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코너 위성

3 Corner Satellite
3 코너 위성
3CS satellites at testing facility.jpg
테스트 중인 3CS 위성 2개
원산지미국
연산자CU-Boulder, ASU, NMSU, AFRL, STP
적용들기술 시연
사양
정권저지구(계획)
설계수명2-4개월[1]
생산
상태실패함
빌드됨3
시작됨2
로스트2
처녀 발사랄피/스파키
2004년 12월 21일
궤도에 진입하지 못함

3 코너 위성(또는 3CS 또는 3CornerSat)은 학생들이 만든 3개의 마이크로 위성들이 대형으로 비행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주요 미션 목표는 편대 비행을 시연하고, 클라우드 형성의 입체 영상을 제공하며, 분산 및 자율 운영을 시연하는 것이었습니다.[2]

한 쌍의 우주선인 랄피와 스파키볼더에 있는 콜로라도 대학교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에 의해 공군 연구소의 대학 나노삿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3]뉴멕시코 주립대학이 개발한 세 번째 위성인 피티도 원래 3CS의 일부였지만 발사 시기에 맞춰 완성되지 못했다.

당초 3CS 스택은 2003년 우주왕복선에 탑재돼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컬럼비아호가 참변을 겪자 임무수행자들은 보잉 델타 4 헤비 로켓의 첫 발사로 전환했다.발사 중 로켓에 문제가 생겨 탑승한 3CS 위성 스파키와 랄피는 궤도를 달리지 못했다.[4]인공위성은 180km x 240km의 낮은 거리에서 낙하할 예정이었으나 105km의 높이에 불과해 궤도에 진입해 급속한 붕괴로 이어졌다.

세 번째 3CS 위성 피티는 델타 4 헤비에서 3CS 발사(제시간에 준비되지 않아)에 탑승하지 못했고, 이후 국립항공우주박물관 스티븐 F에 기증됐다. 우드바르-하지 센터.

3CS placed atop the launch vehicle.
3CS가 발사체 위에 배치됨

프로젝트 미션

주요 임무 목표:[5]

  • 구름 및 기타 대기 구조물의 입체 영상.
  • 비행형성 - 위성은 표적화 및 데이터 획득을 동기화하고 별자리에 있는 위성들 사이에 상태와 상태 정보를 중계하는 네트워크로 작동될 것이다.
  • EEDS(End-to-End Data Systems)는 자동화된 운영을 지원하고, 계획되지 않은 장애와 기회에 대응하며, 운영 및 데이터 처리를 최적화한다.

2차 미션 목표:

  • 위성의 고도를 높여 임무 수명을 연장하고 데이터 수집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마이크로 추진력을 입증한다.
  • 모듈형 우주선 버스 설계 시연
  •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교육을 강조한다.

우주선에는 강력한 실행 관리 소프트웨어(Scraft Command Language, SCL), CASPER(Continuous Activity Scheduling Planning Execution and Replanning) 소프트웨어, 상황별 이상 탐지 소프트웨어(SELMON 모니터링 시스템)가 탑재됐다.

참조

  1. ^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Three Corner Satellite". Retrieved 2009-01-17.
  2. ^ Stephen Levin-Stankevich. "Commanding and Safeguarding The Three Corner Satellite Constellation".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Retrieved 2011-02-18.
  3. ^ Boeing (2004-12-01). "The DemoSat payload". Spaceflight Now. Retrieved 2008-08-02.
  4. ^ Ray, Justin (2005-03-15). "Delta 4-Heavy investigation identifies rocket's proble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08. Retrieved 2008-08-02.
  5. ^ "3CSat 1, 2, 3 (Nanosat 2)". Retrieved 2011-02-2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