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 랭킹

ATP rankings

페퍼스톤 ATP 랭킹[1] 테니스 프로 협회(ATP)가 모든 단식과 복식 경기에서 선수들의 시드뿐만 아니라 엔트리 자격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능력 기반 방식입니다.[2]단식의 첫 순위는 1973년 8월 23일에 발표되었고 복식 선수들은 1976년 3월 1일에 처음으로 순위가 매겨졌습니다.랭킹 포인트는 토너먼트에 도달하는 단계와 토너먼트의 위신에 따라 수여되며, 4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가 가장 많은 포인트를 수여합니다.랭킹은 매주 월요일에 업데이트되며, 포인트는 수여된 지 52주 후에 떨어집니다(다음마지막 ATP 투어 경기에 이어 월요일에 포인트가 떨어지는 ATP 결승전 제외).노박 조코비치는 현재 남자 단식 세계 1위입니다.

노박 조코비치, 남자 단식 1위
카를로스 알카라즈, 남자 단식 2위.
다닐 메드베데프, 남자 단식 3위
얀니크 시너, 남자 단식 4위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남자 단식 5위.

역사

ATP는 1972년 잭 크레이머, 클리프 드라이스데일, 그리고 도널드 델의 결합된 노력으로 남성 노동조합으로 시작했고, 81명의 조합원들이 1973년 윔블던 대회를 보이콧하면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3]불과 두 달 뒤인 8월, ATP는 토너먼트 엔트리 기준을 객관화하기 위한 랭킹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당시까지는 국가별 연맹과 토너먼트 감독들이 관리했습니다.[4]

남자 테니스는 ATP의 새로운 랭킹 시스템을 빠르게 도입했습니다.[5]사실상 모든 ATP 회원들이 행사 참가를 객관화하는 것에 찬성하는 반면, 시스템의 첫 번째 1위인 일리엔 ă스타세는 "모든 사람들이 그들에게 번호를 걸고 있다"고 개탄하여 선수들 사이에 더 경쟁적이고 덜 연대하는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1979년 중반부터 매주 정기적으로 발표되어 1980년대까지 지속된 원래의 ATP 랭킹 기준은 각 선수들의 평균 성적을 기준으로 했지만, 세부 사항은 여러 번 수정되었습니다.[4][5]1990년부터 새로운 남자 투어 운영자로서 ATP 시야의 확대와 함께 순위 기준은 경쟁적인 활강 스키를 모델로 한 '베스트 오브'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습니다.[5]이 '최고의' 시스템은 원래 14개 종목을 사용했지만 2000년에 18개 종목으로 확대되었습니다.[5]순위를 계산하는 컴퓨터의 별명은 "블링키" 입니다.[7]

개요

선수의 ATP 랭킹은 다음 20개 토너먼트에서 쌓은 총 포인트(ATP 결승에 진출하지 못한 경우 19개)를 기반으로 합니다.

동일한 투어 유형 내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년도보다 더 나쁜 첫 번째 결과가 만료되기를 기다려야 합니다.해당 토너먼트의 종료일에 만료되며, 해당 선수가 더 나쁜 결과에 도달했거나 해당 연도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만 만료됩니다.

토너먼트에서 얻은 랭킹 포인트는 52주 후에 떨어지는데, ATP 결승전을 제외하고는 다음 해 마지막 ATP 투어 대회에 이어 월요일에 포인트가 떨어집니다.[2]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1000은 2009년에 선택사항이 되었지만, 만약 선수가 참가를 선택한다면, 그 결과는 계산되고 ATP 500 경기에서 4번째로 좋은 성적은 무시됩니다(그의 3개의 최고 ATP 500 성적은 남아있습니다).2009년부터 2015년까지 한 선수가 ATP 500 종목을 충분히 소화하지 못했고 ATP 250 또는 챌린저 출전이 더 좋지 않았다면 데이비스 컵은 500의 테이블에 집계되었습니다.[9]2012년 취소되기 전까지 월드컵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데이비스 컵의 경우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월드 그룹 국가를 대상으로 포인트가 분배되었습니다.정확한 드롭 날짜가 있는 대신 참가자의 결과를 전년도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대회의 각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예: 한 선수가 준결승전에서 두 경기를 치렀지만 다음 해에 한 경기를 치렀을 경우에는 한 경기만 포인트에서 제외됩니다.)[9]

확인된 부상으로 인해 30일 이상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 선수는 위약금을 받지 않습니다.ATP 결승전은 시즌 종료 후 8개 예선전 순위에서 추가로 20번째 토너먼트로 계산됩니다.[10]

모든 그랜드 슬램 대회 또는 ATP 마스터스 1000 대회의 의무적인 대회에서, 선수가 메인 추첨에 참가하지 않았고(그리고 그랜드 슬램 대회의 경우, 그와 다른 모든 선수들이 참가했더라면), 그리고 메인 추첨에 직접 참가하지 않았을 것이고, 결코 메인 추첨에 직접 참가하지 않았을 것입니다.랭킹 기간 내에 다른 모든 출전 자격이 있는 토너먼트에서 그의 성적이 1개 증가합니다.[2]

일단 그랜드 슬램 대회 또는 ATP 마스터스 1000 대회의 메인 추첨에서 선수가 합격하면,[c] 출전 여부에 관계없이 이번 대회에서의 성적이 순위에 반영됩니다.선수가 ATP 500 경기에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기권하면 4개 중 가장 좋은 결과 중 하나로 0점이 됩니다.연속적이지 않은 추가 인출은 각 추가 인출에 대해 차선의 양의 결과를 대체하는 영점 할당으로 이어집니다.[2]

부상으로 30일 이상 경기에서 탈락한 다연전 탈퇴 선수는 확인되고 승인된 진료서를 제출하는 한 순위벌점을 받지 않습니다."철회 벌금 및/또는 벌금의 폐지"에 명시된 프로모션 활동 요건을 완료하거나 현장 철회 절차가 적용될 경우, 선수는 순위 벌점을 부과받지 않습니다.참가자들은 또한 위약금을 확정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재판부에 철회 위약금을 항소할 수 있습니다.[2]

