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최신도입 네트워크rtk 활성화 방안연구
(2017) 최신도입 네트워크rtk 활성화 방안연구
(2017) 최신도입 네트워크rtk 활성화 방안연구
11-1613436-000163-01
2017. 12.
제 출 문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장 귀하
2017. 12.
한국측량학회 회장 박 병 욱
참 여 진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경 운 대 학 교 황 진 상
연 구 원 한 남 대 학 교 이 세 강
연구보조원 한 남 대 학 교 양 천 국
중급기술자 ㈜지오스토리 박 창 민
초급기술자 ㈜지오스토리 김 익 재
초급기술자 ㈜지오스토리 홍 성 준
자문위원
인하대학교 교 수 박 관 동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연 구 원 이 재 강
국토교통부 사 무 관 안 종 태
공간정보산업협회 팀 장 정 의 훈
㈜아센코리아 대표이사 황 국 연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지리정보원 측 지 과 장 강 인 구
국토지리정보원 위성측량담당 이 원 국
국토지리정보원 연 구 사 김 현 호
< 목 차 >
제1장 서론 ····································································································2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1.1. 연구의 배경 ············································································································2
1.2. 연구의 목적 ············································································································3
2. 연구범위 및 내용 ·······································································································4
제2장 이론적인 고찰 ·················································································6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6
1.1. SSR 방식과 OSR 방식 ························································································6
1.2. GNSS 보정신호의 종류 ·······················································································8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9
2.1. DGPS 보정신호 ·····································································································9
2.2. SBAS 보정신호 ···································································································10
2.3. RTK와 NRTK 보정신호 ···················································································14
2.4. PPP-RTK 보정신호 ···························································································20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23
1. 평가작업 개요 ···········································································································23
1.1. 평가 방법 ··············································································································23
1.2. 평가 항목 ··············································································································25
2. 정확도 평가 결과 ·····································································································26
3. 사용성 평가 결과 ·····································································································28
4. 성능지표 결정 ···········································································································29
4.1. 정확도 성능지표 ··································································································29
4.2. 사용성 성능지표 ··································································································34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39
1. 최신도입 NRTK 시스템 구축 현황 ·····································································39
- ii -
1.1. 시스템 도입 사례 ································································································39
1.2. 시스템의 구조 ······································································································40
1.3. 서비스 제공체계 ··································································································45
1.4. 관측 네트워크의 구성 ························································································46
2. 현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48
2.1. 문제점 분석 결과 ································································································48
2.2. 원인 분석 및 개선 방향 ····················································································54
3. 관측 네트워크 개선 방안 ·······················································································57
3.1. NRTK용 관측 네트워크 연구 사례 ································································57
3.2. 관측 네트워크 향상을 위한 실험 결과 ··························································60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64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64
1.1. 제도개선 대상 ······································································································64
1.2. 제도개선 내용 ······································································································65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70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74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82
1.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 모델 정립 ····························································82
1.1.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82
1.2. 문제점 및 개선사항 분석 ··················································································85
1.3.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모델 정립 ·························································89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91
2.1.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91
2.2. Level 1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3
2.3. Level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5
2.4. Level 3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97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98
3.1.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98
3.2. 교육·등록 웹사이트 운영 ··················································································99
- iii -
3.3. SW 인프라 구축 ·······························································································102
4.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방안 ·········································································103
4.1. 다변화 모델 ········································································································103
4.2. 계층형 NRTIP 서버 구성 ···············································································105
4.3. 위성 중계기 임대 ······························································································106
5.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111
5.1. 저가형 GNSS 수신기 기술 동향 ···································································111
5.2. 저가형 GNSS 수신기 지원 방안 ···································································116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0
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전략 ······················································120
1.1. 비전과 목표 ········································································································120
1.2. 추진 전략 ············································································································122
1.3. 이행 과제 ············································································································127
1.4. 실행 계획 ············································································································128
