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실론

Epsilon

엡실론(/ˈɛps ɪl ɒn/, 영국 또한 /ɛp ˈs əl ɪn/; 대문자 ε 또는 루네이트 ϵ; 그리스어: έψιλον)은 그리스 문자의 다섯 번째 문자로, 음운론적으로 중전모음에 해당합니다. IPA:[e̞] 또는 IPA:[ɛ̝].그리스 숫자 체계에서 그것은 또한 5의 값을 갖습니다.그것은 페니키아 문자 He에서He 유래되었습니다.엡실론에서 발생한 문자로는 로마자 E, ë ɛ, 키릴 е, ё, є э 등이 있습니다.

문자의 이름은 원래 εἶ(고대 그리스어: [ê ː])였지만, 중세 시대에 이 문자를 엡실론과 동일한 발음으로 발음하게 된 이전의 이중모음α ι와 구별하기 위해 ἒ ψιλόν(엡실론 '단순 e')로 바뀌었습니다.

엡실론의 대문자 형태는 라틴어 E와 동일하지만 유니코드에 고유한 코드 포인트가 있습니다.U+0395 ε 그리스 대문자 엡실론.소문자판은 두 가지의 활자형 변형이 있으며, 둘 다 중세 그리스의 필체로부터 물려받은 것입니다.현대 타이포그래피에서 가장 흔하고 중세의 극소량에서 물려받은 하나는 "3"이라는 역수처럼 보이며 U+03B5 ε 그리스 문자 엡실론으로 인코딩되어 있습니다.루네이트 또는 유니셜 엡실론이라고도 하며 이전 유니셜 쓰기에서 상속된 다른 하나는 수평 막대가 교차하는 반원처럼 보입니다. U+03F5 ϵGREIC LUNATE EPSILON Symbol로 인코딩되어 있습니다.일반적인 타이포그래피에서 이것들은 단지 대체 글꼴 변형이지만 수학적 기호로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은 그것들을 위한 독특한 인코딩을 제공합니다.[3]TeX에서는.\epsilon( ϵ 은 루네이트 형태를 나타내며,\varepsilon( ε 는 역-3 형태를 나타냅니다.유니코드 버전 2.0.0 이상에서는 그리스어 엡실론 소문자로 ɛ를 사용하지만 버전 1.0.0에서는 ϵ를 사용했습니다.루네이트 또는 유니셜 엡실론은 유로 부호[7]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리스의 소문자 엡실론과 비슷하게 생긴 '라틴 엡실론', ɛ 또는 'open e'도 있습니다.U+025B ɛ 라틴 스몰 레터 오픈 E 및 U+0190 ɛ 라틴 대문자 오픈 E로 유니코드로 인코딩되어 IPA 음성 기호로 사용됩니다.이 라틴 대문자 엡실론인 ɛ는 그리스 대문자 σ(시그마)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달의 엡실론인 ϵ은 집합 멤버쉽 기호 ∈과(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기호 \in주세페 페아노에 의해 처음으로 집합 이론과 논리학에서 사용되었고 현재 일반적으로 집합 멤버쉽을 위해 수학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belongs to"). 이 기호는 원래 라틴어 est의 약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엡실론 문자에서 진화했습니다.또한 수학자들은 종종 기호 ∈를 "element of"로 읽는데, 예를 들어 1\in\N에 대한 "1은 자연수의 원소"입니다.1960년 말까지만 해도 ε 자체가 세트 멤버십에 사용된 반면, ε의 부정(현재 ∉)은 엡실론 프라임(epsilon prime)에 의해 "소속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점차적으로 완전히 분리되고 양식화된 기호가 엡실론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관련 맥락에서, 페아노는 또한 "그런 것"이라는 문구에 거꾸로 엡실론인 ϶를 사용하는 것을 도입했지만, 비공식적인 추기경들에서 ϶를 대신하여 s.t.라는 약어가 때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역사

기원.