2000년에서 2012년 사이에, 랭킹 포인트는 하계 올림픽에서의 결과에 따라 주어졌습니다.이것은 랭킹 포인트가 주어지지 않았던 2016년 올림픽을 앞두고 변경되었습니다.[11]

이 규칙에 따라, 선수가 4개의 그랜드 슬램과 8개의 ATP 마스터스 1000 종목, 추가로 6개의 ATP 500 종목과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1000 종목에서 경기하고 우승하면 ATP 결승전 전에 총 20,000 포인트를 모을 수 있고, 최대 21,500 포인트로 역년을 마칠 수 있습니다.2022년 현재 2009년 이후 모든 선수가 달성한 최고점은 2016년 6월 6일 노박 조코비치가 기록한 16,950점입니다.[12]

ATP 경주

ATP 레이스는 연말 단식 1위와 복식 1위 팀 외에도 연말 챔피언십 출전 자격을 결정하기 위해 매년 열리는 성적 기반 포인트 레이스입니다.처음에는 "ATP 챔피언스 레이스"라고 불렸던 이 레이스는 ATP가 1999년에 발표한 "21세기 테니스" 전략의 일환으로 2000년 시즌에 도입했습니다.[13]모든 선수와 팀은 0점으로 한 해를 시작하고, 성적에 따라 토너먼트마다 포인트를 쌓습니다.[14]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와 팀이 자신들의 종목에서 연말 1위로 등극하고, 상위 8명의 선수와 팀이 시즌 종료 챔피언십인 ATP 결승전에 참가합니다.

순위결정방법

ATP 랭킹이 도입된 이후, 선수의 랭킹 포인트를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 번 바뀌었습니다.[15][16]

포인트 분포(2009~현재)

랭킹 포인트는 다음과 같이 부여됩니다.[17]

토너먼트 부문 W F SF QF R16 R32 R64 R128 Q
ATP 투어
그랜드 슬램 2000 1200 720 360 180 90 45 10 25
ATP 결승전 +900
(1500 최대값)
+400
(1000 max)
라운드 로빈 매치 승리시마다 200개씩
(600 최대값)
ATP 마스터스 1000 1000 600 360 180 90 45 10 (25) (10) 25 (16)
ATP 500계 500 300 180 90 45 (20) 20 (10)
ATP 250계 250 150 90 45 20 (5) 12 (5)
ATP 챌린저 투어
챌린저 175 175 100 60 32 15 6
챌린저 125 125 75 45 25 11 5
챌린저 100 100 60 36 20 9 5
챌린저 75 75 50 30 16 7 4
챌린저 50 50 30 17 9 4 3
ITF 남자 세계테니스투어
선물 M25 25 16 8 3 1
선물 M15 15 8 4 2 1
  •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본선 조추첨이 56점보다 큰 경우에만 예선 포인트가 16점으로 바뀝니다.
  • (ATP 500 시리즈) 본선 조추첨이 32점 이상일 경우에만 예선 포인트가 10점으로 바뀝니다.
  • (ATP 250 시리즈) 본선 조추첨이 32점보다 큰 경우에만 예선 포인트가 5점으로 바뀝니다.
  • ATP 1000 시리즈에서 1라운드에서 부전승을 거둔 선수와 2라운드에서 첫 경기에서 패배한 선수는 1라운드에서 패배한 것으로 간주되며, 1라운드 패배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게 됩니다.마찬가지로 ATP 500 시리즈 2라운드와 ATP 250 시리즈 1라운드에서 부전승 후 패배하면 0점을 획득합니다.[18]

또한 예선 참가자와 본선 조 추첨 참가자는 자신이 도달한 라운드의 괄호 안에 있는 포인트를 받게 됩니다.[19]

2016년부터 데이비스 컵 타이와 [20]하계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 포인트가 더 이상 주어지지 않았습니다.[21]

현재순위

싱글 상위 8명 결과

순위 플레이어[24][25][26] 그랜드 슬램 ATP 마스터스 1000 ATP
결승전
22
그 외 대회 최고 성적 유나이티드항공
참조.
AUS23 FRA23 23 USO23 IW23 미아23 MOC23 미친23 23 할 수 있다23 CIN23 SHA22 PAR22 1 2 3 4 5
1 Serbia 노박 조코비치 W
2000
W
2000
F
1200
W
2000
A
A
R16
90
A QF
180
A
W
1000
NH
F
600
W
1500
W
500
W
250
W
250
A
[27]
2 Spain 카를로스 알카라즈 A SF
720
W
2000
SF
720
W
1000
SF
360
A
W
1000
R32
45
QF
180
F
600
NH
QF
180
A
W
500
W
500
W
250
F
300
A
[28]
3 Russia 다닐 메드베데프 R32
90
R128
10
SF
720
F
1200
F
600
W
1000
QF
180
R16
90
W
1000
QF
180
R16
90
NH
R32
10
RR
0
W
500
W
500
W
500
W
250
A [29]
4 Denmark 홀거 룬 R16
180
QF
360
QF
360
R128
10
R32
45
R16
90
F
600
R32
45
F
600
R32
10
R32
10
NH
W
1000
DNQ
W
250
W
250
F
300
F
150
A [30]
5 Greece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F
1200
QF
360
R16
180
R64
45
R64
10
R16
90
QF
180
QF
180
SF
360
R32
10
R16
90
NH
SF
360
RR
200
W
250
F
300
F
300
F
150
SF
225
[31]
6 Russia 안드레이 루블레프 QF
360
R32
90
QF
360
QF
360
R16
90
R16
90
W
1000
R16
90
R16
90
R32
10
R32
10
NH
R32
10
SF
400
W
250
W
250
F
300
F
300
F
150
A
[32]
7 Italy 얀니크 시너 R16
180
R64
45
SF
720
R16
180
SF
360
F
600
SF
360
A R16
90
W
1000
R32
10
NH
R64
10
DNQ
W
250
F
300
A [33]
8 United States 테일러 프리츠 R64
45
R32
90
R64
45
QF
360
QF
180
QF
180
SF
360
R16
90
R64
10
R16
90
QF
360
NH
R32
45
SF
400
W
500
W
250
W
250
W
350
[34]
기타 톱 플레이어
Norway 캐스퍼 루드 R64
45
F
1200
R64
45
R64
45
R32
45
R32
45
R16
90
R64
10
SF
360
R16
90
R32
10
NH
R16
90
F
1000
W
250
F
150
RR
25
[35]
  • 한 선수의 총 점수는 자신의 최고 19개 토너먼트(ATP 결승에 진출한 8명의 선수는 20점)에서 얻은 점수의 누적입니다.
  • 모든 빅 토너먼트(그랜드 슬램, 마스터스, ATP 결승전)의 결과가 그 내역에 포함됩니다.
  • 나머지 토너먼트는 타이틀과 결승전 결과만 포함됩니다.

