동일한 보정신호를 하위 NTRIP 서버에 전송하고 하위 서버에서 다수의 사용


자들을 상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림 6.18>은 독일 BKG(The Federal
Agency for Cartography and Geodesy)의 계층형 NRTIP 서버 운영 모델을 정리

한 것이다. 고가의 NRTK 계산 시스템은 레벨 0의 메인 서버들에만 탑재되며 사용


자들을 상대하는 레벨1의 NTRIP 서버들이 메인 서버로부터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배포하는 구조이다. 한 개의 중간레벨이 추가될 때 증가하는 보정신호 전송 지연시

간은 0.3초 수준으로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형 NTRIP 구조의 장점은


고가의 NRTK 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과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과 메인 서
버의 처리용량 부담을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림 6.18> 독일 BKG의 계 형 NTRIP 서버 운영 모델

계층형 NTRIP 서버 구조를 국내에 적용하는 방안을 도시하면 <그림 5.23>과 같


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단일한 NRTK 계산 서버와 NTRIP 서버를 운영하되

- 10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NTRIP 서버는 전용 회선을 통해 유관 기관에 전국 범위의 GNSS 보정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는 기관으로는 교통안전공단, 한국시설안전공

단 등의 공공기업과 많은 위치정보 사용고객을 상대하여야 하는 이동통신사나 네비


게이션 업체 등이 있을 것이다.

국토지리정보원 NTRIP 서버는 다수의 기관과 측지측량 분야의 일반 사용자들에


게 보정신호를 제공하고 타 기관 NTRIP 서버들은 자율주행자동차, 시설물 안전 모
니터링 등 분야별 사용자에게 보정신호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게 정밀 보
정신호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림 6.19> 국토지리원의 계 형 NRTIP 서버 운영 모델안

4.3. 위성 중계기 임대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보정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수의 기지국을 지상에 배치하여야 하는 부담도 없고
지상 통신에 비해 통신 사각지대도 적다.

- 10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8> 일본의 QZSS를 이용한 NRTK 보정신호 전 송가능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위성통신을 통해 전국범위로 계산된 NRTK 보정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일본의 선행 연구사례를 조사하였다(참조:<표

6.8>). 표를 보면 통신용량이 1,695bps인 SSR 방식의 보정신호는 위성통신에 적합


한 것을 알 수 있으나 1.5Mbps인 전역 FKP 보정신호는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보정신호는 통신 용량이 2,500bps로 위성통신을

이용한 전국 방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6.20> 국제해사기구에서 운영하는 L밴 드 통신위성과 통신영역


위성통신의 주파수 대역은 GNSS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L밴드가 적합하다. 타
대역의 위성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GNSS 신호 수신용 안테나와 보정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별도로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사항을 고

려할 때 국내에서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보정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국제해사기구

- 10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에서 운영하는 Satellite-i4(아시아-태펑양 권역) 위성의 중계기를 임대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간 중계기 임대료는 수천만원 수준이라 크게 부담이 되

지 않으며 전국민에게 보정신호를 무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림 6.20>에 표시된


통신영역과 고도를 보면 국내에서 Satellite-i4 위성전파의 수신고도는 약 47도 정
도임을 알 수 있다. 지상을 기준으로 할 때 통신위성의 고도가 높을수록 통신사각지

대가 적어지는데, 이러한 수준의 고도에서 전파가 전송될 경우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통신위성으로부터 보정신호를 수신하다가 통신 사
각지대에서는 지상통신을 이용해서 보정신호를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운용이
필요하다.

<그림 6.21> 무궁화위성 5호기의 통신영역과 고도


적합한 L밴드 통신위성을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 Ku밴드나 Ka밴드의 통신위성을 사
용할 수도 있다. <그림 6.21>은 국내 통신위성인 무궁화위성 5호의 통신영역과 포착
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국내 위성통신 사업자가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중계기 임대비
용은 5천만원 수준이다. 하지만 Ka밴드의 통신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정신호 사용
자가 GNSS 안테나 이외의 별도의 안테나를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 10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일본에서 운영하고 있는 QZSS 위성의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


토할 수 있다. 2022년경 까지 4기의 QZSS 위성이 동시 운영될 계획이며 이후에는 7

기의 위성을 운영될 예정이다. <표 6.9>에는 QZSS 위성에서 송출하는 신호들에 대한


사양이 정리되어 있는데 여러 신호들 중 보정신호 제공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는
L1S와 L6파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임을 알 수 있다. L1S파의 경우 기존에 보편적으

로 사용괴고 있는 1주파 수신기로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으나 L5신호를 수신하기 위


해서는 GNSS 수신기와 안테나를 갱신·교체하여야 한다.

<표 6.9> QZSS 위성의 신호 체계


QZ S-1 QZS-2 ~ QZS-4
l kQ
B oc I B l oc k II Q B l oc k IIG
전 송 정보
신호

준천정 도 준천정 궤 도 정지 궤 도
주파수
1기 2기 1기

L1C/A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L1C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1575.42MHz
서브 m 보정 정보
L1S ◎ ◎ ◎
재난 및 위기 관리 정보
SBAS 보정신호
L1Sb - - ◎
(2020년 예정)

L2C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1227.60MHz

L5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1176.45MHz
L5S - ◎ ◎ 위치결정기술 확인 서비스

L6 ◎ ◎ ◎ 정밀보정신호 서비스(cm 수준) 1278.75MHz

S-band - - ◎ QZSS 안전성 확인 정보 2GHz 대역

QZSS 위성은 두 가지 궤도로 운영되는데 하나는 준천정 궤도이고 다른 하나는 정


지궤도이다. <그림 6.22>는 서울지역에서의 시간대별 QZSS 위성 포착위치를 정리
한 것으로 도심지에서도 포착하기 쉬운 고고도에 QZSS 위성 1~2기가 지속적으로
자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성 배치는 음영지역을 최소화 하면서 보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국내에서의 활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10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그림 6.22> 서 울 지역에서의 시간별 QZSS 위성 포 착 위치


QZSS 위성은 <그림 6.23>에 표시한 바와 같이 2018년경부터 4기가 모두 발사되
어 운영될 예정이다. QZSS 위성 운영국과의 협력을 통해 Level 3 수준의 보정신호
를 국내에 서비스 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림 6.23> QZSS 위성 발사 계획

- 11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5.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5.1. 저가형 GNSS 수신기 기술 동향
최근 들어 저가형 GNSS 칩셋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정밀한 위치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GNSS 수신기의 가격 또한 저렴해 지고 있다. 지금까지 수 cm 오차


범위의 고정밀 위치결정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기들은 대부분 고가의 측량장비들이었
으나 동등한 기능을 저가형 수신기로 구현하기 위한 제품개발과 보정신호 개발 작업
이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관련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림 6.24>는 저가형
GNSS 수신기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핵심 칩셋 개발기술의 4가지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그림 6.24> 저가형 GNSS 칩셋 개발 동 향


첫 번째 동향은 GPS 위성신호 외에 GLONASS, Beidou, Galileo 위성 신호들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멀티 GNSS 칩셋 제품의 출시이다. 일부 제품은 4가지 위성

신호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모든 위성 신호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들도 출시되어 있다. 멀티 GNSS 칩셋을 탑재한 수신기
는 활용 가능한 위성 신호의 수가 많기 때문에 GNSS 위치결정 사각지대를 상당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11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두 번째 동향은 L1 신호만을 활용하는 일주파 RTK 측위용 GNSS 칩셋의 제품화


이다. <그림 6.24>에 제시한 칩셋들 중 NEO-M8P 칩셋의 경우 수 cm 오차 범위의

RTK 측위를 1분 내외의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 고가의 GNSS 수신기를 이용한


RTK 측위가 10초 내외의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비하면 다소 많은 시간
이 걸리는 것으로 보이나 과거 1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던 기술 수준에 비하면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6.25> NEO-M8P를 이용한 RTK 측위 결과


참 //www lv
( 조:https: .ca ert.ch)

세 번째 동향은 RT-PPP 측위를 지원하는 GNSS 칩셋 제품의 출시이다. <그림


6.24>에 예시한 NEO-7P 칩셋은 RT-PPP 기능이 구현된 제품으로 적합한 보정신
호 제공 시 평면위치오차 0.3m(최대오차 1m)의 수준으로 실시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동향으로는 관측 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GNSS 칩셋 제품의 개발이다. 대부


분의 기존 제품들은 관측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정한
위치결정 결과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위치결정 작업에 개입하기 어렵
기 때문에 칩셋이 사전에 결정한 규격의 정보만을 활용할 수 있다. 관측 데이터를

- 11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사용자는 별도의 GNSS 데이터 해석 SW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위치결정 결과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림 6.26>에

정리한 바와 같이 GNSS 위치결정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RTKLib와 GNSS 수신기가


제공하는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RT-PPP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GNSS 칩셋에
내장된 위치결정 기능이 아니라 별도의 SW에 구현된 위치결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존


GNSS 칩셋으로 구현할 수 없었던 고정밀 위치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Lb
<그림 6.26> RTK i 를 이용한 RT-PPP 측위 수행의 예
참 // //g u nl n
( 조:http: http: ra o i e.de)

관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GNSS 칩셋 제품의 출시는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변화를


유도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GNSS 관측데이터 활용 API가 탑재되는 결과를 유
도하였다. <표 6.10>은 GNSS 관측데이터 활용 API를 지원하는 스마트폰들의 종류

를 정리한 것이며 <그림 6.27>은 관련 API 활용 체계를 정리한 것이다. 스마트폰에


서 GNSS 관측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별도의 고정밀 측위 App.을 구현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고정밀 측위 App.이 관측 데이터를 처

리하여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종류의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GNSS 데이터 활용
체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GNSS 보정신호 생성 및 위치결정 기술에 보다 유연하

게 반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새로운 보정신호가 개발되어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교체하지 않고 관련 App.만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새로운 정보
와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 11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10> GNSS 관측데이터 활용 API를 제공하는 안드 이드 로


운영체계를 한 스 트 들 탑재 마 폰
마 폰 Model
스 트

안드 이드 코드데이터
지원 위성
버전 지원 여부
Huawei Honor 9 7.0 yes GPS, GLONASS
Samsung S8 7.0 yes GPS, GLONASS,
(Exynos )1 GALILEO, BDS
Samsung S8 (QCOM)2 7.0 yes GPS
Huawei P10 7.0 yes GPS, GLONASS,
GALILEO, BDS
Huawei P10 Lite 7.0 yes GPS
Huawei Honor 8 7.0 yes GPS, GLONASS, BDS
Huawei Mate 9 7.0 yes GPS, GLONASS, BDS
Huawei P9 7.0 yes GPS, GLONASS, BDS
Pixel XL 7.0 yes GPS
Pixel 7.0 yes GPS
Nexus 6P 3 7.0 yes GPS
Nexus 5X 3 7.0 yes GPS
Nexus 9 (non cellular 7.1 yes GPS, GLONASS
version)4

<그림 6.27> GNSS 관측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안드 이드 API 체계

- 11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표 6.10>에 정리한 스마트폰 모델 별 GNSS 지원 사양을 보면 멀티 GNSS 위성


활용체계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멀티 GNSS 위성 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GNSS 위치결정 사각지대를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는 점


을 나타내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결정의 정확도의 향상과 활용영역의 확
대가 예상되며 관련 위치기반 서비스의 활성화가 예상된다.

마 폰
<그림 6.28> 스 트 용 2주파 GNSS 칩셋(BCM47755)

<표 6.11> BCM47755가 지원하는 GNSS 위성과 신호


GNSS 위성 지원 신호
GPS L1 C/A, L5
Galileo E1, E5a
QZSS L1, L5
GLONASS L1
BeiDou B1
스마트폰용 GNSS와 관련된 새로운 동향 중의 하나는 <그림 6.2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용 2주파 GNSS 칩셋의 출시라고 할 수 있다. 예시한 제품은 미국 브

로드컴 사에서 2017년에 개발한 모델명 “BCM47755”의 칩셋이다. <표 6.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 제품은 L1파 계열과 L5파 계열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L1파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품들에 비해 다양한 고

정밀 위치결정 작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11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5.2.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점차 고성능화 되어가는 저가형 GNSS 수신기 동향을 보면 향후 고정밀 위치정보
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사용자층이 증가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
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양한 유형의 GNSS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보정신호

제공체계를 구성하여야 하며 급격히 늘어나게 될 사용자 규모에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장의 1~4 단원에 정리한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방안들은 상기한 변화에 대


응하기 위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멀티 GNSS 활용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고 사용

자 수신기의 성능과 유형을 고려한 3개 종류의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가 운영되어야


하며 보정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매체를 다변화 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경제
적으로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고정밀의 저가형 GNSS 수신기는 스마트폰과 차량항법시스템, 자율주행자동차, 무

인항공기 등에 탑재되어 민간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사용자의 수가 급격


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하는 비전문 민간분야 사용자의 보정신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위성통신을 이용하거나 계층형 NRTIP 서버 구조를 활용하는 것

이 필요하며 <그림 6.29>와 같이 이동통신사, 자동차 생산업체, 차량항법시스템 개


발 업체 등에 보정신호 제공 체계를 구축하는 것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6.29> 방대한 규모의 민 간사용자를 위한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 11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방대한 규모의 사용자층에게 GNSS 보정신호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림 6.29>와 같은 이중화된 보정신호 제공체계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위성통신을 통해 보정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수의 사용자


들이 무료로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생성한 보정신호를 수신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NTRIP 캐스

터를 민간업체별로 구축하여 위성통신 사각지대에서의 보정신호 활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화된 보정신호 제공체계는 사용자가 경제적인 부담 없이 연속적으
로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고정밀 위치정보 활용의 보편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117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전략

2. 로드맵 수립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전략
1.1. 비전과 목표
고정밀 위치정보 활용체계는 자율주행자동차, 무인기 등 미래 유망기술 구현을 위
한 필수 구성요소이다. 모든 국민이 고정밀 위치정보를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게 계산된 GNSS 보정신호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NRTK로 대표되


는 고정밀 보정신호는 주로 측지측량분야의 전문 기술자들의 현장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어 왔다. 측지측량 이외의 다양한 민간 분야에서도 정밀 보정

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사용자층이 활용하는 다양한


GNSS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보정신호 생산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다변화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생성된 보정신호를 사용자에게 끊김 없이 제공

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모든 국민이 편리하게 고정밀 위치정보를 활용


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전략의 비전
과 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비전

- 다양한 민간분야에서 고정밀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 목표

- 다양한 GNSS 수신기 맞춤형 전국범위 고정밀 GNSS 보정신호 생성체계 구축 및


제공체계 다변화
상기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추진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추진전략
- 고품질 GNSS 보정신호 생산을 위한 GNSS 상시관측소의 항상성 확보

- 120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GNSS 중앙국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사용자 수신기 맞춤형 고정밀 보정신호


생산·제공체계 구축
- GNSS 보정신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무결성 제공체계 운영
- GNSS 보정신호 제공 통신매체 다변화를 통한 편리하고 경제적인 위치결정 환
경 조성


<그림 7.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 의 목표와 비전 및 전 략

- 121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 추진 전략
다양한 민간분야의 고정밀 위치정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국가 GNSS 보정신
호 제공체계의 구축을 위해 추진되어야 하는 세부전략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1. GNSS 상시관측소의 항상성 확보


측지측량분야 이외의 다양한 민간분야에서 GNSS 보정신호가 보편적으로 활용되
려면 상시 신뢰할 수 있는 항상성이 확보된 보정신호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
다. 높은 신뢰도의 보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정신호 생산에 재료로 사용되는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가 양호한 품질로 상시 수집되어야 한다. 현재까지의

GNSS 상시관측소 운영 이력을 보면, 전원과 통신 문제, 장비고장 등으로 GNSS 상


시관측소의 운영이 단절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문제 상황이 보정신호 사용자에게 적
시에 전달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현장 측량 작업은 일시적으로 보정신호에 문

제가 생겨도 안전과 편의에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보조, 무인항공기 운행 보조 등의 부분에서는 GNSS 상시관측소에 문제가 발
생하고 결과적으로 보정신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고품질의 GNSS 보정신호를 상시적으로 제공하
기 위해서는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품질과 항상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 목표

- GNSS 보정신호 생산에 재료로 사용되는 GNSS 상시관측소 관측정보 수집의


항상성 확보
¡ 배경

- 정전, 통신장비 문제, 장비고장 등으로 인한 GNSS 상시관측소 정보 수집의 일


시적인 단절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정밀 GNSS 보정신호 생산에 좋지 않
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측지측량 외 정밀 GNSS 보정신호 사용분야 중 상시적이고 안정적인 보정신호
를 필요로 하는 분야가 다수 존재
- 일부 GNSS 상시관측소의 환경이 원활한 GNSS 위성신호 수신을 방해하여 양
질의 관측정보 생산이 어려운 경우가 있음
- 122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추진 방향
- 안전정적인 GNSS 위성신호 수신을 위한 환경 정비
․ GNSS 상시관측소 환경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GNSS 신호 수신 환경이
심각하게 불량한 관측소의 경우 이전 추진
․ 매 년 GNSS 상시관측소 환경을 조사하여 위성신호 지장물에 대한 정비 실시
- 통신·전력 등 제반 인프라의 이중화
․ 통신회선의 이중화를 통해 문제 발생 시 즉시 대처
․ 전력시설을 이중화 하고 비상상황 발생 시 운영할 보조전원의 용량을 충분
히 확보하여 대처 시까지 연속성 확보
- GNSS 수신장비의 이중화
․ 장비고장과 파손에 대비하여 비상 시 운영할 수 있는 보조장비 설치 및 이
상상황 발생 시의 운영 연속성 확보 시설 설치
- 국지적인 GNSS 상시관측소 위치변동 모니터링 및 방지
․ 상시관측소의 기초부 침하, 기둥부의 변형 등으로 인해 위치기준이 변화하
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실시
․ GNSS 상시관측소의 국지적인 변형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변형 발생 시 즉
시적인 대응 프로세스 운영

1.2.2. 사용자 수신기 맞춤형 보정신호 다양화


일반인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GNSS 수신기는 저가형이다. 스마트폰에 탑재되
거나 차량항법시스템에 장착되는 등 최소화된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형 GNSS 수신기들은 GNSS 보정신호 활용 기능을


지원하고 있지 않으나 최근 출시되고 있는 제품들은 민간 전자제품에 탑재됨에도 불
구하고 원시 관측데이터의 제공, 보정정보 입력 지원 등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서 보

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현재까지 정밀 측량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신호를 제공하여


왔으나 보정신호의 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용자
GNSS 수신기의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보정신호 제공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123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목표

- 다양한 민간 수신기를 지원하는 다변화된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 운영


¡ 배경

- 비 측량 민간 분야에서의 고정밀 GNSS 위치정보 수요 증가


- GNSS 보정신호를 적용할 수 있는 저가형 GNSS 수신기의 상용화
- 측량 분야 및 비 측량 분야 GNSS 수신기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다변화된
GNSS 보정신호의 필요성
¡ 추 진 방향

- GNSS 보정신호의 종류를 m급, 서브m급, cm급의 세 종류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한 서비스 제공체계 운영
․ m급(Level 3) : 코드 데이터 기반 DGNSS 측위를 지원하는 신호로서 저가형
GNSS 수신기를 지원함
․ 서브m급(Level 2) : 코드 데이터와 반송파 위상 데이터를 모두 이용한
RT-PPP 측위를 지원하는 신호로서 보급형 GNSS 수신기를 지원함
․ cm급(Level 1) : 코드 데이터와 반송파 위상 데이터를 모두 이용한 NRTK 측
위 및 PPP-RTK 측위를 지원하는 신호로서 RTK 측위 기능을 갖춘 고급형
및 보급형 GNSS 수신기를 지원함
- GNSS 위치결정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GPS, GLONASS 위성 외에 Beidou,
Galileo 위성신호를 모두 지원하는 멀티 GNSS 보정신호 제공
․ 전체 GNSS 상시관측소에 멀티 GNSS 지원 장비를 탑재하기 전까지는
GPS와 GLONASS 위성 신호만을 지원하는 보정신호 제공
․ 멀티 GNSS 인프라 구축 완료 후에는 모든 위성 신호를 지원하는 보정신호 제공
- 단일 주파수 기반 RTK 수신기를 지원하기 위해 보정신호에 MSM 추가
- 각 보정신호에 대한 활용매뉴얼, 보정신호별 지원 가능 수신기의 종류, 수신기
설정법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지원 웹사이트 운영
- 시스템 개발자가 보정정보 활용 기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개
발자 지원 소스코드, 라이브러리 및 App.을 개발하여 제공

- 124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3. 보정신호에 대한 무결성 정보 제공


사용자가 GNSS 보정신호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보정신호의 상태 정보가 함께 제
공되어야 한다. 사용자 수신기가 보정신호의 품질과 상태를 상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GNSS 상시관측소 고장, 우주기상 재난 등 보정신호와 위치결정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보정신호의 상태 정
보는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각 상황별 대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이어야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보정신호의 상태와 여러 가지 상황요인에 대


한 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무결성 정보가 정의되고 생산되어 보정신호와 함께 사용
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 목표

- GNSS 보정신호와 함께 무결성 정보를 제공하여 이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 시


스템이 적합한 대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
¡ 배경

-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서비스에 무결성 정보 부재


- 사용자의 안전·편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GNSS 활용시스템을 사용하는 경
우 무결성 정보를 이용한 상황대처 프로세스의 구현이 필수
¡ 추 진 방향

- 보정신호의 종류별 무결성 정보의 내용과 형식 정의 및 규격화 실시


․ GNSS 위성 신호별 신뢰도와 사용 가능성 정보 포함
․ 보정신호의 품질, GNSS 상시관측소 등 인프라 시설에 발생한 각종 이벤트,
우주기상재난, 재밍 등 특수상황 정보를 모두 포괄
- 보정신호 표준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무결성 정보 항목을 보정신호에
포함시켜서 사용자에게 실시간 제공
․ 상용화된 국내·외 GNSS 수신기 제품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무결성 정
보 정의
- 무결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인프라 시설의 내용과 구성 설계 후 구축
- 125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4. 보정신호 제공 통신방식의 다변화


GNSS 보정신호 사용자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
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지상 기지국 망을 통해 구현된 무선인터넷을 통해

보정신호를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에게 정보


수신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보정신호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측지측량 분야의 사용자
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통신료가 큰 부담이 되지 않으나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 결정

과 같이 장기간 보정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


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료 부담 없이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정신호 제공 서버가 감당할 수 있는 사용자 수의 한계 또한 극복해야 하는 대상

이다. 정밀 보정신호 사용자가 비 측량 분야로 확장될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


영하는 단일 시스템이 모든 사용자를 수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국토지리정보원 보정신호 제공시스템 사이에 중간 시스템을 다수 배치하여 사용자를

분산시키는 방안의 추진이 필요하다.

