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56 NB
2005 NB56검출[1] | |
---|---|
검출자 | Lemmon 산 측량 |
디스커버리 | 서머헤븐, 애리조나, 미국 |
검출일 | 2005년 7월 11일 |
지정 | |
2005년 NB56 | |
궤도 특성[2] | |
Epoch 14 2005년 7월 (JD 2453565.5) | |
불확도 파라미터 7 | |
관측호 | 17[1] d |
아필리온 | 2.41707 AU (361.589 Gm) |
근일점 | 0.86585 AU(129.529 Gm) |
1.64146 AU (245.559 Gm) | |
편심 | 0.47251 |
2.10년(768.15d) | |
25.175° | |
0°28m 7.19s/일 | |
기울기 | 6.7563° |
112.359° | |
114.15° | |
어스 MOID | 0.0163799 AU (2,450,400 km) |
목성 MOID | 2.5887 AU(387.26 Gm) |
물리적 특성 | |
평균 직경 | 최대 170 m[3] |
22.9[2] | |
2005년 NB56으로 표기된 2005년56 NB는 아폴로 [2]그룹의 지구근접 소행성이다.2009년, 연구 물리학자 에드워드 드로비셰프스키와 동료들은 2005년56 NB가 1908년 6월 30일 퉁구스카 사건을 일으킨 유성체의 발생원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그것은 또한 휴면 [4]혜성으로 의심되고 있다.
퉁구스카 사건의 발생원 추정
한 연구는 "혜성 덩어리가 5-10메가톤의 불덩어리를 일으켜 대기권에서 튕겨나와 [4]태양 주위를 도는 궤도로 되돌아갔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물체는 2005년에 발견되었을 때 지구에 가까이 접근했고 2045년에 [5]다시 발견될 것이다.이 물체는 잘 알려지지 않은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17일의 관측 호에서만 관측되었습니다. 1908년에 그 위치를 충분히 정확하게 [2]예측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레퍼런스
- ^ a b "2005 NB56". Minor Planet Center. Retrieved 9 August 2017.
- ^ a b c d "(2005 NB56)". JPL Small-Body Database. Jet Propulsion Laboratory. SPK-ID: 3283898. Retrieved 9 August 2017.
- ^ Drobyshevski, E. M.; Galushina, T. Yu; Drobyshevski, M. E. (March 2009). "A search for a present-day candidate for the Comet P/Tunguska-1908". arXiv:0903.3313 [astro-ph.EP].
- ^ a b 혜성이 공격할 때: 현대 역사상 가장 큰 자연 폭발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마크 앤더슨이 쓴 인기 기계학
- ^ "NEODyS: 2005NB56".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Retrieved 19 Ma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