2. 로드맵 수립 ·············································································································137
제8장 결론 ·······························································································140
부록 ············································································································143
참고문헌 ····································································································183
- iv -
< 표 목 차 >
- v -
<표 6.7>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98
<표 6.8> 일본의 QZSS를 이용한 NRTK 보정신호 전송가능성 분석 ··········································107
<표 6.9> QZSS 위성의 신호 체계 ········································································································109
<표 6.10> GNSS 관측데이터 활용 API를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들········114
<표 6.11> BCM47755가 지원하는 GNSS 위성과 신호 ····································································115
<표 7.1> NRTK 등 시스템 개선 로드맵 ····························································································137
- vi -
< 그 림 목 차 >
- vii -
<그림 4.9> MAC 보정신호 이용 시의 평면좌표 과대오차 발생 지점(좌측)과 타원체고 과대오차 발생지점(우측) ······52
<그림 4.10>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 ·································53
<그림 4.11>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관측 시 문제 지점들의 지역별 분포 ··········54
<그림 4.12> 여름철 천안 상시관측소의 멀티패스(MP1, MP2) 변화 ··············································56
<그림 4.13> 실험을 위한 3가지 크기의 GNSS 상시관측소 네트워크 구성 결과 ·······················58
<그림 4.14> 실험에 사용한 두 가지 종류의 네트워크 ······································································59
<그림 6.1> 국토지리정보원의 현행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82
<그림 6.2> 최초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83
<그림 6.3> 최신 도입 NRTK 시스템이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84
<그림 6.4> 국토지리정보원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 구성안 ·················································89
<그림 6.5>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로드맵 ························································································92
<그림 6.6> 1단계 SSR 보정신호의 구성 항목 ··················································································96
<그림 6.7> Level 2 보정신호의 활용 모델 ···························································································96
<그림 6.8> 현행 Level 3 보정신호의 정밀도 ·······················································································97
<그림 6.9> 현행 Level 3 보정신호의 정확도 평가 결과 ···································································97
<그림 6.10> 교육·등록 웹사이트 메인 화면 구성안 ···········································································99
<그림 6.11> 전용 웹사이트 활용 모델 ································································································100
<그림 6.12> 국가 GNSS 보정신호 활용 협의체 구성 방안 ···························································101
<그림 6.13> 규격화된 NRTK 보정신호 설명의 예 ··········································································101
<그림 6.14> SW 인프라 활용 모델 ······································································································102
<그림 5.15> 전용 App.의 활용 모델 ····································································································103
<그림 6.16> 보정신호 제공체계 다변화 모델 ····················································································104
<그림 6.17> 국립해양측위정보원의 보정신호 전송체계 다변화 ····················································104
<그림 6.18> 독일 BKG의 계층형 NTRIP 서버 운영 모델 ···························································105
<그림 6.19> 국토지리원의 계층형 NRTIP 서버 운영 모델안 ························································106
<그림 6.20> 국제해사기구에서 운영하는 L밴드 통신위성과 통신영역 ······································107
<그림 6.21> 무궁화위성 5호기의 통신영역과 고도 ··········································································108
<그림 6.22> 서울 지역에서의 시간별 QZSS 위성 포착 위치 ························································110
<그림 6.23> QZSS 위성 발사 계획 ······································································································110
<그림 6.24> 저가형 GNSS 칩셋 개발 동향 ·······················································································111
<그림 6.25> NEO-M8P를 이용한 RTK 측위 결과 ··········································································112
<그림 6.26> RTKLib를 이용한 RT-PPP 측위 수행의 예 ······························································113
<그림 6.27> GNSS 관측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API 체계 ····································114
<그림 6.28> 스마트폰용 2주파 GNSS 칩셋(BCM47755) ·································································115
<그림 6.29> 방대한 규모의 민간사용자를 위한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116
<그림 7.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의 목표와 비전 및 전략 ·································121
<그림 7.2>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을 위한 이행과제 정의 ···································127
- viii -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 및 내용
제1장 연구개요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국토지리정보원은 정밀 측지측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VRS(Virtual Reference
- 2 -
제1장 연구개요
1.2. 연구의 목적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된 본 연구는 두 가지 부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3 -
제1장 연구개요
2. 연구범위 및 내용
본 연구는 180일간 수행하였으며 학술연구부문과 기술연구부문으로 구분하여 추
진되었다. 전국 7개 권역에 산재된 통합기준점 380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 측량을
수행함으로써 최신도입 네트워크 RTK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사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였다.
- 4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제2장 이론적인 고찰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다양한 오차의 개입으로 인해 GNSS 위성신호를 이용한 위치 결정 결과의 정확도
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GNSS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GNSS 보정신호가 개발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장에서는 GNSS 보정신호
1. GNSS 보정신호의 종류
1.1. SSR 방식과 OSR 방식
GNSS 보정신호는 두 가지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GNSS를 이용한 위치
- 6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7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보정신호의 종류 필요 통신 용량(bps)
SSR 1,500
VRS(OSR) 4,800
MAC(OSR) 93,610
- 8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2. 보정신호의 종류별 특성
2.1. DGPS 보정신호
본래 DGPS는 넓은 의미로 차분(differential) 측위법의 의해 GNSS 관측값을 처리
하는 다양한 측위법들을 통칭하나 본 보고서에서는 GNSS 코드 관측값을 이용한 위
치결정 작업을 지원하는 OSR 방식의 보정신호로 그 의미를 한정하여 정리하였다.
- 9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0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1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위성별 위치 보정정보
■ 위성별 속도 보정정보
- 12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SBAS 보정신호의 이온층 지연량 정보는 GNSS 신호가 이온층을 통과하며 굴절된
양을 사용자의 GNSS 수신기가 계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반 정보들로 구성된
- 13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4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5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6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는 부담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VRS 방식의 NRTK 보정신
호 제공체계는 보정신호의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
서 활용되고 있다.