ε 문자는 그리스인들이 알파벳 문자를 처음 채택했을 때 페니키아 문자 He(히)에서 따왔습니다.고대 그리스 문자에서, 그것의 모양은 페니키아 문자의 모양과 여전히 같습니다.다른 그리스 문자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필기 방향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inlineinline을 향할 수 있지만, 페니키아 문자와 마찬가지로 가로 막대는 항상 필기 방향을 향합니다.고대 문자는 가장 낮은 가로 막대보다 약간 아래로 뻗은 세로 줄기와 함께 페니키아 형태를 보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고전 시대에는 보다 필기체의 영향을 받아 형태가 현재의 이집트로 단순화되었습니다.[9]

소리값

페니키아 문자 He의 원래 발음은 [h]였지만, ε의 가장 초기 그리스어 음가는 페니키아 문자 이름에서 발생하는 모음에 의해 결정되었는데, 이것은 자음 기호에서 [e] 소리를 나타내는 모음 기호로 재해석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선택이 되었습니다.고전적인 그리스어 음가인 짧은 /e/ 음소 외에도 처음에는 다른 [e]와 같은 소리에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예를 들어, 기원전 500년 이전의 초기 다락방에서는 긴, 열린 /ɛː/,닫힘 /e ː/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앞의 역할에서는 나중에 고전 그리스 문자에서 동쪽 이오니아 문자에서 넘겨받은 에타(η)로 대체되었고, 뒤의 역할에서는 디그래프 철자인 ε ι로 대체되었습니다.

경음문자

어떤 방언들은 다양한 e와 같은 소리들을 구별하는 다른 방법들을 사용했습니다.

코린토스에서 /e/와 /ɛː/를 나타내는 ε의 정상 함수는 뾰족한 B()와 비슷한 글리프()에 의해 취해진 반면, ε는 /eː/의 긴 클로즈에만 사용되었습니다.베타라는 글자는 차례로 일탈적인 모양을 취했습니다.

사이시온에서는 X()inline를 닮은 변형 글리프가 코린토스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되었습니다.[12]

테스피아이(Boeotia)에서는 단일의 오른쪽을 가리키는 수평 막대()inline를 가진 수직 줄기로 구성된 특별한 글자 형태가 성악 이전 환경에서 /e/상승된 변형일 가능성이 있는 것에 사용되었습니다.[13][14]이 태크 글리프는 다른 곳에서도 "헤타"의 형태로 사용되었는데, 즉 /h/ 소리에 사용되었습니다.

글리프 변이체

표준 고전 이오니아어(유클리드) 그리스 문자가 확립된 후, 필체를 통해 ε에 대한 새로운 글리프 변형이 도입되었습니다.고대 후기의 문학 파피루스 필사본과 중세 초기의 벨룸 코드에서 사용된 언셜 문자에서 "달인" 모양()inline이 우세하게 되었습니다.필기체에서는 많은 수의 속기 문자가 사용되게 되었는데, 여기서 십자봉과 곡선 획이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15]어떤 것들은 현대의 소문자 라틴어 "e"와 닮았고, 어떤 것은 가운데에서 시작하는 다음 글자와 연결되는 획이 있는 "6", 그리고 어떤 것은 두 개의 작은 "c" 같은 곡선의 조합입니다.이 모양들 중 몇몇은 나중에 아주 작은 책 손에 넘겨졌습니다.다양한 극소문자 형태 중 역-3 형태는 현대 그리스 타이포그래피에서 소문자 엡실론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언시알 언셜 변이체 필기체 변형 미량 결찰이 있는 극소량
inline inline inline inline inline

사용하다

국제음색문자

발음이 미드임에도 불구하고, 국제 음성 알파벳에서 라틴어 엡실론 / ɛ/는 영어 pet /p ɛt/처럼 개방-미드 전면 무원순 모음을 나타냅니다.

기호.

대문자 엡실론은 라틴 문자 E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리스어 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그러나 인장, 압축 및 실제 변형률을 계산하기 위해 영률 방정식과 함께 구조 역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리스 소문자 엡실론ε, 달의 엡실론 기호ϵ, 라틴어 소문자 엡실론과 ɛ(위 참조)는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됩니다.

