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9 항공 모빌리티 윙

349th Air Mobility Wing
제349 항공 모빌리티 윙
60th Air Mobility Wing - Lockheed C-5B Galaxy 87-0040.jpg
349/60번째 AMW C-5B 갤럭시, AF Ser. 87-0040번


60th Air Mobility Wing - Boeing C-17A Globemaster III 06-6164.jpg
349/60번째 AMW C-17A 글로브마스터 III, AF Ser. 06-6164번
60th Air Mobility Wing - McDonnell Douglas KC-10A Extender 86-0037.jpg


349/60번째 AMW KC-10A Extender, AF Ser. 제86-0037호
활동적인1943년 11월 1일 (349 OG)
1949년 5월 10일 – 현재(349 AMW)
나라 미국
나뭇가지 미국 공군
유형날개
역할에어 모빌리티
크기2,700
의 일부AFR Shield.svg 공군 예비군 사령부
수비대/HQ캘리포니아의 트래비스 공군 기지
닉네임"황금문날개"
모토Omnia Paratus In All Things Ready(1961–Present) Facta nonVerba Latin Products not Words(1956–1960)
마스코트와이번
장식공군 우수부대상
팜이 있는 베트남 갈란트리 크로스
지휘관
현재
지휘관
이이 대령 머클
휘장
제349회 에어 모빌리티 윙 엠블럼(1995년 4월 6일 승인)[1]349 Air Mobility Wing.jpg
349군 수송기 날개 엠블럼(승인[1] 1960년 9월 2일)349th Air Mobility Wing.jpg
테일 스트라이프흰색/검은색 테일 스트라이프 "트래비스(California Bear 스티커
항공기가 비행
운송C-5 은하
C-17 글로브마스터 III
유조선KC-10 익스텐더

제349 항공 모빌리티 윙미국 공군의 항공 예비 부품이다. 캘리포니아주 트래비스 공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제4공군 예비군 사령부에 배속되어 있다. 제349 AMW는 항공 기동사령부(Air Mobility Command, AMC) 제60항공 기동부대부대로, 이 날개가 동원되면 AMC가 획득한다.

제349항공모빌리티 윙은 미국 공군 예비군 사령부에서 가장 큰 부속 건물이다. 제349 AMW 직원이 C-5M 슈퍼 갤럭시, C-17 글로브마스터 III, KC-10 익스텐더를 조종한다. 항공 승무원들의 임무에는 항공 급유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항공기의 공중 급유를 포함한다.

제349 AMW의 임무는 "전투 준비형 기동성 에어맨을 양성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트라비스에 주둔하고 있는 제60항공모빌리티 윙에서 현역 파트너들과 나란히 근무하는 예비역 2700명을 훈련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역사

이 부대의 349 작전 그룹2차 세계대전의 349군 수송기 그룹까지 혈통을 추적한다. 349군 수송기 그룹은 서유럽의 제9공군배속된 커티스 C-46 특공대였다.

한국전 초기 활성화 및 동원

날개는 1949년 6월 제349부대 항공모함 윙으로 캘리포니아 해밀턴 공군기지에서 예비조직으로 처음 활성화되었는데,[1] 이때 대륙항공사령부(ConAC)가 예비비행조직들을 날개기지 조직으로 전환하여 단일 날개 아래 그들의 지원조직과 결합하였다. 2346 공군 예비군 훈련장 주관으로 훈련했다. 트루먼 대통령이 1949년 국방예산을 축소하면서 공군 내 부대 수도 감축해야 했고,[2] 날개는 325공수단과 68·72d 정찰그룹에서 사관생도를 끌어와 동시에 무력화했다.[3] 날개는 커티스 C-46 특공대와 함께 공수 훈련을 받았으나 다수의 훈련기도 운용했다.[1] 그 날개는 보통 힘의 25%로 유인되었지만 그것의 전투 그룹은 현역 3개 부대가 아닌 4개 중대를 허가 받았다.[4]