- 17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NRTK 서버가 전송한 FKP 보정신호를 수신한 GNSS 수신기는 자신의 위치를 포
함하고 있는 삼각망에 대한 보정정보를 선택하며 이 정보로부터 자신의 위치에 적용
- 18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19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단계 제공되는 오차정보의 종류 구현 가능 측위 성능
- 20 -
제2장 이론적인 고찰
- 21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1. 평가작업 개요
2. 정확도 평가 결과
3. 사용성 평가 결과
4. 성능지표 결정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1. 평가작업 개요
1.1. 평가 방법
전국에 산재된 380개의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현장 검증측량을 수행하였다. 통합
구분 행정구역 평가점
경기권 경기 , 서울 , 인천 52
충청권 충남 , 충북 , 대전 , 세종 83
호남권 전남 , 전북 , 광주 81
강원권 강원 73
경남권 경남 , 부산 , 울산 35
경북권 경북 , 대구 44
제주권 제주 12
합계 380
- 23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구분 외산 국산
사진
- 24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1.2. 평가 항목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다양한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측
점별 평가 항목은 <표 3.3>과 같다. 각 평가 항목은 공공측량 작업규정 상의 NRTK
측량 방법·기준과 관련된 것들로서 각 NRTK 보정신호의 정확도와 품질 평가에 활
용할 수 있다.
평가 항목 평가 방법
- 25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2. 정확도 평가 결과
380점의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NRTK 보정신호별 정확도 평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80개 측점에서 계산한 고시성과와의 편차량 들로부터 정확
도를 대표하는 통계값을 산출하였다. <표 3.4>는 약 68% 확률범위의 오차를 나타
- 26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27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3. 사용성 평가 결과
NRTK 보정신호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해 정확도와 함께 평가되어야 하는 항목은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연속적인 측정 가능성 등이다. NRTK 측량 시 고정해 계산
에 과대한 시간이 소요된다면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과대
오차가 포함된 좌표가 결정될 위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380개의 통합기준점에서
고정해 산출 시간, 고정해 산출 지속성을 평가함으로써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제도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는 것으로 나타났다.
- 28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29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표 3.10>은 99% 확률범위의 정확도 성능지표를 나타낸 것으로 <표 3.9>에 정리
- 30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31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32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33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초기화 시간(초) 이상 점
FKP 13.30 16
MAC 13.81 30
VRS 7.78 10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지표를 계산하기 위하여 편차가 3σ 범위를 초과하는 점들을
이상점들로 분류하여 소거한 후 지표를 결정하였다. <표 3.11>을 보면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인 FKP와 MAC는 13~14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고정해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7.78초 정도의 시간 경과 후에 고
정해를 산출할 수 있는 VRS에 비해 약 5초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보정신호의 형태적인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판단되며, 5초
정도의 추가적인 시간 소요는 작업자에게 약간의 불편함을 미치는 정도이기 때문에
제도화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할 수 있다.
- 34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35 -
제3장 NRTK 보정신호의 성능지표 결정
- 3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1.1. 시스템 도입 사례
Geo++사의 실적을 기준으로 분석한 GNSmart 시스템의 도입 사례를 연도별 빈
도로 정리하면 <그림 4.1>과 같다. 1996년부터 20년간 24개국에 79회 도입되었으
며 이를 볼 때에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
14 13
12
10
도입 빈도(회)
8 7 7 7
6 5 5 5
4 4
4 3 3 3
2 2 2 2 2
2 1 1 1
도입 년도
- 3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1.2. 시스템의 구조
국토지리정보원이 신규 도입한 NRTK 시스템의 구조를 소프트웨어 부분과 하드웨
어 및 네트워크 부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도시하면
<그림 4.2>와 같다.
- 4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4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SSR 파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의 예로써, 후처리
서비스를 위한 가상 RINEX 파일 생성, 특정 시간에 대한 SSM의 상태 표출 등을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수신기 연계 Receiver Input Ÿ 선택된 인터페이스(RS232, TCP/IP 등)를 통해
모듈 Module GNSS 수신기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취득하여
단일 기준국 처리 모듈인 GNREF에 전달
- 42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Ÿ GNSS 수신기 장비 별 모듈을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음
Ÿ GNALERT 모듈에 전송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로써 수신기로부터 데이터가 전송
되지 않거나, 고온, 저 전력 등의 문제가 발생하
였음을 알릴 수 있음
Ÿ RINEX 혹은 기타 형태로 원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렇게 저장된 자
료는 후처리 작업에 활용할 수 있음
- 43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모듈 모듈 명칭 특성과 기능
Ÿ NTRIP 캐스터의 역할을 수행
NTRIP 캐스터 GN_CASTER Ÿ RTCM_OUT과 같은 NTRIP 소스들을 관리
모듈 Ÿ NTRIP 클라이언트를 관리
Ÿ NTRIP 관리자의 접근을 관리
Ÿ GNSmart와 연결된 GNSS 상시관측소들의 상태
SMRTMON 에 대한 빠른 요약정보를 생성함
Ÿ 기준국 배치도를 비롯하여 기준국과 관련된 다
양한 정보들을 출력함
시스템의 네트워크와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결과는 <그림 4.3>과 같다. 시스템
은 가상사설망(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GNSS 상시관측소 및 사용자
와 연계되며 네트워크 진입 부분에 통합보안솔루션(UTM:Unified Threat
- 44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있기 때문에 온전한 SSR 측위를 지원하기 보다는 사용자 GNSS 수신기 측에서
OSR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용도로 제공되고 있다.