유니코드

  • 그리스어 엡실론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Ε ε ϵ ϶
유니코드명 그리스 대문자 엡실론 그리스 문자 엡실론 그리스 루나테 엡실론 기호 그리스의 역행 루네이트 엡실론 기호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917 U+0395 949 U+03B5 1013 U+03F5 1014 U+03F6
UTF-8 206 149 CE 95 206 181 CEB5 207 181 CF B5 207 182 CF B6
숫자 문자 참조 Ε Ε ε ε ϵ ϵ ϶ ϶
기명문자참조 Ε ε, ε ϵ, &straight엡실론;, ϵ ϶, ϶
도스 그리스어 132 84 156 9C
도스 그리스어-2 168 A8 222 DE
윈도우 1253 197 C5 229 E5
TeX \varepsilon \epsilon
  • 콥트 아이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유니코드명 콥틱 대문자 EIE 콥틱 작은 글자 EIE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11400 U+2C88 11401 U+2C89
UTF-8 226 178 136 E2 B288 226 178 137 E2 B289
숫자 문자 참조 Ⲉ Ⲉ ⲉ ⲉ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Ɛ ɛ
유니코드명 라틴 대문자
오픈E
라틴어 작은 글자
오픈E
라틴어 작은 글자
복고풍 후크가 있는 개방형
수정자 문자
스몰 오픈E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400 U+0190 603 U+025B 7571 U+1D93 7499 U+1D4B
UTF-8 198 144 C690 201 155 C99B 225 182 147 E1 B6 93 225 181 139 E1 B58B
숫자 문자 참조 Ɛ Ɛ ɛ ɛ ᶓ ᶓ ᵋ ᵋ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ɜ ɝ
유니코드명 라틴어 작은 글자
거꾸로 열린 E
라틴어 작은 글자
거꾸로 열린 부분(후크 포함)
라틴어 작은 글자 반전됨
복고풍 후크가 있는 개방형
수정자 문자
작은 반전 개구부 E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604 U+025C 605 U+025D 7572 U+1D94 7583 U+1D9F
UTF-8 201 156 C99C 201 157 C99D 225 182 148 E1 B694 225 182 159 E1 B69F
숫자 문자 참조 ɜ ɜ ɝ ɝ ᶔ ᶔ ᶟ ᶟ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ʚ ɞ
유니코드명 라틴어 작은 글자
터닝 오픈
수정자 글자 작음
터닝 오픈
라틴어 작은 글자
닫힘 오픈E
라틴어 작은 글자
닫힌 반전 오픈 E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7432 U+1D08 7500 U+1D4C 666 U+029A 606 U+025E
UTF-8 225 180 136 E1 B488 225 181 140 E1 B58C 202 154 CA9A 201 158 C99E
숫자 문자 참조 ᴈ ᴈ ᵌ ᵌ ʚ ʚ ɞ ɞ
  • 수학적 엡실론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𝚬 𝛆 𝛦 𝜀 𝜠 𝜺
유니코드명 수학적 굵은 글씨체
수도 엡실론
수학적 굵은 글씨체
소형 엡실론
수학 기울임꼴
수도 엡실론
수학 기울임꼴
소형 엡실론
수학 굵은 기울임꼴
수도 엡실론
수학 굵은 기울임꼴
소형 엡실론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120492 U+1D6AC 120518 U+1D6C6 120550 U+1D6E6 120576 U+1D700 120608 U+1D720 120634 U+1D73A
UTF-8 240 157 154 172 F09D 9A AC 240 157 155 134 F09D9B86 240 157 155 166 F09D 9B A6 240 157 156 128 F09D 9C 80 240 157 156 160 F09D 9CA0 240 157 156 186 F09D 9CBA
UTF-16 55349 57004 D835 DEAC 55349 57030 D835 DEC6 55349 57062 D835 DEE6 55349 57088 D835 DF00 55349 57120 D835 DF20 55349 57146 D835 DF3A
숫자 문자 참조 𝚬 𝚬 𝛆 𝛆 𝛦 𝛦 𝜀 𝜀 𝜠 𝜠 𝜺 𝜺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𝛜 𝜖 𝝐
유니코드명 수학적 굵은 글씨체
엡실론 기호
수학 기울임꼴
엡실론 기호
수학 굵은 기울임꼴
엡실론 기호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120540 U+1D6DC 120598 U+1D716 120656 U+1D750
UTF-8 240 157 155 156 F09D 9B 9C 240 157 156 150 F09D9C96 240 157 157 144 F09D 9D 90
UTF-16 55349 57052 D835 DEDC 55349 57110 D835 DF16 55349 57168 D835 DF50
숫자 문자 참조 𝛜 𝛜 𝜖 𝜖 𝝐 𝝐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𝝚 𝝴 𝞔 𝞮
유니코드명 수학적 산세리프
대담한 자본 엡실론
수학적 산세리프
굵은 소형 엡실론
수학적 산세리프
굵은 이탤릭체 대문자 엡실론
수학적 산세리프
굵은 이탤릭체 작은 엡실론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120666 U+1D75A 120692 U+1D774 120724 U+1D794 120750 U+1D7AE
UTF-8 240 157 157 154 F09D 9D 9A 240 157 157 180 F09D 9D B4 240 157 158 148 F09D9E94 240 157 158 174 F09D 9E AE
UTF-16 55349 57178 D835 DF5A 55349 57204 D835 DF74 55349 57236 D835 DF94 55349 57262 D835 DFAE
숫자 문자 참조 𝝚 𝝚 𝝴 𝝴 𝞔 𝞔 𝞮 𝞮


