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회 체스 올림피아드

33rd Chess Olympiad
올림픽 공식 로고
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제33회 체스 올림피아드FIDE가 주최하고 오픈과 여자 토너먼트로[1] 구성된 것으로 1998년 9월 26일부터 10월 13일 사이에 러시아 칼미키아 엘리스타에서 열렸다. 오픈 종목은 110개 팀, 여자 종목은 72개 팀이 출전했다.

올림피아드는 체스 시티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 체스 대회였다. 대회 시작까지 단지 조성이 완료되지 않았고, 일부 FIDE 회원들은 주경기장으로 사용될 공항, 전화 시스템, 선수 숙소, '체스 팰리스' 등 시설이 제때 준비되지 않을 것을 우려했다.

FIDE와 Kirsan Ilyumzhinov Karmykia 사장의 인권 유린에 대한 보고는 두마 회원인 발레리 보르쉬체프의 보이콧 요구로 이어졌다. 영국 정부는 보이콧을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인권 문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보고'를 확인했고 칼미키아 당국이 자국 목적을 위해 올림피아드 참가에 따른 홍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2] 덴마크, 노르웨이, 슬로바키아 등 3개국이 가입했지만 탈퇴를 선택했다.

개막식은 예정대로 열렸지만 체스 궁전은 여전히 비계로 뒤덮여 많은 창문이 빠져 있었다. 1라운드가 지연되고, 하루의 자유일이 없어졌으며, 토너먼트는 계획된 14라운드에서 13라운드로 단축되었다. 주최측은 주경기장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았지만 대회가 진행됨에 따라 24시간 내내 활동했고 경기 조건도 개선됐다. 생활환경, 식음료, 전화서비스 등은 대체로 무난한 것으로 알려졌다.[3][4]

두 대회 모두 인터내셔널 아르비터 게르트 기젠(네덜란드)이 주례를 맡았다. 스위스의 시스템에 따라 13라운드 경기에서 팀들이 짝을 이루었다. 오픈 디비전은 라운드당 4개 이상의 보드로 진행되었고, 여자 경기는 3개 이상의 보드로 진행되었다. 무승부가 발생할 경우 동점골은 1. Buchholz 시스템, 2. 매치 포인트로 결정되었다.

경기당 시간 조절은 각 선수가 100분씩 동작을 처음 40회, 다음 20회 동작을 50회, 경기를 끝내는 데 10분을 허용했고, 첫 동작부터 동작 후 각 선수에게 30초를 더 할애했다.

전체 메달 수상자 외에도 시드 그룹별로 팀을 나눠 각 조의 상위 피니셔들이 특별상은 각 조의 상위 피니셔들이 특별상을 받았다.

오픈 이벤트

오픈 디비전은 106개국을 대표하는 110개 팀이 경합을 벌였다. 러시아는 개최국으로서 전례 없는 4개 팀(러시아 'C'는 '팀 칼미키아', 러시아 'D'는 유소년 팀)을 출전시켰고, 국제점자체스협회는 1개 팀을 출전시켰다.

최강인 '쓰리 ks'(PCA 세계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 FIDE 챔피언 아나톨리 카르포프, 블라디미르 크람니크)가 없어도 러시아는 여전히 호평이었고, 4연패를 달성했다. 미국은 이전 올림피아드보다 한 단계 더 향상되어 2위를 차지했고, 우크라이나는 동메달을 차지하여 동메달로 이스라엘을 타이브레이크에서 이겼다.

오픈 이벤트
# 나라 플레이어스 평균
순위
포인트 부홀츠
1 러시아 스비들러, 루블롭스키, 바레예프, 모로제비치, 즈비긴세프, 사카에프 2684 35½
2 미국 예르몰린스키, 샤발로프, 세이라완, 굴코, 드 포르말리아, 카이다노프 2631 34½
3 우크라이나 이반추크, 오니스추크, 로마니신, 말라니욱, 사브첸코, 포노마리오프 2638 32½ 394.0
4 이스라엘 알터만, 스미린, 수토프스키, 프사키스, 코사쉬빌리, 아브룩 2593 32½ 379.0
5 중국 펑샤오민, 예장촨, 장중, 유샤오텡, 우원진, 왕루이 2498 31½ 389.5
6 독일. 유수포프, 도토프, 루츠, 후브너, 가브리엘, 루터 2610 31½ 386.5
7 조지아 아즈메이파라슈빌리, 조르가체, 슈투루아, 바가투로프, 수파타슈빌리, 잔지가바 2601 31½ 377.5
8 러시아 "B" 드리브, 필리포프, 볼코프, 코발리아, 예멜린, 샤리야즈다노프 2594 31 395.5
9 헝가리 알마시, 핀테르, C 호바스, J. 호바스, 바르가, 기메시 2588 31 375.0
10 루마니아 이스트르제스쿠, 마린, 니시페아누, 이오네스쿠, 네베드니치, 바이다 2548 30½ 392.5

개인 메달

여성 이벤트

여자부에서는 69개국을 대표하는 72개 팀이 경합을 벌였다. 러시아는 주최국으로서 세 팀을 출전시켰고 국제 점자 체스 협회는 한 팀에 들어갔다.

중국은 마침내 전(및 미래의) 세계 챔피언 시준과 미래의 챔피언 주첸이 이끄는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동유럽의 지배력을 깨뜨렸다. 러시아는 은메달을 따냈고, 4관왕 조지아는 동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 나라 플레이어스 평균
순위
포인트 부홀츠
1 중국 시준, 주천, 왕핀, 왕레이 2480 29
2 러시아 마트베바, 코발렙스카야, 슈미아키나, 스테포바야디안첸코 2438 27 295.0
3 조지아 치부르다니제, 이오셀리아니, 아라카미아그란트, 흐흐르츠제 2480 27 289.5
4 네덜란드 펑자오친, 스지바, 보스봄-란차바, 일본 쯔젠산 2325 23½ 290.0
5 불가리아 스테파노바, 보이스카, 벨체바, 알렉시에바 2387 23½ 277.0
6 루마니아 코리나 펩탄, 파이오르, 코스마, 올레라주 2398 23 299.0
7 FR 유고슬라비아 마리치, 보즈코비치, 부카노비치, 마나코바 2422 23 293.5
8 헝가리 라코스, 마들, 그라빅스, 메드베기 2383 23 279.5
9 러시아 "C" 데미나, 코스테니우크, 카라슈키나, 겔라슈빌리 2205 23 275.0
10 미국 벨라코프스키아, 크루시, 엡스타인, 도날드슨-아크밀로프스카야 2355 23 271.5

개인 메달

전체 제목

노나 개핀다쉬빌리 트로피는 오픈 부문 평균 랭킹이 가장 높은 국가와 여자 부문에 수여된다. 두 개 이상의 팀이 동점일 경우, 각 조에서 한 조에서 가장 좋은 단일 결승선을 통과한 다음 총점수를 기록하여 순위를 정한다.

전 세계 여자 챔피언(1961-78년)의 이름을 딴 이 트로피는 1997년 FIDE가 제작해 엘리스타에서 처음으로 시상했다.

# 개방하다
나누기
여성용
나누기
평균
1 러시아 1 2
2 중국 5 1 3
3 조지아 7 3 5

메모들

  1. ^ 흔히 남자부라고 하지만 이 구간은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2. ^ "The Week in Chess 202". theweekinchess.com. Retrieved 2016-11-04.
  3. ^ "The Week in Chess 203". theweekinchess.com. Retrieved 2016-11-04.
  4. ^ "The Week in Chess 204". theweekinchess.com. Retrieved 2016-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