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특공대
No. 3 Commando제3특공대 | |
---|---|
![]() 로포텐 열도에 대한 양궁 작전 중 특공대원 은신 | |
활동적인 | 1940–1946 |
해체되었다 | 1946년 1월 4일 |
나라 | ![]() |
분점 | ![]() |
유형 | 특공대 |
역할. | 특수부대 |
크기 | 470~535명 전열[1] |
일부 | 제1특전여단 |
계약 | 제2차 세계 대전 |
지휘관 |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존 던포드 슬레이터 피터 영 |
휘장 | |
통합 운용 어깨 패치 | ![]() |
3호 특공대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육군이 키운 대대 규모의 특공대 부대였다.1940년 7월 특수복무 지원병으로부터 창설된 이 부대는 "특공대"라는 칭호를 가진 최초의 부대였다.곧이어 그 부대는 독일이 점령한 건지 해협 섬에 대한 공습에 대부분 실패하였다.
1941년 그들은 1942년 8월 디에프 급습에 참가하기 전 노르웨이의 로포텐 제도와 바소에 대한 성공적인 습격에 연루되었다. 부대는 주요 상륙의 동쪽 측면에 있는 독일 해안포 포대를 격파하는 임무를 맡았다. 비록 독일 호송대와 해협에서 우연히 마주쳤지만,대부분의 부대는 상륙에 실패했다.
1943년 초, 그 부대는 오버로드 작전을 준비하기 위해 영국으로 철수하기 전에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과 이탈리아에서의 작전에 관여했던 곳에서 4월에 북아프리카로 이동하기 전에 지브롤터로 보내졌다.1944년 6월 6일 D-Day에 그들은 소드의 동쪽 측면에 있는 제6공수사단과 연계하는 임무를 맡은 제1특수임무여단의 일원으로 상륙했다.나중에 그들은 1945년 초 아르덴 공세 때 연합군의 반격에 참여했고, 이후 약탈 작전의 일환으로 독일 진격에 참여했다.
종전 후, 3번 특공대는 1946년 1월 4일 해체되기 전까지 독일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였다.
역사
편대 및 초기 습격
1940년 6월 말 던커크 후 플리머스에서 존 던포드 슬레이터 중령의 지휘 아래 창설된 3번 특공대는 "특공대"[2][3][Note 1]라는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영국 부대였다.1940년 7월 5일까지 그들은 완전히[4] 성장했고, 일주일 조금 더 지난 후 그들은 전쟁의 첫 번째 특공대 습격 중 하나를 수행했다.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의 명령으로 급히 조직된 작전 대사라고 알려진 이 습격은 독일 점령의 [5][6]건지섬에 대한 급습이었다.많은 불상사와 성급한 계획으로 인해, 그 공격은 [6][7]실패로 끝났다.
1940년 10월, 특공대 편성의 개편의 일환으로, 이 부대는 로버트 레이콕 [8]중령이 지휘하는 제4특수부대대로 알려진 8번 특공대와 통합되었다.이 조직의 일부로서, 부대의 이름은 'A' 특수 서비스 [9]회사로 변경되었습니다.1940년 말, 특수부대 대대는 1개 본부와 2개 특공대로 개편되었고, 부대 이름은 3번 특공대로 바뀌었다.1941년 1월, 특수부대 대대는 해체되었고, 특공대는 해체되었고,[10][11] 대대 규모의 부대로 다시 격상되었다.