¡ 목표

- 다수의 사용자가 보정신호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신 방식을 다변화 함


¡ 배경

- 보정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통신비용울 부담하여야 하는 현 시스템의 한계


- 비 측량분야로 사용자 확대 시 현 보정신호 제공시스템의 용량한계 발생 위험
¡ 추 진 방향

- 위성통신 중계기 임대 및 서비스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무료로 보정신호를 수


신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L밴드 통신위성(예: QZSS, Inmarsat 4) 중계기를 임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위성
통신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GNSS 안테나로 보정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함
- 계층형 NTRIP 서버를 주요 관계 기관에 보급하여 각 기관이 분야별 보정신호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
․ 교통, 시설물 관리 등 분야별 유관기관에 NTRIP 서버 보급

- 126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3. 이행 과제
측량분야 및 기타 민간분야에서의 정밀 위치정보 활용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 정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을 위해 4가지 추진전략에 근거하여 설정한 11개 이
행과제를 정리하면 <그림 7.2>와 같다.


<그림 7.2>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 을 위한 이행과제 정의

GNSS 상시관측소의 항상성 확보를 위해서는 항상성 관리체계 도입 및 관측소 장


비 이중화를 위한 3개 이행과제를 정의하였다. 보정신호 다양화를 위해서는 3가지

종류의 사용자 GNSS 수신기 맞춤형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및 사용자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4개 이행과제를 정의하였다. 무결성 정보 제공체계를 구추가기 위해서
는 한국형 무결성 정보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및 연구 결과에

부합하는 시스템 구축을 이행과제로 정의하였다.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통신매체를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보정신호를 활용하는 사용자층을 분산
시키기 위한 계층형 NTRIP 시스템의 구축, 무료로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

원하기 위한 L밴드 위성통신 중계기의 임대를 이행과제로 정의하였다.

- 127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4. 실행 계획
1 GNSS 상시관측소 항상성 관리체계 도입
▶ 투자소요(안)
❍ 1,000 백만원

 GNSS 상시관측소 국지변형 모 니터링 시스템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외부에 상시 노출되어 있는 GNSS 상시관측소는 태풍, 호우 등의 영향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위치 참조점이 변화할 수 있음
❍ 지반 환경의 변화와 상시 관측소의 하중으로 인해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관측소
타원체고를 변화시키고 보정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음
▶ 세부 추진계 획
❍ 국지변형 모니터링 규격 및 대응매뉴얼 제작
- 국지변형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기의 사양과 부착위치 결정
- 변형 발생 시의 대응절차와 행동 규정
❍ 관측소 기둥 및 기초부에 계측기 설치
- 기둥부의 기울기 변화와 진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계측기 설치
- 기초부에 침하량 관측을 위한 계측기 설치
❍ 중앙 관제시스템 설치
- GNSS 중앙국에 상시관측소의 국지변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 설치
- 급격한 변형·침하 발생 시의 대응 프로세스 운영
 전체 관측소 주변 정리 및 일부 관측소 이전

▶ 현황 및 필요성
❍ 수목 성장, 주변시설 변화 등으로 인해 GNSS 상시관측소의 위성신호 수신을 저해하는
지장물 증가
❍ 주변 환경의 영구적인 변화로 인해 환경 개선이 불가능한 2개 관측소의 이전 실시

- 128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세부 추진계 획
❍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 품질 및 주변환경 관련 규정 신설
-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 최소품질규정 정의
- 상시관측소 주변환경 관련 기준(지장물의 분포와 수량) 정의
- 기존 관리규정 개선을 통한 관측데이터 품질 및 주변환경 관련규정 신설
❍ 전체 상시관측소 주변 환경 일제 조사
- 관측데이터 품질평가를 통한 이상여부 점검
- 관측소 주변환경 조사를 통한 지장물 검사 및 정비대상 결정
❍ 상시관측소 주변 정비작업 실시
- GNSS 위성신호 수신을 저해하는 지장물 일제 제거
- 매 년 현장조사 및 정비작업 실시
❍ 2개 상시관측소 이전
- 환경개선이 불가한 2개 충청권역 2개 관측소를 이전

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GNSS 상시관측소 주변 정비 및 항상성 관리시스템 구 축 1년 400 백만원
사업내용

❍ 관측데이터 품질기준, 주변환경 기준 정의


❍ 전체 상시관측소 일제 정비
❍ 관측소 계측기준 및 국지변형 대응 매뉴얼 정의
❍ 계측기 설치 및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129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2 GNSS 상시관측소 이중화


▶ 투자소요(안)
❍ 1,500 백만원

 GNSS 상시관측소 핵심 장비 및 인프라 시설 이중화


▶ 현황 및 필요성
❍ GNSS 수신기, 안테나 등 핵심 장비 고장 시 실시간 정보 취득 불가
❍ 전력, 통신 등 인프라 시설 문제 발생에 대한 대응책 미비

▶ 세부 추진계 획
❍ 핵심 장비 이중화 구축
- GNSS 수신기, 안테나 등 핵심 장비 이중화 구축
- 핵심 장비 문제 파악 및 보조장비 구동 시스템 도입
❍ 전력 및 통신 인프라 시설 이중화 구축
- 통신상황 문제 발생 대처를 위한 보조통신수단 구축
- 단전 혹은 전력 인프라 문제 시의 대처를 위한 보조전력시설 구축
❍ 핵심 장비 및 전력, 통신 운영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상시관측소의 핵심 장비와 전력, 통신 운영상황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시스템 구축
- 문제 발생 시의 대응 프로세스와 매뉴얼 정의 및 제도화
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GNSS 상시관측소 이 화 사업 2년 1500 백만원
사업내용

❍ 관측소 핵심장비 및 인프라 장비 이중화 도입


❍ 장비, 인프라 문제 시 자동전환 장치 도입
❍ 관측소 운영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문제 발생 시의 대응 매뉴얼 정의

- 130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3 민간 맞춤형 GNSS 보정신호 다양화 구축


▶ 투자소요(안)
❍ 600 백만원

 저가형 GNSS 수신기용 보정신호(m급) 제공체계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SBAS 위성사업 완료 전까지 저가형 GNSS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보정신호 제공체계
의 미비
❍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 중인 관련 서비스는 GPS 위성 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만을
제공하고 있어서 제한적임
❍ 스마트폰, 차량항법시스템 등에 탑재된 저가형 GNSS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필요성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 GNSS 수신기 제품군을 고려한 보정신호 규격 정의
- 일반 사용자 층이 활용하는 GNSS 제품군 조사
- 멀티 GNSS 사용환경을 고려한 규격 정의
❍ 중앙국 시스템 탑재 SW 업그레이드
- 저가형 GNSS 수신기용 코드 데이터 기반 위치결정 기법을 지원하는 보정신호 생성 SW 탑재
- 생성된 보정신호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 시험평가 및 홍보
- 시스템 구축 후 현장 평가를 통한 보정신호의 정밀도 검증
- 관련 GNSS 수신기 제조사, 시스템 개발사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홍보
 보 급형 GNSS 수신기용 보정신호(서브m급) 제공체계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자율주행자동차 등 서브 m 오차범위의 정밀한 위치정보를 필요로
하는 미래 유망기술군의 발달
❍ 서브 m 오차 수준의 GNSS 위치결정 기법인 RT-PPP 기법을 지원하는 보급형 GNSS 수
신기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필요

- 131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 GNSS 수신기 제품군을 고려한 보정신호 규격 정의
- RT-PPP 측위법을 지원하는 GNSS 제품군 조사
- 멀티 GNSS 사용환경 및 RT-PPP 측위법을 고려한 규격 정의
❍ 중앙국 시스템 탑재 SW 업그레이드
- 코드 데이터와 반송파 위상을 모두 활용하는 RT-PPP 기법용 보정신호 생산 SW 탑재
- RT-PPP 기법이 필요로 하는 위성궤도오차, 위성시계오차, 코드데이터 오차, 반송파데이터
오차 및 전리층 지연오차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보정신호 생성 및 제공체계 구축
❍ 시험평가 및 홍보
- 시스템 구축 후 현장 평가를 통한 보정신호의 정밀도 검증
- 관련 GNSS 수신기 제조사, 시스템 개발사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홍보
 고 급형 GNSS 수신기용 보정신호(cm급) 제공체계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수 cm 오차 수준의 위치결정을 필요로 하는 측량분야 및 기타 분야의 기술 수요 발생
❍ 수 cm 오차 수준의 RTK 측위법 및 PPP-RTK 측위법을 지원하는 고급형 GNSS 수신기에
서 필요로 하는 보정신호 제공체계 필요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 GNSS 수신기 제품군을 고려한 보정신호 규격 정의
- RTK 측위법을 지원하는 단일주파수 혹은 다중주파수 수신기 제품 조사
- 멀티 GNSS 사용환경 및 RTK 측위법과 PPP-RTK 측위법을 고려한 규격 정의
❍ 중앙국 시스템 탑재 SW 업그레이드
- RTK 측위법 및 PPP-RTK 측위법용 보정신호 생산 SW 탑재
- 저가형 단일 주파수 RTK 측위용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MSM 보정신호 생산
- 고급형 RTK 측위용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보정신호(FKP, MAC) 강화
- PPP-RTK 측위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 시험평가 및 홍보
- 시스템 구축 후 현장 평가를 통한 보정신호의 정밀도 검증
- 관련 GNSS 수신기 제조사, 시스템 개발사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홍보

- 132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사용자 지원 서비스 구 축
▶ 현황 및 필요성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보정신호에 대한 활용법, GNSS 수신기 설정법, 서
비스 등록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전용 웹사이트 운영의 필요성
❍ GNSS 수신기를 탑재하는 시스템 개발자들이 GNSS 보정신호 활용체계 개발을 빠르고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SW 정보 등의 제공 필요성
▶ 세부 추진계 획
❍ 정보제공 웹사이트 구축
- 보정신호 활용법, GNSS 수신기 설정법, 서비스 등록방법 등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
- GNSS 수신기 판배사와 수요자 간 정보교환 창구 지원
- 서비스 등록 지원
❍ SW 개발자 지원정보 구축
- GNSS 보정신호 활용과 관련된 소스코드 및 SW 라이브러리 제공
❍ GNSS 보정신호 활용 App. 구축
- 개인 사용자가 국토지리정보원의 GNSS 보정신호를 수신기에 적용하여 고정밀 위치정보를
생산·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pp. 구축 및 공개
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민간 맞춤형 GNSS 보정신호 다양화 구축사업 3년 600 백만원
사업내용

❍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 보급형 GNSS 수신기 지원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 고급형 GNSS 수신기 지원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 사용자 지원 서비스 구축

- 133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4 무결성 정보 제공체계 구축
▶ 투자소요(안)
❍ 300 백만원

 한국형 GNSS 무결성 정보 개발


▶ 현황 및 필요성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게 될 다양한 GNSS 보정신호의 품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무결
성 정보의 부재
❍ 안정적인 GNSS 위치결정을 저해하는 다양한 이상상황 발생 시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
는 표준적인 정보개발의 필요성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측의 무결성 정보 활용 시나리오 정립
- 사용자 시스템에서 GNSS 위치결정과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상황정보 조사
- 상황별 필요 무결성 정보 및 무결성 정보 활용방법 정립
❍ 무결성 정보의 종류와 내용 규정
-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의 종류 별 무결성 정보 정의
❍ 무결성 정보 표준포맷 개발
- GNSS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표준포맷 개발
 무결성 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GNSS 보정신호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무결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필요성
❍ 보정신호의 품질과 상태 및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제공하는 정보생산체계
의 필요성
▶ 세부 추진계 획
❍ 보정신호 생산 시스템 연계
- 보정신호 생산 SW를 커스터마이징 하여 보정신호의 품질 정보를 생산하도록 구성
- 생산된 품질 정보를 무결성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축
❍ 이벤트 정보 수집체계 개발

- 134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GNSS 상시관측소 항상성 모니터링 시스템이 문제 발생 시 해당 정보를 무결성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현
- 우주기상정보 제공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각종 이벤트 정보를 무결성 정보제공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현
❍ 무결성 정보 생산·제공 시스템 구축
- 무결성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생산한 정보를 GNSS 보정신호 제공시스템 및 사용자 지원 서비
스 시스템에 제공
-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은 보정신호에 무결성 정보를 탑재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전송
- 사용자 지원 서비스 시스템은 각종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별도로 제공
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GNSS 무결성 정보 제공체계 구축 1년 300 백만원
사업내용

❍ 한국형 GNSS 무결성 정보 개발


❍ GNSS 보정신호의 품질정보 생산·제공체계 구축
❍ 우주기상재난 등 GNSS 측위 이벤트 정보 생산·제공체계 구축

- 135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4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구축


▶ 투자소요(안)
❍ 연간 60 백만원

 계 층형 NTRIP 서버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지상 기지국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NSS 사용자층의 분산 관리 필요
❍ 유관기관에 GNSS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인 계층형 NTRIP 서버 설치를 통한 GNSS 사용
자 유형별 분산 관리체계 운영의 효용성
▶ 세부 추진계 획
❍ 계층형 NTRIP 서버의 표준 규격 정의
❍ 전용선을 통해 유관기관에 GNSS 보정신호 상시 제공

 L밴드 위성통신 중계기 임대


▶ 현황 및 필요성
❍ 통신위성을 통해 사용자가 GNSS 보정신호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세부 추진계 획
❍ L밴드 통신위성 임대
- Inmarsat 4, QZSS 등 L밴드 통신위성 운영사와의 장기사용계약 체결
❍ 위성 중계기를 통한 보정신호 전송체계 구축
- 위성 중계기 사업자 시스템에 GNSS 보정신호를 실시간 제공
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구축 수년 연간 60 백만원
사업내용

❍ 계층형 NTRIP 서버 보급
❍ L밴드 위성통신 중계기 임대

- 136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2. 로드맵 수립
제5장 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NRTK 등 고정밀 보정신호 제공체계에 대한
개선 로드맵을 정리하면 <표 7.1>과 같다.

<표 7.1> NRTK 등 시스템 개선 로드맵


추진년도

1 차 도 년
2 차 도 3 차 도년 년
4 차 도 년
5 차 도
개선분 야

Lv1 신호 MSM 1 차 MSM 2 차 PPP-RTK 적용


강화 추가 추가

Lv2 신호 RT-PPP 개선 멀티 GNSS


강화 추가

DGNSS 1 차 DGNSS 2 차
Lv3 신호 개선 개선
강화
(GLONASS) (Beidou ,
Galileo )
상시관측소
개선
주변환경 정비 멀티 표준
GNSS 수신기 도입 및 관측소 이중화
DOME 설치

중앙 국 개선 핵심 SW 1 차 무결성
제공
정보 핵심 SW 2 차
중앙국 이중화 핵심 SW 3 차
업그레이드 시스템 구축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서비스 인프 라 서비스 App. 개발 서비스 활성화 소스 ,


구 축 홈페이지 구축 협의체 /운영
구성 라이브러리
개발 /배포
통신매체 계층형 NTRIP 위성중계기
다변화 서버 지원 임대

- 137 -
제8장 결 론
제8장 결 론

제8장 결 론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인 FKP와 MAC을 이용한 측량작업을 제도화 하고 측지
측량 외 타 민간분야에서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전국 5대 권역에 산재한 380개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하여 최신도입 NRTK

보정정보를 이용한 측량을 실시하고 그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기본·공공·지적


측량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오차범위를 나타내었다. RMSE를 계산한 결과
평면좌표 오차는 2cm 수준이었으며, 타원체고 오차는 7cm 수준이었는데 이러

한 수치는 3, 4급 공공삼각점 측량과 현황측량에 적합한 수치이다.

2. 통합기준점에서의 정확도 평가 시 고정해 산출에 소요된 시간을 분석한 결과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 사용 시 13~14초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수치는 제도화 되어 사용되고 있는 VRS 측량에 비해 약 5초 정도
늦어지는 것이나 측량작업에 적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
지만 충청도 지역에서 과대한 산출시간이 소요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제도화 전에 해당 지역의 GNSS 관측망과 보정신호 계산체계를 정비하여야 한
다고 판단된다.

3.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관측 네트워


크의 상시관측소 밀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시관측소에 설치된 비표
준 돔의 문제와 부정확한 PCV 정보로 인해 타원체고 오차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전체 상시관측소에 표준 돔 장착 및 최적 PCV
모델 적용이 필요하다.

4. NRTK 측량과 관련된 현행 국내 규정과 해외 규정을 분석하여 최신 도입


NRTK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고 측량 신뢰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적용된 작업규정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 140 -
제8장 결 론

5. 민간분야에서의 고정밀 위치정보 활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국토지리정보원


이 3가지 종류의 보정신호(m 급, 서브 m 급, cm 급)를 대표적인 정밀 보정신

호 서비스 모델로 규정하고 MSM 추가, 멀티 GNSS 정보 추가, 무결설 정보


추가 등의 보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6. 현재의 지상 무선통신망을 통해서만 보정신호를 제공하는 체계를 다변화 하여


계층화된 NTRIP 서버 운영, 위성 중계기 임대 등의 방법을 추가로 적용함으로
써 사용자가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고정밀 보정신호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결
론을 얻을 수 있었다. 위성 중계기를 통한 보정신호 제공 시 사용자는 통신료
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위성통신 음영지역에서 지상통신에 의해

보정신호를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활용구조를 적용한다면 활용성과 경제성을 모


두 만족시키는 보정신호 활용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저가형 GNSS 수신기 개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저가의 장비로도 고정밀 위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들이 상용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탑

재 가능한 2주파 GNSS 칩셋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민간에서의 고정밀 위치정


보 활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밀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 14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부 록 -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1. FKP 보정신호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춘천20 2.3 9 0.0353 0.0131 0.1244 0.1582 0.0138 강원도
U0164 2.166667 9 0.04 0.0055 0.019 0.0593 0.0073 강원도
U홍천03 2.533333 7.666667 0.0241 0.0048 0.135 0.1736 0.0178 강원도
U0281 2.26 7.6 0.1123 0.0101 0.2494 0.3193 0.0199 강원도
U춘천08 2.1 7 0.0141 0.0315 0.0847 0.1214 0.0148 강원도
U춘천04 2 8 0.01 0.0101 0.098 0.1288 0.0143 강원도
U0027 2.1 9 0.0115 0.0207 0.0984 0.1428 0.0292 강원도
U0017 3.4333 5 0.0186 0.0086 0.0658 0.1037 0.0155 강원도
U안흥03 2.313333 7.933333 0.0214 0.0193 0.0251 0.068 0.0161 강원도
U0254 2.033333 8.666667 0.0196 0.0247 0.0263 0.0715 0.015 강원도
U0261 2.4 8 0.0205 0.0012 0.0597 0.0845 0.0088 강원도
U평창19 2.243333 9 0.0319 0.0255 0.0259 0.0799 0.016 강원도
U평창07 2.9 6 0.0217 0.043 0.0128 0.0766 0.0161 강원도
U엄정06 2.1 14.0333 0.0201 0.0145 0.0453 0.0788 0.0137 강원도
U안흥26 1.98 12.7667 0.0151 0.0147 0.0157 0.0598 0.0139 강원도
U0252 1.4533 15.4667 0.0121 0.0166 0.035 0.0607 0.0096 강원도
U0248 1.7267 11.7 0.018 0.0103 0.0179 0.063 0.0155 강원도
U원주19 1.6 13.7333 0.0103 0.0066 0.0282 0.0553 0.0137 강원도
U청일25 1.7 11.0333 0.025 0.0207 0.0323 0.0828 0.0195 강원도
U청일15 1.4 14 0.0206 0.0086 0.0293 0.0765 0.024 강원도
U갈말05 2.5 7 0.0106 0.0053 0.01 0.0282 0.0049 강원도
U철원26 2.356667 8.433333 0.0284 0.0093 0.1228 0.1402 0.0079 강원도
U0024 2.706667 7.466667 0.0265 0.0066 0.0206 0.0565 0.0107 강원도
U0029 2.4 7 0.0048 0.0187 0.1662 0.185 0.008 강원도
U0037 2.2 8 0.0023 0.0208 0.0848 0.1073 0.0131 강원도
U0040 2.5 6 0.0325 0.0261 0.0504 0.08 0.0073 강원도
U0097 2.4 7 0.0304 0.0108 0.059 0.0888 0.0131 강원도
U0099 2.4 7 0.0244 0.0319 9.7703 9.7913 0.0135 강원도
U청일06 2.3 9 0.0246 0.0099 0.041 0.0784 0.0166 강원도
U0174 2.3 8 0.0328 0.0184 0.0571 0.0882 0.009 강원도
U0179 2.6 7 0.0178 0.0166 0.1176 0.1448 0.0109 강원도
U0107 2.65 7.1667 0.0514 0.0365 0.1635 0.1998 0.0143 강원도
U0105 2.6333 6.6667 0.022 0.0275 0.0288 0.0846 0.0196 강원도

