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3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
십수년: | |
연도: |
주제별1713번길 |
---|
예술과 과학 |
나라들. |
지도자 목록 |
출생 및 사망 범주 |
설치 및 설정 해제 카테고리 |
작업분류 |
그레고리력 | 1713 MDCCXIII |
아브르베 콘디타 | 2466 |
아르메니아력 | 1162 ԹՎ ՌՃԿԲ |
아시리아력 | 6463 |
발리 사카 달력 | 1634–1635 |
벵골 달력 | 1120 |
베르베르 달력 | 2663 |
영국 왕년의 해 | 11 Ann. 1 – 12 Ann. 1 |
불교 달력 | 2257 |
버마력 | 1075 |
비잔틴 달력 | 7221–7222 |
중국 달력 | 壬辰年 (수룡) 4409 또는 4349 — to - 癸巳年 (물뱀) 4410년 또는 4350년 |
콥트 달력 | 1429–1430 |
불협화음력 | 2879 |
에티오피아 달력 | 1705–1706 |
히브리어 달력 | 5473–5474 |
힌두교의 달력 | |
- 비크람 삼바트 | 1769–1770 |
- 샤카삼바트 | 1634–1635 |
- 칼리 유가 | 4813–4814 |
홀로세 달력 | 11713 |
이그보 달력 | 713–714 |
이란의 달력 | 1091–1092 |
이슬람력 | 1124–1125 |
일본 달력 | 쇼토쿠 3호 (正徳3年) |
자바력 | 1636–1637 |
율리우스력 | 그레고리안 마이너스 11일 |
한국 달력 | 4046 |
민궈 달력 | ROC 이전 199년 民前199年 |
나낙샤히 달력 | 245 |
태국의 태양력 | 2255–2256 |
티베트 달력 | 阳水龙年 (남수룡) 1839년, 1458년 또는 686년 — to - 阴水蛇年 (암수뱀) 1840년, 1459년 또는 687년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1713년에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1713 (MDCCXIII) was a common year starting on Sunday of the Gregorian calendar and a common year starting on Thursday of the Julian calendar, the 1713th year of the Common Era (CE) and Anno Domini (AD) designations, the 713th year of the 2nd millennium, the 13th year of the 18th century, and the 4th year of the 1710s decade.1713년 초 현재, 그레고리력으로 1923년까지 국부적으로 사용되었던 율리우스력보다 11일 앞서 있었다.
이벤트
1~3월
- 1월 17일 투스카로라 전쟁: 제임스 무어 대령이 투스카로라에 대한 2차 공세로 노스캐롤라이나 주 알베말 카운티에서 캐롤라이나 민병대를 이끌고 출격한다.폭설로 인해 군대는 팜리코 강에 있는 포트 레딩으로 피신해야 한다.
- 2월 1일 – 몰도바 벤더에서 벌어진 교전: 스웨덴의 샤를 12세가 오스만 제국에 패배한다.
- 2월 4일 투스카로라 전쟁:제임스 무어 대령 휘하의 캐롤라이나 민병대가 투스카로라 반대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 포트 레딩을 떠난다.
- 2월 25일 – 프로이센의 프레드릭 윌리엄 1세가 그의 통치를 시작한다.
- 3월 1일 투스카로라 전쟁: 제임스 무어 대령의 캐롤라이나 민병대는 포트 핸콕에서 몇 마일 떨어진 네오히로카 요새의 투스카로란 거점을 포위하고 있다.
- 3월 20일 투스카로라 전쟁: 제임스 무어 대령의 캐롤라이나 민병대가 네오헤로카 요새에 대해 대대적인 공세를 펼친다.
- 3월 23일 – 투스카로라 전쟁: 네오헤로카 요새가 캐롤라이나 민병대에 함락되어 투스카로라 국가의 군사력은 사실상 종식된다.두 명의 투스카로란 동맹국인 마차펑가와 코레 부족이 노스캐롤라이나에 대한 공격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
- 3월 27일 – 영국과 스페인 사이의 제1차 위트레흐트 조약: 필립 5세는 영국과 오스트리아에 의해 스페인의 왕으로 받아들여지고, 스페인은 지브롤터와 메노르카를 영국에 양도한다.[1][2]
4월~6월
- 4월 11일 –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제2차 위트레흐트 조약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종결한다.[3]프랑스는 뉴펀들랜드, 아카디아, 허드슨베이, 세인트키츠를 영국에 양도한다.[1]
- 4월 14일 – 런던에서 열리는 조셉 애디슨의 자유주의 연극 '카토, 비극'의 첫 공연으로, 대서양 양쪽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4]
- 4월 19일 – 살아있는 남성 후계자가 없는 상태에서 신성로마제국의 찰스 6세는 그의 딸들 중 한 명이 합스부르크 땅을 상속받도록 하기 위해 1713년의 실용적 제재를 발표한다.