ATP 랭킹 1위 싱글 선수들

노박 조코비치는 12개의 다른 해에 기록적인 세계 1위에 올랐습니다.그는 역대 선수 최다 1위(396주), 연말 최다 1위(7주), 최다 1위(16,950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 23일 현재 세계 1위.
현역 전 1위.
위크스 세계랭킹 1위 선수 처음 도달함
396 노박 조코비치 (SRB) 2011년7월4일
310 로저 페더러 (SUI) 2004년2월2일
286 피트 샘프라스 (USA) 1993년4월12일
270 이반 렌들 (TCH) 1983년2월28일
268 지미 코너스 (USA) 1974년7월29일
209 라파엘 나달 (ESP) 2008년8월18일
170 존 매켄로 (USA) 1980년3월3일
109 비에른 보리 (SWE) 1977년8월23일
101 안드레 아가시 (USA) 1995년4월10일
80 레이턴 휴잇 (AUS) 2001년11월19일
72 슈테판 에드베르그 (SWE) 1990년8월13일
58 짐 쿠리어 (USA) 1992년2월10일
43 구스타보 쿠에르텐 (BRA) 2000년12월4일
41 앤디 머레이 (GBR) 2016년11월7일
40 일리엔 ă스테이스 (ROM) 1973년8월23일
36 카를로스 알카라즈 (ESP) 2022년9월12일
20 마츠 윌란더 (SWE) 1988년9월12일
16 다닐 메드베데프 (RUS) 2022년2월28일
13 앤디 로딕 (USA) 2003년11월3일
12 보리스 베커 (GER) 1991년1월28일
9 마라트 사핀 (RUS) 2000년11월20일
8 존 뉴컴 (AUS) 1974년6월3일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ESP) 2003년9월8일
6 토마스 머스터 (AUT) 1996년2월12일
마르셀로 리오스 (CHI) 1998년3월30일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RUS) 1999년5월3일
2 카를로스 모야 (ESP) 1999년3월15일
1 패트릭 래프터 (AUS) 1999년7월26일
28명의 선수들
연말 1호
7 노박 조코비치 (SRB)
6 피트 샘프라스 (USA)
5 지미 코너스 (USA)
로저 페더러 (SUI)
라파엘 나달 (ESP)
4 존 매켄로 (USA)
이반 렌들 (TCH)
2 비에른 보리 (SWE)
슈테판 에드베르그 (SWE)
레이턴 휴잇 (AUS)
1 일리엔 ă스테이스 (ROM)
마츠 윌란더 (SWE)
짐 쿠리어 (USA)
안드레 아가시 (USA)
구스타보 쿠에르텐 (BRA)
앤디 로딕 (USA)
앤디 머레이 (GBR)
카를로스 알카라즈 (ESP)
18명의 선수들

경력 순위가 가장 높은 선수 2~5위

다음은 1973년 ATP 랭킹이 도입된 이후 세계 랭킹 5위 이상이지만 1위가 아닌 선수들의 명단입니다.[36]