- 45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형태 구분 보정신호 포맷 상세포맷(갱신주기) 지원 신호 지원 위성
1.4. 관측 네트워크의 구성
2017년 8월을 기준으로 할 때 최신도입 NRTK 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GNSS
상시관측소는 29개소이며 보정신호를 계산하는 45개의 단위 삼각망들로 구성한 관
측네트워크를 도시하면 <그림 4.4>와 같다. 단위 삼각망들의 평균 변장은 88.95km
이고 그 표준편차는 29.63km로서 통계적으로 과대한 변장을 나타내는 2개이다. 기
준국과의 거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 OSR 방식 보정신호의 특성상 과대 변장을 가지
는 단위 삼각망들이 정밀한 NRTK 보정신호 계산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이
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정확도와 사용성 평가 작업 시 해당 삼각망에 해당되는 지점
들(통합기준점 U1108과 U화원13)의 평가 작업에 주목하였으나 특별한 이상은 발견
되지 않았다.
- 4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가 결과는 정상적이었다.
- 47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2. 현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2.1. 문제점 분석 결과
380개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양호한 관측이 이루어졌으나 일부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하였
다. 고정해 산출에 실패하거나 고정해 산출까지 너무 많은 시간이 지연되는 지점들
이 있었으며 측정 정확도에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들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가 발생한 지점들의 분포상황을 바탕으로 문제를 유발하는 구조적이고 시스템적인
요인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NRTK 보정신호의 품질과 정확도에 대해서
만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 결과 중 NRTK 시스템 정비, 관측환경 불량 등 외적 요인
- 48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4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않았다.
- 5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2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3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FKP
10 9 35
9 29.5
30
8
7 25
6 20
16.2
5
4 15
10 10.1 9.2 9.6
3 2 2 7.3 10
2 1 5
1 0 0 0 0 0 0 0 0 0 0
0 0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실패 장시간 초기화 시간
MAC
14 35
31 12
12 30
10 9 25
8 17.3 20
6 10.8 11.1 10.7 15
8.8 7.6
4 3 3 10
2 4 3
2 1 1 1 5
0 0 0 0
0 0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실패 장시간 초기화 시간
2.2. 원인 분석 및 개선 방향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에 대한 평가결과를 정리하여 해결 대상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정리하면 <표 4.4>와 같다. FKP 보정신호는 정확도와 사용성 모두에서 양
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충청도 지역에서의 사용성 저하 문제(고정해 산출에 과대
- 54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5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6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3. 관측 네트워크 개선 방안
NRTK 보정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GNSS 상시관측소들로 구성된 관측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 57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8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59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 60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현행 관측망 7점 1점 11 초
강화된 관측망 5점 1점 10 초
- 61 -
제4장 NRTK 시스템 개선 연구
수평과대오차 수직과대오차
σN(m) σE(m) σH(m)
점수 점수
- 62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공공측량 제도개선 연구
1.1. 제도개선 대상
현행 공공측량 작업규정은 NRTK 측량방법 중 VRS 보정신호를 이용한 방법만을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도입 NRTK 방법
인 FKP와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NRTK 측량을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
도록 개선
- 64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개정 조항 개정 내용 근거 자료
- 65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67조 개선안
제 167조(운용방식) 네트워크 RTK 측량은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175조 개선안
제 175조(관측) 관측은 선점도를 기초로 이동점에 GNSS 수신기를 정확히 설
치하고 GNS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RTK 서버에서
수신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기선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이동점의 좌표를 결정하
고 기록하는 작업이다.
......
......
- 66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76조 개선안
제 176조(기기 성능 및 장비구성) ① .....,
......
......
177조 개선안
......
- 67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78조 개선안
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68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79조 개선안
...... ......
- 69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80조 개선안
을 금한다.
2. 기본측량 제도개선 연구
기본측량을 구성하는 여러 측량작업들 중 NRTK 측량법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은
지상기준점 측량, 현지보완측량이다.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과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의 해당 부분을 수정하여 다양한 NRTK 측량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NRTK 보정신호를 활용하는 측량작업들을 기본측량에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 70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2. 표고기준점측량 : 직접수준측량
1. 다각 망 측량에 의한 경우
- 71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결정
- 72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1. T·S 측량 ......
2. GPS 관측 ......
3. 네트워크 RTK 측량
구분 내용
세션 수 3회
세션 관측시간 고정해를 얻고 나서 10초 이상
데이터 취득 간격 1초
나. 관측 수행 시 다음의 사항에 유의한다.
- 73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용을 금한다.
3. 지적측량 적용 가능성 분석
최신도입 NRTK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법을 지적측량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는 시스템의 활용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신도입 NRTK 서
- 74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 8조
측량에 의한다.
- 75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 76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지적확정측량규정 10조
제10조(위성측량 기준) ① 단일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Single-RTK)에 의한
세부측량은 다음 각 호에 따른다.
호 및 별지 제3호에 의한다.
- 77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 78 -
제5장 제도 개선 방안
요구조건 부합 여부
- 7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 8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를 확장해야 한다.
- 8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새로운 형식의 보정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된 NRTK 시스템은 4가지 종류의
NRTK 보정신호와 DGPS 보정신호 및 SSR 방식의 PPP 보정신호를 제공한다. 사용
- 8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이용한 실시간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PPP 신호는 SSR 방식의 신호로써 기준
국 위치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인접 기준국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방식으로 계산된 전국 범위 보정신호에 비해 통신용량이 적은 장점을 가지
고 있다.
