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회 체스 올림피아드

11th Chess Olympiad
올림피아드의 공식 로고

국제[1] 체스 연맹이 주최하고 열린 팀 토너먼트와 체스 경기를 홍보하기 위해 고안된 몇몇 다른 이벤트들로 구성된 제11회 체스 올림피아드는 1954년 9월 4일부터 9월 25일 사이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렸다.

30개 팀이 지원했지만 26개 팀만 참가하였다.가장 눈에 띄는 불참자는 USCF의 재정난으로 여행경비를 감당할 수 없었던 미국이었다.

소련 팀이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고, 아르헨티나와 유고슬라비아에 이어 또 한 번 우승했다.그러나 이전의 올림피아드와 달리, 그들은 이번 올림픽을 완전히 장악하고 모든 반대파를 격파하여, 7점이라는 놀라운 차이로 결승전에서 승리했다.케레스의 96.4%라는 놀라운 점수는 사상 최고 기록이었다. 그는 첫 경기(스웨덴의 닐손에 맞서)를 그렸고, 나머지 경기에서 승리했다.

결과.

1954년 체스 올림피아드 시상식.왼쪽: 코토프, 겔러, 스미슬로프, 브론슈타인, 케레스, 보트비니크, 본다렙스키

예선

총 26개 팀이 대회에 참가하여 6개 또는 7개 팀으로 구성된 4개의 예선 그룹으로 나뉘었다.각 조의 상위 3명은 최종 A로, 나머지는 최종 B로 진출했다.모든 조와 결승전은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로 치러졌다.

1조는 소련의 승리로 네덜란드의 개최국과 아이슬란드를 크게 앞섰다.오스트리아, 핀란드, 그리스가 하위권에 머물렀다.

아르헨티나는 불가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에 앞서 2조 1위를 차지했다.캐나다, 이탈리아, 아일랜드가 나머지 그룹을 구성했다.

3조는 유고슬라비아와 스웨덴에 앞서 이스라엘이 승리했다.덴마크, 노르웨이, 프랑스, 사르는 패자부활 결승전에 진출해야 했다.

헝가리는 서독과 영국에 앞서 4그룹을 확정지었다.스위스, 콜롬비아, 벨기에, 룩셈부르크가 그룹을 형성했다.

그룹 1

파이널 나라 1 2 3 4 5 6 + = 포인트
»A » 소비에트 연방 - 2 3 4 4 4 0 1 16½
»A » 네덜란드 2 - 3 3 4 0 1 13
»A » 아이슬란드 ½ - 3 3 2 0 11
«B » 오스트리아 1 1 1 - 3 2 3 0
«B » 핀란드 0 1 ½ 1 - 3 1 4 0
«B » 그리스 0 ½ 1 - 0 5 0

그룹 2

파이널 나라 1 2 3 4 5 6 + = 포인트
»A » 아르헨티나 - 2 2 3 3 4 3 0 2 14
»A » 불가리아 2 - 2 3 0 2 13½
»A » 체코슬로바키아 2 2 - 3 4 3 0 2 13½
«B » 캐나다 1 - 2 3 0 10
«B » 이탈리아 1 ½ 1 - 1 4 0
«B » 아일랜드 0 ½ 0 ½ ½ - 0 5 0

그룹 3

파이널 나라 1 2 3 4 5 6 7 + = 포인트
»A » 이스라엘 - 3 3 3 3 5 1 0 16
»A » 유고슬라비아 - 2 3 4 1 1 14
»A » 스웨덴 1 2 - 2 4 3 1 2 14
«B » 덴마크 1 2 - 2 1 3 2 11½
«B » 노르웨이 1 - 2 2 3 1 11
«B » 프랑스. 1 ½ 2 - 3 1 4 1
«B » 사어 1 0 2 1 - 1 4 1 8

그룹 4

파이널 나라 1 2 3 4 5 6 7 + = 포인트
»A » 헝가리 - 3 4 3 4 5 1 0 18
»A » 서독 - 3 2 4 4 1 1 16½
»A » 잉글랜드 - 4 3 3 0 13½
«B » 스위스 1 1 - 4 3 3 0 13½
«B » 콜롬비아 0 2 - 4 3 2 1 12½
«B » 벨기에 1 ½ ½ - 3 2 4 0 9
«B » 룩셈부르크 0 0 0 0 0 1 - 0 6 0 1

