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브라이언

Bob Bryan
밥 브라이언
Bryan B. RG15 (1) (19120636110).jpg
2015년 프랑스 오픈 브라이언
풀네임로버트 찰스 브라이언
국가(스포츠) 미국
사는곳미국 플로리다 , 써니 아일랜드 비치
태어난 (1978-04-29) 1978년 4월 29일 (44세)[1]
카마릴로, 캘리포니아, 미국
높이1.93m(6피트 4인치)
프로 전향1998
은퇴한2020
재생왼손잡이(한손 백핸드)
대학.스탠퍼드
코치데이비드 맥퍼슨(2005~2016)
두샨 베미치 (2016-2017)
데이비드 맥퍼슨 (2017~2020)
상금15,931,631달러
공식 웹사이트bryanbros.com
싱글
경력 기록21-40(ATP 월드 투어와 그랜드 슬램 주요 무승부 경기 및 데이비스34.4%)
커리어 타이틀0
최고 순위제116호 (2000년 11월 13일)
그랜드 슬램 싱글 성적
호주 오픈3분기(2000년)
프랑스 오픈1분기(2000년)
윔블던2R(2001)
US 오픈2R(1998년)
2배
경력 기록1109-359(ATP 월드 투어와 그랜드 슬램 메인 무승부 경기 및 데이비스75.5%)
커리어 타이틀119
최고 순위No.1 (2003년 9월 8일)
그랜드 슬램이 2배 이상 결과를 낳다
호주 오픈W (2006, 2007, 2009, 2010, 2011, 2013)
프랑스 오픈W (2003, 2013)
윔블던W (2006, 2011, 2013)
US 오픈W(2005, 2008, 2010, 2012, 2014)
기타 복식 경기
투어 파이널W(2003, 2004, 2009, 2014)
올림픽 경기 Gold medal.svg금메달 (2012)
Bronze medal.svg 동메달(2008)
혼합 복식
커리어 타이틀7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호주 오픈QF (2002, 2005, 2006, 2007, 2013, 2016)
프랑스 오픈W (2008, 2009)
윔블던W (2008)
US 오픈W(2003, 2004, 2006, 2010)
기타 혼합 복식 경기
올림픽 경기1R(2012년)
단체전
데이비스 컵W (2007)
최종 갱신일 : 2020년 3월 22일
메달 기록
남자 테니스
미국대표하다
올림픽 경기
Gold medal – first place 2012년 런던 2배
Bronze medal – third place 2008년 베이징 2배
팬아메리칸 게임즈
Bronze medal – third place 1999년 위니펙 2배

로버트 찰스 브라이언(Robert Charles Bryan, 1978년 4월 29일 ~ )은 미국의 전직 복식 세계 랭킹 1위 테니스 [2]선수이다.그는 남자 복식 16개와 혼합 복식 7개 등 23개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거머쥐었다.그는 1998년에 프로로 전향했다.쌍둥이 마이크와 함께 그는 2003년 9월에 처음으로 세계 랭킹 1위를 달성하며 수년간 복식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했다.이 형제는 2000-2009년 [3]ATP 10대 팀으로 선정되었다.이 형제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커리어 골든 슬램을 완주한 두 번째 남자 복식 팀이 되었다.

밥 브라이언은 2018년 5월 마드리드 최종 은퇴 당시 입은 부상으로 2018년 8월 엉덩이 수술로 2018년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그의 엉덩이 수술로부터의 회복은 약 5개월이 걸렸고, 이로 인해 의 형 마이크는 동료쿼리와 협력하게 되었고, 밥이 없는 [4]동안 삭과 더 성공적으로 협력하게 되었습니다.

밥과 마이크 브라이언은 2020년 8월에 은퇴했다.브라이언 형제는 마지막 두 번의 대회에서 델레이 비치에서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지켰고,[5] 호놀룰루에서 열린 US 데이비스컵에서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테니스 경력

더블 레코드

  • 16 그랜드 슬램 (오픈 시대)
  • 그랜드 슬램 남자 복식 30회 결승
  • ITF 월드 챔피언 10회
  • 116 ATP 타이틀과 169 ATP 파이널
  • 439주 1위
  • 1000개 이상의 팀 매치 승리
  • 10년 연속 최소 1회 그랜드슬램 우승
  • ATP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복식 팀과 10년 동안 ATP 팀 11회 우승
  • '브라이언 골든슬램'(모든 그랜드슬램 타이틀과 올림픽 금메달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팀)
  • 7회 연속 그랜드 슬램 결승(2005년 호주~2006년 윔블던)
  • 마스터 1000 타이틀 38개
  • "Career Golden Masters" (9개의 마스터 1000 이벤트 모두 우승한 역사상 유일한 선수)

부하의

그는 1998년 클레이 코트 전국대회에서 우승하고 칼라마주 결승에 진출하면서 국내 단식 랭킹 1위로 한 해를 마쳤다.이 형제는 1995년과 1996년에 연속 칼라마주 복식 챔피언이었고 1996년에는 US 오픈 주니어 복식 챔피언을 차지했다.

