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14 항공 모빌리티 윙

514th Air Mobility Wing
제514 항공 모빌리티 윙
Air Force Reserve Command.png
A U.S. Air Force C-17 Globemaster III aircraft, carrying Vice President Joe Biden, arrives at Sather Air Base, Iraq, Aug. 30, 2010 100830-F-MG591-007.jpg
조 바이든 부통령을 태운 날개 C-17 글로브마스터 III 항공기가 이라크 새터 공군기지에 도착한다.
활동적인1949-1992; 1953-현재
나라 미국
나뭇가지 미국 공군
역할공수
의 일부공군 예비군 사령부
수비대/HQ맥과이어 공군 기지
장식공군 우수부대상
팜이 있는 베트남 갈란트리 크로스
지휘관
현재
지휘관
윌리엄 구터무스 대령
휘장
제514회 항공 모빌리티 윙 엠블럼(2007년 1월 18일 승인)[1]514 Air Mobility Wg.jpg
제514 항공 모빌리티 윙 엠블럼(1995년 3월 13일 승인)[1]514 Air Mobility Wing emblem.png
제514군 수송기 날개 엠블럼이 부착된 패치 (1954년 9월 9일 승인)[2]514th Troop Carrier Wing Emblem.png

제514 항공 모빌리티 윙(Air Mobility Wing)은 뉴저지 주 합동기지 맥과이어-딕스-레이크허스트에 본부를 둔 미 공군날개다. 514호는 공군 예비역 준장이다. 이 날개는 맥과이어에 본부를 두고 있는 305 항공 모빌리티 윙에 배정된 항공기를 날린다. 514호는 맥도넬더글러스 KC-10 익스텐더맥도넬더글러스 C-17 글로브마스터 III의 유지와 비행 책임을 분담한다.

이 날개는 1949년 6월 대륙항공사령부날개기지 조직으로 예비부대를 재편성하면서 조직됐다. 그것은 한국전쟁동원되었고, 처음에는 예비군 수송부대로 구성된 18공군의 일부로서 본국에서 복무했다. 이 날개는 1953년 2월 현역에서 풀려나 불활성화되었다.

그 날개는 1953년 4월에 재가동되었다. 1968년에는 항공기를 잃고 부대가 되어 정규 438기동대 소속의 항공기를 비행·유지했으며, 이후 305기동대 소속 항공기가 되었다.

역사

이 날개는 1949년 6월 앨라배마주 버밍엄 시립 공항에서 제19항공사단의 자원을 가정한 제514군 수송기로 처음 활성화되었고, 제514군 수송기 그룹은 비활성화된 제99군 폭격조직을 대체했다. 제2587 공군 예비군 훈련장 주관으로 훈련했다. 활성화 4개월 만에 서류상으로 84전투비행단을 대체한 뉴욕 미첼 공군기지로 이동했고, 319전투비행단은 버밍엄에서 인력과 장비를 맡았다.[2]

미첼에서는 1951년 5월 625전쟁에 동원될 때까지 2233d 항공예비훈련소의 지휘를 받아 날개가 훈련했다. 날개는 전술공군사령부에 동원된 6개의 커티스 C-46 특공대 날개 중 하나였다. 이러한 날개는 미첼에서 1953년 2월 불활성화되기 전까지 18공군[3] 편성의 기초를 형성하였다.[2]

병력 수송 작전

이 날개는 1953년 4월에 다시 보호구역에서 활성화되었고, 다시 2233d 센터 밑에서 훈련되었는데, 처음에는 특공대원이었지만 1954년 8월까지 Fairchild C-119 Flying Boxars로 훈련되었다. 1956년 여름, 그 날개는 2주간의 현역 훈련 동안 16톤 작전에 참가했다. 16톤은 전적으로 예비군 수송부대에 의해 수행되었고 미국 해안 경비대의 장비를 플로이드 베넷 해군 공군기지에서 푸에르토리코의 이슬라 그란데 공항과 바하마 산살바도르 공항으로 옮겼다. 이 작전의 성공 이후, 날개는 스위프트 리프트 작전에 비활동적인 직무 훈련 기간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공군의 높은 우선순위 화물을 운송하고, 레디 스왑 작전의 경우 에어 마테리엘 사령부의 디포 사이에 항공기 엔진을 수송하였다.[4]

1958년 2233d 센터는 불활성화되었고 일부 인력은 날개에 흡수되었다. 콘AC는 예비역 현역 지원[note 1] 대신 공군 사관생도 겸직하고 예비역 대원으로 군 계급까지 겸비한 상근인력으로 구성되는 에어리저브 테크니션 프로그램을 도입했다.[5] 1958년 이후, 그 날개는 인도주의적인 임무와 다른 공수 임무에 점점 더 참여하였다. 1960년대 중반까지, 그것은 정기적으로 군 항공 수송국 공수 작전을 증강하고 있었다.

