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특공대
40 Commando40 특공대 로열 마린스 | |
---|---|
![]() 영국 해병대의 캡 배지 | |
활동적인 | 1942-현재 |
나라 | ![]() |
나뭇가지 | ![]() |
유형 | 특공대 |
역할 | 수륙양용전 4분의 1 근접전 해안탐사 직접 작용 정글전 습격 정찰 |
크기 | 1개 대대 |
의 일부 | 네이비 서비스 |
수비대/HQ | 노턴 매너 캠프, 타운턴, 서머셋 |
모토 | 페르 마레 페르 테람 육지별 해상(라틴어) |
3월 | 퀵: "바다 물결 위의 삶" 느림: "Preobrajensky"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앤디 다우 RM 중령 |
영국 해병대 사령관 | 서섹스 공작 해리 왕자 |
연대 병장 | WO1 L Drinkwater RM |
40 특공대 RM은 최고 함대 지휘관 작전사령부 산하의 주 특공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그들의 막사는 서머셋의 타운톤 근처의 노턴 피츠워렌의 노턴 매너 캠프에 있다.
특공대 경보병 부대로서 임무를 맡고 있는 40 특공대("Forty Commando"로 발음됨)는 광범위한 작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직원들은 작전이나 훈련으로 영국 밖에 정기적으로 배치된다. 3개 특전여단 RM이 주요 냉전대 형성이지만, 인력은 열대 정글, 사막, 산악지형 등 다양한 극장에서 활동할 수 있다. 특공대는 노르웨이에서 매년 실시되는 여단 냉전훈련에 상시 참가하고 있다. 이 부대의 첫 '겨울'은 1991년이었는데, 이 때까지 부대는 '햇볕 특공대'라는 별명이 붙었다.
모든 인력은 데본의 림프스톤에 있는 커미토 훈련 센터(CTCRM)에서 커미토 코스를 수료하고, 첨부 인력은 올 암스 커미토 코스를 수료한다.
역사
포메이션
초기 특공대는 모두 영국 육군 출신이었지만 1942년 2월까지 영국 해병대가 자체 특공대를 조직하도록 요청했고, 6,000명의 병사들이 자원했다.[1] 1942년 2월 14일 켄트 딜에서 제1차 영국 해병대 특공대가 결성되어 '왕립 해병대 특공대'로 지정되었다. 머지않아 RM 'A' 특공대 재지정되었다. Picton Phillips 대령은 지휘관이었다.[2]
디에프 급습
특공대의 첫 임무는 1942년 8월 19일 디에프에 있었다. 캐나다 주 공격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3, 4호(육군) 특공대는 주 상륙해변을 덮고 있는 적 해안전지를 파괴하고, 40호는 항만지역에서 임무를 선정하여 필요에 따라 증원 책임을 지게 되었다. 동틀 전 3호 착륙선은 2개 소당만 간신히 착륙할 수 있었던 결과로 발사되어 흩어졌지만, 다른 1개 소당은 철수하기 전 몇 시간 동안 베르네발 배터리를 성공적으로 장착했다.[3] 4번 바렌지빌의 반대편 측면에서는 로바트 경의 지휘를 받아 공식적으로 '전란의 고전적 작전'으로 칭송되던 일을 감행하여 헤스 베터리를 완전히 파괴하여 포로들을 철수시키고 다시 상륙시키는 데 성공했다.[4] 불행하게도, 40호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서 그들의 착륙에 헌신했을 때, 심각한 사상자를 냈다. 370명의 장교와 남자들 중 76명이 해변에서 실종되었다. 피살된 사람들 중에는 지휘관(CO)이 있었고, 2인자인 로버트 호튼이 붙잡혔다.[5]
이탈리아와 에게 해
반환 시 RM 'A' 특공대가 다시 지정되었으며, 이번에는 40(RM) 특공대로 지정되었다. 추가 훈련과 보충이 실시되었다. 한 번 다시 전력으로 돌아왔을 때 1943년 7월에 시칠리아로 보내졌고 조금 후인 9월에 피치오에서 행동을 보았다. 그해 말 10월 테르말리에서 특공대가 활동했고, 1944년 안지오에서 휘말렸다. 이후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에서 복무한 뒤 코르푸에 대한 치안 임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40년 동안의 전시 활동이 끝났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2차 세계대전에 이어 2차 세계대전에 이어 2차 특공대(nos. 2, 9, 40(RM), 43(RM)이 해체되면서 3개 특공여단(42(RM), 44(RM), 45(RM)이 해체되었다. 특공대 중 1개 특공대 소속 2개 특공대 소속 1개 중 1개 특공대가 이름을 바꾸자 No44(RM)가 No40(RM)이 됐다.[7]