대학.

그는 1997년과 1998년에 스탠포드 대학에서 뛰었고, 그곳에서 카디널NCAA 챔피언십에서 연속 우승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998년 그는 NCAA 단식, 복식(쌍둥이 형 마이크와 함께), 그리고 팀 타이틀을 거머쥐며 "트리플 크라운"을 수상했다.그는 스탠포드의 알렉스 오브라이언이 1992년에 [citation needed]이 일을 해낸 이후 처음으로 이 일을 해낸 사람이다.

ATP 투어

밥은 쌍둥이 형 마이크(2분 연상)와 함께 그랜드슬램 16승을 포함해 복식 [6]116승을 거뒀다.2005년, 브라이언 형제는 오픈 [7]시대에 남자 복식 팀이 이것을 한 것은 두 번째이며, 4개의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에서 모두 결승에 진출했다.2006년 브라이언 형제는 윔블던과 호주 오픈에서 우승했고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완주했다.2012년 US오픈에서 우승한 뒤 2013년 첫 3개 메이저에서 우승하며 4개 타이틀을 동시에 거머쥐었다.그러나 2013년 US오픈 준결승에서 패해 역년 그랜드슬램을 완주하지 못했다.

이 쌍둥이들은 2003년[8],[9] 2006년[10], 2007년,[11] 그리고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0차례씩 연말 최고의 팀이 되었다.

브라이언 형제는 U.S. 데이비스 컵 팀에 자주 참가해왔다.미국은 2007년 데이비스컵에서 32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2018 마드리드 마스터스 1000 결승에서 밥은 엉덩이를 다쳤고, 둘은 1세트에서 3-5로 은퇴해야 했다.그는 엉덩이를 다시 붙이고 놀라운 회복세를 보였고, 1년도 채 되지 않은 2019 호주 오픈에서 그의 형과 다시 합류하여 8강에 올랐다.그들은 2019년 2월 델레이 비치에서 그의 수술 이후 첫 우승을 차지했다.

월드팀테니스

두 형제는 1999년 아이다호 스니커즈에서 월드테니스의 경력을 시작했다.그들은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즈,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캔자스시티 탐험가, 2013년 텍사스 와일드, 2014년 샌디에이고 에이비어터스, 2015년 캘리포니아 드림, 2016년부터 2018년 워싱턴 카슬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19년 라스베이거스 롤러스에서 뛰었다.그들은 2004년 뉴포트 비치 브레이커스2010년 캔자스시티 탐험가로부터 두 의 월드 팀 테니스를 우승했습니다.밥은 쌍둥이 형 마이크와 함께 7월 12일 그린브리어에서 [12]시작하는 2020 WTT 시즌 동안 라스베이거스 롤러스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오프코트

브라이언스의 게스트는 8개의 심플[13] 에 출연했고, Making Music [14]Magazine의 2010년 1월/2월 표지에 실렸다.그들의 아버지 웨인 브라이언은 그의 아들들에 대한 책을 썼다, 공식: 아이[15]챔피언으로 키우기.

사생활

밥 브라이언은 플로리다의 변호사 미셸 알바레즈와 2010년에 결혼했고, 그 부부는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데이비스 컵 기록(26-5)

그의 쌍둥이마이크 브라이언과 함께, 이 둘은 미국의 복식 팀 중 데이비스 컵 경기를 가장 많이 이겼다.밥은 미국 데이비스컵 최다 출전 기록(14개)[16]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인 통산 4승 2패의 기록도 갖고 있다.