- 5월 2일 – 북방전쟁에서 1만2000명의 군인을 수송하는 러시아 해군의 함대가 헬싱키에서 스웨덴군을 공격하기 위해 크론슈타트에서 출항한다.
- 5월 6일 – 아일랜드 의회는 앤 여왕에 의해 해산되고 새로운 선거가 준비된다.
- 5월 13일 – 스페인의 필립 5세 왕은 부르봉 왕가의 여성 후손이 통치할 수 있도록 스페인 왕위 계승 순서를 바꾸는 오토 아코타도를 발행한다.그 변화는 그의 증손녀가 이사벨라 2세 여왕으로 1833년에 왕위에 오를 수 있게 할 것이다.
- 5월 17일 –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의 첫 오페라인 빌라에서 오톤이 비첸차의 테트로 델레 그라지에 데뷔하여 초연된 공연을 갖는다.
- 5월 21일 – 북방 대전:러시아 함대는 핀란드 남부 해안의 페르노에 1만 명의 병력을 상륙시킨다.
- 6월 1일(약) – 투스카로라 전쟁: 제임스 무어 대령이 카롤리나 민병대를 이끌고 팜리코 반도로 들어가 마차펑가와 코레 부족을 무찌른다.
- 6월 23일 – 아카디아에 거주하는 프랑스인들은 1년 동안 영국에 충성을 선언하거나 노바스코샤를 떠날 수 있다.
7~9월
- 7월 13일 – 포츠머스 조약은 앤 여왕의 전쟁을 종식시킨다.
- 8월 8일 – 영국 의회, 연방법 이후 세 번째 해산
- 8월 22일 – 투표는 1713년 영국 총선에서 여러 선거구에서 시작하여 11월 12일까지 계속됨
- 9월 1일 투스카로라 전쟁:제임스 무어 대령이 이끄는 캐롤라이나 민병대는 마차펑가와 코레 부족을 상대로 한 캠페인에 혼성 후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돌아온다.
10~12월
- 10월 6일 – 슈웨드 조약은 러시아와 브란덴부르크-프루시아 사이에 체결되며, 후자는 발트 영토의 합방을 받아들이고, 포메라니아의 남부 지역에 대한 대가로 러시아 비용을 지불하며, 북방 전쟁 때 스웨덴에서 최근 빼앗겼다.
- 10월 17일 – 펠카네 전투는 지금의 핀란드인 러시아와 스웨덴 사이에서 러시아의 표도르 아르파스킨이 칼 구스타프 암펠트 휘하의 핀란드군을 철수시키도록 강요하면서 싸운다.
- 11월 6일 – 더블린 선거 폭동이 치열한 아일랜드 총선 동안 발생한다.[5]
- 11월 12일 – 1713년 영국 총선은 보수당 토리당이 하원 558석 중 358석을 얻었고, 자유당 휘그스는 200석을 얻음으로써 마무리된다.
- 12월 9일 – 위트레흐트에서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맺은 협정의 일부로서 영국과 스페인은 무역과 항해 조약을 체결한다.[6]
- 12월 10일 – 리차드 라워스 포트 세인트 부지사(Richard Raworth)의 영국 동인도 회사(British East India Company)에 대한 반란. 데이비드(지금은 버림받고 쿠드달로레 근처의 인도 타밀나두 주)는 브리디쉬 마드라스 주지사 에드워드 해리슨이 파견한 세력이 사면을 대가로 로워스가 항복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를 협상한 후 두 달 만에 막을 내린다.
- 12월 21일 – 사보이 공작 빅터 아마데우스는 팔레르모에서 시칠리아 왕을, 부인 앤 마리는 왕비를 왕비로 즉위시켰다.[7] 대관식은 스페인이 위트레흐트 조약의 일환으로 시칠리아 독립을 9월 22일부터 인정받은 데 따른 것이다.
날짜를 알 수 없음
- 야콥 베르누이의 확률에 관한 정석적인 작품인 아르스 추측단디는 그의 조카 니클라우스 베르누이가 죽은 지 8년 만에 출간했다.