그 날개는 모든 예비군 전투와 진주 부대와 함께 한국전쟁에 동원되었다.[5] 1951년 4월에 현역으로 소집되었다. 인력은 다른 부대의 충전재로 사용되었고,[6] 항공기는 다른 기관에도 보급되었다.[7] 그 날개는 다음날 불활성화되었다.[1]

예비전투기 작전 및 단독비행대 개념

이 날개는 제349전투비행단을 재설계하고 해밀턴의 예비군에서 다시 한번 활성화되어 제920전투비행단을 대체하게 되었다.[1] 그러나 625전쟁 예비군 동원은 항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예비군을 떠났고, 부대는 1952년 7월까지 항공기를 받지 못했다.[8] 아이러니하게도 초기 항공기는 다시 C-46 수송기로, 1953년에 이르러서야 훈련기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의 북미 F-51 무스탱을 받았다. 이후 1953년에 첫 제트 전투기인 록히드 F-80 슈팅 스타즈를 받았다.[1] 모든 예비 전투 폭격기 날개처럼 전투 폭격기 부대로 불렸지만 방공 역할을 했다.[9]

1955년 상반기 동안 공군은 공군 예비군 편대를 모함지에서 분리하여 부지를 분리하기 시작했다. 그 개념은 몇 가지 이점을 제공했다: 지역사회는 큰 날개보다 작은 비행대를 더 많이 수용했고 작은 인구 센터에 분리된 비행대를 배치하면 모집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1955년 봄에 마침내 진화한 ConAC의 계획은 미국 전역에 위치한 59개의 시설에 공군 예비군을 배치하는 것을 요구했다.[10] 이 날개의 프로그램 참여는 1955년 10월 제313전투기-봄버 편대유타주공군기지로, 제314전투기-봄버 편대가 캘리포니아주 매클렐런 공군기지로 이전하면서 시작됐으며 해밀턴에 날개 본부를 둔 제312전투기-봄버 편대만이 남았다.[11][12][13]

합동참모본부는 공군에 더 많은 전시 공수처를 제공하라고 압박하고 있었다. 동시에 약 150대의 페어차일드 C-119 플라잉 박스카가 현역으로부터 보급되었다. 이에 따라 1956년 11월 공군은 콘AC에 349기를 포함한 3개의 예비 전투 폭격기 날개를 1957년 9월까지 육군 수송기 임무로 전환하라고 지시했다. 또 공군 참모진 내부에서는 예비전투사단이 공군 국가수비대에 부여하고 병력수비대 임무로 대체하라는 권고가 있었다.[14] 1957년 9월, 그 날개는 다시 한번 제349기갑부대가 되었다.[1]

공수 임무 복귀

1957년 재설계와 함께 날개는 플라잉 박스카(Flying Boxcars)와 재장착하기 시작했다. 1957년 예산 삭감으로 예비 날개 수가 24개에서 15개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는 예비군 전투 폭격기 날개의 불활성화뿐만 아니라 3개 군 수송기 날개의 불활성화도 포함되었다.[15] 11월에 힐에 있는 313 중대의 자산은 733d급 병력 수송 중대에 의해 흡수되어 서류상으로 오레곤주 포틀랜드 국제 공항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불활성화된 403d 병력 수송 중대를 대체했다.[12][16][note 1] 날개는 1958년월 제98기동대대가 워싱턴주 파인공군기지에서기동해 1957년 11월 제328기동대대를대체하자 제4기동대를 증편했다.[17][18]

1958년 4월 제2346회 센터가 가동되지 않고 일부 인력은 날개에 흡수되었다. 예비역에 대한 현역 지원 대신, ConAC는 예비역 사관후보생 제도를 도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부대 사관생도들은 공군의 민간인 동시다발적인 정규직 사원으로 구성돼 예비역 대원으로서 계급이 유지되었다.[19][20]