- 14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045 3.3 6 0.0158 0.0215 0.0521 0.0911 0.0151 강원도
U0043 2.7333 7 0.0167 0.0136 0.055 0.0981 0.023 강원도
U0036 FAIL 강원도
U청일57 2.3 9 0.0206 0.0167 0.0156 0.061 0.0123 강원도
U0184 2.24 8.8 0.0138 0.0292 0.121 0.159 0.0191 강원도
U0267 2.333333 9.333333 0.0325 0.0063 0.0829 0.1073 0.0108 강원도
U정선03 1.866667 8 0.0203 0.0187 0.0511 0.0787 0.011 강원도
U정선26( 2.2 8 1.1812 1.2111 0.0139 1.7056 0.0091 강원도
오차큼)
U임계07 2.163333 8.333333 0.0242 0.0201 0.0567 0.0929 0.0179 강원도
U임계13 2.5333 6.5 0.0154 0.0162 0.0792 0.1576 0.0407 강원도
U0003 1.7667 12.3333 0.0343 0.0217 0.1316 0.1957 0.0536 강원도
U간성08 1.83 13.5667 0.0142 0.0454 0.2009 0.2264 0.0123 강원도
U0007 1.5033 15.0333 0.046 0.0048 0.0922 0.1301 0.0138 강원도
U속초04 1.6333 12.6667 0.0284 0.0188 0.034 0.0747 0.0143 강원도
U속초05 1.6 12 0.011 0.0078 0.0156 0.0335 0.0055 강원도
U속초09 2 11 0.0074 0.0085 0.0568 0.0988 0.0195 강원도
U연곡01 1.7 12 0.0123 0.0171 0.0492 0.1007 0.0205 강원도
U연곡04 1.7 11 0.0197 0.0172 0.0297 0.0545 0.0078 강원도
U0333 FAIL 강원도
U0331 1.8 9 0.0079 0.0059 0.1036 0.1318 0.0155 강원도
U장성04 2.7 7 0.0175 0.0082 0.0746 0.11 0.016 강원도
U0349 2.1 7 0.0133 0.0076 0.0326 0.0525 0.0096 강원도
U0203 1.9 9 0.0001 0.0177 0.0403 0.0564 0.0066 강원도
U0204 2.93 6.7 0.0303 0.0139 0.0358 0.1195 0.0307 강원도
U삼척01 2.4 8 0.0204 0.0034 0.1222 0.1407 0.0101 강원도
U구정14 1.6 9 0.017 0.0077 0.0972 0.1108 0.0069 강원도
U강릉11 2.566667 8 0.0111 0.0148 0.0559 0.0759 0.0083 강원도
U0116 1.6 12 0.0055 0.0161 0.012 0.0364 0.0062 강원도
U연곡14 4.8333 6 0.0263 0.05 0.199 0.3446 0.0894 강원도
U도암02 1.6067 14.1667 0.0126 0.0056 0.0496 0.0806 0.0148 강원도
U도암12 2.2667 13 0.0068 0.0052 0.0264 0.0599 0.0119 강원도
U구정20 1.9 12.3333 0.0093 0.024 0.0633 0.0929 0.0124 강원도
U0271 1.5 13 0.0091 0.0047 0.02 0.0398 0.0107 강원도
U0272 1.8667 11.7 0.0063 0.0212 0.031 0.0652 0.0152 강원도
U0026 1.5367 14 0.0162 0.0034 0.0333 0.0527 0.0088 강원도
U0038 1.5033 15.4333 0.0317 0.0307 0.0933 0.1123 0.0042 강원도
U0180 1.41 13.9333 0.0082 0.0056 0.1083 0.1208 0.0103 강원도
U0321 1.5 14 0.027 0.0184 0.0364 0.0566 0.004 강원도
U홍천20 1.6767 13.2667 0.0068 0.0069 0.0416 0.0616 0.0104 강원도

- 14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168 2.3 8 0.0199 0.0102 0.0253 0.0534 0.0084 경기도
U0233 2.4 8 0.009 0.0014 0.0162 0.0314 0.0063 경기도
U0236 2.7 6 0.0088 0.009 0.0278 0.0481 0.0105 경기도
U수원17 2.2 8 0.0126 0.0082 0.0189 0.041 0.0076 경기도
U수원02 2.1 8 0.0173 0.0518 0.1047 0.1457 0.0183 경기도
U0147 4.023333 5 0.0157 0.005 0.081 0.1367 0.029 경기도
U0136 4.9 5 0.0159 0.0146 0.0377 0.0641 0.0138 경기도
U춘천03 1.9 11 0.0266 0.0183 0.0413 0.0664 0.0075 경기도
U0077 1.5333 14.6667 0.033 0.0223 0.0733 0.1092 0.0157 경기도
U갈말27 1.3 17 0.0028 0.0112 0.0608 0.0843 0.0163 경기도
U갈말23 1.4 16.0667 0.007 0.0066 0.0331 0.0541 0.011 경기도
U0010 1.6 13 0.0277 0.0112 0.179 0.1974 0.0083 경기도
U포천01 1.5 14 0.0121 0.0042 0.0276 0.0569 0.014 경기도
U포천18 1.6 14 0.0146 0.0203 0.0117 0.0394 0.0056 경기도
U0071 1.8333 10.6667 0.0426 0.0319 0.0626 0.1057 0.0095 경기도
U일동15 1.8 11 0.014 0.0377 0.081 0.1077 0.0086 경기도
U포천25 1.3 16 0.0077 0.0061 0.0187 0.0348 0.0075 경기도
U김포04 1.9 8 0.0082 0.0211 0.0102 0.0389 0.0075 경기도
U안양02 2.9 7 0.0043 0.0208 0.0148 0.0524 0.0077 경기도
U인천01 1.6 9 0.0147 0.0027 0.0409 0.0662 0.0111 경기도
U0214 2.2 8 0.0138 0.0134 0.0748 0.0876 0.0051 경기도
u0220 2.6 6 0.0057 0.0138 0.0317 0.0654 0.0143 경기도
U안양25 1.77 7.3 0.0357 0.0194 0.0261 0.0875 0.0134 경기도
U수원24 1.9 8.666667 0.0332 0.0183 0.0262 0.0795 0.0126 경기도
U0149 3.6667 10.0333 0.0033 0.016 0.0197 0.0527 0.0097 경기도
U포천21 1.4833 15.0667 0.0312 0.0106 0.0217 0.0588 0.0062 경기도
U0066 1.4333 14.6667 0.0139 0.0055 0.0802 0.0976 0.0121 경기도
U0068 1.6 14.7333 0.0304 0.042 0.0163 0.0684 0.0045 경기도
U서울11 1.91 11.9667 0.0524 0.0213 0.0607 0.1046 0.0101 경기도
U0135 1.4 14 0.0335 0.0101 0.0842 0.114 0.012 경기도
U0144 1.7467 11.3333 0.0135 0.0082 0.0226 0.0638 0.016 경기도
U성동12 1.8 12 0.016 0.0614 0.1595 0.273 0.067 경기도
U0294 2 8 0.0073 0.0117 0.0057 0.0324 0.0075 경기도
U0288 2.12 7.933333 0.0129 0.0159 0.0632 0.0975 0.0166 경기도
U안양22 2.1 9 0.0133 0.0044 0.0357 0.0635 0.0143 경기도
U0285 3.6 7 0.012 0.0267 0.0686 0.094 0.0105 경기도
U0374 2.4 8 0.0027 0.0196 0.0484 0.0772 0.0087 경기도
U0298 2.38 6.033333 0.0065 0.0145 0.0758 0.1086 0.0172 경기도
U0300 2.533333 7.566667 0.0089 0.0066 0.0168 0.0344 0.0069 경기도

- 14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안성50 1.9 9 0.0122 0.0057 0.0731 0.0941 0.0132 경기도
U원주01 1.706667 8.966667 0.0076 0.0023 0.0426 0.0517 0.004 경기도
U성동06 1.7 12 0.0397 0.0034 0.0531 0.0815 0.0078 경기도
U0158 1.8 11 0.01 0.0431 0.1144 0.1527 0.014 경기도
U일동21 1.5 12 0.0438 0.0359 0.1362 0.1746 0.014 경기도
U0160 1.8 14 0.0067 0.0038 0.0556 0.0672 0.0072 경기도
U0162 1.7 15 0.0153 0.0133 0.0457 0.0642 0.0068 경기도
U0232 1.3 14 0.0051 0.0054 0.017 0.0417 0.0105 경기도
U0239 1.7 13 0.0258 0.006 0.0064 0.0379 0.0054 경기도
U0238 1.5 14 0.0052 0.0397 0.0112 0.0502 0.0049 경기도
U0243 1.4 12 0.0074 0.0079 0.056 0.0823 0.0123 경기도
U0293 2.8 11 0.0104 0.0343 0.0839 0.1102 0.0141 경기도
U아산01 1.5 14 0.0073 0.006 0.0286 0.0506 0.0101 경기도
창원17 1.5 12.7667 0.0094 0.0079 0.0197 0.0482 0.0131 경상남도
김해24 2.1667 12.2 0.011 0.0408 0.0319 0.0723 0.0082 경상남도
거제36 1.7 15 0.042 0.0099 0.048 0.1187 0.0227 경상남도
u1062 1.7 14 0.0081 0.0162 0.0714 0.0988 0.0133 경상남도
u0979 1.5167 13.8333 0.0196 0.0154 0.0581 0.0766 0.0045 경상남도
u0904 1.6 13 0.027 0.0092 0.0367 0.0681 0.011 경상남도
u0902 1.4 13.0333 0.0151 0.0187 0.0132 0.0518 0.0058 경상남도
u0974 1.2 15 0.0136 0.0041 0.0881 0.1015 0.0047 경상남도
u1053 1.4633 14.3667 0.015 0.0261 0.053 0.0735 0.0062 경상남도
u0970 1.4567 14.4333 0.0091 0.0081 0.0216 0.0437 0.0077 경상남도
u0963 1.6667 11.3333 0.004 0.0135 0.0094 0.0292 0.0044 경상남도
u0967 1.71 13 0.0293 0.0033 0.0227 0.0623 0.0108 경상남도
u0885 2.5667 8 0.003 0.0151 0.0339 0.0473 0.0064 경상남도
거창82 2.4 8 0.0118 0.0196 0.0559 0.0832 0.0152 경상남도
u0796 2.7 7 0.0089 0.0231 0.0573 0.0744 0.0056 경상남도
u0806 2.3 7 0.0128 0.013 0.0182 0.0458 0.0082 경상남도
u0814 2.6 8 0.0208 0.0085 0.0486 0.0709 0.0077 경상남도
언양25 1.67 12.4333 0.0114 0.0056 0.056 0.0779 0.0096 경상남도
언양13 1.4667 14.3333 0.0327 0.0202 0.0147 0.0528 0.0056 경상남도
창원18 2.2 7 0.0032 0.0446 0.0208 0.0787 0.0117 경상남도
김해23 1.8 8 0.0216 0.0041 0.0108 0.0524 0.0077 경상남도
u0992 2.066667 8 0.0205 0.0071 0.0589 0.0784 0.0086 경상남도
김해08 2.666667 7 0.0148 0.014 0.0283 0.0513 0.0075 경상남도
u0996 3.81 7.366667 0.0168 0.0135 0.0821 0.1774 0.0455 경상남도
u0916 3.26129 6.774194 0.0427 0.0448 0.0995 0.2236 0.0592 경상남도
밀양19 2.5 8 0.013 0.0169 0.04 0.0848 0.0159 경상남도

- 14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동곡20 2.6 7 0.0018 0.0125 0.0251 0.0583 0.014 경상남도
양산04 3.033333 5.666667 0.0467 0.003 29.735 29.7701 0.0204 경상남도
방어진09 2.126667 6.866667 0.0029 0.0306 0.0436 0.0741 0.0146 경상남도
울산16 2.1 8 0.0172 0.0054 0.0227 0.0377 0.0038 경상남도
청도18 1.8 8 0.0138 0.0077 0.106 0.1339 0.0148 경상남도
u0905 2.7 6 0.0164 0.0155 0.0329 0.0583 0.0081 경상남도
청도12 2.7 6 0.0146 0.0175 0.0146 0.0479 0.0065 경상남도
창원15 2.1 8 0.0304 0.0088 0.0965 0.1168 0.0087 경상남도
u0901 2.1 8 0.0177 0.0227 0.0301 0.0623 0.0079 경상남도
U0427 2.2 12.0333 0.0014 0.0099 0.0225 0.057 0.0154 경상북도
u0417 1.6 13 0.0104 0.0129 0.0306 0.0555 0.0096 경상북도
u0413 1.5 15.0333 0.0196 0.0028 0.0813 0.1084 0.017 경상북도
단양12 1.42 15.6 0.0151 0.023 0.0399 0.0765 0.0136 경상북도
덕산24 1.8 14 0.0247 0.009 0.052 0.0845 0.0104 경상북도
u0489 2.5 10 0.0393 0.0243 0.0256 0.086 0.0096 경상북도
관기03 2.4 11 0.0146 0.011 0.0319 0.0639 0.0121 경상북도
문경88 1.4667 13 0.0383 0.0257 0.034 0.0703 0.0052 경상북도
예천69 1.4 14.0333 0.0229 0.015 0.034 0.0662 0.0132 경상북도
u0578 1.7333 12.3333 0.0047 0.0252 0.0146 0.041 0.0039 경상북도
u0508 1.8 14.0333 0.0183 0.0523 0.048 0.0852 0.0064 경상북도
대구25 1.7467 11.5333 0.0219 0.0153 0.0457 0.0698 0.0088 경상북도
대구08 1.96 10.4 0.0262 0.0343 0.0331 0.1042 0.0282 경상북도
구미31 1.9 14 0.0103 0.0014 0.0464 0.0767 0.0167 경상북도
u0589 1.4067 14.9333 0.0008 0.0015 0.092 0.1144 0.0133 경상북도
구미06 1.4033 13.9667 0.0066 0.0013 0.0333 0.0524 0.0112 경상북도
구미01 1.4 14 0.0325 0.0139 0.0321 0.0733 0.0162 경상북도
김천19 1.4 14 0.0298 0.0141 0.0144 0.0597 0.0113 경상북도
u0710 2.54 7 0.0034 0.0209 0.0172 0.0462 0.0068 경상북도
u0718 1.6 9 0.0132 0.0126 0.0255 0.0557 0.0109 경상북도
u0803 2.1 8 0.0105 0.0178 0.0136 0.0382 0.0047 경상북도
왜관24 1.6 14.9 0.0093 0.0173 0.0269 0.0667 0.0192 경상북도
청도09 1.6 13 0.0206 0.0209 0.0378 0.0624 0.0052 경상북도
u0672 1.3 15 0.019 0.0203 0.0421 0.0672 0.0096 경상북도
u0346 2.346667 6.6 0.0141 0.0114 0.0591 0.0861 0.0116 경상북도
u0339 2.6 7 0.0042 0.0144 0.0319 0.0551 0.0128 경상북도
u0433 2.7 7.2 0.0158 0.017 0.0288 0.0736 0.0174 경상북도
u1163 2.6 7 0.0155 0.0129 0.0086 0.0317 0.0029 경상북도
u0528 2.3 9 0.0129 0.0287 0.0407 0.092 0.0165 경상북도
영덕56 2.1 8 0.0234 0.0284 0.0594 0.0869 0.009 경상북도

- 14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596 2.333333 8.666667 0.0186 0.0126 0.007 0.0355 0.0063 경상북도
u0520 1.7 8 0.016 0.0259 0.0796 0.1055 0.0071 경상북도
u0517 2.533333 8 0.0064 0.0161 0.0584 0.0826 0.0074 경상북도
u0511 2.2 8 0.046 0.0415 0.1093 0.147 0.0121 경상북도
길안16 2.1 6 0.0163 0.0174 0.02 0.0546 0.0104 경상북도
u0657 2.7 6 0.0216 0.0226 0.1172 0.172 0.0214 경상북도
u0593 2.1 8 0.0291 0.0434 0.0268 0.0841 0.0125 경상북도
u0652 2.6 7 0.0007 0.0086 0.0294 0.041 0.0058 경상북도
u0661 1.7 9 0.0059 0.0102 0.0524 0.072 0.0078 경상북도
u0664 2.2 7 0.0425 0.0269 0.0309 0.0937 0.0205 경상북도
u0676 1.733333 9.666667 0.0145 0.0063 0.0395 0.0517 0.0046 경상북도
u0754 2.1 9 0.0066 0.0112 0.0281 0.0517 0.0074 경상북도
u0747 1.516667 9.833333 0.0067 0.0287 0.0273 0.0581 0.0061 경상북도
영천28 3.55 6.833333 0.0191 0.0264 0.0261 0.0836 0.0228 경상북도
U0787 1.6 12 0.0235 0.0198 0.0068 0.0453 0.0055 전라도
U0706 2.0333 11 0.0217 0.0144 0.0127 0.0533 0.0102 전라도
U0795 1.4 14 0.0166 0.0259 0.0224 0.0446 0.0046 전라도
영동25 1.4 14 0.0277 0.0323 0.0116 0.0502 0.0038 전라도
U0699 1.5 12 0.0138 0.035 0.0397 0.0744 0.0118 전라도
U0776 1.7 12 0.0304 0.011 0.1818 0.2237 0.0217 전라도
정읍03 1.7267 14.7333 0.0043 0.0044 0.0269 0.0435 0.0098 전라도
U0761 1.8 14.0333 0.011 0.0114 0.1167 0.1377 0.0104 전라도
부안18 1.6 16 0.0197 0.0278 0.0352 0.0909 0.0187 전라도
U0850 1.4133 13.8667 0.0162 0.0141 0.0374 0.0629 0.0111 전라도
고창22 1.7 13 0.0136 0.0142 0.0658 0.0803 0.0043 전라도
법성12 1.65 12.9 0.0107 0.0141 0.0542 0.0666 0.0056 전라도
와도02 1.4 14 0.0124 0.0209 0.0604 0.0828 0.0111 전라도
와도08 1.5733 12.9667 0.0194 0.0103 0.0699 0.1191 0.022 전라도
U0934 1.3 15.0333 0.0073 0.027 0.0741 0.1116 0.0189 전라도
나주17 1.5 14 0.0085 0.0097 0.0883 0.0991 0.0053 전라도
광주36 1.5 15 0.015 0.0339 0.0514 0.0778 0.0062 전라도
광주28 1.3667 15 0.0244 0.0128 0.0675 0.1024 0.0156 전라도
영암24 1.5 15.8 0.0075 0.0133 0.0519 0.0746 0.0079 전라도
영암25 1.5 16.3333 0.0099 0.0064 0.0169 0.0317 0.0062 전라도
영암12 1.5 16.0333 0.0134 0.0018 0.025 0.0502 0.0122 전라도
목포04 1.7 12.6667 0.0142 0.0127 0.0455 0.0741 0.0116 전라도
U1082 1.5 13 0.0153 0.013 0.0687 0.0946 0.014 전라도
화원04 1.5 14 0.0272 0.0108 0.0746 0.0908 0.0057 전라도
목포13 1.5 14.0333 0.0046 0.0058 0.085 0.097 0.0058 전라도

- 14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1086 1.4933 13.5333 0.0109 0.0063 0.1733 0.1859 0.0078 전라도
U1085 1.3333 15 0.0107 0.0049 0.0695 0.1212 0.0309 전라도
U1083 1.31 14.9 0.0129 0.0107 0.1347 0.1501 0.0071 전라도
화원52 1.3733 16.0667 0.0085 0.0115 0.1125 0.1238 0.0074 전라도
화원13 1.5 16 0.0051 0.0097 0.1109 0.1197 0.004 전라도
U0940 1.3 15 0.008 0.0045 0.0318 0.0485 0.0078 전라도
광주14 1.6 15 0.0028 0.0019 0.0724 0.0888 0.0067 전라도
U0870 1.8 14 0.0216 0.0027 0.0582 0.0868 0.0132 전라도
남원27 1.5 16 0.003 0.0239 0.0224 0.0472 0.007 전라도
U0863 1.54 12.2333 0.061 0.031 0.0148 0.1209 0.021 전라도
정읍30 1.8 12 0.0222 0.0721 0.1304 0.1979 0.0295 전라도
U0856 2.1 12.0333 0.011 0.0052 0.0854 0.1137 0.012 전라도
U0854 1.5 13 0.0195 0.0064 0.0215 0.053 0.0084 전라도
담양23 1.6 12.0667 0.0102 0.0335 0.0664 0.0951 0.0067 전라도
담양14 1.6333 12.6667 0.0151 0.0414 0.0422 0.0755 0.0078 전라도
U0959 4.1 6 0.0398 0.0059 0.0502 0.1205 0.0216 전라도
U0960 1.8 14 0.0212 0.0195 0.043 0.1051 0.0219 전라도
U0957 1.31 16.0333 0.0076 0.0135 0.0324 0.0563 0.0098 전라도
U0948 1.5 13 0.0118 0.0233 0.0118 0.0424 0.0077 전라도
독산02 1.5333 13.8333 0.0277 0.0247 0.0724 0.0969 0.0101 전라도
U1025 1.7 13 0.0052 0.0054 0.0622 0.1072 0.0156 전라도
U1105 1.4 14 0.0171 0.0039 0.0313 0.0455 0.007 전라도
U1108 1.3 15 0.0204 0.0064 0.0527 0.0623 0.0041 전라도
U1032 1.7 15 0.0267 0.0043 0.0544 0.0701 0.0048 전라도
U1036 1.46 12.4 0.0233 0.0185 0.0475 0.0684 0.0061 전라도
U0687 3.033333 6.666667 0.0165 0.0148 0.0182 0.0786 0.0128 전라도
U0680 2.2 9 0.0047 0.0048 0.0089 0.0177 0.003 전라도
U0615 2.413333 8.866667 0.0041 0.0186 0.0148 0.0432 0.0082 전라도
U0622 2.5 8 0.007 0.0171 0.0128 0.0433 0.0087 전라도
U0692 2 8 0.0173 0.0045 0.0504 0.0741 0.0119 전라도
U0697 2.44 7.9 0.0264 0.0102 0.0172 0.0545 0.0118 전라도
U0775 2.2 8 0.0118 0.0193 0.1049 0.1281 0.0085 전라도
U0744 3.3 7 0.0044 0.0115 0.0152 0.0419 0.0109 전라도
U0777 1.8 7 0.0072 0.0079 0.0461 0.0822 0.0139 전라도
U0782 1.8 8 0.0111 0.0073 0.0295 0.05 0.0083 전라도
임실25 2.666667 8 0.0077 0.0133 0.014 0.0397 0.0059 전라도
임실28 2.206667 9 0.0033 0.0197 0.0261 0.0508 0.0097 전라도
남원06 1.753333 8.966667 0.0034 0.0032 0.0228 0.0407 0.0079 전라도
남원12 2.5 8 0.0192 0.0086 0.0303 0.0497 0.0069 전라도