- 바질 마태오 2세는 동양의 시리아크 정교회 마프리아인이 된다.[8]
출생
- 1월 2일 – 마리 두메스닐, 프랑스 배우 (d. 1803)
- 1월 5일 – 호르헤 후안 이 산타실리아, 스페인 지질학자 (d. 1773년)
- 1월 7일 – Giovanni Battista Locatelli, 이탈리아 오페라 감독 (d. 1785년)
- 1월 13일 – 샬롯 샤르케, 영국 배우 겸 작가 (d. 1760년)
- 1월 17일 – Jean Chrétien Fischer, 프랑스 장군 (d. 1762년)
- 1월 22일 – Marc-Atoine Laugier, 프랑스 예수회 사제 및 건축 이론가 (1769년)
- 1월 31일
- 2월 2일 – 마리아 마르가리다 데 로레나, 제2대 아브란테스 공작부인, 포르투갈 귀족 및 궁정(d. 1780)
- 2월 11일 – Diane Adéla mailde de Mailly, 프랑스의 유명한 네슬레 자매 5명 중 3명(1769년)
- 2월 13일 – 스페인 오페라 작곡가 도메네크 테라델라스 (d. 1751년)
- 2월 20일 – 스웨덴 페미니스트 작가 안나 마리아 엘비아 (d. 1784년)
- 3월 5일
- 3월 8일 – 지안 카를로 패로니, 이탈리아 작가 (d. 1803)
- 3월 12일 – 요한 아돌프 하스(Johann Adolph Hass), 독일 클라비코드 제조자 (d. 1771년)
- 3월 17일 – 찰스 애스길 경, 제1대 남작, 영국 정치인 (d. 1788년)
- 3월 21일 – Francis Lewis, 미국 독립 선언서 서명자 (d. 1802)
- 3월 23일 – Bowen Southwell, 아일랜드 정치인 (d. 1796년)
- 3월 26일 – 매사추세츠 주의 충신인 피터 올리버 식민지 판사 (d. 1791년)
- 3월 28일 – 후안 넨트빅, 독일 인류학자 (d. 1768년)
- 3월 29일 – 존 폰슨비, 아일랜드 정치인 (d. 1787년)
- 4월 7일 – 니콜라 살라,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 (d. 1801)
- 4월 10일 – John Whitehurst, 영국 시계 제작자 (d. 1788년)
- 4월 11일 – 루이즈 고트체드, 독일의 시인, 극작가, 수필가, 번역가 (1762년)
- 4월 12일 – 기욤 토마스 프랑수아 레이날, 프랑스 작가, 계몽시대 문인 (1796년)
- 4월 13일 – Pierre Jelyotte, 프랑스 오페라 테너 (d. 1797년)
- 4월 17일 – 영국 해군 제독 사무엘 그레이브스, 미국 독립 전쟁 초기 역할로 유명함 (d. 1787년)
- 4월 21일
- 4월 22일 – 영국 사업가 피터 듀 카인(Sr. Peter Du Cane), 1803년
- 5월 6일 – 프랑스 철학자 찰스 바트텍스, 미학 관련 작가 (d. 1780년)
- 5월 7일 – 찰스 타운리(Charles Townley), 영국군 장교(d. 1774년)
- 5월 11일 – 제임스 드러먼드, 제3대 퍼스 공작, 영국 귀족 (d. 1746년)
- 5월 13일
- 알렉시스 클레라우트, 프랑스의 저명한 수학자 (d. 1765년)
- 루이 프랑수아 드 몬테냐드, 프랑스 군인, 정치가 (1791년)
- 5월 15일
- 요세프 카롤리 헬, 헝가리 광산 기사 (d. 1789년)
- 에드워드 워틀리 몬타구, 영국 여행자 겸 작가 (d. 1776년)
- 5월 25일
- 5월 31일 – 주세페 마리아 부오나파르트, 코르시카 정치인 (d. 1763년)
- 6월 3일 – 로버트 페트르, 8대 남작 페트르, 영국 동료, 저명한 원예가(1742년)
- 6월 10일 – 영국의 캐롤라인 공주, 조지 2세의 넷째 아이와 셋째 딸(1757년)
- 6월 11일
- 존 앨런, 제3의 Viscount Allen, 아일랜드 정치인 (d. 1745년)
- 에드워드 카펠, 영국 셰익스피어 평론가 (d. 1781년)
- 6월 16일 – 메셰흐 위어, 뉴햄프셔 제1 주지사 (1786년 9월)
- 6월 20일 – 게오르크 안톤 울라우브, 독일 화가 (d. 1759년)
- 6월 22일 – 영국 신사 겸 크리켓 선수인 존 삭빌 경, 리오넬 삭빌(d. 1765년)의 둘째 아들
- 7월 1일 – 벤자민 그린, 캐나다 상인 및 심판 (d. 1772년)
- 7월 5일
- 7월 9일 – 존 뉴베리, 영어 출판사 겸 서점 (d. 1767년)
- 7월 10일 – Anna Rosina de Gasc, 독일 초상화 화가 (d. 1783년)
- 7월 18일 – 가에타노 마테오 피소니, 스위스-이탈리아 건축가 (d. 1782년)
