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카어

Dinka language
딩카
ɔää thu
발음[T̪Uɔ.T̪A]
원어민수단, 남수단
민족성딩카족
원어민 스피커
130만 (2008~2016년 경, 일부 수치 미연)[1]
라틴어(딩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2din
ISO 639-3din– 포함 코드
개별 코드:
dip– 북동부(Padang)
diw– 노스웨스턴(Ruweng)
dib– 사우스 센트럴(Agar)
dks– 남동부: Bor(이것도 포함)

냐르벵

홀, 트위
dik– 사우스웨스턴 (Rek & Twic)
글로톨로그dink1262
이 문서에는 IPA 음성 기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적절한 렌더링을 지원하지 않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IPA 심볼의 개요 가이드에 대해서는, 다음의 헬프를 참조해 주세요.IPA.

딩카어(Dinka)는 남수단의 주요 민족인 딩카족이 사용하는 나일어족 방언이다.파당, 렉, 아가르, 보르, 홀, 트윅 이스트, 트윅 등 여러 가지 주요 변종이 있으며, 서로 이해할 수 있지만 별도의 문학적 기준을 필요로 할 만큼 충분히 구별된다.자앙, 지앙, 몬지앙은 모든 딩카어를 포괄하는 총칭으로 사용된다.최근 Akutmɛt Latue Thuŋjae ((딩카 언어 개발 협회)는 Dinka의 통일된 문법을 제안했다.

딩카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는 누에르어이다.뤄어족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딩카어 어휘는 누비아어와 상당히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아마도 딩카족과 알로디아 [2]왕국 사이의 중세 상호작용 때문일 것이다.

딩카강은 주로 나일강, 특히 우간다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주요 지류인 백나일강 서안, 수단 남코르도판주 수드 습지의 북쪽과 남쪽, 그리고 남수단의 바흐르 엘 가잘 지역과 나일주 상류를 따라 발견된다.

언어적 특징

음운론

자음

20개의 자음 음소가 있습니다.

순음부 치과의 폐포 구개음 벨라
비음 m 하지 않다 n ɲ ŋ
이제 그만 p b 동작하다 d440 t d c ɟ k ɡ
마찰음 ɣ
대략적인
(가로)
j w
l
로틱 ɾ

모음.

딩카에는 13개의 음성적으로 대조적인 단모음이 있는 풍부한 모음 체계가 있다.일곱 가지 모음의 성질에 발성에는 두 가지 차이점이 있다.underdots [ ]는 Dinka 맞춤법에서 diaerese로 나타나는 숨쉬기 음성 시리즈를 나타냅니다.표시가 없는 모음은 모달 또는 삐걱거리는 유성음이다.

전선. 뒤로
평지 숨쉬다 평지 숨쉬다
가까운. i i440 u
클로즈미드 e 이그릇 o 오오
오픈미드 ɛ ɛ̤ ɔ ɔ̤
열다. a 아쿠아리움

딩카 모음에는 모달 음성, 숨 쉬는 음성, 음소화된 음성, 거친 음성 등 네 가지 발음들이 기술되어 있다.모달 시리즈는 특정 환경에서 삐걱거리거나 거친 음성 인식을 하는 반면, 호흡 모음은 중앙 집중화되며 공허한 유성음(유사음)으로 묘사됩니다.이것은 [3]톤과는 무관합니다.

게다가, 음성적으로 대조적인 세 개의 모음 길이가 있는데, 이는 극소수의 [3]언어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대부분의 딩카 동사 어근은 단모음 또는 장모음을 가진 폐쇄음절이다.몇몇 굴절들은 그 모음을 연장시킨다:

  • /lél/'2'
  • /lél/'3'
  • /lél/'2'
  • /lén'l/'3'
짧다 라안 아렐 (라안을) 고립시키고 있다."
라안 알라엘 "그는 사람을 고립시키고 있다."
너무 길다 라한 알라엘 "그는 사람을 자극하고 있어요."

톤의 광범위한 사용과 형태학과의 상호작용은 딩카의 모든 방언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보르 방언은 모두 음절 수준에서 4가지 톤을 가집니다: 낮음, 높음, 중간, 가을.[3]

Bor 고유어에서는 현재 시제의 수동어에 대한 굴절어 외에는 단모음에서 하강음을 찾을 수 없다.냐르벵과 트엉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보르어의 고유 언어에서, 그리고 아마도 다른 방언에서도 가을은 운율적인 구절의 마지막에만 인식된다.다른 곳에서는 High가 됩니다.

Bor 고유 및 기타 방언에서 Low tone은 다른 low tone 뒤에 음소적으로만 낮아집니다.다른 곳에서는 그것이 떨어지고 있지만 가을과 같지 않다: 그것은 구절 중간에 높음이 되지 않으며, 스피커는 두 음역의 음역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두 음을 구별할 수 있다.차이는 타이밍에 있는 것 같습니다.가을에서는 높은 수준의 음이 들렸다가 떨어지는 반면, 낮은 수준의 알로폰은 떨어지기 시작하고 수평을 잡습니다(즉, 하나는 모음의 첫 번째 모라, 다른 하나는 두 번째 모라).이러한 시간 차이는 음소적인 [4]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론화되어 왔기 때문에 이것은 이례적이다.