특공대는 1947~1948년 팔레스타인 내전에 개입해 1948년 을사늑대의 후위대 역할을 했다. 또한 공산주의 국가인 말레이 민족해방군에 대항하여 말레이 비상사태에서도 싸웠다.[8]
말레이 비상사태
1952년 4월 영국 공산당 기관지 데일리 워커(The Daily Worker, 오늘 'The Morning Star')는 다야크 신병 2명과 함께 자해된 말레이 게릴라 용의자의 머리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는 해상 특공대의 사진을 게재했다. [9] 이 사진 속의 해군은 '40 특공대 RM'이라는 표지가 붙어 있는 오두막 밖에 서 있었다. 해군 대변인은 참수 사진은 가짜이며 '공산주의 속임수'라고 주장했지만, 올리버 릿텔톤 식민지 장관은 나중에 의회에 이 사진들이 진짜라는 것을 확인했다.[10] 릿텔톤은 영국군이 고용한 보르네오 출신의 전문 대야크 헤드헌터들이 자행한 것이지 해병대가 직접 고용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특공대 수비에 나섰다.[11]
1960년대
이어 특공대는 1961년 싱가포르로 이동하기 전 키프로스, 홍콩, 이집트에서 치안 임무를 맡았다. 이후 10년 동안 인도네시아(보노)와 대치하는 동안 작전에 관여했다.[12]
영국으로 돌아가기
1971년 특공대는 싱가포르를 떠나 플리머스의 크라운힐, 시튼 막사에 다시 자리를 잡았다. 그 후 10년 동안 특공대는 북아일랜드에 4번 배치되었고 1974년 터키군의 침공 이후 예상치 못한 2개월간의 키프로스 관광에 착수했다.[12]
포클랜드 분쟁
1982년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침공 이후, 특공대는 오퍼레이션 코퍼레이션에 배치되었다. 5월 21일 특공대는 상륙한 첫 번째 부대에 포함되었고 산 카를로스에서 해변의 두목을 확보했다. 그 후 이 부대는 두 개의 회사를 웨일스 근위대에 파견하여 아르헨티나의 항복이 왔을 때 포트 스탠리를 공격할 준비를 하도록 분할되었다.[12]
1980년대
포클랜드에서 돌아온 특공대는 남은 10년을 2차례의 북아일랜드 남부 아르마 관광, 6개월간의 키프로스 평화 유지 투어, 6개월간의 벨리즈 작전 투어 등 다양한 작업에 투입했다. 키프로스 투어 중 특공대는 세 번째로 윌킨슨 평화의 검을 받았다. 또한 이 기간 동안 1983년에 특공대는 타운톤 근처의 노턴 마너 캠프로 이전했다.[12]
1990년대
1991년 이 부대는 노르웨이 최초의 배치를 시작했지만 걸프전 때문에 쿠르드족 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북부 이라크에 배치되었을 때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었다. 북아일랜드 관광, 노르웨이의 겨울 배치, 주요 아시아 태평양 훈련은 이듬해까지 특공대를 바쁘게 만들었다. 1993년 11월, 이 부대는 1994년 5월에 돌아온 로열 얼스터 경찰대(RUC)의 지원으로 웨스트 벨파스트에 배치되었다. 1998년, 영국 국민들을 킨샤사 시로부터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해 콩고에 배치된 특공대의 상당부분.[12]
최근 역사

새로운 밀레니엄은 특공대가 북아일랜드에 배치되고 돌아오는 길에 특공대 21이라는 새로운 구조 개념으로 재편성된 첫 특공대였다.[12]
이 부대는 2003년 1월, 당초 HMS Ocean에 해군 태스크 그룹(NTG) 03의 일부, HMS Arc Royal 및 Royal Fleet 보조선박 RFA Galahad 경과 RFA Sir Tristam에 배치되었다. 그 그룹은 페르시아 만으로 향하는 수에즈 운하를 계속 통과하면서 키프로스를 잠시 들른 후 지중해를 항해했다. 유엔은 이라크에 대한 작전 가능성을 위해 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에서 리허설하느라 바빴기 때문에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개입의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12]