- 7월 22일 – 신고전주의를 도입하는 국제 사회의 프랑스 건축가 자크-제르맹 수플로트(1780년)
- 7월 23일 – 포르투갈 철학자 겸 교육학자인 루이스 안토니오 버니(1792년)
- 7월 27일 – 독일 귀족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의 마가라빈 소피 샤를로트(1747년)
- 8월 1일 – 찰스 1세, 브런즈윅-울펜뷔텔 공작 (1780년)
- 8월 4일
- 8월 6일 – 프랑스 귀족이자 로한-로한 공작부인 마리 소피 드 쿠르실론, 결혼에 의한 수비세 공주 (1756년)
- 8월 11일 – Lebbeus Harris, 캐나다 정치인 (d. 1792년)
- 8월 17일 – 앙투안 드 몽타제, 프랑스 대주교 (1788년 9월)
- 8월 25일 – Vijaya Rhughunatha Raya Tondaiman I, Pudukkottai의 라자 (d. 1769년)
- 8월 27일 – 안톤 아우구스트 벡(D. 1787년)
- 9월 3일 – Pierre Gaultier de Varennes et de La Vérend례와 Marie-Anne Dandonneau Du Sablé (1736년 2월 3일)의 장남인 Jean Vatriste de La Vérend례
- 9월 10일
- 고윈 나이트, 영국 물리학자 (d. 1772년)
- 존 니덤(John Needham), 영국 생물학자 겸 사제 (d. 1781년)
- 9월 13일 – 주세페 마리아 부온델몬티, 이탈리아 철학자 (d. 1757년)
- 9월 14일 – 독일의 천문학자 겸 수학자 요한 키에스 (d. 1781년)
- 9월 16일 – 찰스 루카스(Charles Lucas), 아일랜드 약제사 및 정치인(1771년)
- 9월 23일 – 페르디난드 6세(D. 1759년)
- 10월 3일 – 앙투안 도베르네, 프랑스 작곡가 겸 바이올리니스트 (d. 1797년)
- 10월 5일 – 프랑스 철학자 데니스 디데로트(1784년)
- 10월 7일 – Granville Elliott, 육군 장성, 영국 및 팔라틴 군대에서 근무 (d. 1759년)
- 10월 8일 – 예체스켈 란도우, 할라카 (Jewish law)에 대한 폴란드 유력 권위자 (d. 1793년)
- 10월 12일 – 신디 수피 시인 루아리의 카와자 무함마드 자만(1775년)
- 10월 13일
- 10월 20일
- 10월 23일 – Pieter Burman the Younger, 네덜란드어 학위(1788년)
- 10월 24일 – 마리 펠, 프랑스 오페라 가수 (d. 1794년)
- 10월 30일 – 주세페 안토니오 랜디, 이탈리아 화가 (d. 1791년)
- 11월 1일 – 안토니오 제노베시, 이탈리아 경제학자 (d. 1769년)
- 11월 5일 – Gorges Lowter, 아일랜드 하원 의원 (d. 1792년)
- 11월 6일 – 영국 정치인 제4대 리즈 공작 토마스 오스본 (d. 1789년)
- 11월 24일
- 11월 30일 – 스위스 풍경화가 요한 발타사르 불링거(1793년)
- 12월 4일 – 가스파로 고찌, 베네치아 비평가 겸 극작가 (d. 1786년)
- 12월 10일 – Johann Nicolaus Mempel, 독일 작곡가, 음악가 (d. 1747년)
- 12월 13일 – 존 침례교 카릴, 제3대 제이콥트 남작 더포드 카릴 (d. 1788년)
- 12월 14일 – 마틴 크누첸, 독일 철학자(1751년)
- 12월 15일 – 웰보어 엘리스, 제1대 멘디프 남작, 영국 정치인 (d. 1802)
- 12월 23일 – 마루야마 곤다자에몬, 일본 스모 선수 (d. 1749년)
- 12월 27일 – Giovanni Battista Borra, 이탈리아 건축가 및 엔지니어(1770년)
- 12월 29일 –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유, 프랑스 천문학자 (d. 1762년)
죽음
- 1월 1일 – 주세페 마리아 토마시, 시칠리아 성인 (b. 1649년)
- 1월 5일 – Jean Chardin, 프랑스 보석상, 여행자 (b. 1643)
- 1월 8일 – 아르칸젤로 코렐리, 이탈리아 작곡가 (b. 1653년)
- 1월 11일 – 프랑스 개신교 지도자 피에르 쥬리외 (b. 1637)
- 1월 12일 – 제3대 칼베리 백작, 자메이카 주지사, 영국 왕립학회 회장 (b. 1639)
- 1월 20일 – 크로아티아 역사학자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 (b. 1652)