제349회는 1959년 4월에 이중 대표 기구로 전환되었다.[note 2] 제349전투-봄버 그룹은 불활성화되었고, 그 군 수송기 편대는 윙에 직접 배치되었다.[1][21]

날개 아래의 그룹 활성화

비행부대의 분산은 날개 전체가 현역복무에 소집될 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비행대 1개 대대와 원소를 동원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약점은 1961년 베를린 위기 때 예비부대의 부분 동원에서 입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62년 초 콘AC는 각 부대 항모전단의 지원요소를 갖춘 단체를 창설해 예비 날개를 개편하기로 했다. 이 조직 개편은 필요할 때 다양한 조합의 날개 요소의 동원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계획이 실행 단계에 접어들면서 쿠바 미사일 위기를 위해 349비행단과 비행대대를 포함한 또 다른 부분 동원이 발생했다.[1][22] 첫 출근 신고전화가 이뤄진 지 불과 4시간 만에 날개 비행 인원의 95%가 탑승 수속을 마치고 출동 준비를 마쳤다. 4개 중대 외에 733d급 병력 수송대대도 이 동원 과정에서 기동되어 날개에 배속되었다.[1] 이들은 동원 과정에서 남부 플로리다 지역의 병력 증강을 위해 한 달간 공군과 물자를 공수했다.[20]

그동안 동원됐던 날개에 대해 새 병력 수송기 편성은 2월까지 미뤄졌다.[22] 해밀턴의 938군 수송기 그룹, 포틀랜드의 939군 수송기 그룹, 매클렐런의 940군 수송기 그룹, 파인에서의 제941군 수송기 그룹은 2월 11일 날개에 모두 배정되었다.[1]

1966년 6월 1일, 349단은 제349군 공수부대로 재설계되었고, 그 획득 지휘부는 육군 공수부대로 변경되었고, 그 날개는 C-124 Globemaster II 대륙 간 공수부대로 전환되었다. 1968년 푸에블로 위기에 대응하여 1968년 1월 26일에 다시 날개가 동원되었다. 베트남 전쟁 동안, 날개는 수천 톤의 화물을 태평양을 가로질러 공수하여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극장 전체에 걸쳐 미군을 지원했다. 1969년 제349단은 트래비스 공군기지로 이전했고, 트래비스에서 제60기갑비행단과 팀을 이뤄 제2의 예비군 부기동단이 되었다.[20]

1990-1991년 페르시아만 전쟁 동안, 선별된 유닛에서 1,750명 이상이 오퍼레이션 데저트 실드와 사막 스톰을 지원하기 위해 서비스를 위해 활성화되었다. 일부 부대와 개인은 페르시아만에 배치되었지만, 다른 부대는 유럽과 다른 해외 지역에 배치되었고, 일부는 미국에 남아 있었고 다른 일부는 여전히 트래비스 AFB에 남아 있었다.[20]

포스트 냉전 시대

1992년 2월 1일, 349번째 USAF 객관적 기구를 재설계하여, 현역 공군의 재편성 및 재편성 정책에 부합하도록 이름에서 "군사"라는 단어를 삭제하였다. 제349 작전 그룹과 작전 대대를 날개에서 조로 재배치하면서 그 그룹은 재활성화되었다.

1994년 9월 맥도넬 더글러스 KC-10 익스텐더 공중급유 임무를 윙에 추가해 당시 공군 예비부대 중 유일하게 록히드 C-141 스타리프터, 록히드 C-5 갤럭시, KC-10 등 3종의 항공기를 띄운 제349항공모빌리티 윙이 됐다.[20]

1997년 12월, C-141은 트라비스에서 퇴역했다. 일부는 워싱턴의 맥코드 공군 기지와 뉴저지 주의 맥과이어 AFB로 보내졌다. 은퇴한 스타라이프들은 애리조나주 데이비스-월런 공군기지에 있는 제309 항공우주 정비 및 재생 그룹에 갔다.[20]