세계 2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Spain 마누엘 오란테스 1973년8월23일
Australia 켄 로즈월 1975년4월30일
Argentina 기예르모 빌라스
United States 아서 애쉬 1976년5월10일
Germany 마이클 스티치 1993년11월22일
Croatia 고란 이바니셰비치 1994년7월4일
United States 마이클 창 1996년9월9일
Czech Republic 페트르 코르다 1998년2월2일
Spain 알렉스 코레타 1999년2월1일
Sweden 매그너스 노먼 2000년6월12일
Germany 토미 하스 2002년5월13일
Germany 알렉산드르 즈베레프 2022년6월13일
Norway 캐스퍼 루드 2022년9월12일
세계 3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United States 스탠 스미스 1973년8월23일
Netherlands 톰 오커 1974년3월2일
Australia 로드 레이버 1974년8월9일
United States 브라이언 고트프리드 1977년6월19일
United States 비타스게룰라이티스 1978년2월27일
France 야닉 노아 1986년7월7일
Spain 세르기 브루게라 1994년8월1일
Argentina 기예르모 코리아 2004년5월3일
Argentina 데이비드 날반디안 2006년3월20일
Croatia 이반 류비치치 2006년5월1일
Russia 니콜라이 다비덴코 2006년11월6일
Spain 데이비드 페러 2013년7월8일
Switzerland 스탠 바브링카 2014년1월27일
Canada 밀로스 라오닉 2016년11월21일
Bulgaria 그리고르 디미트로프 2017년11월20일
Croatia 마린 칠리치 2018년1월29일
Argentina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2018년8월13일
Austria 도미니크 팀 2020년 3월 2일
Greece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2021년8월9일
세계4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Italy 아드리아노 파나타 1976년8월24일
Mexico 라울 라미레스 1976년11월7일
United States 로스코 태너 1979년7월30일
United States 진 메이어 1980년10월6일
Argentina 호세 루이스 클레르크 1981년8월3일
Czechoslovakia 밀로슬라프 메치 1988년2월22일
Australia 팻캐시 1988년5월9일
United States 브래드 길버트 1990년1월1일
Ecuador 안드레스 고메스 1990년6월11일
France 가이 포겟 1991년3월25일
Ukraine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1994년5월16일
United Kingdom 그렉 루세스키 1997년10월6일
Sweden 요나스 비외크만 1997년11월3일
Netherlands 리하르트 크라지첵 1999년3월29일
United States 토드 마틴 1999년9월13일
Sweden 토마스 엥크비스트 1999년11월15일
Germany 니콜라스 키퍼 2000년1월10일
United Kingdom 팀 헨만 2002년7월8일
France 세바스티앙 그로장 2002년10월28일
United States 제임스 블레이크 2006년11월20일
Sweden 로빈 쇠덜링 2010년11월15일
Japan 니시코리 게이 2015년3월2일
Czech Republic 토마시 베르디흐 2015년5월18일
Denmark 홀거 룬 2023년8월21일
Italy 얀니크 시너 2023년10월2일
세계 5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Czechoslovakia 얀 코데시 1973년9월13일
United States 에디 딥스 1978년7월24일
United States 해럴드 솔로몬 1980년9월8일
United States 지미 아리아스 1984년4월9일
Sweden 안데르스 제리드 1985년7월22일
United States 케빈 커렌
France 앙리 르콩트 1986년9월22일
France 세드릭 피올린 2000년5월8일
Czech Republic 지 ř리 노바크 2002년10월21일
Germany 라이너 쉬틀러 2004년4월26일
Argentina 가스톤 가우디오 2005년4월25일
Spain 토미 로브레도 2006년8월28일
Chile 페르난도 곤살레스 2007년1월29일
France 조윌프리드 송가 2012년2월27일
South Africa 케빈 앤더슨 2018년7월16일
Russia 안드레이 루블레프 2021년9월13일
United States 테일러 프리츠 2023년2월27일

경력 순위가 6-10위 이내인 선수

다음은 1973년 ATP 랭킹이 도입된 이후 세계 랭킹 6~10위에 오른 선수들의 명단입니다.[36]

세계 6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United States 엘리엇 텔트셔 1982년6월7일
Spain 호세 이게라스 1983년6월13일
Sweden 헨리크 순드스트룀 1984년10월8일
Sweden 켄트 칼슨 1988년9월19일
United States 애런 크릭스타인 1990년2월26일
South Africa 웨인 페레이라 1995년5월8일
Slovakia 카롤 쿠체라 1998년9월14일
Ecuador 니콜라스 라펜티 2000년4월17일
Spain 알베르트 코스타 2002년7월22일
France 질 사이먼 2009년1월5일
France 가 ë 몬필즈 2016년11월7일
Italy 마테오 베레티니 2022년1월31일
Canada 펠릭스 오거알리아심 2022년11월7일
세계 7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Italy 코라도 바라주티 1978년8월21일
United States 브라이언 티처 1981년10월5일
United States 샌디 메이어 1982년4월26일
Australia 피터 맥나마라 1983년3월14일
United States 요한 크리크 1984년9월10일
Spain 후안 아길레라 1984년9월17일
Sweden 요아킴 니스트룀 1986년3월31일
United States 팀 마요트 1988년10월31일
Switzerland 야코프 흘라섹 1989년4월17일
United States 제이 버거 1990년4월16일
Spain 에밀리오 산체스 1990년4월30일
Spain 알베르토 베라사테기 1994년11월14일
Sweden 토마스 요한슨 2002년6월10일
Croatia 마리오 안치치 2006년7월10일
France 리처드 가스케 2007년7월9일
Spain 페르난도 베르다스코 2009년4월20일
United States 마디피쉬 2011년8월15일
Belgium 데이비드 고핀 2017년11월20일
세계 8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Australia 토니 로슈 1975년11월16일
Australia 존 알렉산더 1975년12월15일
United States 딕 스탁턴 1977년10월31일
United States 피터 플레밍 1980년7월7일
Argentina 알베르토 만치니 1989년10월9일
Czechoslovakia 카렐 노바체크 1991년11월18일
Australia 마크 필리포우시스 1999년4월19일
Argentina 기예르모 카냐스 2005년6월6일
Czech Republic 라데크슈트 ě파넥 2006년7월10일
Cyprus 마르코스 바그다티스 2006년8월21일
Russia 미하일 유즈니 2008년1월28일
Austria 위르겐 멜저 2011년4월18일
Serbia 얀코 팁사레비치 2012년4월2일
United States 잭 삭스 2017년11월20일
United States 존 이스너 2018년7월16일
Russia 카렌 카차노프 2019년7월15일
Argentina 디에고 슈워츠먼 2020년10월12일
United Kingdom 캐머런 노리 2022년9월12일
세계 9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Soviet Union 알렉스 미터벨리 1974년6월3일
Paraguay 빅토르 페치 1980년3월24일
United States 빌 스캔론 1984년1월9일
Soviet Union 안드레이 체스노코프 1991년4월8일
Switzerland 마크 로셋 1995년9월11일
Thailand 파라돈 스리차판 2003년5월12일
Chile 니콜라스 마수 2004년9월13일
Sweden 요아힘 요한손 2005년2월14일
Argentina 마리아노 푸에르타 2005년8월15일
Spain 니콜라스 알마그로 2011년5월2일
Italy 파비오 포그니니 2019년7월15일
Spain 로베르토 바우티스타 아굿 2019년11월4일
Poland 휴버트 허카츠 2021년11월8일
세계 10위
플레이어 도달일자
United States 톰 고먼 1974년5월1일
Poland 보이치에흐 피박 1977년7월25일
France 티에리 툴라스네 1986년8월4일
Sweden 미카엘 퍼너스 1986년9월22일
Argentina 마르틴 자이테 1990년7월9일
Sweden 요나스 스벤손 1991년3월25일
Sweden 마그누스 구스타프손 1991년7월29일
Spain 카를로스 코스타 1992년5월18일
Sweden 매그너스 라슨 1995년4월17일
Spain 펠릭스 만틸라 1998년6월8일
France 아르노 클레망 2001년4월2일
Argentina 후안 모나코 2012년7월23일
Latvia 어니스트 굴비스 2014년6월9일
Spain 파블로 카레뇨 부스타 2017년9월11일
France 루카스 푸일 2018년3월19일
Canada 데니스 샤포발로프 2020년9월21일
United States 프란체스코 티아포 2023년6월19일

