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글자)

Eng (letter)
Ŋ
Ŋ ŋ
Writing cursive forms of Ŋ
사용법
글쓰기 시스템라틴 문자
유형영문자로그
원산지 언어라틴어
음성 용법[ŋ]
[ŋ̊]
/ˈɛŋ/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U+014A, U+014B
역사
개발
기간1619년 현재
후예없음
시스터즈Ꞑ ꞑ
Transliteration 등가물ng
기타
다른 편지를 흔히를 사용했다.n(x), ng
Latin letter Ŋŋ.svg

Eng 또는 Engma(수도: ŋ, 소문자: ŋ)는 라틴 알파벳의 문자로, 일부 언어의 서면 형태와 국제 음성 알파벳에서 벨라 비음(영어 노래와 같이)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와쇼에서 소문자 ⟨ŋ는 전형적인 [ŋ] 소리를 나타내고, 대문자 ⟨⟩는 무성 [ŋ] 소리를 나타낸다. 이 관습은 미국주의 음성 표기법에서 유래한다.

역사

구 아이슬란드어의 음운학에 관한 12세기 작품인 제1회 문법학술서는 엥 소리에 하나의 그래핀을 사용하는데, 이는 획이 ⟩⟩ g with로 g 모양을 하고 있다. 알렉산더 장로는 1619년 로고노미아 영어회화에서 같은 소리를 내기 위해 대본 g⟨⟩의 갈고리가 달린 대문자 G와 소문자 n을 사용한다.[1] William Holder는 1669년에 출판된 "말의 요소: 편지의 자연적 생산에 대한 조사의 에세이"에 있는 편지를 사용하지만, 의도한 대로 인쇄되지 않았다. 그는 에라타에서 "Ng, viz, n과 같은 꼬리를 가진 문자는 의도된 것이며, 프린터가 n과 y를 모방하는 곳을 이해해야 한다"[2]고 지적한다. 나중에 벤자민 프랭클린음성 문자에서 현재의 음성 값을 가지고 사용되었다.

외관

소문자 eng는 n에서 파생되며, 오른쪽 다리의 훅이 j의 그것과 다소 유사하다. 대문자에는 일반적인 대문자 N에 기반하여 후크가 추가되거나(또는 "N-form") 소문자(또는 "n-form")의 확대 버전이 될 수 있다. 전자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미 언어에서 선호되고, 후자는 1931-1955년의 나 언어와 [3]같은 아프리카 언어에서 선호되고, 몇몇은 현재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 선호되고 있다.

초기 프린터는 eng에 대한 특정한 글리프가 부족하여 대문자 G를 회전시키거나, 그것에 대해 ⟨⟩⟩형식을 나타내기 위해 수정하기 전에 그리스 문자 ((eta)을 대체하여(다리 긴 라틴 문자 n: ƞ로 유니코드로 인코딩됨)하여 근사하게 추정하기도 했다.

eng 사운드가 포함된 단어의 발음

대부분의 언어에서 eng은 라틴 알파벳에 없지만 그 소리는 단어로 n자에 있을 수 있다. 영어에서는 잠재적인 digraphs nc(hard c), ng(hard g), nk, nq, nx에서 들을 수 있는데, 말끝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eng가 있는 ng의 발음에 대해서는 가수, 교수형 등의 단어로 / //일 수 있으며, 손가락, 각도 등의 단어로 /ŋg/일 수 있다.

영국 영어에서 n은 c, g, q가 뒤따를 때 침식, 관여, 조사, 침입, 성분, 조사 등에서 eng로 발음된다. 다른 영어 방언에서는 n을 대신 /n/로 발음한다. 많은 영국 방언에서 길이의 ng는 단순히 /n/로 발음되며, g는 묵음문자로 발음되며, ng는 다른 말로 /n/로 발음된다.

사용법

기술 전사

자국어 맞춤법

eng의 Janalif 변종은 descender와 함께 N으로 표현된다. 키릴 문자에는 등가 버전이 사용된다.

†로 표시된 언어는 더 이상 eng를 사용하지 않지만, 이전에는 그랬다.

컴퓨터 인코딩

Eng는 유니코드로 인코딩되며, 라틴어 확장-A 범위의 일부인 U+014A 라틴 대문자 ENG와 U+014B 라틴어 스몰 레터 EnG이다. ISO 8859-4(라틴-4)에서는 BD(상위 케이스)와 BF(하위 케이스)에 위치한다.

Bemba와 같은 아프리카 언어에서 ng' (아포스트로피와 함께)는 eng가 번식이 어려운 매체에서 대체물로 널리 사용된다.

참고 항목

유사한 라틴어 문자:

유사한 키릴 문자:

참조

  1. ^ 데이비드 크리스탈(2003년). 케임브리지 영어 백과사전
  2. ^ 로버트 올브라이트(1958) 국제 음성 문자: 인디애나 대학교의 배경과 발전. 페이지 11
  3. ^ "Essay Archives and Poetry". Retrieved 10 June 2004.
  4. ^ Everson, Michael; et al. (2002-03-20).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PDF).
  5. ^ Everson, Michael; Dicklberger, Alois; Pentzlin, Karl; Wandl-Vogt, Eveline (2011-06-02).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PDF).
  6. ^ Majnep, Ian Saem; Bulmer, Ralph (1977). Birds of my Kalam Country [Mn̄mon Yad Kalam Yakt]. illustrations by Christopher Healey. New Zealand: Aukland University Press. pp. 17–18. ISBN 9780196479538. OCLC 25186281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