- 14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함양91 2.4 8 0.0058 0.0084 0.0712 0.0955 0.011 전라도
운봉05 2.3 10 0.0053 0.0151 0.0133 0.0345 0.0054 전라도
운봉53 5.003333 6 0.0141 0.008 0.0814 0.1227 0.0183 전라도
남원40 2.2 8 0.0027 0.003 0.0663 0.0869 0.0122 전라도
u0946 1.8 7 0.0505 0.0043 0.0869 0.1199 0.0105 전라도
순창15 2.2 6.666667 0.0183 0.0104 0.0196 0.0443 0.0068 전라도
U1020 2.456667 8 0.0086 0.0195 0.0075 0.0302 0.003 전라도
U1097 2.5 9 0.0166 0.0244 0.01 0.0428 0.0048 전라도
U1100 4.166667 6 0.024 0.0136 0.0094 0.0726 0.017 전라도
해남12 2.4 8 0.0071 0.0072 0.0387 0.0651 0.0084 전라도
해남27 2.4 9 0.0087 0.0081 0.0117 0.0282 0.0052 전라도
완도07 1.6 9 0.0137 0.0089 0.01 0.0538 0.015 전라도
완도14 2.1 8 0.0136 0.0072 0.006 0.0326 0.0073 전라도
U1139 2.3 8 0.0123 0.0063 0.017 0.0392 0.0085 전라도
완도13 1.533333 9.666667 0.0125 0.0057 0.1008 0.1374 0.023 전라도
해남21 1.64 9.133333 0.0115 0.0221 0.0749 0.0875 0.0041 전라도
U0779 1.4033 13.9667 0.0099 0.0066 0.0349 0.0524 0.0067 전라도
U한림14 1.9 12 0.0177 0.0221 0.1008 0.1264 0.0106 제주도
U1195 2.5 12 0.0248 0.0349 0.0502 0.0922 0.0132 제주도
U1189 1.59 13.1 0.0515 0.0317 0.0099 0.0712 0.0039 제주도
U한림03 1.2 15.0667 0.0129 0.0029 0.0398 0.0662 0.0116 제주도
U제주02 1.3 15.0333 0.0854 0.0319 0.0054 0.0969 0.0036 제주도
U제주07 1.9 14 0.004 0.0226 0.0633 0.0788 0.0066 제주도
U제주11 1.4133 15.4333 0.0081 0.0019 0.0067 0.0197 0.0026 제주도
U모슬포0 1.5 14 0.0633 0.0067 0.076 0.1123 0.0071 제주도
3
U포슬포1 1.269 15.3448 0.011 0.0246 0.0182 0.1085 0.0201 제주도
7
U표선08 1.54 15.8 0.0109 0.0206 0.0131 0.047 0.0073 제주도
U서귀05 1.4 13.1333 0.0207 0.0527 0.0841 0.1228 0.0109 제주도
U성산08 1.7 13 0.0108 0.0336 0.0118 0.0436 0.0033 제주도
U0311 2.1 12 0.0047 0.0047 0.058 0.0854 0.0159 충청도
U0312 1.6 13 0.0021 0.0187 0.0632 0.0823 0.0072 충청도
U0316 2.015 11.675 0.0722 0.0275 0.5779 6.6543 1.7286 충청도
U0317 1.7967 11.1333 0.0077 0.0064 0.0137 0.0337 0.0086 충청도
U0323 1.6333 12.6667 0.0075 0.0032 0.0465 0.0531 0.0038 충청도
U0352 1.4 14 0.0188 0.0058 0.094 0.1037 0.0047 충청도
U0353 1.4733 13.3 0.0107 0.0058 0.0994 0.1086 0.0051 충청도
U0368 1.9167 15 0.0046 0.0028 0.0088 0.0244 0.0052 충청도
U0375 1.7667 13.3333 0.0196 0.0015 0.0242 0.0428 0.0036 충청도

- 15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382 1.8 12 0.0242 0.025 0.0258 0.0665 0.0113 충청도
U0385 1.88 12.7667 0.02 0.0042 0.0178 0.0351 0.004 충청도
U0393 2.28 11.1 0.0155 0.0041 0.0359 0.0584 0.0147 충청도
U0440 1.6333 13 0.0066 0.0032 0.0574 0.0655 0.0044 충청도
U0445 1.6667 14.3333 0.0115 0.0341 0.0695 0.0992 0.0104 충청도
U0448 2.2 12 0.0105 0.0069 0.0565 0.0741 0.0057 충청도
U0453 2.1567 11.0333 0.0087 0.009 0.048 0.0854 0.0104 충청도
U0462 1.6 11 0.0256 0.0071 0.0693 0.0855 0.0057 충청도
U0473 1.58 12.6 0.0055 0.0038 0.0587 0.0808 0.0098 충청도
U0478 2.1333 11.3333 0.0355 0.0146 0.0517 0.0867 0.0095 충청도
U0481 1.6333 11.6667 0.0102 0.0308 0.0581 0.0776 0.0055 충청도
U0483 1.8767 12.4333 0.0642 0.0537 0.175 4.1341 0.7376 충청도
U0537 1.5 12.9333 0.0073 0.0057 0.0306 0.0583 0.0151 충청도
U0540 1.6 12.6667 0.008 0.0055 0.0601 0.0818 0.0134 충청도
U0542 2.2667 12.0667 0.0079 0.0083 0.02 0.0439 0.0074 충청도
U0545 1.6333 13.3333 0.0186 0.0135 0.0254 0.0515 0.009 충청도
U0550 2.2367 9.4333 0.0537 0.0138 0.0474 0.1002 0.0122 충청도
U0569 1.7 14.6667 0.0126 0.0203 0.0438 0.0839 0.0157 충청도
U0610 1.7 12.3333 0.0101 0.0039 0.0158 0.0328 0.0083 충청도
U0618 1.98 12.6 0.0039 0.0046 0.0063 0.0164 0.0033 충청도
U공주02 2.4833 11.1667 0.0119 0.011 0.0606 0.0993 0.0221 충청도
U공주05 1.72 11.9 0.0349 0.0034 0.0191 0.0726 0.0167 충청도
U공주11 1.8033 10.4333 0.0119 0.0207 0.0374 0.0699 0.0134 충청도
U공주25 1.7667 13.3333 0.0061 0.0047 0.029 0.0403 0.0056 충청도
U공주31 1.4 15 0.0015 0.022 0.0437 0.0625 0.0051 충청도
U단양06 1.62 14.4 0.0042 0.0044 0.0721 0.0943 0.0191 충청도
U당진05 1.7 11.9667 0.0155 0.0062 0.0451 0.0866 0.0243 충청도
U당진12 2.12 9.0333 0.0095 0.0059 0.0252 0.0574 0.013 충청도
U당진15 1.5333 13.3333 0.0068 0.0117 0.0872 0.1101 0.0116 충청도
U당진19 1.8 14 0.004 0.0095 0.0089 0.022 0.0031 충청도
U대전02 1.966667 9.666667 0.0269 0.0134 0.0613 0.0941 0.014 충청도
U대전20 1.7 13 0.0052 0.0076 0.1098 0.1608 0.0518 충청도
U대전47 1.6333 11.3333 0.0145 0.0188 0.0045 0.0304 0.0023 충청도
U덕산01 1.8667 11.6667 0.007 0.0038 0.0626 0.0847 0.0107 충청도
U덕산09 1.8333 14 0.02 0.0033 0.0329 0.0516 0.0049 충청도
U덕산14 2.1 12.3333 0.0058 0.0091 0.0134 0.0284 0.0053 충청도
U미원06 1.3667 13.8333 0.0313 0.0187 0.2476 6.8203 1.2195 충청도
U미원11 1.5 12.6667 0.0181 0.0051 0.0106 0.0282 0.0025 충청도
U미원13 2.2333 10 0.0299 0.0109 0.0535 0.0961 0.0204 충청도

- 15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미원26 2.0733 11.7667 0.0938 0.0859 0.4443 4.4238 1.3114 충청도
U보은02 2.0067 10.8 0.0136 0.0056 0.0061 0.0235 0.0025 충청도
U보은10 2.2267 12.7333 0.0064 0.0169 0.0215 0.0504 0.0103 충청도
U보은20 2.0933 9.0667 0.0138 0.0248 0.0595 0.0987 0.0317 충청도
U아산21 1.693333 10.7 0.0136 0.01 0.0124 0.0408 0.0089 충청도
U아산35 2.11 11.6 0.012 0.0123 0.0258 0.0694 0.0196 충청도
U엄정24 1.4333 12.8333 0.0131 0.002 0.0763 0.0856 0.004 충청도
U엄정32 1.7 14 0.0031 0.0112 0.05 0.0714 0.0074 충청도
U영동07 1.7 15 0.0129 0.007 0.0218 0.0371 0.0054 충청도
U영월26 2.2333 12 1.4417 0.7484 5.6052 15.7338 7.5041 충청도
U영월37 1.3 14 0.0132 0.0047 0.0783 0.0952 0.0079 충청도
U예산22 1.5 14.4333 0.0065 0.0095 0.0284 0.0546 0.0141 충청도
U음성03 2.0333 12 0.0234 0.005 0.0213 0.0484 0.0084 충청도
U음성07 1.666667 11 0.01 0.0057 0.0415 0.0533 0.0049 충청도
U음성21 1.7 11.6667 0.0047 0.0083 0.0064 0.0223 0.0043 충청도
U음성36 2.59 11.2333 0.0031 0.0067 0.0169 0.0647 0.0215 충청도
U전의06 2.0667 11.3333 0.0045 0.0301 0.0229 0.066 0.0164 충청도
U전의19 2.3 8.6667 0.0386 0.0262 0.0427 0.0801 0.0066 충청도
U전의20 1.98 12.2 0.0077 0.006 0.0172 0.0398 0.0088 충청도
U제천04 1.6067 12.7333 0.0634 0.0336 0.4298 9.5414 1.6946 충청도
U제천08 1.9 11 0.003 0.0054 0.0538 0.0664 0.0072 충청도
U진천11 1.9 15 0.0059 0.0217 0.036 0.0618 0.0089 충청도
U진천20 1.8667 13.3333 0.0076 0.0036 0.0807 0.1106 0.0185 충청도
U청양04 1.7 14 0.0184 0.0181 0.0172 0.0377 0.0039 충청도
U청양26 1.8 11.6667 0.0103 0.0055 0.062 0.0805 0.0112 충청도
U청주25 1.6233 12 0.009 0.0097 0.0171 0.0391 0.0099 충청도
U청주31 1.9333 11.2 0.0063 0.0114 0.0362 0.058 0.0092 충청도
U청주35 2 13.4 0.0098 0.0069 0.0352 0.0741 0.0149 충청도
U청주44 1.7 15 0.0057 0.0034 0.0219 0.0392 0.0096 충청도
U충주15 1.5733 13.5333 0.0485 0.0433 0.1606 3.1211 0.5687 충청도
U충주18 1.6967 13.5667 0.0213 0.0098 0.0091 0.033 0.004 충청도
U평택45 1.7 11.6667 0.0035 0.0075 0.0584 0.0689 0.0045 충청도
U홍성16 1.7 11 0.025 0.0085 0.0252 0.0461 0.0045 충청도
U0453 1.4633 15.4667 0.0197 0.011 0.0381 0.0639 0.0114 충청도
U0542 1.7 12 0.0263 0.0129 0.0217 0.0839 0.0128 충청도
U0631 1.7 15.0333 0.009 0.0142 0.0078 0.0356 0.0055 충청도
U청주25 1.7 14.9 0.0261 0.0094 0.0407 0.0679 0.0089 충청도
U당진12 1.69 15.1 0.0117 0.0172 0.0754 0.1037 0.0094 충청도
U영동20 1.48 14.2333 0.0039 0.0063 0.0126 0.0339 0.0078 충청도

- 152 -
2.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춘천20 2.2 9 0.0441 0.0334 0.1634 0.2027 0.0161 강원도
U0164 2.4 8 0.0228 0.0167 0.0751 0.105 0.0097 강원도
U홍천03 2.8667 6.6667 0.0496 0.0229 0.1278 0.1666 0.0101 강원도
U0281 1.95 7.5 0.0236 0.0396 0.0137 0.0681 0.0078 강원도
U춘천08 2.1 7 0.0101 0.0182 0.0366 0.0634 0.0081 강원도
U춘천04 2.4 7.0333 0.0076 0.0076 0.0662 0.0969 0.019 강원도
U0027 2.2933 8.2 0.0244 0.0067 0.1263 0.1951 0.0396 강원도
U0017 2.6667 6 0.0175 0.0067 0.0636 0.0916 0.0126 강원도
U안흥03 2.4333 7.6667 0.0137 0.0267 0.0847 0.1276 0.0223 강원도
U0254 1.87 9 0.0126 0.0107 0.0148 0.0377 0.0055 강원도
U0261 2.3667 8.1667 0.0325 0.0233 0.0598 0.0879 0.0072 강원도
U평창19 2.2 8 0.0262 0.0179 0.0142 0.0453 0.0054 강원도
U평창07 2.9 6 0.0257 0.0122 0.0192 0.0729 0.0136 강원도
U엄정06 2.1 14 0.0333 0.0178 0.0316 0.0763 0.0148 강원도
U안흥26 2.2333 12 0.0197 0.0153 0.0317 0.0751 0.0187 강원도
U0252 1.5333 15.3333 0.0168 0.0081 0.0439 0.0581 0.0059 강원도
U0248 1.6967 11.9 0.0317 0.0075 0.0175 0.0505 0.0059 강원도
U원주19 1.7333 12.3333 0.0086 0.0073 0.0602 0.1056 0.025 강원도
U청일25 1.9 10 0.0401 0.0245 0.0448 0.0937 0.0153 강원도
U청일15 1.4233 13.7667 0.0359 0.0117 0.0316 0.076 0.0134 강원도
U갈말05 1.9 9 0.0139 0.0019 0.0061 0.0297 0.0071 강원도
U철원26 2.3 9 0.031 0.0068 0.0884 0.1134 0.0115 강원도
U0024 3.2 6.5 0.0207 0.0073 0.0124 0.0419 0.0065 강원도
U0029 2.8 7 0.0115 0.0038 0.1476 0.1772 0.0142 강원도
U0037 2.1667 8 0.0069 0.0158 0.03 0.0545 0.0065 강원도
U0040 FAIL 강원도
U0097 2.3 8 0.0377 0.0057 0.0685 0.0939 0.0103 강원도
U0099 2.3 8 0.0146 0.0393 9.7608 9.7733 0.0067 강원도
U청일06 2.3733 8.3 0.0205 0.0038 0.0733 0.1232 0.0284 강원도
U0174 2.3 8 0.013 0.0206 0.053 0.0812 0.0118 강원도
U0179 2.5 8 0.0161 0.0109 0.0776 0.1044 0.021 강원도
U0107 2.4 8 0.0235 0.0207 0.1177 0.1523 0.0223 강원도
U0105 2.1 7 0.0202 0.0067 0.0384 0.0578 0.0052 강원도
U0045 3.3 6 0.0125 0.0091 0.0312 0.0715 0.0132 강원도
U0043 2.6667 7 0.0149 0.0145 0.0569 0.0776 0.0071 강원도
U0036 FAIL 강원도
U청일57 2.3 9 0.0154 0.0192 0.0127 0.0465 0.007 강원도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184 2.4067 7.9333 0.0013 0.0047 0.0915 0.1204 0.0201 강원도
U0267 2.4 9 0.0048 0.0061 0.0431 0.0625 0.009 강원도
U정선03 FAIL 강원도
U정선26( 2.3 8 1.1822 1.2062 0.0147 1.7054 0.0044 강원도
오차큼)
U임계07 FAIL 강원도
U임계13 2.58 6.3 0.0154 0.0077 0.1115 0.1295 0.0109 강원도
U0003 FAIL 강원도
U간성08 2 13 0.1085 0.1692 0.0906 0.2675 0.0219 강원도
U0007 1.5333 14 0.0569 0.0612 0.23 0.4093 0.1013 강원도
U속초04 1.6267 12.7333 0.0219 0.0215 0.0709 0.1023 0.0121 강원도
U속초05 1.6 12 0.0233 0.0264 0.0535 0.0782 0.0072 강원도
U속초09 2 11 0.0095 0.0175 0.0515 0.0667 0.0053 강원도
U연곡01 1.7 12 0.0095 0.0106 0.0357 0.0573 0.0094 강원도
U연곡04 1.7 11 0.0223 0.0026 0.0129 0.0433 0.0095 강원도
U0333 FAIL 강원도
U0331 1.9733 8.5667 0.0099 0.0075 0.1325 0.1578 0.0189 강원도
U장성04 2.9333 6.6667 0.0191 0.0138 0.0321 0.0781 0.0189 강원도
U0349 FAIL 강원도
U0203 FAIL 강원도
U0204 4 6 0.019 0.0232 0.152 0.1816 0.0125 강원도
U삼척01 2.4333 8 0.0176 0.004 0.1964 0.2167 0.0062 강원도
U구정14 1.82 9.9 0.0217 0.0088 0.0792 0.1041 0.0078 강원도
U강릉11 2.5 8 0.0286 0.0139 0.0336 0.0571 0.0078 강원도
U0116 1.6 11.0333 0.0174 0.0095 0.0294 0.0599 0.0083 강원도
U연곡14 4.5 6 0.023 0.0072 0.1157 0.1302 0.0099 강원도
U도암02 1.7 15.0333 0.0148 0.0093 0.07 0.0948 0.0111 강원도
U도암12 2.1167 13.7 0.0031 0.0041 0.0202 0.0525 0.0105 강원도
U구정20 1.7733 12.5667 0.0083 0.0201 0.0494 0.0823 0.0123 강원도
U0271 1.5 13.0333 0.0084 0.0039 0.0131 0.0264 0.0045 강원도
U0272 1.9 12 0.0106 0.0128 0.0268 0.0563 0.0099 강원도
U0026 1.5 14 0.0218 0.0088 0.0405 0.0697 0.0111 강원도
U0038 1.5 16.069 0.0396 0.0313 0.0684 0.1029 0.0071 강원도
U0180 1.4 14 0.0074 0.0135 0.1271 0.1446 0.0086 강원도
U0321 1.5 14 0.0241 0.0154 0.0353 0.058 0.0051 강원도
U홍천20 1.6 14 0.0075 0.0066 0.0538 0.0723 0.0065 강원도
U0168 1.9 9 0.0127 0.0066 0.0174 0.0483 0.0125 경기도
U0233 2.3833 8.1667 0.0022 0.0028 0.0151 0.0286 0.0068 경기도
U0236 1.7 8 0.0508 0.014 0.0358 0.0703 0.0032 경기도
U수원17 2.4 8 0.0139 0.0099 0.0246 0.0445 0.0054 경기도

- 15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수원02 2.2 8 0.0043 0.0091 0.0175 0.0374 0.007 경기도
U0147 2.1 6 0.0088 0.0045 0.0217 0.037 0.0064 경기도
U0136 경기도
U춘천03 1.9 11 0.0132 0.0328 0.0289 0.0606 0.0066 경기도
U0077 1.5333 15 0.0103 0.0298 0.0456 0.0759 0.0132 경기도
U갈말27 1.3467 16.5333 0.0019 0.0184 0.0487 0.0734 0.0112 경기도
U갈말23 1.4 16 0.0137 0.0026 0.0247 0.041 0.0068 경기도
U0010 1.7 13 0.0095 0.007 0.1742 0.1911 0.0109 경기도
U포천01 1.5333 13.3333 0.0241 0.0051 0.0294 0.0589 0.0105 경기도
U포천18 1.6433 13.5667 0.0095 0.0197 0.0261 0.0455 0.0056 경기도
U0071 1.5 12 0.0057 0.0244 0.0422 0.0617 0.0074 경기도
U일동15 2.4467 7.4333 0.0155 0.0364 0.0648 0.0929 0.0072 경기도
U포천25 1.3 16 0.0199 0.0045 0.034 0.05 0.0066 경기도
U김포04 2 8 0.0073 0.0019 0.0234 0.0466 0.0136 경기도
U안양02 2.3667 7.6667 0.0073 0.0268 0.0121 0.0417 0.0058 경기도
U인천01 1.68 8.8 0.0087 0.0138 0.0522 0.0669 0.0062 경기도
U0214 2.9333 7.3333 0.0057 0.021 0.0152 0.0535 0.0074 경기도
u0220 2.7 5 0.6576 0.2008 2.0187 2.1505 0.0122 경기도
U안양25 1.8 7 0.0328 0.0098 0.0185 0.048 0.0041 경기도
U수원24 1.8 9 0.0245 0.0262 0.0249 0.0593 0.0062 경기도
U0149 2.33 10.9 0.005 0.0232 0.0133 0.0449 0.0071 경기도
U포천21 1.48 15.1333 0.0102 0.0133 0.0201 0.0436 0.0113 경기도
U0066 1.56 14.2 0.009 0.0106 0.0485 0.0891 0.0228 경기도
U0068 1.5333 15.7 0.0359 0.0368 0.0441 0.0914 0.0166 경기도
U서울11 1.9 12.0333 0.0375 0.0223 0.0142 0.0573 0.0056 경기도
U0135 1.4 14 0.0328 0.008 0.0534 0.0726 0.0043 경기도
U0144 1.7 11.0667 0.0242 0.0039 0.0248 0.0647 0.011 경기도
U성동12 1.79 12.1 0.0092 0.0306 0.0947 0.1678 0.0344 경기도
U0294 2.0833 11.1667 0.0117 0.0051 0.0095 0.0274 0.0042 경기도
U0288 1.9 7.6667 0.0091 0.0056 0.1203 0.1363 0.0074 경기도
U안양22 2.1 9 0.0111 0.0044 0.0196 0.0393 0.0064 경기도
U0285 2.4067 8.2 0.0048 0.0183 0.0539 0.0868 0.0123 경기도
U0374 2.59 7.3667 0.0037 0.0227 0.0669 0.0887 0.0124 경기도
U0298 2.7 6 0.0141 0.0252 0.0275 0.0684 0.012 경기도
U0300 2.1 8 0.0096 0.0293 0.0149 0.0524 0.0081 경기도
U안성50 1.9 9 0.0207 0.0117 0.0857 0.106 0.0122 경기도
U원주01 1.9 8 0.0093 0.0023 0.0272 0.0381 0.0043 경기도
U성동06 1.7 12 0.0297 0.0247 0.0489 0.0881 0.0079 경기도
U0158 2 10 0.0211 0.023 0.0262 0.0816 0.0142 경기도
U일동21 1.5 12 0.0165 0.002 0.0082 0.0292 0.004 경기도