연말 Top 10

★는 플레이어의 연말 최고 순위를 나타냅니다.
연도 1호 2번 3번 4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1973 Romania I. N ă효소 Australia J. 뉴컴 United States J. 코너 Netherlands T. 오커 United States S. 스미스 Australia K. 로즈월 Spain M. 오란테스 Australia R. 김 Czechoslovakia J. 코데시 United States A. 애시
1974 United States J. 코너 Australia J. 뉴컴 Sweden B. 보그 Australia R. 김 Argentina G. 빌라스 Netherlands T. 오커 United States A. 애시 Australia K. 로즈월 United States S. 스미스 I. N ă효소
1975 United States J. 코너 Argentina G. 빌라스 Sweden B. 보그 United States A. 애시 Spain M. 오란테스 Australia K. 로즈월 I. N ă효소 Australia J. 알렉산더 United States R. 태너 Australia R. 김
1976 United States J. 코너 Sweden B. 보그 I. N ă효소 Spain M. 오란테스 Mexico R. 라미레스 Argentina G. 빌라스 Italy A. 파나타 United States H. 솔로몬 United States E. 디브스 United States B. 고트프리드
1977 United States J. 코너 Argentina G. 빌라스 Sweden B. 보그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United States B. 고트프리드 United States E. 디브스 Spain M. 오란테스 Mexico R. 라미레스 I. N ă효소 United States D. 스톡턴
1978 United States J. 코너 Sweden B. 보그 Argentina G. 빌라스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United States E. 디브스 United States B. 고트프리드 Mexico R. 라미레스 United States H. 솔로몬 Italy C. 바라주티
1979 Sweden B. 보그 United States J. 코너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United States R. 태너 Argentina G. 빌라스 United States A. 애시 United States H. 솔로몬 Spain J. 히게라스 United States E. 디브스
1980 Sweden B. 보그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J. 코너 United States G. 메이어 Argentina G. 빌라스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H. 솔로몬 Argentina 제이엘 클레르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United States E. 텔처
1981 United States J. 매켄로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J. 코너 Sweden B. 보그 Argentina 제이엘 클레르 Argentina G. 빌라스 United States G. 메이어 United States E. 텔처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Australia P. 맥나마라
1982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J. 코너 Czechoslovakia I. 렌들 Argentina G. 빌라스 United States V. 게룰라염 Argentina 제이엘 클레르 Sweden 엠 윌랜더 United States G. 메이어 France Y. 노아 Australia P. 맥나마라
1983 United States J. 매켄로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J. 코너 Sweden 엠 윌랜더 France Y. 노아 United States J. 아리아스 Spain J. 히게라스 Argentina 제이엘 클레르 South Africa K. 커렌 United States G. 메이어
1984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J. 코너 Czechoslovakia I. 렌들 Sweden 엠 윌랜더 Ecuador 고메스 Sweden A. 제리드 Sweden H. 선드스트룀 Australia P. 현금 United States E. 텔처 France Y. 노아
1985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J. 매켄로 Sweden 엠 윌랜더 United States J. 코너 Sweden S. 에드버그 West Germany B. 베커 France Y. 노아 Sweden A. 제리드 Czechoslovakia 메치 United States K. 커렌[d]
1986 Czechoslovakia I. 렌들 West Germany B. 베커 Sweden 엠 윌랜더 France Y. 노아 Sweden S. 에드버그 France H. 르콘테 Sweden 니스스트롬 United States J. 코너 Czechoslovakia 메치 Ecuador 고메스
1987 Czechoslovakia I. 렌들 Sweden S. 에드버그 Sweden 엠 윌랜더 United States J. 코너 West Germany B. 베커 Czechoslovakia 메치 Australia P. 현금 France Y. 노아 United States T. 마요트 United States J. 매켄로
1988 Sweden 엠 윌랜더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A. 아가시 West Germany B. 베커 Sweden S. 에드버그 Sweden K. 칼슨 United States J. 코너 Switzerland J. 흘라섹 France H. 르콘테 United States T. 마요트
1989 Czechoslovakia I. 렌들 West Germany B. 베커 Sweden S. 에드버그 United States J. 매켄로 United States M. 창 United States B. 길버트 United States A. 아가시 United States 크릭스타인 Argentina 만치니 United States J. 버거
1990 Sweden S. 에드버그 Germany B. 베커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A. 아가시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Ecuador 고메스 Austria T. 머스터 Spain E. 산체스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G. 이바니셰비치 United States B. 길버트
1991 Sweden S. 에드버그 United States J. 택배기사 Germany B. 베커 Germany M. 스티치 Czechoslovakia I. 렌들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France G. 잊어버리기 Czechoslovakia K. 노바체크 Czechoslovakia P. 코르다 United States A. 아가시
1992 United States J. 택배기사 Sweden S. 에드버그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Croatia G. 이바니셰비치 Germany B. 베커 United States M. 창 Czechoslovakia P. 코르다 United States I. 렌들[e] United States A. 아가시 Netherlands R. 크라지첵
1993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Germany M. 스티치 United States J. 택배기사 Spain S. 브루게라 Sweden S. 에드버그 Ukraine 메드베데프 Croatia G. 이바니셰비치 United States M. 창 Austria T. 머스터 France C. 피올린
1994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United States A. 아가시 Germany B. 베커 Spain S. 브루게라 Croatia G. 이바니셰비치 United States M. 창 Sweden S. 에드버그 Spain 베라사테기 Germany M. 스티치 United States T. 마틴
1995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United States A. 아가시 Austria T. 머스터 Germany B. 베커 United States M. 창 Russia Y. 카펠니코프 Sweden T. 엔크비스트 United States J. 택배기사 South Africa W. 페레이라 Croatia G. 이바니셰비치