분산대대대

1955년 말부터 대륙항공사령부(ConAC)는 모집을 개선하고, 이른바 단독비행대 개념에 따라 대규모 인구센터 인근에 배치되는 항공기의 날개 전체에 대한 대중의 반대를 피하기 위해 예비비행대대의 일부를 분리기지로 분산하기 시작했다.[6] 1958년 7월 코네티컷 주 브래들리 필드에서 이 날개의 제337기동대대가 활성화되었고,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961년 4월 제336기동대대가 뉴욕주 스튜어트 공군기지로 이동했다.

1959년 4월, 듀얼 부관제 하에서 날개가 재편성되었다. 514군 수송부대는 불활성화되었고[citation needed] 335군, 336군, 337군 수송부대는 비행대에 직접 배치되었다.[1]

날개 아래의 그룹 활성화

비행부대의 분산은 날개 전체가 현역복무에 소집될 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비행대 1개 대대와 원소를 동원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약점은 1961년 베를린 위기 때 예비부대의 일부 동원에서 입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62년 초 콘AC는 각 부대 항모전단의 지원요소를 갖춘 단체를 설립하여 예비부대의 날개를 개편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직 개편은 필요할 때 다양한 조합의 날개 요소의 동원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계획이 실행 단계에 접어들면서 쿠바 미사일 위기에 또 다른 부분 동원이 일어났다. 그동안 동원되지 않았던 날개에 대해서는 1월까지 병력 수송기 편성이 미뤄졌다.[7] 맥과이어의 903d Rump Carrier 그룹, Stewart의 904th Rump Carrier 그룹, 그리고 Bradley의 905th Rump Carrier 그룹은 1월 17일에 모두 그 날개에 배정되었다.[1]

베트남 전쟁

이 날개는 1967년 8월 10일부터 12월 18일까지 C-119 항공기에서 남베트남 항공 승무원과 그리스 정비 요원들을 훈련시켰다. 1968년에 C-119를 타고 남베트남으로 갔다. 또한 1968년에 이 날개의 두 단체가 뉴저지 주 맥과이어 공군기지의 제436기갑비행단델라웨어 도버 공군기지제436기갑비행단 소속의 록히드 C-141 스타리프터들을 비행하기 시작했다. 1969년 9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공군기지에 있는 제437기갑부대와 관련된 세 번째 C-141 그룹이 이 날개에 합류했다. 1969년, 그 날개는 375 항공 수송동 맥도넬 더글러스 C-9 나이팅게일즈를 날린 또 다른 그룹을 얻었다. C-119 그룹은 1970년 중반까지 날개와 함께 있었다.

연관단위

1968년까지 정규 공군 공수 편대는 록히드 C-141 스타라이프터를 운용하고 있었고, 예비군들은 여전히 구식인 더글러스 C-124 글로브마스터 II를 비행하고 있었다. 글로브마스터가 은퇴하면서 공군 예비군은 부대를 구성했다. 이 프로그램에서 예비 유닛은 관련 정규 유닛이 소유한 항공기를 비행하고 유지했다.[8] 1968년 9월 이 날개는 전용기를 포기하고 맥과이어 438군 공수부대의 부대가 되었다.[1]

1973년 7월, 도버와 찰스턴에 있는 그것의 그룹은 새로운 예비 비행기로 대체되었고, 514번 윙은 맥과이어에서 그것의 903d 그룹이었던 모든 비행대를 흡수했다. 맥과이어 공군기지(최초 438기 이후 305기동비행단)에서 액티브 윙의 C-141기를 계속 사용하면서, 윙의 승무원들은 비상사태와 인도주의 작전 등 전 세계 전략 공수 임무에 육군 공수사령부 부대를 증강하고 훈련을 위한 전략 기동훈련에 참가했다.

승무원이 참여한 작전은 1983년 그레나다긴급 퓨리 투 그레나다, 1989년 파나마 작전, 1992년 소말리아에 희망 회복 작전 등이다. 1993년에 그 날개는 공수 임무에 공중급유를 추가했다. 그 이후로 그 날개는 사막 폭풍/방패 작전, 민주주의 수호 작전, 서던 워치, 노블 이글, 영속 자유, 이라크 자유 등 모든 주요 분쟁의 일부가 되었다. 그것의 회원들은 허리케인 카트리나리타 그리고 케냐와 탄자니아에 있는 미국 대사관들의 폭격에 대응하여 배치되었다.