- 15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160 1.9267 12.4 0.0034 0.0033 0.0324 0.044 0.006 경기도
U0162 1.7 15 0.0101 0.0116 0.0082 0.0248 0.0028 경기도
U0232 1.3333 13.8333 0.0086 0.0018 0.0081 0.0199 0.0042 경기도
U0239 1.6333 13 0.0051 0.0046 0.0114 0.0276 0.0073 경기도
U0238 1.5 14 0.0035 0.0334 0.0109 0.0427 0.0033 경기도
U0243 1.4 12 0.0095 0.0085 0.0284 0.0393 0.0046 경기도
U0293 3.126667 10.43333 0.0292 0.0578 0.1329 0.1996 0.0343 경기도
U아산01 1.5 14 0.0038 0.0081 0.0086 0.0276 0.0049 경기도
창원17 1.5 12 0.0093 0.0275 0.0503 0.0765 0.009 경상남도
김해24 2.2 12 0.008 0.0476 0.0814 0.1319 0.0183 경상남도
거제36 1.7667 14.6667 0.0205 0.01 0.0354 0.0783 0.0187 경상남도
u1062 1.7 14 0.0081 0.018 0.0882 0.1145 0.0082 경상남도
u0979 1.57 13.3 0.0093 0.0155 0.0565 0.0688 0.0047 경상남도
u0904 1.6 13 0.028 0.0092 0.0291 0.0582 0.0141 경상남도
u0902 1.42 12.8 0.0141 0.0139 0.0444 0.0808 0.0111 경상남도
u0974 1.2 15 0.0109 0.004 0.0891 0.0965 0.0039 경상남도
u1053 1.4759 14.2759 0.0156 0.0214 0.0561 0.0745 0.0084 경상남도
u0970 1.4 15.0345 0.003 0.0081 0.0197 0.0287 0.0033 경상남도
u0963 1.3069 13.9655 0.0058 0.0159 0.0138 0.0328 0.0041 경상남도
u0967 1.8 13 0.0379 0.0087 0.0557 0.1095 0.0215 경상남도
u0885 2.4034 8.6552 0.0052 0.0067 0.0582 0.0714 0.0077 경상남도
거창82 2.2621 8.0345 0.0056 0.0199 0.0546 0.0748 0.0103 경상남도
u0796 2.7 7 0.01 0.0176 0.047 0.0622 0.0054 경상남도
u0806 2.3 7 0.0132 0.0038 0.01 0.0373 0.0071 경상남도
u0814 2.9 7 0.0242 0.0062 0.0226 0.0516 0.0114 경상남도
언양25 1.5 13 0.0088 0.018 0.0602 0.0885 0.0104 경상남도
언양13 1.431 14.6897 0.0337 0.0302 0.0194 0.058 0.0043 경상남도
창원18 2.3 7 0.0154 0.0177 0.0278 0.0675 0.0134 경상남도
김해23 2 7 0.0197 0.0221 0.0497 0.0717 0.007 경상남도
u0992 2.1 8 0.0113 0.008 0.0699 0.0823 0.0059 경상남도
김해08 2.6 7 0.0146 0.0144 0.0362 0.0569 0.0077 경상남도
u0996 2.2667 10 0.0098 0.0254 0.0109 0.0441 0.0041 경상남도
u0916 2.7267 8.1667 0.0245 0.0218 0.0317 0.0763 0.0113 경상남도
밀양19 1.7 13 0.0119 0.0087 0.0096 0.0343 0.0101 경상남도
동곡20 2.6 7 0.0008 0.0091 0.0133 0.0375 0.0116 경상남도
양산04 FAIL 0.0124 경상남도
방어진09 2.4 6 0.0029 0.0339 0.0682 0.0828 0.0049 경상남도
울산16 2.1 8 0.0172 0.0054 0.0221 0.0404 0.0043 경상남도
청도18 1.8 8 0.012 0.0118 0.1383 0.1567 0.0092 경상남도
u0905 2.6 6 0.0172 0.0126 0.0614 0.0786 0.0071 경상남도

- 15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청도12 2.7 6 0.0149 0.0122 0.008 0.0329 0.0041 경상남도
창원15 2.1 8 0.0004 0.0106 0.0758 0.0928 0.0099 경상남도
u0901 2.1 8 0.0065 0.0034 0.0362 0.0485 0.0064 경상남도
U0427 2.3467 10.9667 0.0135 0.0131 0.007 0.0397 0.0096 경상북도
u0417 1.6 14 0.0028 0.013 0.0252 0.0487 0.0102 경상북도
u0413 1.5 15 0.0203 0.0077 0.0528 0.0927 0.0199 경상북도
단양12 1.7 14.6667 0.0114 0.0082 0.0175 0.0452 0.0075 경상북도
덕산24 1.7333 14.0333 0.0224 0.017 0.0213 0.056 0.0125 경상북도
u0489 2.5 10 0.0278 0.0068 0.018 0.0518 0.0081 경상북도
관기03 2.4 11 0.0028 0.0069 0.0313 0.043 0.0045 경상북도
문경88 1.4 13 0.0257 0.0228 0.021 0.0601 0.01 경상북도
예천69 1.4 14 0.0147 0.0151 0.0072 0.0461 0.0063 경상북도
u0578 1.6 13 0.0047 0.0252 0.0088 0.0338 0.0024 경상북도
u0508 1.8 14 0.0255 0.0456 0.0155 0.0772 0.0154 경상북도
대구25 1.7667 11.3333 0.0219 0.0153 0.0527 0.0754 0.0067 경상북도
대구08 1.93 10 0.0199 0.0177 0.0279 0.0539 0.0091 경상북도
구미31 1.9167 13.8333 0.0154 0.0014 0.032 0.0531 0.0065 경상북도
u0589 1.41 14.9 0.0008 0.0023 0.0562 0.0954 0.0185 경상북도
구미06 1.4067 13.9333 0.0066 0.0013 0.0433 0.0534 0.0051 경상북도
구미01 1.4 14 0.0219 0.0021 0.0244 0.0434 0.0047 경상북도
김천19 1.4 14 0.0257 0.0132 0.0188 0.0521 0.0112 경상북도
u0710 2.5 7 0.0037 0.0148 0.009 0.0358 0.0084 경상북도
u0718 1.6 9 0.0165 0.0077 0.0499 0.067 0.0073 경상북도
u0803 2.1 8 0.0091 0.0082 0.024 0.0436 0.0069 경상북도
왜관24 1.7 14.0333 0.0086 0.0136 0.0488 0.0689 0.0084 경상북도
청도09 1.6 13.0333 0.0096 0.0099 0.0296 0.0464 0.0056 경상북도
u0672 1.3 15 0.0128 0.0103 0.0339 0.0547 0.0125 경상북도
u0346 1.9 7 0.0049 0.0114 0.0628 0.0765 0.0063 경상북도
u0339 2.6 7 0.0001 0.0201 0.0116 0.0389 0.0053 경상북도
u0433 2.47 7.3333 0.0139 0.0201 0.0171 0.0462 0.0065 경상북도
u1163 2.68 7.1 0.0154 0.0142 0.0385 0.0601 0.0095 경상북도
u0528 2.2 9 0.0236 0.0304 0.0697 0.0913 0.0068 경상북도
영덕56 2.1 8 0.01 0.0036 0.0147 0.0474 0.0093 경상북도
u0596 2.3 9 0.0186 0.0118 0.018 0.0509 0.0109 경상북도
u0520 1.6367 8.6333 0.0203 0.0391 0.0668 0.1003 0.0082 경상북도
u0517 2.6 8 0.0109 0.0115 0.0689 0.092 0.0098 경상북도
u0511 2.2 8 0.046 0.0382 0.1107 0.1425 0.0087 경상북도
길안16 2.1 6 0.0162 0.0132 0.0224 0.053 0.0116 경상북도
u0657 2.7 6 0.0131 0.0112 0.072 0.1156 0.0177 경상북도
u0593 2.1 8 0.0445 0.0526 0.0214 0.0829 0.0101 경상북도

- 15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652 2.6 7 0.0056 0.0086 0.0304 0.0541 0.0084 경상북도
u0661 1.7 9 0.0059 0.0092 0.0549 0.0641 0.0042 경상북도
u0664 2.1 8 0.0168 0.0055 0.0137 0.0413 0.0111 경상북도
u0676 1.7 10 0.0145 0.0115 0.0314 0.0475 0.0058 경상북도
u0754 2.1 9 0.0154 0.0111 0.0329 0.0567 0.0084 경상북도
u0747 2.21 8.9 0.0235 0.0286 0.0362 0.0637 0.0046 경상북도
영천28 1.9667 11.4667 0.0104 0.0074 0.0365 0.0588 0.0109 경상북도
U0787 1.6 12 0.0131 0.009 0.0484 0.074 0.0117 전라도
U0706 2.3 9 0.0313 0.0287 0.0084 0.0478 0.002 전라도
U0795 1.53 13.2667 0.0096 0.0231 0.0365 0.0534 0.0056 전라도
영동25 1.4 13.4333 0.0206 0.0171 0.036 0.077 0.0103 전라도
U0699 1.5 12 0.0186 0.032 0.0108 0.0474 0.0034 전라도
U0776 1.7 12 0.0217 0.0062 0.2021 0.2367 0.0148 전라도
정읍03 1.9 14 0.0038 0.0151 0.0217 0.0436 0.0091 전라도
U0761 1.8741 14 0.0179 0.0075 0.0959 0.1058 0.0052 전라도
부안18 1.6 16 0.0262 0.0148 0.0938 0.1225 0.0129 전라도
U0850 1.3333 14.7 0.0228 0.0102 0.0405 0.0585 0.0051 전라도
고창22 1.52 13.6 0.0141 0.0131 0.0578 0.0668 0.0045 전라도
법성12 1.8167 12.5667 0.0177 0.0029 0.0664 0.0808 0.0087 전라도
와도02 1.4 14 0.0105 0.0073 0.1034 0.113 0.0037 전라도
와도08 1.33 13.1333 0.0077 0.0175 0.0822 0.1021 0.0102 전라도
U0934 1.3 15 0.0039 0.0318 0.0542 0.0718 0.0054 전라도
나주17 1.5 14 0.0117 0.0134 0.0719 0.0901 0.0073 전라도
광주36 1.5 15 0.0073 0.0324 0.0192 0.0569 0.0087 전라도
광주28 1.4 15 0.0294 0.0056 0.0342 0.053 0.0036 전라도
영암24 1.5133 14.9667 0.0183 0.0183 0.0576 0.0858 0.0102 전라도
영암25 1.6 16 0.0101 0.0046 0.0177 0.0262 0.0027 전라도
영암12 1.5 16.0333 0.0022 0.0039 0.0126 0.0233 0.0046 전라도
목포04 1.9 12 0.0228 0.0197 0.0458 0.0796 0.0091 전라도
U1082 1.5033 12.9667 0.006 0.009 0.0139 0.0294 0.0038 전라도
화원04 1.6333 12.7 0.0127 0.0138 0.062 0.0812 0.0087 전라도
목포13 1.66 13.2 0.0161 0.0033 0.0392 0.0502 0.0051 전라도
U1086 1.6 12.6667 0.0136 0.0065 0.1454 0.1624 0.0094 전라도
U1085 1.4333 14.6667 0.0036 0.0113 0.0818 0.0958 0.009 전라도
U1083 1.4 14 0.0084 0.0118 0.0938 0.1089 0.0061 전라도
화원52 1.4 16 0.0121 0.012 0.0865 0.0976 0.0041 전라도
화원13 1.7 15 0.0098 0.0119 0.1104 0.1212 0.0043 전라도
U0940 1.4 14.6667 0.0157 0.0043 0.021 0.0401 0.0074 전라도
광주14 1.6 14.3333 0.0065 0.004 0.0937 0.1179 0.0102 전라도
U0870 1.8 14 0.0104 0.0025 0.0535 0.0831 0.0173 전라도

- 15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남원27 1.5 16 0.0098 0.0243 0.0209 0.0429 0.0041 전라도
U0863 1.6667 11.6333 0.07 0.016 0.0749 0.2051 0.0497 전라도
정읍30 1.8 12 0.0116 0.0139 0.0737 0.1007 0.0114 전라도
U0856 2.1567 12 0.0263 0.0092 0.0602 0.0959 0.0176 전라도
U0854 1.66 12.4667 0.0078 0.0024 0.0676 0.0841 0.0084 전라도
담양23 1.6 12.0333 0.0108 0.0214 0.0754 0.0931 0.0068 전라도
담양14 1.7 12 0.0063 0.0323 0.0619 0.0906 0.0132 전라도
U0959 3.43 10.3 0.0384 0.004 0.0224 0.0592 0.0093 전라도
U0960 1.8 14 0.0099 0.0205 0.0419 0.0785 0.0178 전라도
U0957 1.3 16 0.0031 0.0089 0.0045 0.0155 0.0025 전라도
U0948 1.5 13 0.0027 0.0179 0.0115 0.0384 0.009 전라도
독산02 1.54 13.8333 0.0075 0.0137 0.024 0.0469 0.0121 전라도
U1025 2.1 12.2 0.0023 0.0043 0.0099 0.0244 0.0064 전라도
U1105 1.4 14 0.0083 0.0086 0.0262 0.0383 0.0049 전라도
U1108 1.3 15 0.0225 0.0154 0.0459 0.0703 0.0115 전라도
U1032 1.7 15 0.0234 0.0024 0.0343 0.0497 0.0043 전라도
U1036 1.5 12 0.0134 0.0073 0.0683 0.0858 0.008 전라도
U0687 2.2333 7 0.0228 0.0094 0.0265 0.0503 0.0059 전라도
U0680 2.3 9 0.0103 0.0077 0.0082 0.027 0.0045 전라도
U0615 2.3067 8.9667 0.0114 0.0135 0.0384 0.0609 0.0082 전라도
U0622 2.4 8 0.0063 0.0261 0.0248 0.0501 0.005 전라도
U0692 2 7.8667 0.0111 0.0089 0.0617 0.1482 0.0318 전라도
U0697 2.68 7.6 0.0093 0.0074 0.0134 0.0325 0.0077 전라도
U0775 2.2 8 0.0315 0.0116 0.1073 0.1398 0.0106 전라도
U0744 2.65 7.5 0.0047 0.0063 0.0247 0.0567 0.0141 전라도
U0777 1.8667 7 0.0075 0.0065 0.0716 0.0903 0.0114 전라도
U0782 1.8 8 0.0136 0.0189 0.0355 0.0525 0.0048 전라도
임실25 2.1 9 0.0049 0.0182 0.0058 0.0253 0.0019 전라도
임실28 2.2 9 0.0159 0.0143 0.0337 0.0569 0.0096 전라도
남원06 1.7 9 0.0132 0.0038 0.047 0.0606 0.0057 전라도
남원12 2.5 8 0.0177 0.0088 0.0504 0.0651 0.0048 전라도
함양91 2.2 8.6667 0.0162 0.0026 0.075 0.0889 0.0058 전라도
운봉05 2.37 9.3 0.0035 0.0251 0.0187 0.0477 0.0047 전라도
운봉53 5.3733 6.0667 0.0143 0.0176 0.0692 0.1202 0.0231 전라도
남원40 2.2 8 0.0033 0.0057 0.0516 0.0681 0.0084 전라도
u0946 전라도
순창15 1.9 8 0.0198 0.0029 0.0181 0.0365 0.0046 전라도
U1020 2.46 8.0667 0.0051 0.0153 0.0177 0.0403 0.0066 전라도
U1097 2.4 9 0.0139 0.0321 0.01 0.0425 0.0022 전라도
U1100 4.4 6 0.0096 0.0071 0.0489 0.0626 0.0062 전라도

- 15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해남12 2.4 8 0.0063 0.0052 0.0462 0.0636 0.008 전라도
해남27 2.4 9 0.0126 0.0042 0.0066 0.0247 0.0038 전라도
완도07 1.6 9 0.0282 0.0026 0.02 0.0525 0.0057 전라도
완도14 2.1 8 0.0244 0.014 0.034 0.0578 0.0068 전라도
U1139 전라도
완도13 전라도
해남21 1.8333 8 0.0048 0.026 0.0623 0.0822 0.0071 전라도
U0779 1.4074 14 0.0212 0.002 0.0142 0.0349 0.0046 전라도
U한림14 1.9 12.037 0.004 0.0291 0.0723 0.1015 0.0118 제주도
U1195 2.5 12 0.032 0.0378 0.0218 0.0609 0.0035 제주도
U1189 1.4519 13.8148 0.0494 0.0415 0.0255 0.0745 0.0019 제주도
U한림03 1.3 14.6667 0.0027 0.002 0.0265 0.0364 0.0044 제주도
U제주02 1.337 14.6667 0.0762 0.0335 0.0148 0.089 0.0021 제주도
U제주07 1.9 14.037 0.0037 0.0298 0.0594 0.0813 0.0057 제주도
U제주11 1.3 16 0.0031 0.0021 0.011 0.0295 0.0076 제주도
U모슬포0 1.5 14 0.0699 0.008 0.0902 0.1283 0.0078 제주도
3
U포슬포1 1.2 16.0714 0.082 0.0375 0.0449 0.1148 0.0057 제주도
7
U표선08 1.7 15 0.0097 0.0214 0.0208 0.048 0.0053 제주도
U서귀05 1.4 14 0.0045 0.039 0.0696 0.0936 0.0076 제주도
U성산08 1.6778 13.1111 0.0076 0.0339 0.0187 0.0505 0.0052 제주도
U0311 2.226667 12.73333 0.0045 0.0138 0.058 0.0903 0.0237 충청도
U0312 1.6 14 0.0087 0.0316 0.0618 0.0806 0.0048 충청도
U0316 충청도
U0317 1.1 12 0.0089 0.0059 0.0376 0.0565 0.0105 충청도
U0323 2.8 13 0.013 0.0068 0.0559 0.0677 0.0053 충청도
U0352 1.1 14 0.0042 0.0171 0.0872 0.0986 0.0045 충청도
U0353 1.1 14 0.0069 0.0028 0.0562 0.0814 0.01 충청도
U0368 2.3259 15 0.0163 0.0057 0.0202 0.0459 0.0096 충청도
U0375 2.4 14.6667 0.0237 0.0024 0.0243 0.0545 0.0104 충청도
U0382 2.3 13.5 0.021 0.0187 0.0177 0.0606 0.0117 충청도
U0385 2.2667 13 0.0371 0.0074 0.0507 0.0851 0.0103 충청도
U0393 2.2667 13 0.0111 0.0024 0.0125 0.0325 0.007 충청도
U0440 1.8 13.6667 0.0048 0.0079 0.027 0.0388 0.0062 충청도
U0445 2.3 14.83333 0.0089 0.0263 0.0539 0.0821 0.0159 충청도
U0448 충청도
U0453 1.3667 10.3333 0.0075 0.003 0.0515 0.0702 0.0079 충청도
U0462 2.8 10 0.0141 0.0024 0.0601 0.0713 0.0075 충청도
U0473 2.7967 12.7667 0.0171 0.0105 0.0117 0.0584 0.0152 충청도

- 16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478 2.233333 11.33333 0.0242 0.0057 0.0846 0.1389 0.0227 충청도
U0481 2.7 12.3333 0.0502 0.0597 0.0426 0.1082 0.0128 충청도
U0483 1.8 13 0.0237 0.0176 0.01 0.0375 0.0026 충청도
U0537 2.1667 6.3333 0.0187 0.0054 0.0236 0.0539 0.0148 충청도
U0540 1.1333 7 0.0067 0.008 0.0218 0.0612 0.0205 충청도
U0542 2.4 8 0.0056 0.0195 0.0084 0.0335 0.0053 충청도
U0545 2 8.433333 0.0165 0.0205 0.0172 0.0496 0.0077 충청도
U0550 2.8 7 0.0345 0.0118 0.0326 0.0789 0.0177 충청도
U0569 2.4 15 0.004 0.0218 0.0275 0.0709 0.0189 충청도
U0610 2.8 7 0.0065 0.0057 0.0269 0.0348 0.0034 충청도
U0618 2.2067 7.9333 0.0119 0.0108 0.0117 0.0383 0.0107 충청도
U공주02 1.846667 11.53333 0.0076 0.0161 0.0326 0.0488 0.0063 충청도
U공주05 1.8 12 0.0221 0.0092 0.0132 0.0374 0.0045 충청도
U공주11 1.8467 11.6667 0.0119 0.0074 0.0262 0.0464 0.0078 충청도
U공주25 2.633333 8.333333 0.0041 0.0061 0.0293 0.0574 0.0146 충청도
U공주31 1.7 9 0.0065 0.0098 0.0375 0.0532 0.0076 충청도
U단양06 2.4333 14.3333 0.0093 0.0103 0.0958 0.1229 0.0154 충청도
U당진05 2.2067 11.6 0.0398 0.0086 0.0165 0.0711 0.0151 충청도
U당진12 2.5 10 0.129 0.0095 0.1481 0.2044 0.0052 충청도
U당진15 2 13 0.0094 0.0172 0.0258 0.0498 0.009 충청도
U당진19 2.5 13.8667 0.0021 0.0136 0.0382 0.0511 0.0048 충청도
U대전02 충청도
U대전20 1.8 13 0.0106 0.01 0.048 0.1012 0.0264 충청도
U대전47 2.2 11.23333 0.025 0.0152 0.0134 0.0457 0.007 충청도
U덕산01 2.233333 12 0.011 0.0064 0.0374 0.0558 0.0063 충청도
U덕산09 2.3 13.53333 0.014 0.0059 0.0388 0.0657 0.0166 충청도
U덕산14 충청도
U미원06 1.8 13.6667 0.0078 0.0129 0.0146 0.0333 0.0051 충청도
U미원11 1.833333 12.66667 0.0148 0.0111 0.0186 0.0446 0.0067 충청도
U미원13 1.4 10 0.0242 0.0169 0.0308 0.0843 0.0213 충청도
U미원26 2.41 12 0.0031 0.0036 0.0426 0.0637 0.0104 충청도
U보은02 2.59 14.7 0.0116 0.0127 0.0622 0.0951 0.028 충청도
U보은10 2.5667 13 0.0095 0.0127 0.0426 0.0979 0.0183 충청도
U보은20 2.4 12 0.0086 0.014 0.0555 0.0722 0.0073 충청도
U아산21 1.4 10 0.0092 0.0062 0.0144 0.0343 0.0066 충청도
U아산35 2.3333 11.3333 0.0162 0.0058 0.047 0.0871 0.0291 충청도
U엄정24 1.7 12 0.0075 0.0052 0.0219 0.0518 0.0137 충청도
U엄정32 2.4 14 0.0069 0.011 0.0108 0.0312 0.0076 충청도
U영동07 2.2 15 0.011 0.0089 0.0305 0.0557 0.0135 충청도
U영월26 3 12 0.0082 0.0153 0.079 0.0948 0.0066 충청도