1996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United States M. 창 Russia Y. 카펠니코프 Croatia G. 이바니셰비치 Austria T. 머스터 Germany B. 베커 Netherlands R. 크라지첵 United States A. 아가시 Sweden T. 엔크비스트 South Africa W. 페레이라
1997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Australia P. 래프터 United States M. 창 Sweden J. 비외크만 Russia Y. 카펠니코프 United Kingdom G. 루세스키 Spain C. 모야 Spain S. 브루게라 Austria T. 머스터 Chile 리오스
1998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Chile 리오스 Spain 코레자 Australia P. 래프터 Spain C. 모야 United States A. 아가시 United Kingdom T. 헨만 Slovakia K. 쿠체라 United Kingdom G. 루세스키 Netherlands R. 크라지첵
1999 United States A. 아가시 Russia Y. 카펠니코프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Sweden T. 엔크비스트 Brazil G. 쿠어텐 Germany N. 키퍼 United States T. 마틴 Ecuador N. 라펜티 Chile 리오스 Netherlands R. 크라지첵
2000 Brazil G. 쿠어텐 Russia M. 사핀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Sweden M. 노먼 Russia Y. 카펠니코프 United States A. 아가시 Australia L. 휴잇 Spain 코레타 Sweden T. 엔크비스트 United Kingdom T. 헨만
2001 Australia L. 휴잇 Brazil G. 쿠어텐 United States A. 아가시 Russia Y. 카펠니코프 Spain JC. 페레로 France S. 그로장 Australia P. 래프터 Germany T. 하스 United Kingdom T. 헨만 United States P. 샘프라스
2002 Australia L. 휴잇 United States A. 아가시 Russia M. 사핀 Spain JC. 페레로 Spain C. 모야 Switzerland R. 페더러 Czech Republic J. 노바크 United Kingdom T. 헨만 Spain A. 코스타 United States A. 로딕
2003 United States A. 로딕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JC. 페레로 United States A. 아가시 Argentina G. 코리아 Germany R. 쉬틀러 Spain C. 모야 Argentina D. 날반디안 Australia M. 필리포우시스 France S. 그로장
2004 Switzerland R. 페더러 United States A. 로딕 Australia L. 휴잇 Russia M. 사핀 Spain C. 모야 United Kingdom T. 헨만 Argentina G. 코리아 United States A. 아가시 Argentina D. 날반디안 Argentina G. 가우디오
2005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R. 나달 United States A. 로딕 Australia L. 휴잇 Russia N. 다비덴코 Argentina D. 날반디안 United States A. 아가시 Argentina G. 코리아 Croatia I. 류비치치 Argentina G. 가우디오
2006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R. 나달 Russia N. 다비덴코 United States J. 블레이크 Croatia I. 류비치치 United States A. 로딕 Spain T. 로브레도 Argentina D. 날반디안 Croatia M. 안치치 Chile F. 곤살레스
2007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R. 나달 Serbia N. 조코비치 Russia N. 다비덴코 Spain D. 페러 United States A. 로딕 Chile F. 곤살레스 France R. 가스케 Argentina D. 날반디안 Spain T. 로브레도
2008 Spain R. 나달 Switzerland R. 페더러 Serbia N. 조코비치 United Kingdom A. 머레이 Russia N. 다비덴코 France JW송가 France G. 사이먼 United States A. 로딕 Argentina JM 델 포트로 United States J. 블레이크
2009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R. 나달 Serbia N. 조코비치 United Kingdom A. 머레이 Argentina JM 델 포트로 Russia N. 다비덴코 United States A. 로딕 Sweden R. 쇠덜링 Spain F. 베르다스코 France JW송가
2010 Spain R. 나달 Switzerland R. 페더러 Serbia N. 조코비치 United Kingdom A. 머레이 Sweden R. 쇠덜링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Spain D. 페러 United States A. 로딕 Spain F. 베르다스코 Russia M. 유즈니
2011 Serbia N. 조코비치 Spain R. 나달 Switzerland R. 페더러 United Kingdom A. 머레이 Spain D. 페러 France JW송가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United States M. 피쉬 Serbia J. 팁사레비치 Spain N. 알마그로
2012 Serbia N. 조코비치 Switzerland R. 페더러 United Kingdom A. 머레이 Spain R. 나달 Spain D. 페러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Argentina JM 델 포트로 France JW송가 Serbia J. 팁사레비치 France R. 가스케
2013 Spain R. 나달 Serbia N. 조코비치 Spain D. 페러 United Kingdom A. 머레이 Argentina JM 델 포트로 Switzerland R. 페더러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Switzerland S. 바브링카 France R. 가스케 France JW송가
2014 Serbia N. 조코비치 Switzerland R. 페더러 Spain R. 나달 Switzerland S. 바브링카 Japan K. 니시코리 United Kingdom A. 머레이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Canada M. 라오닉 Croatia M. 칠리치 Spain D. 페러
2015 Serbia N. 조코비치 United Kingdom A. 머레이 Switzerland R. 페더러 Switzerland S. 바브링카 Spain R. 나달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Spain D. 페러 Japan K. 니시코리 France R. 가스케 France JW송가
2016 United Kingdom A. 머레이 Serbia N. 조코비치 Canada M. 라오닉 Switzerland S. 바브링카 Japan K. 니시코리 Croatia M. 칠리치 France G. 몬필즈 Austria D. 팀 Spain R. 나달 Czech Republic T. 베르디흐
2017 Spain R. 나달 Switzerland R. 페더러 Bulgaria G. 디미트로프 Germany 즈베레프 Austria D. 팀 Croatia M. 칠리치 Belgium D. 고핀 United States J. 삭스 Switzerland S. 바브링카 Spain P. 카레뇨부스타
2018 Serbia N. 조코비치 Spain R. 나달 Switzerland R. 페더러 Germany 즈베레프 Argentina JM 델 포트로 South Africa K. 앤더슨 Croatia M. 칠리치 Austria D. 팀 Japan K. 니시코리 United States J. 이스너
2019 Spain R. 나달 Serbia N. 조코비치 Switzerland R. 페더러 Austria D. 팀 Russia D. 메드베데프 Greece 치치파스 주 Germany 즈베레프 Italy 베레티니 Spain R. 바티스타 아굿 France G. 몬필즈
2020 Serbia N. 조코비치 Spain R. 나달 Austria D. 팀 Russia D. 메드베데프 Switzerland R. 페더러 Greece 치치파스 주 Germany 즈베레프 Russia 루블레프 Argentina D. 슈워츠먼 Italy 베레티니
2021 Serbia N. 조코비치 Russia D. 메드베데프 Germany 즈베레프 Greece 치치파스 주 Russia 루블레프 Spain R. 나달 Italy 베레티니 Norway C. 루드 Poland H. 후르카츠 Italy J. 죄인
2022 Spain C. 알카라즈 Spain R. 나달 Norway C. 루드 Greece 치치파스 주 Serbia N. 조코비치 Canada F. 오거알리아심 Russia D. 메드베데프 Russia 루블레프 United States T. 프리츠 Poland H. 후르카츠