1941년 3월 노르웨이 [12]로포텐 제도 4개 항구에서 시작된 제1차 특공대 공습에는 3호 특공대 소속 장교 250명이 참가했다.그 공습, 운전 클레이모어 참가가 되려면 상당한 성공은 연합군은 독일 라디오 교통은 나중에 전쟁에서decode를 도와 독일 이니그마 인코딩 머신뿐만 아니라 휘발유와 기름의 상당량을 포함한 수백명의 독일의 포획의 파괴의 바퀴 숫자의 캡쳐 결과 증명했다.[13]
바구소

1941년 12월 27일, 특공대는 노르웨이에서 또다시 공격을 감행했는데, 이번에는 바그소 항구와 말로이 섬([14]몰뢰이 섬)을 양궁 작전이라고 불렀다.HMS 케냐에서 작전을 지휘한 조지프 헤이든 준장의 지휘 아래 잭 처칠 소령 휘하의 5, 6번 부대가 말로이 섬에 상륙했고 던포드 슬레이터가 1, 2, 3, 4번 부대를 지휘했다.3호 특공대 병력 외에 2호 특공대 병력 2명이 [15][Note 2]부유예비군 역할을 했다.
Maaloy에 군대가 섬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간략한 함포 사격, 이후[14] 하지만, Vaagso의 4개 부대를 큰 길 전에 Durnford-Slater은 수출 변동 준비 그와 6번 제군들에게 공개해야 요청 Haydon 신호를 보냈다 잠시 지연되고 있는 독일 수비대에서 상당한 저항과 그들의 공격을 경험했다. 물결 모양의피터 영은 [16]마알로이에서 배로 건너갔다.
머리 위에서는 상당한 공중전이 뒤따랐고, 정박지에서는 해군이 해안선을 폭격하고 [17]항구의 독일 선박을 공격했다.해안에서 거리에서의 교전은 몇 시간 동안 계속되었고, 특공대가 주요 거리 정보팀으로 이동하면서 철거팀이 폭발물을 [18]설치하고 파괴하기 전에 귀중한 문서를 찾기 위해 건물을 수색했다.마침내 13시 45분에 특공대원 철수 명령이 떨어졌다.[19]부대에 의해 도로로 후퇴한 후, 그들은 상륙선으로 다시 이동했고, 14:45분에는 다수의 독일군 포로들과 노르웨이 지원병들을 [14][20]데리고 다시 상륙했다.
특공대원들은 19명의 사망자와 [14]57명의 부상자를 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3번 특공대 소속이었고 120명의 독일인이 사망하고 98명이 추가로 [21][Note 3]생포되었다.
디에프
1942년 8월, 3번 특공대는 프랑스의 디에프에 대한 탐험 급습인 불운한 주빌리 작전에 관여했다.그 계획은 캐나다 2사단의 항구 정면 공격을 요구했다.그러나, 이 일이 일어나기 전에, 3번과 4번 특공대의 병력이 동쪽과 서쪽 측면에 있는 해변에 상륙하여 주요 [22]정박지를 덮고 있던 두 개의 독일군 포대를 무력화시킬 것이다.3번 특공대는 던포드-슬레이터의 [23]지휘 아래 동쪽 측면에 상륙한 괴벨스 포대를 공격하는 임무를 맡았다.포대는 바다에서 반 마일 정도 떨어진 베르네발-르-그랑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앞에는 가파른 절벽이 있었다.3호 특공대는 포대의 동쪽과 서쪽 해변 두 곳에 상륙하기로 결정되었고, 이 해변에서는 포대를 향해 갤리선이 솟아올라 포대가 [24]포대로 접근하는 동안 은신처를 제공하기로 했다.
상륙정과 다른 선박의 호송대가 특공대를 태우고 영국 해협을 건넜을 때, 그러나 그들은 독일 유조선과 마주쳤고, 독일 유조선은 다수의 무장 저인망 어선의 호위를 받으며 포격을 가했다.뒤이은 혼란 속에서 많은 착륙선이 파손되어 회항할 수 밖에 없었고, 다른 착륙선들은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25][Note 4]침몰한 것으로 추정되었다.그 결과 공격을 [26]포기하기로 결정이 내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지휘관들과 서로에게 알려지지 않은 채, 그리고 통신이 두절된 것으로 보고된 7척의 상륙정은 [27]공격을 계속하기로 결심하고 배정된 해변으로 향했다.결국 R 선장 휘하의 120여 명을 태운 6척의 보트로 구성된 한 편대가 상륙했다.L Willis는 배터리 동쪽의 Le Petit Berneval 맞은편 해변에 착륙했다.한편, 다른 하나는 피터 영 대위가 지휘하는 6군단 소속 20명의 배 한 척으로 구성되어 옐로 [27]II에 서쪽으로 상륙했다.