연도 둥글다 상대 결과
2003 플레이오프 Slovakia 슬로바키아(베크/히르바)) W
2004 제1라운드 Austria 오스트리아(Knowle/Melzer) W
2004 준준결승 Sweden 스웨덴 (Björkman/T)요한슨) W
2004 준결승 Belarus 벨라루스(미르니/볼치코프) W
2004 최종 Spain 스페인(페레로/로브레도) W
2005 제1라운드 Croatia 크로아티아(안치치치/류비치치) L
2005 플레이오프 Belgium 벨기에(Rocus/Vliegen W
2006 제1라운드 Romania 루마니아(하네스쿠/테커) W
2006 준준결승 Chile 칠레(카프데빌/가르시아) W
2006 준결승 Russia 러시아(투르수노프/요즈니) W
2007 제1라운드 Czech Republic 체코 (Drouh//Vizner) W
2007 준준결승 Spain 스페인(로페/로브레도) W
2007 준결승 Sweden 스웨덴(아스펠린/비외르크만) W
2007 최종 Russia 러시아(안드레브/다비덴코) W
2008 제1라운드 Austria 오스트리아(Knowle/Melzer) W
2008 준준결승 France 프랑스(Clément/Lodra) L
2009 제1라운드 Switzerland 스위스(알레그로/와브링카) W
2009 준준결승 Croatia 크로아티아(카라누스어/조브코어) W
2010 1라운드 (John Isner 포함) Serbia 세르비아(Tipsarevich/Zimonjich) W
2011 제1라운드 Chile 칠레(아길라/마수) W
2011 준결승 Spain 스페인(과립업자/베르다스코) W
2012 준준결승 France 프랑스(베네토/로드라) W
2012 준결승 Spain 스페인(그란롤러/로페) W
2013 제1라운드 Brazil 브라질(멜로/소아) L
2013 준준결승 Serbia 세르비아(보졸랴크/지몬지치) L
2014 제1라운드 United Kingdom 영국 (플레밍/잉글롯) W
2014 플레이오프 Slovakia 슬로바키아(곰보스/라코) W
2015 제1라운드 United Kingdom 영국 (잉글롯/머레이) W
2016 제1라운드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휴잇/피아) W
2016 준준결승 Croatia 크로아티아(칠리치/도디그) L
2020 예선전 Uzbekistan 우즈베키스탄(Fayziev/istomin) W

그랜드 슬램 대회

남자 복식: 30(16~14)

2006년 윔블던 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브라이언은 남자 복식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완주했다.그는 19번째 개인 선수가 되었고 마이크 브라이언과 함께 이를 달성한 7번째 복식 선수가 되었다.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파트너 대항마 스코어
승리자. 2003 프랑스 오픈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Netherlands 폴 하르후이스
Russia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7-6(7–3), 6-3
차점자 2003 US 오픈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요나스 비요크만
Australia 토드 우드브리지
7–5, 0–6, 5–7
차점자 2004 호주 오픈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France 마이클 로드라
France 파브리스 산토로
6(4–7)~7, 3~6
차점자 2005 호주 오픈 (2)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Zimbabwe 웨인 블랙
Zimbabwe 케빈 울리엣
4–6, 4–6
차점자 2005 프랑스 오픈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요나스 비요크만
Belarus맥스 미르니
6–2, 1–6, 4–6
차점자 2005 윔블던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Australia 스티븐 후스
South Africa 웨슬리 무디
6-7(4–7), 3-6, 7-6(7–2), 3-6
승리자. 2005 US 오픈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요나스 비요크만
Belarus 맥스 미르니
6–1, 6–4
승리자. 2006 호주 오픈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zech Republic 마틴 담
India 리앤더 파스
4–6, 6–3, 6–4
차점자 2006 프렌치 오픈 (2)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요나스 비요크만
Belarus 맥스 미르니
7-6(7–5), 4-6, 5-7
승리자. 2006 윔블던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France 파브리스 산토로
Serbia네나드 지몬치치
6–4, 4–6, 6–4, 6–2
승리자. 2007 호주 오픈 (2)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요나스 비요크만
Belarus 맥스 미르니
7–5, 7–5
차점자 2007 윔블던 (2)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France아르노 클레망
France 마이클 로드라
7-6(7–5), 3-6, 4-6, 4-6
승리자. 2008 US 오픈 (2)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zech Republic루카시 둘루시
India 리앤더 파스
7(7–5)~6, 7~6(12–10)
승리자. 2009 호주 오픈(3)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India 마헤시 부파티
The Bahamas 마크 놀스
2–6, 7–5, 6–0
차점자 2009 윔블던 (3)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anada대니얼 네스토르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6-7(7–9), 7-6(7–3), 6-7(5–7), 3-6
승리자. 2010 호주 오픈 (4)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anada 대니얼 네스토르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6-3, 6-7(5–7), 6-3
승리자. 2010 US 오픈(3)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India 로한 보판나
Pakistan 아이삼울 하크 쿠레시
7(7–5)~6, 7~6(7–4)
승리자. 2011 호주 오픈(5)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India 마헤시 부파티
India 리앤더 파스
6–3, 6–4
승리자. 2011 윔블던 (2)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weden 로버트 린드슈테트
Romania 호리아 테커우
6-3, 6-4, 7-6(7–2)
차점자 2012 호주 오픈(3)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India 리앤더 파스
Czech Republic라데크 슈테파네크
6(1–7)~7, 2~6
차점자 2012 프렌치 오픈(3)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Belarus 맥스 미르니
Canada 대니얼 네스토르
4–6, 4–6
승리자. 2012 US 오픈 (4)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India 리앤더 파스
Czech Republic 라데크 슈테파네크
6–3, 6–4
승리자. 2013 호주 오픈(6)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Netherlands 로빈 헤이스
Netherlands 이고르 시슬링
6–3, 6–4
승리자. 2013 프렌치 오픈 (2)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France 마이클 로드라
France니콜라스 마후트
6-4, 4-6, 7-6(7–4)
승리자. 2013 윔블던 (3)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roatia 이반 도디그
Brazil 마르셀로 멜로
3–6, 6–3, 6–4, 6–4
차점자 2014 윔블던 (4) 잔디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United States 잭 삭
Canada 바섹 포스피실
6-7(5–7), 7-6(7–3), 4-6, 6-3, 5-7
승리자. 2014 US 오픈(5)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pain 마르셀 그라놀러
Spain 마르크 로페스
6–3, 6–4
차점자 2015 프렌치 오픈(4)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Croatia 이반 도디그
Brazil 마르셀로 멜로
7-6(7–5), 6-7(5–7), 5-7
차점자 2016 프렌치 오픈(5) 점토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Spain펠리치아노 로페스
Spain 마르크 로페스
4-6, 7-6(8–6), 3-6
차점자 2017 호주 오픈 (4) 어려운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Finland 앙리 콘티넨
Australia 존 피어스
5–7, 5–7