2003년 3월 미국의 총지휘하에 연합군이 이라크로 진입했다. 이라크 해방 TELIC 1 작전 중, 2003년 3월 20일 밤, 40명의 특공대 RM은 중령 G K Messenger DSO OBE의 지휘로 알파우 반도의 주요 이라크 석유 인프라를 점령하기 위해 수륙양용 헬리콥터 공격을 감행했다.[12] 지상 최초의 재래식 부대로서 작전의 전략적 의미는 엄청났고 사단 본연의 노력으로서 공격은 방대한 연합 화력의 지원을 받았다. 이라크에서의 연합작전의 성공에 대한 특공대의 역할은 중추적이고 심오했다. 2주간의 강도 높은 작전 기간 동안 주요 석유 인프라를 확보하고, 대규모의 적군이 보유한 지형을 개간했으며, 바스라 변방의 주요 적의 거점을 격파하여 150명 이상의 이라크 군인을 사살하고 440명의 포로를 잡았다.[12]
2004년에 그 부대는 다국적 분단 평화 지원 작전의 일환으로 이라크로 돌아왔다.[12] 특공대원들은 헤릭 작전의 일환으로 2008년 4월 아프가니스탄 헬만드주를 방문하고 돌아왔다. 투어 중 L-Cpl Matthew Crowcher는 순찰 중 살아있는 수류탄에 뛰어드는 행동으로 조지 크로스 상을 받았다.[13]
40 cdo는 Op Herrick 12를 위해 2010년에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다. 이들은 미군에 지휘권이 넘겨진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치명적인 곳'으로 묘사되는 상인을 마지막으로 떠난 영국군이었다.[14]
A 회사는 2011년 4월에 영국 대응팀 태스크 그룹과 함께 배치되었다. RFA 카디건 베이에는 추가 후속 병력이 타고 있었다.[15] 그 후 그들은 2013년 10월에 연습 레드 악어: 이것은 리드 커미토 그룹의 역할을 위해 그들의 기술을 훈련시켰다.[16]
이 부대는 2017년 가을 기록적인 대서양 허리케인으로 영국 해외영토에 재앙적 피해를 입힌 데 이어 카리브해에서 영국군의 위기대응(UMAN 작전)을 주도했다. 40 특공대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투르크와 카이코스 제도, 앵귈라 등에 수백 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그들의 노력은 피해 지역사회를 안심시키고, 보안을 회복하고, 중요한 인프라를 고치고, 인도적 지원을 분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7]
40 특공대는 CBRN 방어 전문가로, CBRN 사건 발생 시 지휘부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18년, 그들은 300명 이상의 군인들이 참가하는 솔즈베리 평원에서 연례 화학전 훈련인 독성 단검 연습에 참가했고, 영국 해병대 밴드 서비스인 RAF 연대와 함께 사상자 치료와 디펜스 CBRN 센터의 전문지식을 활용했다.[18][19][20]
유닛 기억에 남는 날짜
전투의 영예
다음의 전투 영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특공대에게 수여되었다.[21]
- 아드리아티
- 알레탕요우
- 앨러
- 안지오
- 아르젠타 갭
- 버마 1943-45
- 크레타
- 디에프
- 다이브 크로싱
- 드제벨추샤
- 플러싱
- 그리스 1944-45
- 이탈리아 1943-45
- 캉가우
- 포르토 산베네르 상륙
- 시칠리아의 상륙
- 리스
- 리타니
- 마다가스카르.
- 1941년, 1942년, 1944년 중동
- 몬테 오르니토
- 미본
- 노르망디 랜딩
- 북아프리카 1941-43
- 1942년 북서부 유럽, 1944-1945년
- 1941년 노르웨이
- 추격 투 메시나
- 라인
- 세인트 나사이어
- 살레르노
- 세제나인 1호
- 시칠리아 1943년
- 스팀롤러 팜
- 시리아 1941년
- 테르말리
- 바그소
- 발리디코마키오
- 웨스트카펠레
지휘관
지휘관은 다음을 포함했다.