옐로우 I에 상륙한 120명 중 37명이 사망했고 81명은 부상을 입은 후 생포됐으며 단 1명만이 생포에서 탈출해 [28]영국으로 돌아갔다.희생된 사람들 중에는 미국 육군 레인저인 에드워드 루스털로 중위가 있었는데, 그는 유럽 작전 [29][30][Note 5]전장에서 사망한 최초의 미군이었다.그러나 영 휘하의 소규모 부대는 포병대의 200야드(180m) 이내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지만 포병대에 대한 공격이 불가능해 포병대를 몇 시간 동안 괴롭히고 포병대가 정박지에서 사격하려는 목적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했다.철수를 [31]강요당했습니다.그들은 비록 잠깐이지만 [28]해안에서 떨어진 배들에 발포하는 임무에서 포를 우회시키는 데 성공했다.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디에프 공습 이후 3호 특공대는 오랜 소강상태를 보였고, 그 기간 동안 웨이머스 주변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120명의 전직 경찰들이 특공대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스코틀랜드 [32]애치나카리에 있는 특공대 창고에서 막 훈련을 마친 상태였다.그러나 1943년 1월, 이 부대는 [33][34]지브롤터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독일이 스페인을 침공하기로 결정했을 때 대비책으로 주둔하였다.그곳에서 지휘관인 존 던포드 슬레이터는 공중에서 스페인의 잠재적 목표물을 정찰하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휴직 중인 장교들을 [35]국경 너머로 보냈다.
1943년 4월 부대는 북아프리카로 이동해 알제리에[34] 상륙한 뒤 알렉산드리아로 이동해 연합군의 [36]시칠리아 침공 작전인 허스키 작전의 일환으로 작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1943년 7월 10일, 시칠리아 해안의 시라쿠사에서 남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카시빌레 근처에 본대보다 먼저 상륙한, 던포드 슬레이터의 지휘 하에 있는 3번 특공대 중 절반인 4, 5, 6번 부대는 단 한 명의 [37][38]사상자도 입지 않은 채 이탈리아 포병대에 야간 공격을 감행했다.한편 피터 영이 지휘하는 1, 2, 3번 부대는 퐁탄 비앙체 인근 해변인 스코글리오 임비앙카토에 상륙했으나 반대는 없었지만 항행 지연이 잇따르면서 예정보다 늦게 상륙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군대는 그날 [39]밤 늦게 카서블 마을을 점령하기 전에 결속하는데 성공했다.
7월 13일, 특공대는 앨버트 왕자에[39] 다시 승선하여 적진 뒤에 있는 아그노네 만에 상륙하여 폰테 데이 말라티 다리를 점령하고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이 이끄는 영국 제8군의 선봉대를 형성한 50사단이 [40]그들을 구출할 수 있을 때까지 그대로 유지하였다.그것은 "경력 [39]중 가장 위험한 사업"으로 묘사되었다.
상륙정 부족으로 두 [41]번의 파도로 착륙이 이뤄졌다.첫 번째 파도는 22시에 다리에서 약 11km 떨어진 아그노네 바그니 인근 해변을 강타했고 거의 즉시 이탈리아 수비대로부터 사격을 받았다.Durnford-Slater, Young, 그리고 George Herbert 중위의 지휘 하에, 모든 노련한 전투 장교들은 결국 해변을 벗어나 내륙으로 진격하는데 성공했다.두 번째 물결은 몇 시간 후 역시 포화를 맞았고, 착륙선 8척 중 1척이 일부 암초에 좌초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남자들도 해변을 [42]빠져나올 수 있었다.