세계 대테러 전쟁

국방부뉴욕시 세계무역센터(WTC)에 대한 테러의 여파로 349호기는 리졸브 작전 초기 공수, 영안실 직원, 기타 필수 지원, 노블독수리 작전, 공격 후 예비역 동원, 무한정의 작전, 작전 운영 등을 지원했다.아프가니스탄의 s; 그리고 세계 테러와의 전쟁인 영속적인 자유 작전.[20]

2006년 여름 맥도넬 더글러스 C-17 글로브마스터 III가 트라비스에 도착하면서 날개와 주최측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3대의 대형 항공기를 조종하게 되었다. 2006년 5월 25일에는 제301 공수부대대가 C-5에서 C-17로 전환되었고, 2006년 6월 25일에는 제945항공기정비대대가 기동되어 글로브마스터 3호를 지원하였다.[20]

2021년에 윙은 다음과 같은 주요 유닛으로 구성된다.[citation needed]

  • 349차 작업 그룹
  • 349차 유지 관리 그룹
  • 제349회 미션지원단
  • 제349회 메디컬 그룹

제349 AMW에는 또한 비행 중인 환자를 치료하는 제349 항공대대대, 제349 항공 관제 비행대, 제349 항공 조종 비행대, 그리고 전 세계 병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349 의료 대대가 비상 상황에서 주둔하고 있다.

리니지

  • 1949년 5월 10일 제349기동대중대로 설립
1949년 6월 27일 보호구역에서 활성화됨
1951년 4월 1일 현역복무 명령
1951년 4월 2일 비활성화됨
  • 1952년 5월 26일 제349전투-폭버 날개 재설계
1952년 6월 13일 보호구역에서 활성화됨
1957년 9월 1일 제349군 수송기 날개 재설계
1962년 10월 28일 현역복무 명령
1962년 11월 28일 현역에서 해임
1966년 6월 1일 제349기동부대 재설계
1968년 1월 26일 현역복무 명령
1969년 6월 1일 현역에서 해임
재설계: 1969년 7월 25일 제349회 군용 공수부대(협회)
재설계: 1992년 2월 1일 제349회 공수부대 윙(Associate
재설계: 1994년 7월 1일 '349회 항공 모빌리티 윙(Associate)'
재설계: 1994년[1] 10월 1일 제349 항공 모빌리티

과제들

  • 제4 공군, 1949년 6월 27일 – 1951년 4월 2일
  • 제4항공예비구역, 1952년 6월 13일
  • 제4 공군, 1952년 12월 1일
  • 제6공군예비구역, 1960년 9월 1일
  • 12공군, 1962년 10월 28일
  • 제6차 공군 예비역, 1962년 11월 28일
  • 공군, 1968년 1월 26일
  • 제6차 공군 예비역, 1969년 6월 2일
  • 1969년 12월 31일 서부 공군 예비역
  • 제4 공군, 1976년 10월 8일 – 현재[1]