- 8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8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8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덴 르
<표 6.2> 독일 브란 부 크 주의 NTRIP 캐스터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의 종류
접속점 포맷 구성 메시지 (갱신주기) 지원 위성
1004(1), 1005(10), 1007(10), 1012(1),
VRS_3_2G_BB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2(10), 1033(10)
1004(1), 1005(10), 1007(10), 1012(1),
MAC_3_2G_BB RTCM 3.3 1013(60), 1014(10), 1017(10), 1021(30), GPS+GLO
1023(30), 1025(30), 1030(30), 1031(30),
1033(10), 1039(10)
1004(1), 1005(10), 1007(10), 1012(1),
FKP_3_2G_BB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3(10), 1034(10),
1035(10)
FKP_2_1G_BB RTCM 2.3 1(1), 3(13), 16(59), 20(1), 21(1), 22(13), GPS
23(11), 24(10)
VRS_2_1G_BB RTCM 2.3 1(1), 3(13), 16(59), 20(1), 21(1), 22(13), GPS
23(11), 24(10)
EPS_BB RTCM 2.3 1(1), 3(13), 16(59), 31(1) GPS+GLO
EPS_2_2G_BB RTCM 2.3 1(1), 3(13), 16(59), 31(1) GPS+GLO
1074(1), 1005(10), 1007(10), 1084(1),
MSM_3_2G_VRS RTCM 3.3 1013(60), 1021(30), 1023(30), 1025(30), GPS+GLO
1030(30), 1031(30), 1032(10), 1033(10),
1230(1)
EPS_2_1G_BB RTCM 2.3 1(1), 3(13), 16(59), GPS
- 8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8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9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2.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
개선된 GNSS 보정신호 제공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GNSS 보정신호 제
공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보정신호 제공체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로드맵과 3개
- 9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9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있다.
MSM의 종류 구성 정보
MSM1 DGNSS 측위용 코드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2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3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제공
MSM4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정보 제공
MSM5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다이렉트 도플러 정보 제공
MSM6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정보를 고해상도로 제공
MSM7 RTK 측위용 코드데이터 및 반송파데이터 보정값, 반송파 잡음
비율, 다이렉트 도플러 정보를 고해상도로 제공
- 9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GPS 1077
GLONASS 1087
Beidou 1127
Galileo 1097
- 9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9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Lvl
<그림 6.7> e e 2 보정신호의 활용 모델
- 9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Lvl 밀
<그림 6.8> 현행 e e 3 보정신호의 정 도
Lvl
<그림 6.9> 현행 e e 3 보정신호의 정확도 평가 결과
- 9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3.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구축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보정신호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측량과
GNSS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보정신호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지원 서비스들이 구축되어야 한다.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
3.1. 민간 활용 지원서비스의 구성
전문 지식이 부적한 일반 사용자들이 GNSS 보정신호 제공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
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축되어야 하는 서비스들을 정리하면 <표
6.4>와 같다.
- 9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9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0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격
<그림 6.13> 규 화된 NRTK 보정신호 설명의 예
- 10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3.3. SW 인프라 구축
사용자 편의를 위한 SW 인프라는 소스코드와 라이브러리 및 App.으로 구분할 수
있다. SW 인프라는 일반 사용자와 시스템 개발자들이 보정신호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SW 자원을 제공하며 그 활용 모델을 정리하면 <그림 6.14>과 같
다. SW 인프라에는 통신 기능이 구현되어 있어서 국토지리정보원 제공정보를 다운
로드 하여 GNSS 수신기 혹은 관련 장비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
자 장비에 적합한 포맷 변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그림 6.14> S W 인프 라 활용 모델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보정신호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면 전용 App.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그림 6.15>에 예시한 바와
같은 App.을 개발하여 배포한다면 일반 사용자들은 보정신호를 매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App.을 설치한 후 보정신호 제공시스템 로그인 정보와 활용하고자 하는 보
정신호의 종류 및 GNSS 장비 모델명 정도만 설정하면 정밀 보정신호를 이용한 높
은 정확도의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전용 App.은 다양한 GNSS
장비에 대한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무결성 정보제공 기능아 구현되어 있
어야 한다.
- 10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0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수 있다.
양
<그림 6.17> 국립해 측위정보원의 보정신호 전 체계송 다변화
- 10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층
<그림 6.18> 독일 BKG의 계 형 NTRIP 서버 운영 모델
- 10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층
<그림 6.19> 국토지리원의 계 형 NRTIP 서버 운영 모델안
4.3. 위성 중계기 임대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보정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수의 기지국을 지상에 배치하여야 하는 부담도 없고
지상 통신에 비해 통신 사각지대도 적다.