특공대는 다리를 향해 진격하면서 여러 차례의 작은 교전을 벌였지만, 7월 14일 03:00에[43] 선두부대가 다리의 북동쪽 끝에 도달했고,[44] 거기서 던포드-슬레이터는 공격을 개시하기 전에 병사들을 재정비하는 것을 중단시켰다.공격이 시작된 직후 4개 부대가 선두에 섰다.10분 안에 약상자는 비워졌고 3번 특공대가 다리를 [45]장악했다.
다리 주변에 약 350명의 병력이 있을 때까지 계속 증가해 온 전력으로, 다리에 가해진 돌격물은 제거되었고[46], 50사단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3번 특공대가 다리를 방어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다.다음 몇 시간 동안 그들은 4호 전차로부터 [Note 6]박격포 사격과 포격을 받았다.결국 사상자가 증가하고 지원병력이 늦어지자, 특공대는 진지를 포기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리가 폭파되는 것을 막았고, 8군이 잠시 후에 도착하면서 다리는 결국 탈환되었다.그러나 이 부대는 30명이 사망하고 66명이 부상했으며 59명이 실종되거나 생포되는 [47]등 큰 어려움을 겪었다.그 다리는 나중에 그들을 [47]기리기 위해 3번 특공대교로 개명되었다.
시칠리아 전역이 끝나자 던포드 슬레이터는 3번과 40번(로열 해병) 특공대와 특수 강습 비행대로 구성된 여단 규모의 부대 지휘권을 넘겨받았고 그 결과 피터 영이 그 [48][Note 7]부대의 지휘권을 넘겨받았다.그 후 1943년 8월 하순, 해체 중인 12호[49] 특공대로부터 교체를 받은 후,[50] 이탈리아 침공에 대비해 해협을 횡단하는 정찰 작전이 다수 행해졌다.
9월 8일, 제3특공대 소속 2명의 부대가 주요 침공의 일환으로 포르토 산 베네레(현 칼라브리아의 비보 마리나)에 새벽 상륙하여 부두를 청소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나머지 부대원들은 곧 도착했고, 그들은 비보 발렌티아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추가 [51]명령을 기다렸다.9월 19일, 3번 특공대는 던포드-슬레이터 여단의 나머지 여단과 함께 바리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9월 30일 도착한 3번 특공대 소속 180명은 아서 코머 [Note 8]선장 휘하의 4개 부대로 편성돼 테르몰리 [52]항을 점령하는 공격 부대의 일부로 만프레도니아에서 승선했다.
제3특공대에서 파견된 부대는 제1의 물결로 육지에 상륙해 나머지 부대가 전진할 교두보를 확보했다.10월 3일 오전 8시까지 테르몰리는 함락되었지만, 제16기갑사단의 반격이 [53]10월 6일 초까지 계속되었고, 이 기간 동안 제3특공대는 던포드-슬레이터가 "아마도 그들의 전쟁 중 가장 뛰어난 성과"[54]라고 묘사한 전방 진지를 방어했다.그들은 [55]노르망디 상륙에 대비하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은 직후였다.
D-Day 이후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후, 3번 특공대는 로바트 [56]준장이 지휘하는 제1특공여단의 일부가 되었다.이는 부대의 독립의 종말을 의미했다.그때부터 그들은 더 큰 [57]조직의 일부였고, 특공대의 역할은 소규모 급습과 정밀 작전에서 주로 고도로 훈련된 보병 공격 [58][59]부대로 사용되는 더 큰 규모의 작전으로 발전했다.
D-Day에, 제1특전여단은 소드의 동쪽 측면에 있는 제6공수사단과 연계하여 라 [57]플레인 근처의 고지대를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다.3호 특공대는 두 번째 파도로 9시[60] 5분에 오위스트레함 서쪽의 라 브레쉬에 상륙했다.그들은 해변에 도착하기 전에 교전했고, 특공대가 이동하던 상륙정 3척이 고속 포탄을 맞았다.사상자는 많았으며, 6번 부대는 최소 20명이 부상을 입었지만,[61] 결국 예상했던 것보다 적었다.