- 16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영월37 2 14 0.0111 0.006 0.0977 0.1343 0.0179 충청도
U예산22 2.096667 14.03333 0.005 0.0034 0.0105 0.036 0.0099 충청도
U음성03 2.0333 12 0.0311 0.0073 0.0156 0.0695 0.0088 충청도
U음성07 충청도
U음성21 2.7 11.66667 0.0165 0.0124 0.0212 0.052 0.0109 충청도
U음성36 2.3 13 0.0146 0.0051 0.0209 0.041 0.007 충청도
U전의06 1.8333 13.3333 0.0144 0.0235 0.0232 0.0458 0.0061 충청도
U전의19 2.3 15.5 0.04 0.0222 0.0364 0.0754 0.0125 충청도
U전의20 2.4 13 0.0078 0.0035 0.0297 0.0648 0.0137 충청도
U제천04 1.1367 12.5 0.0066 0.0089 0.0725 0.0951 0.0104 충청도
U제천08 2.053333 11.23333 0.0092 0.0153 0.0571 0.0815 0.0123 충청도
U진천11 2.31 14.9 0.0168 0.025 0.1039 0.1434 0.019 충청도
U진천20 2.1 13 0.0118 0.0032 0.0785 0.1274 0.02 충청도
U청양04 2.2433 14.3333 0.0112 0.025 0.039 0.1811 0.0348 충청도
U청양26 1.8333 9.5667 0.0067 0.003 0.0477 0.0542 0.003 충청도
U청주25 2.966667 11.66667 0.0055 0.0207 0.0313 0.0557 0.01 충청도
U청주31 2.2 13 0.0173 0.0439 0.0889 0.1612 0.0459 충청도
U청주35 2.74 14.05 0.0943 0.029 0.2845 5.3112 1.1486 충청도
U청주44 2.4 15 0.007 0.0058 0.0174 0.0409 0.0106 충청도
U충주15 2.1 14.33333 0.0085 0.0037 0.0313 0.0813 0.0216 충청도
U충주18 2.366667 14 0.0134 0.0139 0.0102 0.0399 0.0054 충청도
U평택45 1.8667 12 0.0087 0.0035 0.0563 0.0648 0.0045 충청도
U홍성16 2.5667 11 0.0105 0.011 0.0123 0.0312 0.0055 충청도
U0453 1.41 16.8 0.0083 0.015 0.0178 0.0407 0.0075 충청도
U0542 1.79 11.1 0.0066 0.0144 0.0247 0.0529 0.0092 충청도
U0631 1.676667 14.1 0.0128 0.0085 0.0378 0.0597 0.0092 충청도
U청주25 1.7 14.96667 0.0168 0.0081 0.0247 0.0645 0.0101 충청도
U당진12 1.7 14.33333 0.0125 0.0049 0.0582 0.0963 0.0096 충청도
U영동20 1.41 14.9 0.0106 0.0215 0.0341 0.0545 0.0074 충청도

- 162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3.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춘천20 1.71 13.5667 0.0259 0.006 0.0186 0.0432 0.0062 강원도
U0164 2.0267 12.8667 0.0046 0.0031 0.0097 0.0295 0.006 강원도
U홍천03 1.6133 14.2 0.0297 0.0035 0.0774 0.0949 0.0061 강원도
U0281 1.6 13 0.0486 0.0196 0.0189 0.0656 0.0042 강원도
U춘천08 1.6 12 0.0131 0.0073 0.0481 0.0659 0.0067 강원도
U춘천04 1.906667 11.96667 0.0363 0.0188 0.0174 0.052 0.0043 강원도
U0027 2.166667 12.66667 0.0142 0.0168 0.0693 0.1012 0.018 강원도
U0017 2.403333 9.433333 0.0152 0.014 0.064 0.104 0.0256 강원도
U안흥03 1.8 14 0.0418 0.0064 0.0395 0.0715 0.0077 강원도
U0254 1.6267 13.8667 0.013 0.0125 0.0245 0.0529 0.0116 강원도
U0261 1.67 14.5333 0.0232 0.0219 0.0649 0.0915 0.0103 강원도
U평창19 1.6333 13.2333 0.03 0.0055 0.035 0.079 0.0084 강원도
U평창07 2.2 10.3333 0.0213 0.039 0.0683 0.1028 0.0097 강원도
U엄정06 2.033333 14 0.0091 0.0034 0.06 0.1043 0.017 강원도
U안흥26 1.773333 13.56667 0.0177 0.0227 0.0325 0.0679 0.0105 강원도
U0252 1.6 15.03333 0.0226 0.0096 0.0211 0.0482 0.0087 강원도
U0248 1.966667 11.66667 0.0499 0.0155 0.0238 0.0715 0.0055 강원도
U원주19 1.553333 13.73333 0.0168 0.0048 0.045 0.0652 0.0109 강원도
U청일25 2.633333 8.666667 0.0158 0.0215 0.0411 0.0956 0.0226 강원도
U청일15 1.58 12.2 0.0402 0.0033 0.0159 0.0499 0.0029 강원도
U갈말05 1.4767 13.5333 0.0177 0.0046 0.0029 0.0238 0.002 강원도
U철원26 1.7667 14 0.0074 0.0087 0.0758 0.0975 0.0097 강원도
U0024 2 12 0.0053 0.0132 0.0346 0.0483 0.0046 강원도
U0029 1.6 13 0.0094 0.0037 0.1145 0.1238 0.0056 강원도
U0037 1.7 13 0.0128 0.0045 0.0359 0.0501 0.0063 강원도
U0040 1.6967 11.1 0.01 0.0154 0.0666 0.0904 0.0074 강원도
U0097 1.6333 12.6667 0.0469 0.0056 0.0836 0.1071 0.0054 강원도
U0099 1.6333 12.6667 0.0317 0.0378 9.7457 9.7564 0.0062 강원도
U청일06 1.733333 13.36667 0.0131 0.0094 0.0288 0.0425 0.005 강원도
U0174 1.783333 13.46667 0.0062 0.0236 0.0602 0.0764 0.0064 강원도
U0179 1.8 13 0.0079 0.0083 0.064 0.0915 0.0131 강원도
U0107 1.8 14.03333 0.0153 0.0204 0.0615 0.0908 0.0136 강원도
U0105 1.826667 11.6 0.0209 0.0051 0.6162 0.6288 0.0068 강원도
U0045 2 11 0.0198 0.012 0.0417 0.0628 0.007 강원도
U0043 2 12 0.0117 0.0138 0.0561 0.0805 0.013 강원도
U0036 1.6 12 0.0395 0.0168 0.2272 0.2494 0.0072 강원도
U청일57 1.5 15.5667 0.0184 0.0071 0.0132 0.0479 0.0087 강원도

- 16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184 2.5267 10.8667 0.028 0.0054 0.0247 0.072 0.0135 강원도
U0267 1.4233 15.9 0.0079 0.0061 0.0485 0.0667 0.0072 강원도
U정선03 1.6667 10.6667 0.0377 0.005 0.0262 0.0568 0.0046 강원도
U정선26( 1.64 12.6667 1.1832 1.2267 0.0383 1.7277 0.0067 강원도
오차큼)
U임계07 2 13 0.0242 0.0177 0.0103 0.0389 0.0024 강원도
U임계13 1.82 11 0.0094 0.0239 0.0234 0.0416 0.0038 강원도
U0003 1.436667 14.3 0.0056 0.045 0.1156 0.1417 0.008 강원도
U간성08 2 13 0.0067 0.0136 0.17 0.1945 0.0127 강원도
U0007 1.5 15 0.0209 0.0047 0.053 0.0776 0.0086 강원도
U속초04 1.84 11.93333 0.0262 0.0316 0.0135 0.053 0.0051 강원도
U속초05 1.6 12 0.0208 0.007 0.0208 0.0435 0.008 강원도
U속초09 1.8 12 0.0199 0.0217 0.0123 0.0472 0.0081 강원도
U연곡01 1.7 12 0.0071 0.0232 0.0183 0.0485 0.0088 강원도
U연곡04 1.62 11.13333 0.028 0.0045 0.0116 0.0431 0.0058 강원도
U0333 5.2 7 0.0115 0.0085 0.0535 0.0819 0.0141 강원도
U0331 1.5933 13.9 0.0079 0.0043 0.0039 0.0146 0.0015 강원도
U장성04 2.9267 8.7333 0.0229 0.0146 0.0158 0.0465 0.0052 강원도
U0349 2 10 0.0127 0.0175 0.0165 0.049 0.0109 강원도
U0203 1.4667 16.3 0.031 0.0176 0.0162 0.0427 0.0019 강원도
U0204 3.28 10.2 0.0317 0.01 0.1871 0.2192 0.031 강원도
U삼척01 2.0933 11.8333 0.019 0.0034 0.1211 0.1347 0.009 강원도
U구정14 1.6158 8.9474 0.017 0.0036 0.0921 0.1098 0.0063 강원도
U강릉11 2.0433 11.3 0.0337 0.0135 0.0406 0.072 0.0094 강원도
U0116 2.06 10.7 0.0078 0.0093 0.0136 0.0302 0.0066 강원도
U연곡14 5.4 6 0.009 0.0079 0.1909 0.2094 0.0112 강원도
U도암02 1.633333 13 0.004 0.006 0.0863 0.1067 0.0075 강원도
U도암12 2.246667 12.43333 0.0064 0.0124 0.0498 0.0812 0.0101 강원도
U구정20 1.726667 12.73333 0.0036 0.0161 0.0913 0.1164 0.0107 강원도
U0271 2.04 11.3 0.0047 0.0172 0.0123 0.0364 0.0058 강원도
U0272 2 11.03333 0.0186 0.02 0.0417 0.0684 0.011 강원도
U0026 1.648276 13.51724 0.0193 0.0145 0.0284 0.048 0.005 강원도
U0038 1.6 14 0.0314 0.0342 0.0815 0.103 0.006 강원도
U0180 1.768966 12 0.0137 0.0085 0.08 0.0933 0.0087 강원도
U0321 1.5 14 0.027 0.0193 0.0441 0.0688 0.0054 강원도
U홍천20 1.9 12 0.0131 0.0059 0.0266 0.0423 0.006 강원도
U0168 1.58 13.8 0.0107 0.0056 0.0175 0.0445 0.0102 경기도
U0233 1.7433 13.8333 0.0051 0.0027 0.0082 0.0206 0.0043 경기도
U0236 1.6 12.3333 0.0238 0.0048 0.0444 0.0617 0.0043 경기도
U수원17 1.5033 13.9333 0.01 0.009 0.0077 0.0223 0.0031 경기도

- 16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수원02 1.6467 13 0.0068 0.0249 0.025 0.0418 0.0036 경기도
U0147 1.7067 12.8 0.0057 0.0114 0.0317 0.0473 0.008 경기도
U0136 2.3133 10.6 0.0085 0.0362 0.0226 0.0596 0.0061 경기도
U춘천03 1.856667 11.43333 0.0041 0.0067 0.0238 0.0427 0.0084 경기도
U0077 1.486667 14.83333 0.0145 0.0271 0.055 0.0843 0.0141 경기도
U갈말27 1.403333 15.96667 0.0055 0.0133 0.0495 0.0787 0.0093 경기도
U갈말23 1.5 15 0.0068 0.0041 0.0102 0.0246 0.0037 경기도
U0010 1.6 13 0.0194 0.0067 0.1624 0.1744 0.0057 경기도
U포천01 1.826667 12.43333 0.0163 0.0139 0.0071 0.0284 0.0023 경기도
U포천18 1.533333 13.86667 0.0049 0.0173 0.0215 0.0368 0.0052 경기도
U0071 2.1 9.333333 0.0103 0.0032 0.0287 0.0508 0.0101 경기도
U일동15 1.9 11 0.0073 0.0357 0.0483 0.0994 0.0162 경기도
U포천25 1.303333 14.96667 0.0127 0.0035 0.0579 0.073 0.0058 경기도
U김포04 1.5167 12.8333 0.0052 0.0058 0.0499 0.0691 0.0088 경기도
U안양02 2.5 10 0.0235 0.0385 0.0286 0.0731 0.0071 경기도
U인천01 1.5 13 0.0039 0.0061 0.0491 0.0571 0.0047 경기도
U0214 2.3667 10.3333 0.0043 0.0099 0.016 0.0359 0.0087 경기도
u0220 1.6 13 0.0025 0.0087 0.043 0.0521 0.0054 경기도
U안양25 1.48 12.6667 0.0209 0.0062 0.0501 0.0666 0.0062 경기도
U수원24 1.5333 13 0.0181 0.0039 0.0498 0.0635 0.0045 경기도
U0149 2.373333 11.66667 0.0216 0.0133 0.0322 0.0531 0.0046 경기도
U포천21 1.4 15 0.0124 0.0026 0.0056 0.0257 0.0055 경기도
U0066 1.603333 14 0.0038 0.0162 0.0432 0.0676 0.0095 경기도
U0068 1.6 15 0.028 0.0315 0.0335 0.0648 0.0057 경기도
U서울11 1.9 12 0.0235 0.0177 0.0657 0.0871 0.0089 경기도
U0135 1.4 14 0.0267 0.0223 0.0366 0.0581 0.0042 경기도
U0144 1.653333 11.8 0.0335 0.0049 0.0165 0.0538 0.007 경기도
U성동12 1.553333 13.5 0.0027 0.0393 0.0353 0.059 0.0032 경기도
U0294 2.2 7.666667 0.0043 0.0282 0.0553 0.0874 0.0112 경기도
U0288 2.39 10.3 0.0032 0.0073 0.0082 0.0287 0.0064 경기도
U안양22 1.6 14 0.0029 0.0036 0.0103 0.036 0.0093 경기도
U0285 2.29 10.9 0.0246 0.0145 0.0156 0.0495 0.0081 경기도
U0374 1.9567 12.2 0.0072 0.0187 0.0425 0.063 0.0076 경기도
U0298 2.05 10 0.0085 0.0118 0.0339 0.0511 0.007 경기도
U0300 1.5067 14.9667 0.016 0.0136 0.0266 0.0429 0.0047 경기도
U안성50 1.7267 12.7 0.0149 0.0162 0.0606 0.0775 0.0061 경기도
U원주01 1.8 11.6667 0.0221 0.0056 0.021 0.0458 0.0047 경기도
U성동06 1.633333 11.8 0.0106 0.012 0.0056 0.0252 0.0033 경기도
U0158 1.8 11 0.0079 0.0172 0.0521 0.0792 0.0156 경기도
U일동21 2.3 10.03333 0.0111 0.0235 0.0526 0.082 0.0113 경기도

- 16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160 1.826667 14.6 0.0063 0.002 0.0426 0.0726 0.0124 경기도
U0162 1.706667 14.96667 0.0154 0.0083 0.0208 0.0389 0.0064 경기도
U0232 1.4 13 0.0032 0.0069 0.0054 0.02 0.0041 경기도
U0239 1.7 13 0.0035 0.0112 0.0092 0.0287 0.0054 경기도
U0238 1.6 13 0.0028 0.039 0.0448 0.0782 0.0091 경기도
U0243 1.353333 12.56667 0.0091 0.004 0.035 0.056 0.0094 경기도
U0293 2.8567 11 0.0147 0.0523 0.0975 0.1597 0.0173 경기도
U아산01 1.5 14.0333 0.0056 0.0104 0.025 0.0438 0.0092 경기도
창원17 1.906667 10.93333 0.0094 0.014 0.0198 0.041 0.0071 경상남도
김해24 2.02 12.4 0.0389 0.0425 0.0482 0.1218 0.0238 경상남도
거제36 1.716667 14.26667 0.0349 0.0104 0.0151 0.0542 0.0105 경상남도
u1062 1.69 14.1 0.0081 0.018 0.1135 0.1273 0.0071 경상남도
u0979 1.5 13.93333 0.0101 0.0155 0.0227 0.038 0.0048 경상남도
u0904 1.58 13.1 0.0393 0.01 0.0361 0.065 0.0059 경상남도
u0902 1.373333 13.63333 0.014 0.0208 0.0125 0.051 0.0077 경상남도
u0974 1.203333 14.96667 0.0197 0.0042 0.0697 0.0853 0.0065 경상남도
u1053 1.526667 13.86667 0.0152 0.0066 0.0752 0.1036 0.0074 경상남도
u0970 1.56 14.36667 0.0071 0.0081 0.0175 0.0419 0.0082 경상남도
u0963 1.853333 10.23333 0.0036 0.0088 0.0081 0.0322 0.005 경상남도
u0967 1.713333 12.93333 0.0162 0.0039 0.007 0.0249 0.0036 경상남도
u0885 1.766667 13.23333 0.0182 0.0026 0.0485 0.0776 0.0132 경상남도
거창82 1.6 15 0.0038 0.0073 0.0126 0.0296 0.0054 경상남도
u0796 1.6 13 0.0085 0.0177 0.0303 0.05 0.0061 경상남도
u0806 1.763333 12.33333 0.0126 0.0029 0.0225 0.0494 0.012 경상남도
u0814 1.6 13.93333 0.0136 0.0112 0.0162 0.033 0.0042 경상남도
언양25 1.8 12.03333 0.0088 0.0141 0.0343 0.058 0.0077 경상남도
언양13 1.706667 12.96667 0.0378 0.0302 0.0107 0.0723 0.0088 경상남도
창원18 1.9069 10.2759 0.0031 0.0151 0.0052 0.0191 0.001 경상남도
김해23 1.6724 10.2759 0.0153 0.0025 0.0208 0.036 0.0042 경상남도
u0992 1.5897 13.9655 0.0173 0.0117 0.0244 0.0417 0.006 경상남도
김해08 1.8241 13.3793 0.0145 0.0116 0.0462 0.0733 0.0078 경상남도
u0996 2.5 7 0.0118 0.0253 0.0111 0.0424 0.0042 경상남도
u0916 3.9 5 0.0125 0.0039 0.0529 0.09 0.017 경상남도
밀양19 2.8655 7 0.0086 0.0191 0.0271 0.0572 0.0107 경상남도
동곡20 1.9414 11.3103 0.0008 0.0102 0.0167 0.0498 0.0148 경상남도
양산04 FAIL 경상남도
방어진09 1.8 11 0.0115 0.0136 0.1012 0.1112 0.0057 경상남도
울산16 1.5 16 0.0169 0.0054 0.0212 0.0351 0.0028 경상남도
청도18 1.3333 13.7 0.0121 0.0244 0.1437 0.16 0.0071 경상남도
u0905 1.5 12 0.0172 0.0166 0.1108 0.1245 0.0052 경상남도

- 16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청도12 1.8133 11.4 0.0145 0.009 0.0523 0.0704 0.0047 경상남도
창원15 1.31 14.9 0.0005 0.0052 0.0785 0.0879 0.0068 경상남도
u0901 1.46 15.4 0.0363 0.0095 0.0311 0.0595 0.0063 경상남도
U0427 2.2 12 0.0014 0.0122 0.0146 0.025 0.0032 경상북도
u0417 1.63 12.7 0.0028 0.0104 0.0211 0.0352 0.0046 경상북도
u0413 1.6 14 0.0203 0.0036 0.0115 0.0392 0.0052 경상북도
단양12 1.42 14.93333 0.0103 0.0206 0.0403 0.0678 0.0115 경상북도
덕산24 2.12 13.13333 0.0086 0.0154 0.0107 0.03 0.0042 경상북도
u0489 2.5 10 0.0372 0.0156 0.0466 0.0852 0.0136 경상북도
관기03 2.4 11 0.01 0.0149 0.0137 0.0336 0.0043 경상북도
문경88 1.5 13 0.0495 0.0355 0.0456 0.0833 0.0032 경상북도
예천69 1.4 14 0.0126 0.0151 0.0135 0.0353 0.0049 경상북도
u0578 1.7 12.03333 0.0067 0.0252 0.0265 0.0512 0.0054 경상북도
u0508 1.953333 12.6 0.0158 0.0273 0.007 0.0392 0.0021 경상북도
대구25 1.98 10.26667 0.0219 0.0153 0.0395 0.0598 0.0058 경상북도
대구08 1.896667 10.36667 0.0018 0.0252 0.0249 0.0635 0.0128 경상북도
구미31 1.873333 14.2 0.0091 0.0014 0.0494 0.0689 0.0077 경상북도
u0589 1.6 14 0.0008 0.0015 0.0219 0.0354 0.0066 경상북도
구미06 1.453333 12.6 0.0066 0.0013 0.0624 0.0713 0.0056 경상북도
구미01 1.523333 12.76667 0.0223 0.0042 0.0136 0.0368 0.004 경상북도
김천19 1.4 14 0.0116 0.0394 0.0433 0.0723 0.0058 경상북도
u0710 1.333333 13.7 0.0044 0.0171 0.0072 0.0288 0.0047 경상북도
u0718 1.533333 12.16667 0.0174 0.0262 0.0285 0.0575 0.007 경상북도
u0803 1.573333 12.96667 0.0138 0.0186 0.0041 0.0297 0.0037 경상북도
왜관24 1.7 14 0.0088 0.0115 0.0174 0.0397 0.0067 경상북도
청도09 1.6 13 0.0057 0.0225 0.0227 0.044 0.0073 경상북도
u0672 1.3 15 0.0161 0.0103 0.0133 0.0318 0.0046 경상북도
u0346 1.67 10.0667 0.0049 0.0115 0.0703 0.0854 0.0064 경상북도
u0339 2.2667 9.6667 0.0001 0.0201 0.0226 0.0445 0.0062 경상북도
u0433 2.32 9.4333 0.0171 0.0201 0.0316 0.0572 0.0086 경상북도
u1163 1.7033 12.9667 0.0152 0.0091 0.0486 0.075 0.012 경상북도
u0528 1.9067 12.6667 0.025 0.0069 0.0546 0.0844 0.0102 경상북도
영덕56 1.5933 14.2667 0.0136 0.0213 0.0073 0.0333 0.0029 경상북도
u0596 1.7767 13.2667 0.0186 0.0167 0.0203 0.0471 0.006 경상북도
u0520 1.6267 12.1 0.0182 0.0375 0.054 0.0835 0.0099 경상북도
u0517 1.8067 12.2667 0.0058 0.0078 0.0519 0.0677 0.0068 경상북도
u0511 1.9333 12.3333 0.0459 0.0498 0.1005 0.1367 0.0068 경상북도
길안16 1.6067 10.9667 0.0155 0.0216 0.0435 0.0745 0.0106 경상북도
u0657 2.3733 9.6 0.012 0.0093 0.0611 0.0865 0.0145 경상북도
u0593 1.5667 13.3333 0.0158 0.0118 0.0279 0.0573 0.0081 경상북도