참고: 연말 순위가 모두 12월 31일부터 집계된 것은 아닙니다.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호주 오픈의 날짜로 인해 1974년, 1978년부터 1984년까지의 연말 순위가 다양한 날짜로 기록되었습니다.[37]

ATP 랭킹 성적

주합계

2023년 10월 23일 현재 순위권에 있는 선수들은 굵은 글씨체로 표시됨[38]

# 1호
396 Serbia 노박 조코비치
310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286 United States 피트 샘프라스
270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268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 상위2
596 Spain 라파엘 나달
556 Serbia 노박 조코비치
528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387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376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탑3
750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711 Serbia 노박 조코비치
686 Spain 라파엘 나달
592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499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상위 4
804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756 Spain 라파엘 나달
743 Serbia 노박 조코비치
669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540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상위 5개
859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837 Spain 라파엘 나달
764 Serbia 노박 조코비치
705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563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톱10
968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912 Spain 라파엘 나달
817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809 Serbia 노박 조코비치
747 United States 안드레 아가시

연말순위

2022년 현재 현역 선수들과 과감한 대결을 펼치고 있습니다.

# 1호
7 Serbia 노박 조코비치
6 United States 피트 샘프라스
5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Spain 라파엘 나달
4 United States 존 매켄로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상위2
13 Spain 라파엘 나달
11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10 Serbia 노박 조코비치
8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6 United States 존 매켄로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United States 피트 샘프라스
# 탑3
15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14 Spain 라파엘 나달
Serbia 노박 조코비치
12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10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상위 4
15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Spain 라파엘 나달
14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Serbia 노박 조코비치
10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상위 5개
16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Spain 라파엘 나달
15 Serbia 노박 조코비치
14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11 Czechoslovakia 이반 렌들
# 톱10
18 Switzerland 로저 페더러
Spain 라파엘 나달
16 United States 지미 코너스
United States 안드레 아가시
15 Serbia 노박 조코비치

단식과 복식에서 ATP 1위

단식과 복식을 통틀어 통산 1위에 오른 선수들.

플레이어 싱글즈 더블스
첫번째 개최 마지막 개최 위크스 첫번째 개최 마지막 개최 위크스
United States 존 매켄로 1980년3월3일 1985년9월08일 170 1979년4월23일 1989년9월24일 269
Sweden 슈테판 에드베르그 1990년8월13일 1992년10월04일 72 1986년6월9일 1987년2월22일 15
  • 매켄로는 121주 동안 단식과 복식에서 동시에 1위를 차지했습니다.
  • 매켄로는 1981년, 1982년, 그리고 1983년 3년 동안 단식과 복식에서 모두 연말 1위로 마쳤습니다.

ATP 랭킹 1위 복식 선수

가장 성공적인 복식 1위 선수인 마이크와 밥 브라이언.
2023년 9월 11일 현재 세계 1위.
현역 1위 선수들.
위크스 넘버원 플레이어
506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439 United States 밥 브라이언
269 United States 존 매켄로
204 Australia 토드 우드브리지
108 Canada 다니엘 네스토르
107 Sweden 안데르스 제리드
85 South Africa 프루 맥밀런
83 Australia 마크 우드포르데
74 Sweden 요나스 비외크만
71 Netherlands 폴 하르후이스
68 Colombia 로버트 파라
67 Mexico 라울 라미레스
65 The Bahamas 마크 놀스
63 Netherlands 자코 엘팅스
62 United States 로베르트 세구소
57 Belarus 막스 미르니
Croatia 마테 파비치
56 Brazil 마르셀로 멜로
50 Serbia 네나드 지몬지치
40 Australia 존 피츠제럴드
39 India 레안데르 파에스
France 니콜라스 마후트
35 Netherlands 웨슬리 쿨호프
United Kingdom 닐 스쿱스키
34 Czechoslovakia 토마시 슈미드
29 Colombia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27 South Africa 대니 비서
26 United States 짐 퓨
Finland 앙리 콩티넨
United Kingdom 조 솔즈베리
25 United States 데이비드 파테
20 United States 도널드 존슨
19 South Africa 피터 올드리치
France 야닉 노아
Poland 우카시 쿠봇
17 United States 제러드 파머
Canada 그랜트 코넬
15 Sweden 슈테판 에드베르그
13 United States 리치 르네버그
United States 짐 그랩
Ecuador 안드레스 고메스
11 United States 피터 플레밍
Netherlands 톰 오커
9 United States 릭 리치
United Kingdom 제이미 머레이
United States 라지브 람
8 Zimbabwe 바이런 블랙
United States 스탠 스미스
7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슬로보단 ž보히노비치
6 United States 조나단 스타크
Spain 에밀리오 산체스
South Africa 밥 휴잇
5 United States 알렉스 오브라이언
United States 켄 플래치
United States 오스틴 크라이첵
4 India 마헤시 부파티
United States 패트릭 갤브레이스
3 Australia 폴 맥나미
Croatia 니콜라 멕티치
1 United States 켈리 존스
복식 선수 60명
연말 1호
10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8 United States 밥 브라이언
5 United States 존 매켄로
3 Australia 마크 우드포르데
Australia 토드 우드브리지
2 South Africa 프루 맥밀런
United States 로베르트 세구소
Sweden 안데르스 제리드
The Bahamas 마크 놀스
Brazil 마르셀로 멜로
Colombia 로버트 파라
1 Mexico 라울 라미레스
Czechoslovakia 토마시 슈미드
Ecuador 안드레스 고메스
South Africa 피터 올드리치
South Africa 대니 비서
Australia 존 피츠제럴드
Canada 그랜트 코넬
Netherlands 폴 하르후이스
Netherlands 자코 엘팅스
India 레안데르 파에스
Sweden 요나스 비외크만
Belarus 막스 미르니
Canada 다니엘 네스토르
Serbia 네나드 지몬지치
France 니콜라스 마후트
Colombia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Croatia 마테 파비치
Netherlands 웨슬리 쿨호프
United Kingdom 닐 스쿱스키
30명의 선수들