상륙정 중 하나가 허황된 해변에서 좌초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부대는 해변을 건너 내륙 [62]약 1,000야드(910m) 지점에 도달했다.상륙정에서 부상당한 6부대의 병사들을 제외하고, 지휘관인 피터 영은 그의 지휘권이 대체로 온전하다는 것을 알았다.그러나 6번 특공대에 의해 행군해야 할 좁은 길이 막혀 곧바로 진격을 시작할 수 없었다.그 결과, 그들은 잠시 동안 포메이션 포인트에 갇혔고, 그곳에서 더 많은 독일군의 박격포 [63]사격을 받았다.
이후 3번 특공대는 콜레빌레에 있는 45번(로열 해병) 특공대의 진지를 지나 생토빈다르퀴나이로 가는 길을 따라 6번 특공대와 다시 만났다.그곳에서 그들은 오르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빠르게 진격하여 이른 [64]아침 다리를 점령한 공수부대와 활공부대와 연합했다.적군 저격수의 포화를 받고 있던 다리를 건너자 피터 영은 공수 본부와 연락을 취했고, 카부르로 진격하지 말고 르 바스 드 랑빌로 부대를 데려가라는 지시를 받았다.암프레빌과 르 플레인을 생포하기 위해 3번 부대를 파견한 나머지 3번 특공대는 명령에 따라 진지를 점령했지만 곧 안도했고 라 플레인 주변의 [64]고지를 지키는 3번 부대에 다시 합류할 수 있었다.
6월 7일, 2인자인 존 풀리 소령이 지휘하는 4, 5번 부대의 연합군이 상륙 [65]해변에 여전히 총이 발사되고 있는 해안 근처의 머빌 포대를 공격했다.포대는 전날 제9낙하산대대의 부대에 의해 빼앗겼으나 나중에 독일군에[66] 의해 재점거되어 박격포와 지뢰로 엄중히 방어되었다.남쪽에서 접근한 4번 부대는 포대에서 300야드 떨어진 울타리 뒤편, 그리고 동쪽에서 고정된 [67]총검으로 접근하는 5번 부대를 엄호하기 위해 배치된 곳에서 공터를 가로질러 이동했다.
풀리를 포함한 많은 특공대원들이 전사한 완강한 방어 끝에 포대를 빼앗았지만, 곧 자주포의 [68]지원을 받는 독일군의 반격을 받았다.이 공격으로 인한 사상자가 많았으며, 결국 특공대는 라 [68]플레인으로 철수해야 했다.
그 후 제1특수부대 [69]여단이 침투하면서 부대는 방어작전에 투입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공격 순찰, 소규모 습격,[70] 저격으로 독일군에 대한 압력을 계속 가했다.7월 중순 독일군이 [71]철수하기 시작하자 제1특수부대 여단은 해안에서 탈출을 시도했고 숲이 우거진 르부아 드 바벤트를 통과했다.3번 특공대는 바라빌로 이동하여 독일 후위병을 따라잡고 마을을 정리했다.진격은 다음 달까지 계속되었고, 8월 19일 그들은 도줄레 북쪽의 고지대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야간에 공격한 여단은 3번 특공대가 선두를 이끌고 진격하여 선두 부대가 독일군 [72]사령부로 진입하기 전에 독일군 진지에 침투할 수 있었다.
이후 5일 동안, 여단은 1944년 [72]8월 26일 마침내 정지를 선언하기 전까지 64km를 더 전진했다.9월 7일, 제3특공대는 나머지 제1특공여단과 함께 전열에서 철수하여 [73]일본군에 대한 작전을 위해 극동으로 재배치될 준비를 하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갔다.그들은 83일 [73]동안 계속해서 활동을 하고 있었다.그 직후, 3번 특공대 사령관 피터 영은 대령으로 진급하고 버마의 3번 특공대 여단을 지휘하기 위해 떠났다.그 결과, 아서 코머가 [73][74]제3특공대를 지휘했다.