형태학

이 언어는 모음 ablaut 또는 apophony를 나타내며, 내부 모음의 변화(영어 구스/게즈와 유사)[5]를 나타냅니다.

단수형 복수형 광택을 내다 모음 교대
'필드/필드' (o~u)
키보드 '프레임/프레임' (a~disclos)

사투리

언어학자들은 딩카어를 서로에 대한 지리적 위치에 따라 5개의 언어 또는 방언 클러스터로 나눕니다.

북동부 및 서부:

  • 파당다아유엘지엘(아빌리앙, 나이엘, 에이지르, 동졸)
  • Lu dac da (아국, 위우, 아구에르)
  • Ngok de Jok (오퍼 나일)
  • 러트
  • 토이

서양어:

  • 응오크 데 족 아투오르콕 (아비에이)
  • 응옥데족다아웨
  • 루윈의 쿠엘(파나루, 알루르, 파웨니)

사우스 센트럴:

  • 알리아프
  • 씨엑(장)
  • 한천
  • 이롤 서부의 아파악.

남동부:

  • 보루
  • 트위크(Twi)
  • 냐르벵

남서부:

  • 재생
  • 아비에름
  • 아구오크
  • 아푸크
  • 아완
  • 쿠아크
  • 로우
  • 루아크/루아니장
  • 말랄(말랄기르량)
  • 팔리어트
  • 팔리에우피니
  • Twcc

만약 어조의 문법적 기능이 다른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문법적 변곡에서 어조의 중요성이 없다면, 이것들은 대체로 상호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투리 위치는 수단 민족지도를 참조하십시오.

필기 시스템

딩카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의 라틴 알파벳으로 쓰여져 왔다.현재 알파벳은 다음과 같습니다.

a b b c d d dh e & ɛ g g i i j j k l m n n nh ny ŋ th u o ɔɔ p r y

기타 알파벳의 변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서신 대체 수단
ɛ
§ ("e" 에 점 표시)
ɣ
h, x, q
ŋ
할 수 없다
ɔ
§ ("o" 에 점 표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딩카 에스놀로그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Etnologue 북동부(Padang)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Northwestern (Ruweng) at Etnologue (2015년 제18호) (서브스크립션 필요)
    사우스센트럴(Agar) at Etnologue (2015년 제18호) (서브스크립션 필요)
    남동부: 보르(Nyarweng, Hol, Twi at Etnologue 포함) (2015년 제18호) (구독 필요)
    Southwestern (Rek & Twic) at Etnologue (2015년 제18호) (서브스크립션 필요)
  2. ^ 베스윅 2004, 페이지 21
  3. ^ a b c Remijsen, Bert (2013). "Tonal alignment is contrastive in falling contours in Dinka" (PDF). Language. 89 (2): 297–327. doi:10.1353/lan.2013.0023. hdl:20.500.11820/1a385cb5-78ab-44d7-adec-93744524bc3d. S2CID 144514695.
  4. ^ Silverman, Daniel (1997). "Tone sandhi in Comaltepec Chinantec". Language. 73 (3): 473–92. doi:10.2307/415881. JSTOR 415881.
  5. ^ Bauer 2003년 이후:35

기타 자원

  • Andersen, Torben (1987). "The phonemic system of Agar Dinka". Journal of African Languages and Linguistics. 9: 1–27. doi:10.1515/jall.1987.9.1.1. S2CID 143964845.
  • Andersen, Torben (1990). "Vowel length in Western Nilotic languages". Acta Linguistica Hafniensia. 22 (1): 5–26. doi:10.1080/03740463.1990.10411520.
  • Andersen, Torben (1991). "Subject and topic in Dinka". Studies in Language. 15 (2): 265–294. doi:10.1075/sl.15.2.02and.
  • Andersen, Torben (1993). "Vowel quality alternation in Dinka verb inflection". Phonology. 10 (1): 1–42. doi:10.1017/S095267570000172X. JSTOR 4615426.
  • Beltrame, G. (1870). Grammatica della lingua denka. Firenze: G. Civelli.
  • Beswick, Stephanie (2004). Sudan's Blood Memory. University of Rochester. ISBN 1580462316.
  • Malou, Job (1988). Dinka Vowel System.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ublications in Linguistics. Vol. 82. ISBN 0-88312-008-9.
  • Mitterrutzner, J. C. (1866). Die Dinka-Sprache in Central-Afrika; Kurze Grammatik, Text und Worterbuch. Brixen: A. Weger.
  • Nebel, A. (1979). Dinka–English, English–Dinka dictionary (2nd ed.). Bologna: Editrice Missionaria Italiana.
  • Nebel, A. (1948). Dinka Grammar (Rek-Malual dialect) with texts and vocabulary. Verona: Instituto Missioni Africane.
  • Trudinger, R. (1942–44). English-Dinka Dictionary. Sudan Interior Mission.
  • Turhan, Sedat; Hagin, Sally (2005). Milet Picture Dictionary English-Dinka. Milet.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