전류 단위

76·78 공중 급유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732d 공수부대
제514 항공대대대
  • 514차 유지 관리 그룹
  • 제514회 미션지원단
  • 제514 비행의무비행단
  • 제514 항공우주 의학 비행대대

리니지

  • 1949년 5월 10일 제514기동대중대로 설립
1949년 6월 26일 예비군에서 활성화됨
1951년 5월 1일 현역복무 명령
1953년 2월 1일 비활성화됨
  • 1953년 4월 1일 보호구역에서 활성화됨
1967년 7월 1일 제514전술비행단 재설계
1968년 9월 25일 제514회 군용 공수부대(협회) 재설계
1992년 2월 1일 제514 공수부대(협회) 재설계
1994년[1] 10월 1일 제514 항공 모빌리티 윙 재설계

과제들

  • 14공군, 1949년 6월 26일
  • 제1 공군, 1949년 10월 10일
  • 전술항공사령부, 1951년 5월 2일
  • 18공군, 1951년 6월 1일 – 1953년 2월 1일
  • 제1 공군, 1953년 4월 1일
  • 제14 공군, 1958년 3월 25일
  • 제1차 공군 예비역, 1960년 8월 15일
  • 동부 공군 예비역, 1969년 12월 31일
  • 제14 공군, 1976년 10월 8일
  • 공군, 1993년 7월 1일
  • 4공군, 2011년 10월 1일 – 현재[1]

구성 요소들

무리
  • 98회 공중급유 그룹: 1993년 10월 1일 – 1994년 9월 30일
  • 514 제514군 수송기 그룹(소속 514 작전 그룹): 1949년 6월 26일 – 1953년 2월 1일; 1953년 4월 1일 – 1959년 4월 14일; 1992년 8월 1일 – 현재 – 현재
  • 903d Tactical Airlift Group, 903d Military Airlift Group: 1963년 1월 17일 – 1973년 7월 1일
  • 904군 수송기 그룹: 1963년 1월 17일 – 1966년 7월 1일
  • 905 제1군 수송기 그룹: 1963년 1월 17일 – 1966년 7월 1일
  • 912기동대조(후진 912기동대, 912기동대) : 1966년 7월 1일 ~ 1973년 7월 1일
  • 913 제913기동대집단(이하 913기동대) : 1966년 7월 1일 ~ 1970년 9월 17일 (1970년 7월 1일 이후 상세)
  • 932d 군사 공수 그룹, 1969년 4월 1일 – 1972년 1월 1일
  • 943d 군사 공수 그룹: 1969년 9월 25일 – 1973년[1] 7월 1일

편대

  • 335 제335전투비행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 제336군 수송함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1월 17일
  • 337군 수송함대: 1959년 4월 14일 – 1963년 1월 17일
  • 702d 군사 공수 편대: 1973년 7월 1일 – 1992년 8월 1일
  • 732d 군사 공수 편대: 1973년 7월 1일 – 1992년[1] 8월 1일

스테이션

  • 1949년 6월 26일 앨라배마 버밍엄 공항
  • 1949년 10월 10일 뉴욕 미첼 공군기지 – 1953년 2월 1일
  • 1953년 4월 1일 뉴욕 미첼 공군 기지
  • 맥과이어 공군기지, 뉴저지 (더 작은 공동기지, 맥과이어-딕스-레이크허스트), 1961년 3월 15일 – 현재[1]

항공기

참조

메모들
  1. ^ 항공예비센터 훈련예비부대는 일반 공군부대였다.
인용구
  1. ^ a b c d e f g h i j k Patsy, Robertson (22 June 2017). "Factsheet 514 Air Mobility Wing (AFRC)".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Retrieved 9 March 2019.
  2. ^ a b c 라벤슈타인, 페이지 381-283
  3. ^ 캔트웰, 페이지 97
  4. ^ 캔트웰, 페이지 149-150
  5. ^ 캔트웰, 페이지 163
  6. ^ 캔트웰 페이지 156
  7. ^ 캔트웰, 189-191페이지
  8. ^ 캔트웰, 페이지 210

참고 문헌 목록

Public Domain 기사는 공군역사연구기관 웹사이트 http://www.afhra.af.mil/의 공공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