- 10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07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08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L1C/A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L1C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1575.42MHz
서브 m 보정 정보
L1S ◎ ◎ ◎
재난 및 위기 관리 정보
SBAS 보정신호
L1Sb - - ◎
(2020년 예정)
L5 ◎ ◎ ◎ 일반 GNSS 위성 신호
1176.45MHz
L5S - ◎ ◎ 위치결정기술 확인 서비스
- 109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0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1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2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Lb
<그림 6.26> RTK i 를 이용한 RT-PPP 측위 수행의 예
참 // //g u nl n
( 조:http: http: ra o i e.de)
- 113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4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마 폰
<그림 6.28> 스 트 용 2주파 GNSS 칩셋(BCM47755)
- 115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6 -
제6장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의 개선
- 117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2. 로드맵 수립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비전
¡ 추진전략
- 고품질 GNSS 보정신호 생산을 위한 GNSS 상시관측소의 항상성 확보
- 120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축
<그림 7.1>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 의 목표와 비전 및 전 략
- 121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2. 추진 전략
다양한 민간분야의 고정밀 위치정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국가 GNSS 보정신
호 제공체계의 구축을 위해 추진되어야 하는 세부전략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고품질의 GNSS 보정신호를 상시적으로 제공하
기 위해서는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품질과 항상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 목표
¡ 추진 방향
- 안전정적인 GNSS 위성신호 수신을 위한 환경 정비
․ GNSS 상시관측소 환경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GNSS 신호 수신 환경이
심각하게 불량한 관측소의 경우 이전 추진
․ 매 년 GNSS 상시관측소 환경을 조사하여 위성신호 지장물에 대한 정비 실시
- 통신·전력 등 제반 인프라의 이중화
․ 통신회선의 이중화를 통해 문제 발생 시 즉시 대처
․ 전력시설을 이중화 하고 비상상황 발생 시 운영할 보조전원의 용량을 충분
히 확보하여 대처 시까지 연속성 확보
- GNSS 수신장비의 이중화
․ 장비고장과 파손에 대비하여 비상 시 운영할 수 있는 보조장비 설치 및 이
상상황 발생 시의 운영 연속성 확보 시설 설치
- 국지적인 GNSS 상시관측소 위치변동 모니터링 및 방지
․ 상시관측소의 기초부 침하, 기둥부의 변형 등으로 인해 위치기준이 변화하
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실시
․ GNSS 상시관측소의 국지적인 변형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변형 발생 시 즉
시적인 대응 프로세스 운영
- 123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목표
- 124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목표
¡ 목표
- 126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3. 이행 과제
측량분야 및 기타 민간분야에서의 정밀 위치정보 활용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 정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을 위해 4가지 추진전략에 근거하여 설정한 11개 이
행과제를 정리하면 <그림 7.2>와 같다.
축
<그림 7.2> 국가 GNSS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 을 위한 이행과제 정의
- 127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1.4. 실행 계획
1 GNSS 상시관측소 항상성 관리체계 도입
▶ 투자소요(안)
❍ 1,000 백만원
▶ 현황 및 필요성
❍ 수목 성장, 주변시설 변화 등으로 인해 GNSS 상시관측소의 위성신호 수신을 저해하는
지장물 증가
❍ 주변 환경의 영구적인 변화로 인해 환경 개선이 불가능한 2개 관측소의 이전 실시
- 128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세부 추진계 획
❍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 품질 및 주변환경 관련 규정 신설
-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 최소품질규정 정의
- 상시관측소 주변환경 관련 기준(지장물의 분포와 수량) 정의
- 기존 관리규정 개선을 통한 관측데이터 품질 및 주변환경 관련규정 신설
❍ 전체 상시관측소 주변 환경 일제 조사
- 관측데이터 품질평가를 통한 이상여부 점검
- 관측소 주변환경 조사를 통한 지장물 검사 및 정비대상 결정
❍ 상시관측소 주변 정비작업 실시
- GNSS 위성신호 수신을 저해하는 지장물 일제 제거