- 16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652 1.76 13.5333 0.0016 0.0164 0.0079 0.0364 0.0038 경상북도
u0661 1.5448 11.5172 0.0059 0.0112 0.0288 0.0426 0.0052 경상북도
u0664 1.6621 12.4138 0.0163 0.0142 0.0173 0.0546 0.0153 경상북도
u0676 1.3 17 0.0145 0.0048 0.0275 0.0385 0.0045 경상북도
u0754 1.7103 13.5517 0.0085 0.0285 0.0228 0.0523 0.0074 경상북도
u0747 1.4897 13.2069 0.0183 0.0286 0.0257 0.0524 0.0044 경상북도
영천28 2.6931 8.9655 0.012 0.0108 0.016 0.0455 0.0115 경상북도
U0787 1.606667 11.96667 0.0179 0.0119 0.0352 0.0606 0.0056 전라도
U0706 1.5 15 0.0252 0.0173 0.0247 0.0497 0.0049 전라도
U0795 1.45 13.76667 0.0118 0.0168 0.0326 0.0524 0.0044 전라도
영동25 1.6 13 0.0342 0.0013 0.0242 0.0534 0.0042 전라도
U0699 1.453333 12.66667 0.0317 0.0213 0.0107 0.0474 0.005 전라도
U0776 1.5 13 0.0567 0.0092 0.2071 0.2352 0.0135 전라도
정읍03 1.8 14 0.0122 0.0115 0.0131 0.0351 0.0066 전라도
U0761 2.01 12.3 0.0116 0.0109 0.033 0.1071 0.022 전라도
부안18 1.6 16 0.0142 0.0095 0.0268 0.0394 0.0039 전라도
U0850 1.433333 13.7 0.0182 0.0053 0.022 0.0407 0.0057 전라도
고창22 1.7 13 0.0123 0.0155 0.0572 0.0701 0.0039 전라도
법성12 1.6 13 0.0125 0.0161 0.0622 0.074 0.0051 전라도
와도02 1.433333 14.03333 0.0149 0.0115 0.0641 0.1108 0.033 전라도
와도08 1.766667 11 0.0059 0.0172 0.1175 0.1444 0.0181 전라도
U0934 1.516667 12.83333 0.01 0.0321 0.0241 0.0522 0.0051 전라도
나주17 1.6 12.33333 0.0066 0.0054 0.0723 0.0895 0.0085 전라도
광주36 1.536667 14.63333 0.0024 0.0128 0.012 0.0274 0.0039 전라도
광주28 1.6 13 0.0071 0.0175 0.0083 0.0284 0.0031 전라도
영암24 1.733333 13.66667 0.0037 0.0219 0.0321 0.0633 0.0132 전라도
영암25 1.7 15 0.0182 0.0046 0.0367 0.0763 0.0185 전라도
영암12 1.61 14.9 0.0228 0.0243 0.0191 0.0512 0.0044 전라도
목포04 1.41 14.9 0.0053 0.0107 0.0284 0.0537 0.0155 전라도
U1082 1.6 12.66667 0.0247 0.0058 0.0108 0.0441 0.008 전라도
화원04 1.546667 13.53333 0.0255 0.0081 0.053 0.0702 0.009 전라도
목포13 1.506667 13.2 0.0029 0.0049 0.0077 0.0177 0.0034 전라도
U1086 1.84 12 0.0175 0.0113 0.1107 0.125 0.0079 전라도
U1085 1.346667 14.46667 0.0038 0.01 0.0478 0.0629 0.0086 전라도
U1083 1.356667 14.43333 0.0055 0.0119 0.0763 0.0923 0.0066 전라도
화원52 1.3 16.06667 0.0146 0.0168 0.0577 0.0681 0.004 전라도
화원13 1.5 16.03333 0.0038 0.0063 0.0859 0.0937 0.0047 전라도
U0940 1.8 12 0.0123 0.0062 0.0053 0.0218 0.0028 전라도
광주14 1.516667 14.83333 0.0037 0.0142 0.0196 0.0367 0.0046 전라도
U0870 2 13 0.014 0.0161 0.0061 0.0318 0.0033 전라도

- 16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남원27 1.6 14.33333 0.0068 0.0181 0.0197 0.0336 0.0034 전라도
U0863 1.45 13.8 0.0075 0.0065 0.0458 0.0684 0.0078 전라도
정읍30 1.9 11 0.0079 0.0125 0.0104 0.0245 0.0031 전라도
U0856 2.763333 11 0.0157 0.0052 0.0572 0.0941 0.0189 전라도
U0854 1.52 12.93333 0.0105 0.0021 0.0553 0.0666 0.0055 전라도
담양23 1.873333 10.93333 0.0255 0.0097 0.0452 0.0652 0.0073 전라도
담양14 1.8 11 0.0163 0.0077 0.0423 0.0694 0.0097 전라도
U0959 2.48 12.26667 0.054 0.0093 0.0312 0.0828 0.01 전라도
U0960 2 13 0.0083 0.0057 0.0147 0.0371 0.0081 전라도
U0957 1.413333 15.2 0.0049 0.0039 0.0122 0.0254 0.0044 전라도
U0948 2.2 11 0.0131 0.0134 0.0213 0.0579 0.014 전라도
독산02 1.8 12 0.013 0.0278 0.014 0.042 0.0032 전라도
U1025 1.71 12.96667 0.0034 0.0092 0.0174 0.033 0.005 전라도
U1105 1.663333 12.13333 0.0186 0.0118 0.0583 0.0802 0.0119 전라도
U1108 1.3 15 0.0202 0.0052 0.024 0.072 0.0159 전라도
U1032 1.7 15 0.0266 0.0026 0.0161 0.0428 0.0047 전라도
U1036 1.443333 12.33333 0.0166 0.0109 0.0375 0.0524 0.006 전라도
U0687 1.9333 10.6667 0.0167 0.017 0.0491 0.0667 0.0051 전라도
U0680 1.8133 13.4 0.0077 0.0089 0.0085 0.0221 0.0033 전라도
U0615 2.26 12.0667 0.0025 0.0036 0.0482 0.0764 0.0175 전라도
U0622 1.6 14.8667 0.0025 0.0163 0.0269 0.0417 0.0046 전라도
U0692 1.6 14 0.005 0.0018 0.067 0.0782 0.0053 전라도
U0697 1.6074 12.9259 0.012 0.0101 0.0242 0.0367 0.004 전라도
U0775 1.4367 14.6333 0.0101 0.0083 0.0402 0.0604 0.0077 전라도
U0744 2.1 12 0.0107 0.0041 0.0242 0.0386 0.005 전라도
U0777 1.75 10.8667 0.0072 0.0029 0.0206 0.0315 0.0046 전라도
U0782 1.6 12.8667 0.0221 0.0041 0.0115 0.0369 0.0064 전라도
임실25 1.5 16 0.0185 0.0186 0.0128 0.0408 0.0059 전라도
임실28 1.7967 14.4 0.0209 0.0141 0.0452 0.0646 0.0054 전라도
남원06 1.5067 14.4667 0.0124 0.0035 0.0456 0.0612 0.0067 전라도
남원12 1.9 15 0.0117 0.0064 0.0447 0.0655 0.0068 전라도
함양91 1.4767 17 0.0112 0.0041 0.0761 0.086 0.004 전라도
운봉05 1.3 17 0.0133 0.0162 0.019 0.0361 0.0028 전라도
운봉53 1.7233 11.7667 0.0047 0.0138 0.0934 0.1202 0.0132 전라도
남원40 1.4867 13.9333 0.0057 0.0047 0.0419 0.0547 0.0052 전라도
u0946 1.4733 12.2667 0.0406 0.0042 0.1097 0.1583 0.0198 전라도
순창15 1.4333 13.6 0.0145 0.0135 0.0353 0.0541 0.0079 전라도
U1020 1.6167 14 0.0059 0.0148 0.0101 0.0287 0.0042 전라도
U1097 2.07 12.8 0.0203 0.0269 0.0201 0.0614 0.007 전라도
U1100 1.9 12 0.0206 0.0163 0.0181 0.0464 0.0047 전라도

- 16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해남12 1.71 12.9 0.0024 0.0127 0.0276 0.0488 0.0067 전라도
해남27 1.7533 13.5 0.0154 0.0075 0.0121 0.0364 0.0061 전라도
완도07 1.4933 13.0667 0.0169 0.0086 0.0148 0.0428 0.0083 전라도
완도14 1.4 14 0.0049 0.0167 0.021 0.0364 0.0048 전라도
U1139 1.6167 12.9667 0.0066 0.0049 0.0577 0.0794 0.0085 전라도
완도13 1.3133 13.8667 0.0068 0.0081 0.0049 0.0236 0.0055 전라도
해남21 1.51 12.9667 0.0061 0.0265 0.0319 0.048 0.0038 전라도
U0779 1.586667 11.93333 0.0042 0.0123 0.0152 0.0346 0.0073 전라도
U한림14 2.26 11.13333 0.0156 0.0111 0.0952 0.1279 0.0104 제주도
U1195 2.343333 12.33333 0.0302 0.0256 0.0459 0.0992 0.0132 제주도
U1189 1.6 13 0.037 0.0336 0.0308 0.0659 0.0039 제주도
U한림03 1.56 13.2 0.019 0.0044 0.0706 0.0838 0.0079 제주도
U제주02 1.3 15 0.0902 0.0288 0.0335 0.1068 0.0027 제주도
U제주07 1.99 12.23333 0.016 0.0226 0.1029 0.1258 0.0137 제주도
U제주11 1.95 13.2 0.003 0.0038 0.0369 0.0522 0.0095 제주도
U모슬포0 1.5 14 0.0693 0.008 0.0992 0.1373 0.0098 제주도
3
U포슬포1 1.323333 14.76667 0.0179 0.0165 0.0708 0.0928 0.0157 제주도
7
U표선08 1.476667 16.23333 0.0147 0.0275 0.043 0.0917 0.0175 제주도
U서귀05 1.49 12.13333 0.0266 0.0545 0.0533 0.1264 0.0149 제주도
U성산08 1.693333 13.06667 0.0219 0.0322 0.0128 0.053 0.0055 제주도
U0311 2.1 11.25 0.0054 0.0023 0.0833 0.0931 0.0055 충청도
U0312 1.9 12 0.0052 0.0223 0.0787 0.0952 0.0068 충청도
U0316 2.13 11.4 0.0023 0.0113 0.0531 0.0699 0.0094 충청도
U0317 1.97 10 0.0141 0.013 0.0234 0.0589 0.012 충청도
U0323 1.866667 10.8 0.005 0.0063 0.0503 0.0651 0.0048 충청도
U0352 1.41 13.9 0.0108 0.0025 0.0255 0.0427 0.0082 충청도
U0353 1.7 12 0.0043 0.0045 0.0123 0.0285 0.0069 충청도
U0368 1.9 15 0.017 0.0221 0.0902 0.1289 0.0335 충청도
U0375 1.85 12.83333 0.0184 0.0068 0.0185 0.0443 0.0093 충청도
U0382 1.526667 12.13333 0.0082 0.0147 0.0405 0.066 0.0094 충청도
U0385 2.216667 11.5 0.0198 0.0041 0.0068 0.0273 0.0044 충청도
U0393 1.9 11 0.0145 0.0049 0.027 0.0376 0.0041 충청도
U0440 1.77 12.76667 0.0054 0.0029 0.0471 0.064 0.0104 충청도
U0445 1.7933 13.5333 0.0079 0.0289 0.0505 0.0728 0.0061 충청도
U0448 2.036667 12.96667 0.0019 0.0035 0.0102 0.0199 0.0051 충청도
U0453 1.966667 12.06667 0.0097 0.0084 0.0232 0.0489 0.0113 충청도
U0462 1.5833 11.6333 0.0233 0.0043 0.0118 0.0406 0.0056 충청도
U0473 1.696667 11.53333 0.005 0.0056 0.0141 0.0343 0.0075 충청도

- 17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0478 1.9367 11.0333 0.0332 0.0059 0.0151 0.0576 0.0115 충청도
U0481 1.933333 10.9 0.0215 0.0233 0.0842 0.1033 0.0068 충청도
U0483 2.033333 12 0.0219 0.004 0.0228 0.0419 0.0056 충청도
U0537 1.92 11.6 0.0099 0.0053 0.0507 0.0782 0.0149 충청도
U0540 1.686667 12.6 0.0044 0.0037 0.03 0.0574 0.0136 충청도
U0542 2.47 9.2 0.0119 0.0113 0.0434 0.1134 0.0289 충청도
U0545 1.7067 12.6 0.015 0.0166 0.0102 0.0401 0.0067 충청도
U0550 2.23 10.5 0.0317 0.0102 0.0449 0.0731 0.0098 충청도
U0569 1.7867 14.1333 0.0101 0.0097 0.026 0.0377 0.0034 충청도
U0610 1.7 13 0.0167 0.0058 0.0566 0.0648 0.0036 충청도
U0618 1.903333 12.96667 0.0158 0.0041 0.0097 0.0392 0.0048 충청도
U공주02 2.25 11.5 0.0908 0.0328 0.0094 0.1709 0.0675 충청도
U공주05 1.8767 11.2333 0.0203 0.0201 0.0098 0.0392 0.0054 충청도
U공주11 1.633333 11.66667 0.0096 0.0022 0.0115 0.0309 0.0071 충청도
U공주25 2.1 12.3333 0.0058 0.0125 0.0783 0.1053 0.0181 충청도
U공주31 1.4467 14.5333 0.0067 0.0056 0.018 0.0316 0.0057 충청도
U단양06 2.16 11.2 0.0052 0.0068 0.0119 0.0317 0.0069 충청도
U당진05 2.073333 11.43333 0.0146 0.0185 0.04 0.0664 0.0102 충청도
U당진12 1.586667 11.56667 0.0057 0.0085 0.0603 0.0757 0.0088 충청도
U당진15 1.646667 12.26667 0.0058 0.006 0.0295 0.0518 0.0154 충청도
U당진19 2 12.33333 0.0157 0.0032 0.076 0.0983 0.0105 충청도
U대전02 1.76 10.0333 0.004 0.0042 0.068 0.12 0.0155 충청도
U대전20 1.59 13.43333 0.004 0.0067 0.0953 0.1086 0.0108 충청도
U대전47 2.2 11 0.0139 0.0018 0.0096 0.0264 0.0047 충청도
U덕산01 2.1667 11.6667 0.019 0.011 0.0667 0.1043 0.0175 충청도
U덕산09 1.88 13.7333 0.0139 0.0031 0.0071 0.0275 0.0052 충청도
U덕산14 2.14 12.4 0.0069 0.005 0.0147 0.0379 0.0088 충청도
U미원06 1.56 12.76667 0.0068 0.0033 0.0052 0.0156 0.0031 충청도
U미원11 1.67 11.3 0.0101 0.011 0.0213 0.0514 0.0107 충청도
U미원13 1.816667 10.96667 0.0171 0.0029 0.0475 0.0584 0.0048 충청도
U미원26 1.97 11.7333 0.0113 0.0235 0.0511 0.0684 0.0086 충청도
U보은02 1.48 14.96667 0.0024 0.0148 0.0215 0.0406 0.0092 충청도
U보은10 1.7 14.1 0.0034 0.0216 0.0264 0.0456 0.0058 충청도
U보은20 1.826667 11.16667 0.0062 0.0039 0.0456 0.063 0.0076 충청도
U아산21 1.8567 10.0333 0.0142 0.0047 0.0429 0.0609 0.0088 충청도
U아산35 2 11.96667 0.0049 0.0046 0.0086 0.03 0.0044 충청도
U엄정24 1.666667 11.33333 0.0027 0.0071 0.1111 0.1264 0.0116 충청도
U엄정32 1.766667 13.7 0.005 0.0047 0.0508 0.0624 0.0045 충청도
U영동07 1.7 15 0.015 0.0034 0.0154 0.0378 0.0049 충청도
U영월26 1.9 12 0.0044 0.0049 0.0638 0.0849 0.0129 충청도

- 17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영월37 1.4 13 0.0076 0.0036 0.0436 0.0604 0.0052 충청도
U예산22 1.5767 14.9333 0.0052 0.003 0.016 0.0347 0.0071 충청도
U음성03 2.58 11.3 0.0125 0.0027 0.047 0.0657 0.0094 충청도
U음성07 1.7433 10.1 0.0047 0.0142 0.0556 0.0799 0.0157 충청도
U음성21 1.58 12.6333 0.0021 0.0141 0.0435 0.0585 0.0068 충청도
U음성36 2.48 11.4 0.0055 0.0111 0.0163 0.0455 0.0116 충청도
U전의06 2.166667 10.66667 0.005 0.0161 0.032 0.0755 0.019 충청도
U전의19 2.153333 11 0.0285 0.0176 0.0532 0.083 0.0134 충청도
U전의20 1.9 13 0.0052 0.004 0.008 0.0212 0.004 충청도
U제천04 1.52 13.06667 0.0161 0.0162 0.0636 0.0837 0.008 충청도
U제천08 1.9 11 0.004 0.0052 0.0175 0.0316 0.0075 충청도
U진천11 1.9 14.6667 0.0072 0.014 0.0613 0.0955 0.0186 충청도
U진천20 2.05 12.9 0.0051 0.0077 0.0279 0.0477 0.0071 충청도
U청양04 1.7 14 0.0071 0.0073 0.0661 0.09 0.0091 충청도
U청양26 1.933333 11 0.0053 0.0048 0.0101 0.0236 0.0055 충청도
U청주25 1.8133 11.1667 0.012 0.0032 0.035 0.0501 0.0057 충청도
U청주31 1.78 12.4333 0.0127 0.0104 0.0129 0.0326 0.0053 충청도
U청주35 2.6 12 0.0029 0.0134 0.013 0.025 0.0033 충청도
U청주44 1.7 14 0.0099 0.001 0.0677 0.0846 0.0083 충청도
U충주15 1.72 12.1667 0.0112 0.0033 0.0215 0.0466 0.0097 충청도
U충주18 2.5 11 0.0283 0.0045 0.0291 0.0544 0.0048 충청도
U평택45 2.166667 10.33333 0.0089 0.005 0.0207 0.0411 0.007 충청도
U홍성16 1.76 10.5 0.0118 0.0133 0.0153 0.0379 0.0058 충청도
U0453 1.6185 14 0.0143 0.0104 0.0186 0.0359 0.0056 충청도
U0542 1.7 12 0.0092 0.0173 0.0236 0.0638 0.0127 충청도
U0631 1.7 15.037 0.0023 0.0249 0.0284 0.0553 0.0076 충청도
U청주25 1.663 14.7037 0.0232 0.0044 0.0124 0.0382 0.0062 충청도
U당진12 1.6 16 0.0069 0.0107 0.0621 0.0888 0.0128 충청도
U영동20 1.363 15.7778 0.0043 0.0045 0.0274 0.0746 0.0208 충청도

- 172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4. 보정신호 별 고정해 산출 소요시간


(단위 : 초)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춘천20 13 28 10 47 10 10 18 5 18
U0164 43 10 8 20 4 5 35 8 12
U홍천03 45 10 10 0 10 9 0 7 3
U0281 11 10 15 17 FAIL 38 0 14 7
U안흥03 54 10 10 15 10 90 3 5 4
U0254 15 7 10 8 8 11 2 6 9
U0261 12 20 7 5 8 11 3 8 5
U평창19 4 20 10 20 8 FAIL 0 5 4
U평창07 3 10 13 20 12 9 25 5 5
U갈말05 3 7 11 5 10 7 0 5 7
U철원26 7 12 10 10 8 8 0 4 5
U0029 14 8 12 5 11 12 0 8 3
U0037 13 10 7 25 11 10 0 7 5
U0040 10 10 7 FAIL 43 13 0 8 3
U0097 5 8 13 31 11 9 0 3 6
U청일57 8 8 11 31 7 9 0 5 5
U0184 10 11 12 15 10 13 0 7 5
U0267 9 10 8 28 9 12 0 9 7
U정선03 8 10 7 27 11 10 5 8 3
U정선26 10 7 11 15 8 9 0 9 10
U임계07 12 10 11 10 7 11 3 8 5
U임계13 FAIL FAIL FAIL 10 43 8 0 7 3
U0333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0 7 FAIL
U0331 1 11 10 21 8 9 16 5 7
U장성04 5 11 8 26 20 36 0 8 6
U0349 15 7 8 0 7 9 5 7 8
U0203 12 10 10 11 10 10 0 12 6
U0204 5 10 8 23 8 11 FAIL 5 4
U삼척01 9 12 8 7 8 10 0 7 10
U0014 9 10 11 15 7 11 5 9 7
U강릉11 9 210 10 87 12 8 5 7 4
U도암18 9 44 20 17 12 10 5 9 3
U홍천39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U춘천08 31 14 12 38 14 14 15 10 15
U춘천04 30 7 8 25 12 12 13 12 13