- 2월 4일 – Anthony Ashley-Cooper, 제3대 샤프트베리 백작, 영국 정치인 및 철학자 (b. 1671)
- 2월 14일 – 루이 크라토, 나소-사르브뤼켄 백작 (b. 1663년)
- 2월 25일 – 프로이센의 프레데릭 1세(b. 1657년)
- 2월 26일 – William Paget, 6번째 남작 Paget, 영국 동료 및 대사 (b. 1637)
- 3월 15일 – 볼프강 윌리엄 로머, 네덜란드 군사 기술자 (b. 1640)
- 3월 18일 – Juraj Janoshik, 슬로바키아 로빈 후드(실행)
- 3월 24일 – 프랑스 가톨릭 추기경이자 보바이스 주교인 뚜생 드 포빈 잰슨 (b. 1631년)
- 3월 26일
- 폴 1세, 에스테르하지 왕자, 헝가리 왕자 (b. 1635)
- 샤를 드 세비녜, 프랑스 남작 (b. 1648)
- 3월 30일 – 네덜란드의 의사, 해부학자, 시인 및 극작가 고버트 비들루 (b. 1649년)
- 4월 3일 – 앙리, 브리오네 백작, 프랑스 귀족 (b. 1661)
- 5월 20일 – Thomas Sprat, 영국 장관 (b. 1635)
- 7월 7일 – 헨리 콤프턴 옥스퍼드 주교, 추밀원 의원 (b. 1632년)
- 8월 4일 – 윌리엄 동굴, 영어 신성 (b. 1637)
- 8월 26일(부르) – 프랑스 발명가 데니스 파핀(b. 1647)
- 10월 15일 – 요한 마이클 푸흐트마이어 장로, 독일 예술가 (b. 1666년)
- 10월 18일 – 삼포 코콜자, 베네치아 화가 (b. 1661년)
- 10월 20일 – Archibald Pitcairne, 스코틀랜드 의사 (b. 1652)
- 10월 28일 – Paolo Lorenzani, 이탈리아 작곡가 (b. 1640)
- 10월 31일 –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 투스카니 대공 (b. 1663년)
- 11월 6일 – 아우어스페르크의 프란츠 칼, 오어스페르크의 왕자, 뮌스터베르크 공작 (1705-1713) (b. 1660)
- 11월 7일 – 영국 여배우 엘리자베스 배리 (b. 1658)
- 11월 17일 –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아브라함 판 리에비크 (b. 1653년)
- 12월 14일 – 영국 역사학자 토마스 라이머 (b. 1641년)
- 12월 15일 – 카를로 마라타, 이탈리아 화가 (b. 1625)
- 12월 18일 – 프레드릭 하인리히(B. 1668년)
- 12월 31일 – Edward Proger, Brecknockshire 국회의원 (b. 1621년)
- 날짜를 알 수 없음
참조
- ^ a b Williams, Hywel (2005).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London: Weidenfeld & Nicolson. ISBN 0-304-35730-8.
- ^ Jackson, William G. F. (1986). The Rock of the Gibraltarians. Cranbury, NJ: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pp. 113, 333–34. ISBN 0-8386-3237-8.
- ^ Cates, William L. R. (1863). The Pocket Date Book. London: Chapman and Hall.
- ^ Litto, Fredric M. (1966). "Addison's Cato in the Colonies". William and Mary Quarterly. 23: 431–449. JSTOR 1919239.
- ^ 런던과 더블린, 1500-1840 By British Academy ·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페이지 84. 닐 가르넘의 "18세기 더블린 경찰과 공공질서"
- ^ 랜달 레사퍼, 옥스퍼드 공공국제법 "위트레흐트의 평화와 힘의 균형"
- ^ 안토니오 갈렝가, 피에몬트의 역사, 제3권 (Chapman and Hall, 1855년) 페이지 118
- ^ a b Wilmshurst, David (2019). "West Syrian patriarchs and maphrians". In King, Daniel (ed.). The Syriac World. Routledge. p.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