- 매 년 현장조사 및 정비작업 실시
❍ 2개 상시관측소 이전
- 환경개선이 불가한 2개 충청권역 2개 관측소를 이전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GNSS 상시관측소 주변 정비 및 항상성 관리시스템 구 축 1년 400 백만원
사업내용
- 129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세부 추진계 획
❍ 핵심 장비 이중화 구축
- GNSS 수신기, 안테나 등 핵심 장비 이중화 구축
- 핵심 장비 문제 파악 및 보조장비 구동 시스템 도입
❍ 전력 및 통신 인프라 시설 이중화 구축
- 통신상황 문제 발생 대처를 위한 보조통신수단 구축
- 단전 혹은 전력 인프라 문제 시의 대처를 위한 보조전력시설 구축
❍ 핵심 장비 및 전력, 통신 운영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상시관측소의 핵심 장비와 전력, 통신 운영상황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시스템 구축
- 문제 발생 시의 대응 프로세스와 매뉴얼 정의 및 제도화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중
GNSS 상시관측소 이 화 사업 2년 1500 백만원
사업내용
- 130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131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 GNSS 수신기 제품군을 고려한 보정신호 규격 정의
- RT-PPP 측위법을 지원하는 GNSS 제품군 조사
- 멀티 GNSS 사용환경 및 RT-PPP 측위법을 고려한 규격 정의
❍ 중앙국 시스템 탑재 SW 업그레이드
- 코드 데이터와 반송파 위상을 모두 활용하는 RT-PPP 기법용 보정신호 생산 SW 탑재
- RT-PPP 기법이 필요로 하는 위성궤도오차, 위성시계오차, 코드데이터 오차, 반송파데이터
오차 및 전리층 지연오차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보정신호 생성 및 제공체계 구축
❍ 시험평가 및 홍보
- 시스템 구축 후 현장 평가를 통한 보정신호의 정밀도 검증
- 관련 GNSS 수신기 제조사, 시스템 개발사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홍보
고 급형 GNSS 수신기용 보정신호(cm급) 제공체계 구축
▶ 현황 및 필요성
❍ 수 cm 오차 수준의 위치결정을 필요로 하는 측량분야 및 기타 분야의 기술 수요 발생
❍ 수 cm 오차 수준의 RTK 측위법 및 PPP-RTK 측위법을 지원하는 고급형 GNSS 수신기에
서 필요로 하는 보정신호 제공체계 필요
▶ 세부 추진계 획
❍ 사용자 GNSS 수신기 제품군을 고려한 보정신호 규격 정의
- RTK 측위법을 지원하는 단일주파수 혹은 다중주파수 수신기 제품 조사
- 멀티 GNSS 사용환경 및 RTK 측위법과 PPP-RTK 측위법을 고려한 규격 정의
❍ 중앙국 시스템 탑재 SW 업그레이드
- RTK 측위법 및 PPP-RTK 측위법용 보정신호 생산 SW 탑재
- 저가형 단일 주파수 RTK 측위용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MSM 보정신호 생산
- 고급형 RTK 측위용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보정신호(FKP, MAC) 강화
- PPP-RTK 측위용 보정신호 제공체계 구축
❍ 시험평가 및 홍보
- 시스템 구축 후 현장 평가를 통한 보정신호의 정밀도 검증
- 관련 GNSS 수신기 제조사, 시스템 개발사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홍보
- 132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사용자 지원 서비스 구 축
▶ 현황 및 필요성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보정신호에 대한 활용법, GNSS 수신기 설정법, 서
비스 등록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전용 웹사이트 운영의 필요성
❍ GNSS 수신기를 탑재하는 시스템 개발자들이 GNSS 보정신호 활용체계 개발을 빠르고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SW 정보 등의 제공 필요성
▶ 세부 추진계 획
❍ 정보제공 웹사이트 구축
- 보정신호 활용법, GNSS 수신기 설정법, 서비스 등록방법 등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
- GNSS 수신기 판배사와 수요자 간 정보교환 창구 지원
- 서비스 등록 지원
❍ SW 개발자 지원정보 구축
- GNSS 보정신호 활용과 관련된 소스코드 및 SW 라이브러리 제공
❍ GNSS 보정신호 활용 App. 구축
- 개인 사용자가 국토지리정보원의 GNSS 보정신호를 수신기에 적용하여 고정밀 위치정보를
생산·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pp. 구축 및 공개
추진사업
사업명 사업기간 사업예산
민간 맞춤형 GNSS 보정신호 다양화 구축사업 3년 600 백만원
사업내용
- 133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4 무결성 정보 제공체계 구축
▶ 투자소요(안)
❍ 300 백만원
- 134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 135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계 층형 NTRIP 서버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지상 기지국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NSS 사용자층의 분산 관리 필요
❍ 유관기관에 GNSS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인 계층형 NTRIP 서버 설치를 통한 GNSS 사용
자 유형별 분산 관리체계 운영의 효용성
▶ 세부 추진계 획
❍ 계층형 NTRIP 서버의 표준 규격 정의
❍ 전용선을 통해 유관기관에 GNSS 보정신호 상시 제공
❍ 계층형 NTRIP 서버 보급
❍ L밴드 위성통신 중계기 임대
- 136 -
제7장 보정신호 제공 시스템 개선 로드맵
2. 로드맵 수립
제5장 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NRTK 등 고정밀 보정신호 제공체계에 대한
개선 로드맵을 정리하면 <표 7.1>과 같다.