- 17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0027 33 13 12 28 9 12 14 15 8
U0017 110 72 47 67 76 56 79 60 13
U엄정06 41 13 15 31 9 15 15 13 14
U안흥26 35 14 8 30 11 12 13 13 10
U0252 44 10 12 39 15 13 15 7 8
U0248 45 9 8 35 14 13 17 13 7
U원주19 47 14 10 29 10 9 14 15 12
U청일25 35 10 8 29 9 7 210 65 10
U청일15 34 10 9 25 11 15 13 7 14
U0099 54 10 8 38 14 17 16 10 7
U청일06 34 8 8 27 14 10 12 11 15
U0174 25 6 9 25 8 8 8 9 8
U0179 23 7 7 24 8 9 7 8 6
U0107 26 7 11 10 9 9 8 8 9
U0105 28 20 8 18 10 8 7 12 8
U0045 26 9 8 19 7 8 3 8 8
U0043 26 8 8 13 9 8 7 8 8
U0036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170 35 8
U0003 15 7 25 FAIL FAIL FAIL 8 8 8
U간성08 23 29 13 19 80 10 5 8 8
U0007 25 8 8 17 220 30 8 8 7
U속초04 25 8 7 19 7 8 3 11 9
U속초05 25 8 9 23 7 8 6 8 8
U속초09 22 7 7 20 8 7 2 8 8
U연곡01 23 7 7 18 8 8 4 10 7
U연곡04 31 8 7 17 8 7 1 7 7
U0116 0 8 9 13 7 8 2 8 7
U연곡14 21 9 8 19 8 8 1 7 8
U도암02 34 7 9 18 FAIL FAIL 5 7 7
U도암12 32 7 7 33 7 7 10 7 8
U구정20 33 9 8 19 7 6 2 7 8
U0271 29 7 8 32 7 8 7 6 7
U0272 25 7 80 17 33 6 5 7 7
U0180 7 8 7 7 7 7 6 7 7
U홍천20 7 7 7 7 6 8 8 7 8
U0321 10 8 8 5 7 6 7 7 7
U0038 7 6 7 7 8 8 8 7 8
U0026 8 7 7 7 6 8 7 6 7
U춘천03 7 8 6 8 7 6 FAIL FAIL FAIL

- 17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0077 11 8 7 7 8 7 7 8 8
U갈말27 8 6 7 6 6 6 9 7 7
U갈말23 8 7 9 6 7 7 8 6 7
U0010 7 7 11 8 8 7 7 8 7
U포천01 7 8 7 7 7 8 8 7 6
U포천18 8 8 8 7 7 7 9 6 8
U0071 15 8 9 6 7 7 7 8 8
U일동15 10 9 9 8 8 9 13 11 10
U포천25 16 9 10 7 7 7 7 7 8
U0149 8 7 7 7 8 7 8 7 7
U포천21 8 8 7 11 7 7 7 8 7
U0066 8 7 7 8 6 7 8 7 8
U0068 9 7 8 9 8 8 7 8 8
U서울11 8 7 8 25 7 7 7 8 7
U0135 8 7 7 8 7 7 7 8 7
U0144 14 8 8 11 8 7 8 7 8
U성동12 FAIL FAIL FAIL FAIL FAIL FAIL 8 7 8
U성동06 8 7 7 7 7 8 7 7 8
U0158 9 8 8 8 8 8 8 7 8
U일동21 7 7 8 7 8 8 7 8 8
U0160 7 8 7 7 8 7 7 8 8
U0162 7 8 7 7 7 8 8 7 8
U0232 8 8 7 8 7 7 7 7 7
U0239 8 8 8 7 8 7 7 8 7
U0238 8 8 8 21 7 7 7 7 8
U0243 8 7 8 7 7 8 7 7 7
U0168 7 60 38 27 15 9 0 3 8
U0233 10 15 12 22 8 9 4 6 10
U0236 10 10 8 5 FAIL FAIL 0 5 6
U수원17 8 10 11 30 8 8 4 7 7
U수원02 17 9 15 0 58 7 0 5 7
U0147 10 10 15 FAIL FAIL 15 15 6 5
U0136 5 FAIL FAIL FAIL FAIL FAIL 43 40 10
U김포04 10 10 10 10 17 10 5 7 4
U안양02 10 10 10 10 13 9 5 4 7
U인천01 10 10 11 10 10 10 0 7 7
U0214 7 7 10 20 18 36 6 4 7
U0220 8 12 18 30 FAIL FAIL 5 4 7
U안양25 8 10 30 25 8 9 1 5 9

- 17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수원24 10 5 5 28 8 7 0 8 6
U0294 8 8 10 7 7 7 0 5 8
U0288 10 10 8 33 9 8 3 7 4
U안양22 10 10 9 16 8 8 10 8 7
U0285 13 12 7 15 12 8 10 7 9
U0374 10 10 10 14 13 7 8 5 6
U0298 12 23 25 42 8 31 10 FAIL 15
U0300 13 14 11 13 11 12 35 5 7
U안성50 4 8 8 15 8 11 7 5 6
U원주01 10 9 8 15 9 33 5 4 8
U0293 53 8 7 28 7 6 10 9 8
U아산01 9 6 6 6 7 7 13 7 8
U창원17 12 7 8 6 6 7 8 7 7
U김해24 6 7 7 12 10 7 12 8 8
U거제36 7 7 7 8 7 7 8 7 7
U1062 10 7 8 7 6 6 8 7 7
U0979 9 8 7 7 7 7 7 8 8
U0904 7 8 7 6 7 7 8 8 8
U0902 7 7 7 8 7 7 7 8 7
U0974 7 7 7 7 7 7 7 8 8
U1053 7 6 7 7 7 7 7 8 7
U0970 7 7 7 7 6 7 8 8 7
U0963 7 7 7 7 8 7 7 8 7
U0967 7 7 7 7 6 7 8 8 7
U0885 7 7 7 6 7 6 7 8 7
U거창82 6 6 7 6 7 8 7 7 7
U0796 7 7 8 7 8 7 7 6 7
U0806 7 8 7 7 6 6 7 6 7
U0814 7 8 7 8 7 6 6 7 7
U언양25 7 8 8 8 7 7 7 6 7
U언양13 7 7 7 6 7 8 7 8 7
U청도18 17 10 10 16 7 7 7 7 8
U0905 15 10 10 10 10 10 7 4 4
U청도12 10 10 9 9 8 9 7 7 5
U0901 10 10 10 11 9 9 7 3 5
U청도15 11 10 10 13 10 12 7 8 9
U청도18 10 12 10 16 7 7 7 7 8
U0992 10 12 10 15 10 10 7 8 7
U김해23 10 12 10 7 12 10 7 8 7

- 17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김해08 10 12 11 15 10 12 7 7 7
U0996 45 FAIL FAIL FAIL FAIL FAIL 15 8 0
U0616 45 20 FAIL FAIL FAIL FAIL 17 8 10
U밀양19 10 4 7 15 FAIL FAIL 8 8 8
U양산04 68 14 10 15 14 13 20 11 9
U방어진 13 13 12 32 FAIL FAIL 40 10 7
09
U울산16 10 10 10 11 10 10 10 10 10
U동곡20 10 10 10 11 10 9 10 4 4
U0427 11 7 8 6 8 7 8 7 7
U0417 10 7 7 7 7 8 7 8 7
U0413 8 7 7 6 8 7 7 7 7
U단양12 10 8 8 7 6 6 7 8 7
U덕산24 7 7 6 6 7 7 10 8 7
U0489 10 7 7 6 8 7 7 7 6
U관기03 9 8 8 7 7 6 8 7 7
U문경88 7 7 7 8 7 6 7 8 7
U예천69 10 9 8 7 6 7 8 7 8
U0578 8 7 6 7 7 7 7 7 8
U0508 9 7 8 7 7 7 8 7 7
U대구25 7 8 7 8 7 7 7 7 7
U대구08 7 7 7 7 6 7 8 7 8
U구미31 8 7 7 6 7 7 7 7 8
U0589 7 8 7 7 7 7 7 6 7
U구미06 8 7 7 7 7 7 7 7 7
U구미01 12 7 7 7 7 8 7 8 8
U김천19 8 7 7 7 8 8 7 7 7
U0710 7 6 7 7 7 7 7 8 8
U0718 7 7 7 8 7 7 8 7 7
U0803 11 7 8 8 8 8 8 8 7
U왜관24 12 7 7 8 8 7 7 8 7
U0346 8 8 11 45 10 10 8 7 7
U0339 12 10 10 25 13 9 12 7 9
U0433 13 10 10 15 177 10 5 7 5
U1163 17 10 11 20 FAIL 12 10 7 9
U0528 25 10 10 40 8 10 10 8 5
U0596 10 8 8 10 10 10 8 5 8
U영덕56 12 10 10 10 10 9 11 8 8
U0520 15 10 10 10 12 10 8 8 8

- 17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0517 10 10 10 9 8 10 3 5 5
U0511 11 12 10 10 11 11 7 8 8
U0657 15 10 8 10 8 8 13 9 11
U길안16 29 10 9 15 10 10 8 9 3
U0593 12 1 10 15 9 10 8 7 7
U0652 12 10 12 12 12 9 8 9 9
U0661 15 12 8 17 13 10 10 3 3
U0664 15 10 10 13 9 8 8 8 8
U0676 10 8 8 10 8 8 7 3 3
U0754 12 11 10 12 12 10 7 8 7
U0747 10 9 10 10 12 10 7 8 8
U영천28 15 10 10 82 FAIL FAIL 32 10 7
U청도09 8 7 7 6 7 7 7 7 8
U0672 6 7 7 7 8 7 7 6 6
U0687 9 8 11 13 9 11 7 7 6
U0680 12 10 11 13 10 10 5 7 7
U0615 11 10 10 13 10 11 7 7 5
U0622 12 12 10 10 9 10 7 3 3
U0692 12 10 15 10 10 10 6 7 4
U0697 12 10 10 15 9 9 12 8 8
U0775 12 10 10 10 51 10 7 7 7
U0774 13 13 15 15 15 10 9 10 10
U0777 15 20 18 20 15 15 7 10 10
U0782 12 9 9 33 10 11 8 7 7
U임실25 10 12 10 22 12 10 8 8 8
U임실28 10 10 10 12 10 10 7 8 7
U남원07 12 12 15 20 10 17 5 3 5
U남원12 20 10 10 17 10 10 3 5 7
U함양91 10 10 11 10 9 13 7 7 7
U운봉05 15 10 12 30 10 10 12 8 8
U운봉53 25 15 15 30 25 45 55 25 10
U남원40 15 10 13 25 10 10 8 3 5
U0946 32 10 12 FAIL FAIL FAIL 25 7 8
U순창15 15 10 10 15 7 7 8 7 7
U1020 15 8 8 20 10 8 10 10 10
U1097 10 11 10 17 10 12 7 8 7
U1100 32 15 10 62 12 10 12 6 5
U해남12 15 10 10 25 10 10 8 8 7
U해남27 15 11 11 18 10 10 12 3 10

- 17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완도07 10 9 9 19 9 8 10 8 8
U완도14 10 10 8 13 10 10 11 8 5
U1139 20 11 12 FAIL FAIL FAIL 7 8 7
U완도13 15 10 10 FAIL FAIL FAIL 7 8 5
U해남21 10 10 10 25 10 10 FAIL FAIL FAIL
U0787 10 8 7 12 6 6 7 8 8
U0706 7 7 7 8 7 7 8 7 7
U0795 7 6 7 6 7 7 7 8 7
U영동25 12 8 10 10 17 8 7 7 7
U0699 11 7 7 8 6 6 8 7 7
U0776 7 6 12 6 8 8 8 8 8
U정읍03 8 7 7 200 21 7 12 6 7
U0761 12 7 6 6 7 7 7 8 7
U부안18 6 7 7 6 8 7 12 7 8
U0850 FAIL 7 11 10 7 6 7 8 7
U고창22 12 7 7 6 11 7 7 8 8
U법성12 12 10 7 6 8 8 7 7 7
U와도02 12 10 8 6 8 7 12 7 8
U와도08 12 10 10 6 6 7 7 7 7
U0934 11 10 10 8 7 7 7 6 6
U나주17 10 10 9 9 8 7 7 8 8
U광주36 11 10 11 7 8 7 7 7 8
U광주28 12 11 7 6 10 7 8 7 7
U영암24 8 7 7 6 8 7 7 7 8
U영암25 9 8 8 6 7 8 8 7 7
U영암12 7 6 7 9 8 8 7 8 8
U목포04 7 6 7 10 8 7 8 8 7
U1082 8 7 7 6 8 7 7 6 7
U화원04 10 7 8 6 7 7 7 7 7
U목포13 10 9 9 8 7 7 7 6 6
U1086 7 8 7 6 7 7 8 8 8
U1085 8 6 7 10 7 7 6 7 7
U1083 12 7 7 6 7 8 7 6 7
U화원52 10 9 8 7 8 7 7 7 7
U화원13 9 9 7 7 8 8 7 7 6
U0940 10 10 10 7 6 7 7 7 7
U광주14 12 11 11 7 6 7 7 10 7
U0870 7 8 7 8 6 7 6 7 7
U남원27 8 8 7 8 7 7 7 7 6

- 17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0863 8 7 7 6 7 6 7 7 7
U정읍30 8 7 8 8 6 6 10 7 7
U0856 6 7 7 8 7 8 8 7 6
U0854 8 8 7 7 6 7 7 7 8
U단양23 7 10 7 8 8 8 8 8 7
U단양14 9 7 7 6 8 7 7 6 6
U0959 8 8 7 7 7 7 7 7 8
U0960 7 7 7 6 7 8 7 8 8
U0957 7 8 8 7 6 7 8 7 7
U0948 8 8 7 6 7 7 7 7 8
U독산02 7 7 7 7 8 7 7 6 7
U1025 6 7 7 7 8 7 7 7 6
U1105 7 7 7 7 6 6 8 7 8
U1108 7 7 7 7 8 8 7 6 7
U1032 7 7 7 6 7 6 7 8 8
U1036 8 7 7 7 7 7 7 7 8
U0779 7 8 8 14 7 7 6 8 7
U0368 6 5 4 7 7 5 6 5 4
U당진05 10 27 10 9 39 39 6 7 5
U0353 39 10 10 17 12 5 8 7 7
U당진12 43 54 61 75 FAIL FAIL 8 7 8
U0352 9 19 9 8 8 10 9 6 5
U0440 15 12 14 13 9 10 8 9 5
U0375 17 10 12 18 9 10 12 5 10
U평택45 15 21 17 8 7 22 12 11 10
U아산35 32 15 15 44 13 51 16 9 8
U0453 31 10 62 47 152 56 10 7 5
U아산21 147 47 42 49 42 FAIL 8 9 7
U당진15 45 53 13 74 151 108 12 8 6
U당진19 8 8 11 6 10 9 10 8 8
U0448 59 42 39 FAIL FAIL FAIL 8 9 11
U홍성16 38 42 17 17 157 39 8 8 8
U0445 41 43 43 10 8 10 7 6 7
U0537 59 40 42 40 44 5 11 6 11
U0610 24 9 10 10 9 13 8 8 7
U0540 48 42 33 46 49 142 9 9 5
U청양26 8 9 51 10 12 9 9 10 7
U0545 13 11 11 43 18 10 8 11 8
U0618 10 7 8 12 13 11 8 7 8

- 18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공주25 6 24 10 9 13 13 10 8 10
U진천20 11 24 21 8 8 7 10 10 9
U진천11 5 8 42 56 12 FAIL 8 12 8
U0382 58 44 91 11 7 43 7 7 7
U음성21 8 6 30 45 13 21 10 8 8
U음성03 10 23 25 7 8 7 12 10 10
U음성07 23 11 10 FAIL FAIL FAIL 9 8 7
U엄정24 8 9 7 8 13 7 12 7 6
U예산22 8 42 57 18 9 16 11 7 6
U청양04 6 15 34 11 78 16 12 6 10
U0542 9 20 94 FAIL 183 10 110 10 19
U0550 43 52 46 121 150 20 10 11 7
U공주05 59 70 13 43 40 39 10 8 10
U공주02 45 78 87 21 FAIL 78 8 7 11
U0462 40 45 12 FAIL FAIL 59 12 10 9
U전의06 26 11 15 13 45 43 75 200 76
U청주31 7 11 54 220 12 78 12 10 9
U0385 43 8 42 49 19 11 8 7 6
U청주35 41 41 6 42 16 FAIL 7 7 7
U청주44 36 14 20 7 8 8 9 6 8
U전의20 86 18 10 41 29 11 11 8 7
U전의19 44 108 44 41 140 FAIL 10 11 10
U청주25 150 52 72 42 41 45 10 6 7
U0473 41 24 19 16 43 41 6 7 6
U대전02 50 297 48 FAIL FAIL FAIL 10 19 21
U공주11 66 88 41 43 41 23 10 11 6
U공주31 40 40 16 43 19 14 7 7 8
U대전20 9 58 265 127 9 9 8 6 9
U대전47 50 51 58 37 42 41 9 7 7
U보은20 17 40 6 61 9 42 11 9 8
U영동07 12 12 6 147 8 9 11 7 9
U보은10 26 45 40 44 76 21 11 6 6
U0569 16 13 39 7 13 23 12 8 8
U보은02 9 41 6 41 9 37 8 6 7
U미원26 23 17 13 26 41 41 11 8 8
U0481 15 22 49 103 9 8 7 9 178
U0478 110 67 111 8 8 7 10 10 105
U미원13 10 47 33 11 14 11 8 9 9
U미원11 10 7 9 203 39 9 9 9 9

- 18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ID FKP MAC VRS


1st 2nd 3th 1st 2nd 3th 1st 2nd 3th
U미원06 20 39 10 10 15 7 13 51 10
U음성36 11 6 8 15 FAIL FAIL 8 10 8
U0483 10 21 11 10 13 11 8 8 8
U충주18 8 26 9 113 7 9 10 7 10
U0393 24 12 11 9 10 9 9 8 5
U충주15 17 12 39 11 11 50 9 8 9
U덕산14 46 42 43 FAIL FAIL FAIL 6 5 9
U덕산09 9 54 14 18 11 8 8 7 6
U단양06 43 13 21 40 45 26 9 6 8
U영월37 13 13 31 11 9 9 12 5 8
U0323 24 14 11 10 13 5 6 6 7
U영월26 8 6 18 FAIL 200 17 10 9 10
U0317 36 56 43 40 43 41 13 11 115
U제천08 30 10 7 10 44 40 8 8 10
U제천04 33 42 10 44 38 8 7 9 7
U0316 5 51 51 FAIL FAIL FAIL 10 6 5
U0312 24 19 16 12 14 11 7 5 9
U0311 6 8 30 40 43 FAIL 8 7 9
U엄정32 9 22 8 18 16 8 10 7 10
U덕산01 17 11 40 45 54 51 11 12 10
U0453 6 7 8 47 152 56 10 7 5
U0542 6 12 7 FAIL 183 10 110 10 19
U0631 6 7 7 7 8 6 6 6 7
U청주25 6 7 8 42 41 45 10 6 7
U당진12 6 8 7 75 FAIL FAIL 8 7 8
U영동20 6 6 7 5 6 6 6 7 7
U한림14 7 7 8 11 8 7 8 7 7
U1195 8 7 7 12 9 7 9 8 7
U1189 7 7 7 9 7 7 8 7 8
U한림03 9 7 8 7 6 6 8 7 7
U제주02 9 8 7 7 7 7 7 8 8
U제주07 7 8 7 9 7 7 8 8 8
U제주11 8 7 7 8 7 7 7 8 7
U모슬포03 7 7 7 7 7 7 7 8 8
U모슬포17 7 6 8 11 7 7 7 8 7
U표선08 7 7 7 7 6 7 8 8 7
U서귀05 8 7 7 10 8 7 7 8 7
U성산08 7 7 7 7 6 7 8 8 7

- 182 -
참고문헌
Mader, G. (1999), GPS Antenna Calibration at the National Geodetic Survey, GPS

Solutions, 3(1): 50-58.

Bilich, A. and G. Mader (2010), GNSS Absolute Antenna Calibration at the National

Geodetic Survey, 23rd International Technical Meeting of the Satellite Division of The

Institute of Navigation, Portland, OR, September 21-24, pp. 1369-1377.

GSI (2014), 일본 국토지리원 홈페이지. http://www.gsi.go.jp

JAS (2014), 일본측량인협회. http://www.jsurvey.jp/eng.htm

JENOBA (2014), 제노바 홈페이지. http://www.jenoba.jp/index.html

GDC (2014), BKG GNSS 데이터 센터 홈페이지. http://igs.bkg.bund.de/

국토지리정보원(2013), NRTK 이용 확대를 위한 기반 연구.

Conner, M. (2011), Automobile sensors may usher in self-driving cars, EDN Network.

윤홍식 등(2007), GPS상시관측점의 실용 표고좌표 결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Vol.

25, No. 4, 299-307.

국토지리정보원 (2009), GNSS에 의한 수직기준의 재정립을 위한 연구.

국토지리정보원(2009), GNSS에 의한 수직기준의 재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국토지리정보원

Denker H. Torge W. Wenzel G. Ihde J. and Schirmer U. (2000) Investigation of

differennt methods for the combination of gravity and GPS/Levelling data, In: Schwarz
K-P (ed) Geodesy beyond 2000-the callenges of the first decade, International

- 183 -
Association of Geodesy Symposia, Vol. 121, Springer, Berlin Heidelaberg New York,

pp. 137-142.

Featherstone W.E. (2000a) Towards unification of the Australian height datum between

the Australian mainland and Tasmania using GPS and the AUSGeoid98 geoid model,

Geomatics Research Australasia, 73, pp. 33-54.

Hwang, C., Lee, L. H., Yu, S. B., Chen, H. Y.(2004), Single and multi-epoch analyses

of GPS baseline network: application to coordinate and velocity determinations in

central Taiwan,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ol. 130, No. 2, pp. 86-94.

Torge, W. (2001), Geodesy, 3rd Edition, Walter de Gruyter, Berlin, New York, pp.

178-184.

Featherstone W.E. (2000b) Refinement of gravimetric geoid using GPS and levelling

data,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126(2), pp. 27-56.

Seker D.Z. Yildirim A.(2002) Orthometric Height Derivation from GPS Obsenvations,

FIG2002

Wubbena, G., A. Bagge (2002). RTCM Message Type 59-FKP for Transmission of
FKP. Geo++ White Paper, 17. April 2002, Garbsen

- 184 -
주의사항
1. 본 보고서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탁을 받
아 한국측량학회에서 수행한 보고서입니다.
2. 본 내용을 대외적으로 게재,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국
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사전 허락을 받기 바라며,
무단 복제는 절대 금합니다.

최신도입 네트워크 RTK 활성화 방안 연구

인쇄 ․ 2017년 12월
발행 ․ 2017년 12월
발행자 ․ 최 병 길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원천동)
전화 ․ 031-210-2600
FAX ․ 031-210-26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