최종 작업
1944년 내내, 제1특공대 여단으로 개명된 여단을 극동으로 파견하는 계획이 세워졌으나, 독일 아르덴 공세의 영향으로 [75]취소되었다.1945년 1월, 데릭 밀스 로버츠 준장의 지휘 하에, 3번 특공대가 마스 [73]호를 타고 아스텐에 배치되었다.그 달 말, 부대는 마섹에 진지를 배치했고, 1월 24일부터 25일까지 거리에 눈이 내리고 마을에 독일군의 집중 포탄이 퍼부어지자, [76]린네에 대한 공격에 참여했다.공격은 부분적으로만 성공했고 얼어붙은 몽포터벡 운하를 가로지르는 다리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연합군은 얼음을 걸어서 건너온 3번 특공대를 지원할 수 있는 장갑을 갖추지 못했다.독일군이 탱크를 가지고 왔을 때,[77] 전진은 중단되었다.
특공대원들은 밤새도록 도랑에서 얼어 있어야 했다.다음 날, 영국 공병대의 공병대가 운하를 가로지르는 임시 다리를 건설한 후, 8번째 후사르 부대의 많은 처칠과 셔먼 탱크가 가까스로 건널 수 있었고, 1번과 6번 부대가 꼭대기에 올라 공터를 가로질러 [78]마을 중심부로 진격했다.
제1특공대 여단이 작전을 재개할[78] 준비를 하면서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고, 2월 13일 그들은 46호 해병대 특공대에 의해 린네에서 구조되어 휴식을 위해 [79]마스브레흐트로 돌아갔다.그러나 나머지는 오래가지 못했고, 그 달 말에 그들은 스마크트의 해병대를 구출하고 라인 강을 건널 수 있는 약탈작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1945년 3월 23일 22시, 3번 특공대는 버팔로 상륙 차량을 타고 강을 건너 베젤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3월 25일 그들은 시내 중심부를 청소하고 많은 수의 독일군 [80][81]포로를 붙잡았다.
이후 여단은 계속 진격하여 루덴부르크와 그레벤을 거쳐 1945년 [82]4월 4일 3특공대가 이끄는 오스나브루크를 공격했다.다음 날, 그들은 공격용 보트를 타고 베저 강을 건넜고 어둠을 틈타 리스 마을을 점령한 독일군에 대한 측면 기동을 수행했다.여단의 다른 부대가 동쪽에서 공격하자, 코머가 특공대 훈련소에 배치된 후 피터 바르톨로뮤의[83] 지휘 하에 있는 3번 특공대는 북쪽으로 [84]후속 작전을 수행했다.이 작전은 V-2 로켓을 생산하고 있던 공장에 대한 공격이었고, 3호 특공대가 다수의 탱크의 지원을 받아 이 로켓을 포획한 후,[85] 이 공장에서 일하던 약 100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다수의 무기들을 찾아냈다.
진격은 한 달 내내 계속되었고, 4월 29일, 3번 특공대가 엘베 강을 건너서 론넨버그를 [86]공격했다.6번 특공대가 공격을 주도했고, 여단 본부와 3번 특공대가 바로 뒤를 따라 높은 지대에 자리잡은 뒤,[87] 론넨버그에서 작전을 수행했다.월말까지 이 지역의 모든 독일군의 반대가 중단되었고, 이로 인해 제3특공대의 공세 [87]작전이 종료되었다.독일군이 항복한 5월 7일 뤼벡에 제3특공대가 창설돼 점령군 [88]복무의 다음 단계를 시작했다.
해체
전쟁 후 독일에서 점령 임무를 맡은 후, 3번 특공대는 1946년 1월 4일 빅토리아 [89]기지에 주둔하던 중 마침내 해산되었다.작전 수행 중 부대원들은 6개의 공로훈장, 23개의 군사십자훈장, 33개의 군사훈장, 6개의 공로훈장, 18개의 공로훈장, 그리고 1개의 조지훈장을 받았다.이 부대의 한 대원은 대영제국 [90][91]훈장에도 임명되었다.