- 1942-1942 Lt Col J Picton Phillips RM(KIA 디에프)
- 1942-1944 Lt Col J C "팝스" 매너 RM(KIA Brach, 유고슬라비아)
- Major N S E Maude RM 1944–1944
- 1944-1945 Lt Col R W Sankey DSO DSC RM
- 1945-1945 Maj I D De'At DSO MBE RM
- 1945-1945 Lt Col L 가격 RM
- 1947-1949 Lt Col R D Houton OBE MC RM
- 1949-1951 Lt Col B J D Lumsden RM
- 1951-1953 Lt Col M Price DSO OBE RM
- 1953-1954 Lt Coll H E Jones MBE RM
- 1954-1956 Lt Col T M 회색 DSO MC RM
- 1956-1958 Lt Col D G 트위드 DSO MBE RM
- 피터 헬링스 DSO MC RM 중령 1958-1959
- 1959-1961 Lt Col I S 해리슨 RM
- 데이비드 헌터 중령 MC RM 1961-1963
- 1963-1964 Lt Col J F Parsons MC RM
- 1964-1966 Lt Col J A Taplin MBE RM
- 1966-1967 Lt Coll E D 파운드 RM
- 로버트 루둔 중령 1967-1969
- 데이비드 알렉산더 RM 중령 1969-1970
- 1970-1972 Lt Coll D L 베일리 OBE RM
- 존 모트램 RM 중령 1972-1974
- 줄리안 톰슨 RM 중령 1975-1978
- 마틴 가로드 RM 중령 1978-1979
- 로빈 로스 RM 중령 1979-81
- 말콤 헌트 중령 1981-1983
- 팀 돈킨 RM 중령 1983-1985
- 1985-1987년 알란 후퍼 RM 중령
- 존 체스터 RM 중령 1987-89
- 1989-1991 Lt Col A D Wray RM
- 그레이엄 던롭 RM 중령 1991-1992
- 1992-1994년 앤서니 밀턴 RM 중령
- 1994-1996년 이안 가디너 중령
- 짐 더튼 RM 중령 1996-1998
- 1998-2000년 존 로즈 중령 OBE RM
- 데이비드 케이프웰 RM 중령 2000-2002
- 2002-2003 Lt Col Gordon Messenger DSO OBE ADC
- 2003-2004년 리처드 와츠 OBE 중령
- 2004-2006 Lt Col D C M 킹 RM
- 2006-2008 Lt Col S M Birrell DSO RM
- 2008-2010 폴 제임스 DSO RM 중령
- 2011-2013 Matt Jackson DSO RM 중령
- 2013~2015년 알렉스 잔젠 OBE RM 중령
- 앤디 왓킨스 중령 2015-2017
- 폴 메이너드 OBE RM 중령 2017-2019
- 사이먼 로저스 RM 중령 2019-2021
- 2021-현 앤디 다우 RM 중령
참조
메모들
- ^ 하스큐, 페이지 48~49
- ^ 닐랜드, 238페이지
- ^ 닐랜드, 245페이지
- ^ 닐란즈, 248
- ^ "Major-General 'Titch' Houghton". The Telegraph. London. 19 January 2011. Retrieved 2 February 2016.
- ^ "Operation Mercerised". Commando Veterans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6. Retrieved 17 April 2016.
- ^ "Royal Marines Commando and Special Boat Service". Commando Veterans Association. Retrieved 17 April 2016.
- ^ "Photos of 40 Commando RM". gallery.commandoveterans.org. Retrieved 20 January 2020.
- ^ "This is the War in Malaya". The Daily Worker. 28 April 1952.
- ^ Peng, Chin; Ward, Ian; Miraflor, Norma (2003). Alias Chin Peng: My Side of History. Singapore: Media Masters. p. 302. ISBN 981-04-8693-6.
- ^ Ngoei, Wen-Qing (2019). Arc of Containment: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Anticommunism in Southeast Asi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p. 89. ISBN 978-1501716409.
- ^ a b c d e f g h i j "40 Commando Royal Marines History". 40 Commando Association. Retrieved 17 April 2016.
- ^ "No. 5877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4 July 2008. pp. 11163–11164.
- ^ "Royal Marines speak of 'horrible' reality of life on patrol in Afghanistan". The Guardian. 17 November 2010.
- ^ "RFA Cardigan Bay". Royal Fleet Auxiliary Historical Association. Retrieved 17 April 2016.
- ^ "Royal Marines deploy on Black Alligator". Royal Navy. 15 October 2013. Retrieved 4 April 2016.
- ^ "Operation Ruman". Warefare Today. Retrieved 8 June 2019.
- ^ "Exercise Toxic Dagger: training the UK military to mitigate CBRN threats". Army Technology. Verdict Media. 3 May 2018. Retrieved 7 March 2019.
- ^ "Exercise TOXIC DAGGER - the sharp end of chemical warfare". Defence Science and Technology Laboratory. gov.uk. 20 February 2018. Retrieved 7 March 2019.
- ^ 모어맨, 페이지 94
참고 문헌 목록
- Beadle, Jeffery, Maj (1992). The Light Blue Lanyard: 50 years with 40 Commando Royal Marines. Square One Publications. ISBN 1872017525.
- Haskew, Michael E (2007). Encyclopaedia of Elite Forces in the Second World War. Pen and Sword. ISBN 978-1-84415-577-4.
- Moreman, Timothy (2006). British Commandos 1940–46. Osprey Publishing. ISBN 1-84176-986-X.
- Neillands, Robin Neillands (2006). The Dieppe Raid: The Story of the Disastrous 1942 Expe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34781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40명의 영국 해군 특공대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40 특공대 - 영국 해군 공식 웹사이트
- 40 특공대 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