캐릭터정보
미리보기 𝞊 𝟄
유니코드명 수학적 산세리프
굵은 엡실론 기호
수학적 산세리프
굵은 기울임꼴 엡실론 기호
인코딩 십진의 육각형의 12월의 육각형의
유니코드 120714 U+1D78A 120772 U+1D7C4
UTF-8 240 157 158 138 F09D 9E 8A 240 157 159 132 F09D 9F 84
UTF-16 55349 57226 D835 DF8A 55349 57284 D835 DFC4
숫자 문자 참조 𝞊 𝞊 𝟄 𝟄

이 문자들은 수학 기호로만 사용됩니다.양식화된 그리스 문자는 텍스트 스타일을 나타내기 위해 마크업과 서식을 사용하여 일반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어야 합니다.

초기의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Wells, John C. (1990). "epsilon".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Harlow, England: Longman. p. 250. ISBN 0582053838.
  2. ^ "epsilon".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3. ^ a b 닉 니콜라스:2012-12-15 archive.today, 2003-2008 (그리스 유니코드 문제)
  4. ^ Colwell, Ernest C. (1969). "A chronology for the letters Ε, Η, Λ, Π in the Byzantine minuscule book hand". Studies in methodology in textual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Leiden: Brill. p. 127.
  5. ^ "Code Charts" (PDF).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2.0. p. 130. ISBN 0-201-48345-9.
  6. ^ "Code Charts" (PDF).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0. Vol. 1. p. 130. ISBN 0-201-56788-1.
  7. ^ "European Commission – Economic and Financial Affairs – How to use the euro name and symbol". Ec.europa.eu. Retrieved 7 April 2010. Inspiration for the € symbol itself came from the Greek epsilon, ϵ – a reference to the cradle of European civilization – and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Europe, crossed by two parallel lines to 'certify' the stability of the euro.
  8. ^ Halmos, Paul R. (1960). Naive Set Theory. New York: Van Nostrand. pp. 5–6. ISBN 978-1614271314.
  9. ^ Jeffery, Lilian H. (1961).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Oxford: Clarendon. pp. 63–64.
  10. ^ 제프리, 지역 대본, 24쪽.
  11. ^ 제프리, 지역 대본, 114쪽.
  12. ^ 제프리, 지역 대본, 138쪽.
  13. ^ Nicholas, Nick (2005). "Proposal to add Greek epigraphical letters to the UC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6-05-05. Retrieved 2010-08-12.
  14. ^ 제프리, 지역 대본, 89쪽.
  15. ^ Thompson, Edward M. (1911). An introduction to Greek and Latin palaeography. Oxford: Clarendon. pp. 191–194.
  16. ^ Weisstein, Eric W. "Delta Function". mathworld.wolfram.com. Retrieved 2019-02-19.

추가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