DGNSS 1 차 DGNSS 2 차
Lv3 신호 개선 개선
강화
(GLONASS) (Beidou ,
Galileo )
상시관측소
개선
주변환경 정비 멀티 표준
GNSS 수신기 도입 및 관측소 이중화
DOME 설치
중앙 국 개선 핵심 SW 1 차 무결성
제공
정보 핵심 SW 2 차
중앙국 이중화 핵심 SW 3 차
업그레이드 시스템 구축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 137 -
제8장 결 론
제8장 결 론
제8장 결 론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인 FKP와 MAC을 이용한 측량작업을 제도화 하고 측지
측량 외 타 민간분야에서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140 -
제8장 결 론
- 14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4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2 -
2. MAC 보정신호를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
ID PDOP 위성수 △N △L △H 최대오차 표준편차 AREA
U춘천20 2.2 9 0.0441 0.0334 0.1634 0.2027 0.0161 강원도
U0164 2.4 8 0.0228 0.0167 0.0751 0.105 0.0097 강원도
U홍천03 2.8667 6.6667 0.0496 0.0229 0.1278 0.1666 0.0101 강원도
U0281 1.95 7.5 0.0236 0.0396 0.0137 0.0681 0.0078 강원도
U춘천08 2.1 7 0.0101 0.0182 0.0366 0.0634 0.0081 강원도
U춘천04 2.4 7.0333 0.0076 0.0076 0.0662 0.0969 0.019 강원도
U0027 2.2933 8.2 0.0244 0.0067 0.1263 0.1951 0.0396 강원도
U0017 2.6667 6 0.0175 0.0067 0.0636 0.0916 0.0126 강원도
U안흥03 2.4333 7.6667 0.0137 0.0267 0.0847 0.1276 0.0223 강원도
U0254 1.87 9 0.0126 0.0107 0.0148 0.0377 0.0055 강원도
U0261 2.3667 8.1667 0.0325 0.0233 0.0598 0.0879 0.0072 강원도
U평창19 2.2 8 0.0262 0.0179 0.0142 0.0453 0.0054 강원도
U평창07 2.9 6 0.0257 0.0122 0.0192 0.0729 0.0136 강원도
U엄정06 2.1 14 0.0333 0.0178 0.0316 0.0763 0.0148 강원도
U안흥26 2.2333 12 0.0197 0.0153 0.0317 0.0751 0.0187 강원도
U0252 1.5333 15.3333 0.0168 0.0081 0.0439 0.0581 0.0059 강원도
U0248 1.6967 11.9 0.0317 0.0075 0.0175 0.0505 0.0059 강원도
U원주19 1.7333 12.3333 0.0086 0.0073 0.0602 0.1056 0.025 강원도
U청일25 1.9 10 0.0401 0.0245 0.0448 0.0937 0.0153 강원도
U청일15 1.4233 13.7667 0.0359 0.0117 0.0316 0.076 0.0134 강원도
U갈말05 1.9 9 0.0139 0.0019 0.0061 0.0297 0.0071 강원도
U철원26 2.3 9 0.031 0.0068 0.0884 0.1134 0.0115 강원도
U0024 3.2 6.5 0.0207 0.0073 0.0124 0.0419 0.0065 강원도
U0029 2.8 7 0.0115 0.0038 0.1476 0.1772 0.0142 강원도
U0037 2.1667 8 0.0069 0.0158 0.03 0.0545 0.0065 강원도
U0040 FAIL 강원도
U0097 2.3 8 0.0377 0.0057 0.0685 0.0939 0.0103 강원도
U0099 2.3 8 0.0146 0.0393 9.7608 9.7733 0.0067 강원도
U청일06 2.3733 8.3 0.0205 0.0038 0.0733 0.1232 0.0284 강원도
U0174 2.3 8 0.013 0.0206 0.053 0.0812 0.0118 강원도
U0179 2.5 8 0.0161 0.0109 0.0776 0.1044 0.021 강원도
U0107 2.4 8 0.0235 0.0207 0.1177 0.1523 0.0223 강원도
U0105 2.1 7 0.0202 0.0067 0.0384 0.0578 0.0052 강원도
U0045 3.3 6 0.0125 0.0091 0.0312 0.0715 0.0132 강원도
U0043 2.6667 7 0.0149 0.0145 0.0569 0.0776 0.0071 강원도
U0036 FAIL 강원도
U청일57 2.3 9 0.0154 0.0192 0.0127 0.0465 0.007 강원도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5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2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6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2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3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4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5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6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7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8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79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80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81 -
부 록- 최신도입 NRTK 보정신호를 이용한 현장평가 결과
- 182 -
참고문헌
Mader, G. (1999), GPS Antenna Calibration at the National Geodetic Survey, GPS
Bilich, A. and G. Mader (2010), GNSS Absolute Antenna Calibration at the National
Geodetic Survey, 23rd International Technical Meeting of the Satellite Division of The
Conner, M. (2011), Automobile sensors may usher in self-driving cars, EDN Network.
differennt methods for the combination of gravity and GPS/Levelling data, In: Schwarz
K-P (ed) Geodesy beyond 2000-the callenges of the first decade, International
- 183 -
Association of Geodesy Symposia, Vol. 121, Springer, Berlin Heidelaberg New York,
pp. 137-142.
Featherstone W.E. (2000a) Towards unification of the Australian height datum between
the Australian mainland and Tasmania using GPS and the AUSGeoid98 geoid model,
Hwang, C., Lee, L. H., Yu, S. B., Chen, H. Y.(2004), Single and multi-epoch analyses
central Taiwan,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ol. 130, No. 2, pp. 86-94.
Torge, W. (2001), Geodesy, 3rd Edition, Walter de Gruyter, Berlin, New York, pp.
178-184.
Featherstone W.E. (2000b) Refinement of gravimetric geoid using GPS and levelling
Seker D.Z. Yildirim A.(2002) Orthometric Height Derivation from GPS Obsenvations,
FIG2002
Wubbena, G., A. Bagge (2002). RTCM Message Type 59-FKP for Transmission of
FKP. Geo++ White Paper, 17. April 2002, Garbsen
- 184 -
주의사항
1. 본 보고서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탁을 받
아 한국측량학회에서 수행한 보고서입니다.
2. 본 내용을 대외적으로 게재,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국
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사전 허락을 받기 바라며,
무단 복제는 절대 금합니다.
인쇄 ․ 2017년 12월
발행 ․ 2017년 12월
발행자 ․ 최 병 길
발행처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원천동)
전화 ․ 031-210-2600
FAX ․ 031-210-2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