구조.
특공대는 전쟁 기간 동안 개념이 개선되고 역할이 명확해짐에 따라 많은 조직 구조를 거쳤다.3번 특공대는 창설 당시 535명의 모든 대열을 10개 부대로 편성하고 각각 50명씩 본부 부대 [9]아래에 배치했다.1940년 말, 특공대는 5개 특수부대대로 구성된 특수부대여단으로 통합되었고, 각각 2개 중대 규모의 부대로 구성되었다.연말까지, 이것은 대대가 본부와 2명의 [10]특공대 주위에 조직되면서 다시 바뀌었다.1941년 3월 특수부대 편성은 폐지되었고, 80명의 장교와 병력으로 구성된 본부 부대,[10][92] 3명의 장교와 62명의 다른 계급으로 구성된 6개 부대로 구성된 470개 부대로 편성되었다.
지휘관
- 존 던포드 슬레이터 중령, DSO 및 Bar: 1940년 7월 ~ 1943년 [4]8월
- 중령 피터 영, DSO, MC 및 2바: 1943년 8월 ~ 1944년 [48]9월
- 아서 코머 중령, DSO: 1944년 9월 ~ 1945년 [73]4월
- 중령 피터 바르톨로뮤, DSO: 1945년 4월~1946년 [83][85]1월
전투명예
제2차 세계대전 [93]중 영국 특공대에게 수여된 전투훈장은 다음과 같다.
- 아드리아어
- 알레탕야우
- 얼러
- 안지오
- 아르젠타 갭
- 버마 1943년 ~ 1945년
- 크레타 섬
- 디에프
- 다이브즈 크로싱
- 제벨 슈차
- 플러싱
- 그리스 1944-45
- 이탈리아 1943년 ~ 1945년
- 캉가우
- 포르토 산 베네르 상륙
- 시칠리아 상륙
- 리스
- 리타니
- 마다가스카르.
- 중동 1941, 1942, 1944
- 몬테 오르니토
- 마이에본
- 노르망디 상륙
- 북아프리카 1941-43
- 북서유럽 1942년 1944년-1945년
- 노르웨이 1941년
- 메시나로의 추적
- 라인
- 세인트 나사이어
- 살레르노
- 세제난 1호
- 1943년 시칠리아
- 스팀롤러 팜
- 시리아 1941
- 테르모리
- 바구소
- 발리 디 코마키오
- 웨스트카펠
메모들
각주
- ^ 3호 특공대는 1호, 2호 특공대는 나중에 공수부대로 키우겠다는 취지로 존재하지 않았고 그 직후 다른 특공대 부대도 인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Durnford-Slater 2002, 12페이지; Saunders 1959, 22-23페이지.
- ^ 4호 특공대와 6호 특공대 소속 의료진과 기관사도 있었다.채펠 1996, 14페이지
- ^ 해군 사상자는 2명의 사망자와 6명의 부상자로 구성되었고, 8대의 영국 공군 항공기가 격추되었다.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88
- ^ 당초 출발한 23척의 상륙정 중 4척은 독일 호송선과 함께 진입하기 전 엔진 고장으로 회항했고 8척은 파손으로 회항했으며 4척은 침몰했으며 7척은 실종으로 생각됐으나 결국 해안으로 밀려났다.손더스 1959, 페이지 89
- ^ 42명의 미군 1 레인저 대대의 장교와 병사들은 3번 특공대에 소속되어 있었다.던포드-슬레이터 2002, 13페이지
- ^ 손더스와 던포드 슬레이터는 이 탱크를 타이거로 잘못 인식하지만, 던포드 슬레이터의 회고록의 최신 버전을 편집한 데이비드 리스트는 당시 독일군이 이 지역에 호랑이를 보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탱크가 4호 전차였을 것이라고 명확히 한다.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5
- ^ 던포드 슬레이터는 그 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과 왕실 해병대 등 모든 영국 특공대 부대를 책임지는 사단 규모의 사령부인 특공대 그룹의 부사령관이 되었고, 이 역할에서 그는 D-day와 그 이후를 위한 특공대 작전을 계획하는 임무를 맡았다.Durnford-Slater 2000, 페이지 171; Laffin 1999, 페이지 18.