참고 항목

메모들

  1. ^ 랭킹 기간에 그랜드 슬램 4개 대회와 마스터스 1000 8개 대회가 없는 주에는 랭킹 기간에 있는 모든 출전 자격을 갖춘 대회의 선수 최고 성적 수가 조정됩니다.
  2. ^ 이러한 토너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US 오픈 이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3. ^ "합격"이란 직접 합격, 예선 통과, 특별 면제 또는 행운의 패배자를 의미하거나 와일드카드를 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4. ^ 케빈 커렌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대표한 후 1985년에 귀화한 미국 시민이 되었습니다.
  5. ^ 이반 렌들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를 거쳐 1992년 미국으로 귀화했습니다.

참고문헌

  1. ^ "ATP Partnership". pepperstone.com.
  2. ^ a b c d e "ATP World Tour – Rulebook, Chapter IX, ATP Rankings" (PDF). Retrieved 2017-05-10.
  3. ^ Tignor, Steve (19 March 2015). "1973: The men boycott Wimbledon and shift power to the players". tennis.com. Retrieved 26 June 2016.
  4. ^ a b Buddell, James (23 August 2013). "The Rankings That Changed Tennis (Part I)".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ATP).
  5. ^ a b c d Buddell, James (23 August 2013). "The Rankings That Changed Tennis (Part II)".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ATP).
  6. ^ Tignor, Steve (26 March 2015). "1973: The ATP institutes computer rankings". tennis.com. Retrieved 26 June 2016.
  7. ^ Collins, Bud (2010).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2nd ed.). New York: New Chapter Press. p. 715. ISBN 978-0-942257-70-0.
  8. ^ "Rankings FAQ". Atpworldtour.com. Retrieved 2012-07-25.
  9. ^ a b "Frequently Asked Questions". atpworldtour.com. Retrieved 2011-03-13.
  10. ^ "Rankings-FAQ". ATP World Tour.
  11. ^ Rothenberg, Ben (2016-05-29). "Points and Prize Money Mean More to Olympic Tennis Holdout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16-08-15.
  12. ^ 궁극의 테니스 통계 – 가장 많은 ATP 포인트
  13. ^ "New Strategy For 21st Century Tennis, $1.2 Billion Investment, Global Brand, Simple Structure, Premier Tennis Series". Sportcal. 1999-12-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1-27.
  14. ^ "ATP Tour unveils new ATP Champions Race". Sportscal. 1999-11-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1-27.
  15. ^ Douglas Robson (22 August 2013). "Happy 40th birthday, ATP computer rankings". USA Today.
  16. ^ Simon Cambers (15 February 2013). "40 years on, how have the ATP World Rankings developed?". www.wimbledon.com. AELT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2-31.
  17. ^ "ATP Rankings FAQ". ATP.
  18. ^ "ATP World Tour 2017 Rulebook" (PDF). ATP World Tour.
  19. ^ "Tennis – ATP World Tour – Rankings FAQ". ATP World Tour. Retrieved 2012-07-25.
  20. ^ "Rankings FAQ ATP Tour Tennis". ATP World Tour. Retrieved 2016-11-28.
  21. ^ "ITF confirms no ATP points will be assigned at Olympic Games in Rio 2016". Tennis World. Retrieved 2016-11-28.
  22. ^ "Current ATP Singles Ranking".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23. ^ "Current ATP Doubles Ranking".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24. ^ "Weekly singles ranking". ATP.
  25. ^ "Live singles ranking". live-tennis.eu.
  26. ^ "ATP live ranking". ATP.
  27. ^ "Djokovic's points breakdown". ATP.
  28. ^ "Alcaraz's points breakdown". ATP.
  29. ^ "Medvedev's points breakdown". ATP.
  30. ^ "Rune's points breakdown". ATP.
  31. ^ "Tsitsipas' points breakdown". ATP.
  32. ^ "Rublev's points breakdown". ATP.
  33. ^ "Sinner's points breakdown". ATP.
  34. ^ "Fritz's points breakdown". ATP.
  35. ^ "Ruud's points breakdown". ATP.
  36. ^ a b "Top10" (PDF). atptour.com. Retrieved 2021-01-18.
  37. ^ "ATP Rankings: Year-End Top 10 History" (PDF). ATP. p. 6. Retrieved 2021-05-24.
  38. ^ "ATP Singles Ranking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