구성 요소들

무리
  • 349기동대집단(후위 349기동대-봄버그룹, 349기동대집단, 349기동대집단): 1949년 6월 27일 – 1951년 4월 2일; 1952년 6월 13일 – 1959년 4월 14일; 1992년 8월 1일 – 현재 – 현재
  • 921 제1차 군용 공수부대: 1968년 1월 26일 – 1969년 6월 2일 (비작동, 1968년 8월 1일 – 1969년 6월 1일)
  • 938 제938차 육군항공모함 그룹(후위 938차 육군항공모함 그룹): 1963년 2월 11일 ~ 1973년 7월 1일 (1968년 3월 29일 ~ 1969년 6월 1일, 분리 25일 ~ 1969년 12월 14일)
  • 939 제939기동대(Later 939기동대, 939기동대) : 1963년 2월 11일 – 1968년 1월 26일, 1969년 6월 15일 – 1973년 7월 1일 (7월 25일 - 1969년 12월 14일)
  • 940 제940차 육군항공모함집단(후위 940차 항공운송그룹, 940차 군사항공모함그룹): 1963년 2월 11일 – 1968년 1월 26일
  • 제941차 육군항공모함그룹(후기 941차 항공운송그룹 제941차 군사기동그룹): 1963년 2월 11일 – 1969년 7월 25일 (작전은 1968년 8월 1일 – 1969년 5월 21일)
  • 제944회 군용 공수부대: 1969년 7월 25일 – 1973년 7월 1일 (자료: 7월 25일 – 1969년 12월 14일)[1]
편대
  • 제67기동대대대 : 1968년 8월 1일 – 1969년 6월 1일
  • 97 병력 수송 편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2월 11일, 1968년 8월 1일 – 1969년 5월 21일
  • 301 군사 공수 편대: 1973년 7월 1일 – 1992년 8월 1일
  • 제312군 수송함대(후위 312군기동대, 312군기동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2월 11일; 1968년 3월 29일 – 1969년 6월 1일; 1973년 7월 1일 – 1992년 8월 1일 할당
  • 313군 수송함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2월 11일
  • 314군 수송함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2월 11일
  • 733d 병력 수송 편대: 10월 28일 – 1962년 11월 28일
  • 708 공수부대: 1973년 7월 1일 – 1992년 8월 1일
  • 710 군사 공수 편대: 1973년 7월 1일 – 1992년 8월 1일
  • 8649[1] 교체훈련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스테이션

  • 1949년 6월 27일 – 1951년 4월 2일, 캘리포니아 해밀턴 공군 기지
  • 1952년 6월 13일 캘리포니아 해밀턴 공군 기지
  • 1969년 7월 25일 캘리포니아 트라비스 공군 기지 – 현재[1]

항공기

참조

메모들
  1. ^ 304 항공구조대대도 포틀랜드에서 기동되어 병력 수송기 임무와 관련되지 않은 403d의 자원 일부를 흡수했다.
  2. ^ 이 계획에 따라 비행중대는 비행중대 작전 및 정비중대 부중장에게 보고하였다.
인용구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Robertson, Patsy (24 January 2011). "Factsheet 349 Air Mobility Wing Wing (AFRC)".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15. Retrieved 4 September 2016.
  2. ^ 크낙, 페이지 25
  3. ^ 마우러, 전투 부대, 페이지 135–136, 139, 426
  4. ^ 캔트웰 74쪽
  5. ^ 캔트웰, 페이지 87
  6. ^ 캔트웰, 페이지 97
  7. ^ 캔트웰, 페이지 137
  8. ^ 캔트웰 139쪽
  9. ^ '캔트웰, 페이지 152'
  10. ^ 캔트웰 페이지 156
  11. ^ 마우러, 전투비행대, 페이지 379-380
  12. ^ a b 마우러, 전투비행대 381페이지
  13. ^ 마우러, 전투비행대, 페이지 382–383
  14. ^ 캔트웰, 페이지 168
  15. ^ 캔트웰, 168-169페이지
  16. ^ 라벤슈타인, 페이지 215-217
  17. ^ 마우러, 전투비행대대, 페이지 325–326
  18. ^ 마우러, 전투비행대대, 페이지 20
  19. ^ 캔트웰, 페이지 163
  20. ^ a b c d e f g h "Factsheets: 349th Air Mobility Wing Heritage". 349th Air Mobility Wing Public Affairs. 6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February 2013. Retrieved 5 September 2016.
  21. ^ Robertson, Patsy (24 January 2011). "Factsheet 349 Operations Group (AFRC)".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September 2015. Retrieved 5 September 2016.
  22. ^ a b 캔트웰, 189~191페이지

참고 문헌 목록

Public Domain 기사는 공군역사연구기관 웹사이트 http://www.afhra.af.mil/의 공공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

추가 읽기
  • Rogers, Brian. (2005). United States Air Force Unit Designations Since 1978. Hinkley, UK: Midland Publications. ISBN 1-85780-197-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