- ^ 피터 영은 독일군의 반격 동안 테르몰리에 있는 부대를 지휘하기 위해 제시간에 돌아왔지만, 이탈리아 침공 전에 실시된 정찰 공격 중 하나에서 부상을 회복하며 당시 병원에 있었다.손더스 1959, 페이지 175
인용문
- ^ Durnford-Slater 2003, 페이지 ix-xvi.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2
- ^ 채펠 1996, 페이지 52와 57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5
- ^ 채펠 1996, 페이지 45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21-22
- ^ 라핀 1999, 13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ix-x.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ix
- ^ a b c 채펠 1996, 7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x
- ^ 채펠 1996, 12페이지
- ^ 샤펠 1996, 12-13페이지
- ^ a b c d 채펠 1996, 14페이지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75-76.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81-82.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84-85.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86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84페이지
- ^ 손더스 1959 페이지 5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88
- ^ 포드 2003, 페이지 30-33
- ^ 포드 2003, 페이지 33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91-92.
- ^ 포드 2003, 페이지 41-43.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05
- ^ a b 포드 2003, 페이지 43
- ^ a b 포드 2003, 페이지 44
- ^ 포드 2003, 페이지 45
- ^ 손더스 1959, 페이지 90
- ^ 손더스 1959, 페이지 7-1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09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16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13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17
- ^ 손더스 1959, 페이지 132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35
- ^ 손더스 1959, 페이지 136-137.
- ^ a b c 손더스 1959, 137페이지
- ^ 손더스 1959, 페이지 138-139.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139페이지
- ^ 손더스 1959, 140-141페이지.
- ^ 손더스 1959, 페이지 14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42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43
- ^ 손더스 1959 페이지 143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147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50
- ^ 던포드-슬레이터 2000, 페이지 15
- ^ 손더스 1959 페이지 151
- ^ 손더스 1959 페이지 156
- ^ 손더스 1959, 페이지 171
- ^ 손더스 1959, 페이지 175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65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70
- ^ 모어맨 2006, 페이지 91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85
- ^ 채펠 1996, 3페이지
- ^ 라핀 1999, 페이지 18
- ^ "No. 3 Commando (June 1944)". Pegasus Archive. Retrieved 12 August 2009.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188–189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189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190페이지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91
- ^ Durnford-Slater 2002, 193페이지
- ^ 손더스 1959, 페이지 24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194페이지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242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197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99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02
- ^ a b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03
- ^ a b c d e 손더스 1959, 페이지 289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04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12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13
- ^ 손더스 1959, 페이지 290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29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14
- ^ Durnford-Slater 2002, 페이지 216–217.
- ^ 손더스 1959, 페이지 296–297.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17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296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18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300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20
- ^ a b 손더스 1959, 페이지 302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21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16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231–234.
- ^ 1999년 라핀, 19페이지
- ^ 던포드-슬레이터 2002, 페이지 xi
- ^ 모어맨, 페이지 94
레퍼런스
- Chappell, Mike (1996). Army Commandos 1940–1945. Elite Series # 64. London: Osprey Publishing. ISBN 1-85532-579-9.
- Durnford-Slater, John (2002) [1953]. Commando: Memoirs of a Fighting Commando in World War Two. London: Greenhill Books. ISBN 1-85367-479-6.
- Ford, Ken (2003). Dieppe 1942. Campaign # 127. Botley,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1-84176-624-0.
- Laffin, John (1999). Raiders: Great Exploits of the Second World War. Stroud: Sutton. ISBN 978-0-7509-1525-0.
- Moreman, Tim (2006). British Commandos 1940–46. Botley,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176-986-8.
- Saunders, Hilary St. George (1959) [1949]. The Green Beret: The Commandos at War. London: Four Square Books. OCLC 1260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