파이널

최종 A
# 나라 플레이어스 포인트 엠피
1 소비에트 연방 보트비니크, 스미슬로프, 브론스타인, 케레스, 겔러, 코토프 34
2 아르헨티나 나지도프, J. 볼보찬, 판노, 기마드, 로제토, 필니크 27
3 유고슬라비아 피르크, 글리고리치, 트리푸노비치, 라바르, 푸드레르, 마타노비치 26½
4 체코슬로바키아 파흐만, 필리핀, 지타, 샤히타르, 피치틀, 우젤키 24½
5 서독 운지커, 슈미드, 프페이퍼, 렐스탑, 다르가, 조펜 23½
6 헝가리 스사보, 클루거, 바르차, 사도르, 게레벤 23
7 이스라엘 포랏체르니악오렌알로니크니아셀 22
8 네덜란드 유위, 도너, 코틀레버, 프린스, 크레이머, 반 셸팅가 21
9 잉글랜드 알렉산더, 펜로즈, 골롬벡, 웨이드, 바든, 클라크 17 7
10 불가리아 마인브, 네이키르흐, 밀레브, 츠베트코프, 보보트소프, 보베코프 17 6
11 스웨덴 스털베르크, 룬딘, 스톨츠, 회르베르크, 닐손, 구드 15
12 아이슬란드 프리드리크 울라프손과 구문두르 구문드손구문두르 팔마손과
Guðmundur Augustsson, Ingi Randver Johannsson, Guðmundur Arnlaugsson.
13½
파이널 B
# 나라 플레이어스 포인트 엠피 정면승부
13 스위스 쿠퍼, 블라우, 니베르겔트, 브헨드, 짐머만, 발터 37
14 캐나다 야노프스키, 앤더슨, 바이토니스, 보하티르추크, 폭스, 디빈스키 36 21 3
15 오스트리아 로바치, 베니, 프라임슈버, 롯벤치, 코바흐스 36 21 1
16 덴마크 라르센, 닐슨 A, 닐슨 P, 닐슨 V, 에네볼드센, 안데르센 B. 34½
17 이탈리아 파올리, 포레카, 노르시아, 스카파렐리, 칼라 28½
18 콜롬비아 퀼라르, 데 그리프, 산체스, 리베라, 테자다 H, 에르난데스 G. 27½
19 벨기에 오켈리, 던켈블럼, 고버트, 르메아르, 프랑크, 티보 27
20 핀란드 로, 베스테리넨, 카타지스토, 프레드, 란타넨 26½
21 프랑스. 번스타인, 라이즈만, 티엘레온, 베르그레이저, 노라둔구이안, 버스타인 26
22 사어 벤크너, 로르손, 모레나, 카스텔, 웨이첼바우머, 하스 24
23 노르웨이 모르켄, 베스ø, 린드블럼, 스퇴르, 플라터, 람므 22
24 그리스 팔리아로스, 아나그노스토우, 파나요풀로스, 파파파바블루 21
25 아일랜드 레일리, 켈리, 마허, 월시, 내시, 로한 11
26 룩셈부르크 도너, 노이, 필리프, 슈나이더, 크레머, 제롤림 J. 7

최종 A

장소 나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 = 포인트
1 소비에트 연방 - 3 3 2 3 4 10 0 1 34
2 아르헨티나 ½ - 3 2 3 3 3 8 2 1 27
3 유고슬라비아 - 2 3 3 2 7 2 2 26½
4 체코슬로바키아 1 2 - 3 2 2 3 5 3 3 24½
5 서독 1 1 - 2 ½ 4 4 3 5 5 1 23½
6 헝가리 1 2 2 2 - 1 3 2 2 2 3 2 6 23
7 이스라엘 2 1 1 3 - 3 ½ 3 2 5 4 2 22
8 네덜란드 ½ 1 2 1 1 - 3 3 2 4 5 2 21
9 잉글랜드 ½ 1 ½ 1 2 1 - 1 3 7 1 17
10 불가리아 1 2 0 2 1 - 2 7 2 17
11 스웨덴 ½ 1 ½ 0 2 2 1 3 - 2 1 7 3 15
12 아이슬란드 0 ½ 1 ½ 2 2 - 0 9 2 13½

파이널 B

장소 나라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 포인트
13 스위스 - 3 3 2 3 3 4 1 11 1 1 37
14 캐나다 1 - 3 2 3 2 3 2 3 4 9 1 3 36
15 오스트리아 1 1 - 3 3 3 2 3 3 3 4 4 10 2 1 36
16 덴마크 2 2 1 - 2 3 3 2 4 7 2 4 34½
17 이탈리아 1 1 1 2 - 2 3 1 2 4 3 5 5 3 28½
18 콜롬비아 ½ ½ 1 2 - 2 1 3 4 7 4 2 27½
19 벨기에 2 2 1 1 2 - 3 2 2 4 4 4 5 27
20 핀란드 1 ½ - 2 4 3 6 6 1 26½
21 프랑스. 1 ½ 1 3 3 1 - 3 3 6 7 0 26
22 사어 1 1 2 2 ½ 2 1 - 1 4 4 3 7 3 24
23 노르웨이 0 ½ 1 ½ ½ 1 2 3 - 4 3 5 7 1 22
24 그리스 3 2 ½ ½ ½ 2 1 - 3 3 8 2 21
25 아일랜드 ½ 1 0 0 0 0 0 0 - 2 11 0 11
26 룩셈부르크 ½ 0 0 ½ 1 0 0 1 ½ 0 1 1 - 0 13 0 7

개인 메달

참고 및 참조

  1. ^ 흔히 남자부라고 하지만 이 구간은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