혼합 복식: 9(7~2)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파트너 대항마 스코어
차점자 2002 US 오픈 어려운 Slovenia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United States 리사 레이먼드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6(9–11)~7, 6~7(1–7)
승리자. 2003 US 오픈 어려운 Slovenia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Russia 리나 크라스노루츠카야
Canada 대니얼 네스토르
5–7, 7–5, [10–5]
승리자. 2004 US 오픈 (2) 어려운 Russia 베라 즈보나레바 Australia 앨리샤 몰릭
Australia 토드 우드브리지
6–3, 6–4
차점자 2006 윔블던 잔디 United States 비너스 윌리엄스 Russia 베라 즈보나레바
Israel 앤디 램
3–6, 2–6
승리자. 2006 US 오픈(3) 어려운 United States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Czech Republic 크베타 페슈케
Czech Republic 마틴 담
6–2, 6–3
승리자. 2008 프랑스 오픈 점토 Belarus 빅토리아 아자렌카 Slovenia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6~2, 7~6(7–4)
승리자. 2008 윔블던 잔디 Australia 사만다 스토수르 Slovenia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7–5, 6–4
승리자. 2009 프렌치 오픈 (2) 점토 United States 리젤 휴버 United States 바니아 킹
Brazil 마르셀로 멜로
5~7, 7~6(7–5), [10~7]
승리자. 2010 US 오픈 (4) 어려운 United States 리젤 휴버 Czech Republic 크베타 페슈케
Pakistan아이삼울 하크 쿠레시
6–4, 6–4

퍼포먼스 타임라인

열쇠
W F SF QF #R RR 질문# DNQ A NH
(W) 우승자, (F) 준결승전, (QF) 8강전, (#R)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Q#) 예선전, (DNQ) 예선전, (A) 불참, (NH) 스트라이크율 (SRENT) 경기

2배

토너먼트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SR W~L 이익 %
호주 오픈 A A A A A 1R 1R QF 3R F F W W QF W W W F W 3R 3R 3R F SF QF 3R 6 / 21 77–15 84%
프랑스 오픈 A A A A 2R 2R 2R QF W SF F F QF QF SF 2R SF F W QF F F 2R A 3R A 2 / 20 68–18 79%
윔블던 A A A A 3R 1R SF SF QF 3R F W F SF F QF W SF W F QF QF 2R A 3R NH 3 / 20 72–17 81%
US 오픈 1R 1R 1R 1R 1R QF 2R SF F 3R W 3R QF W SF W 1R W SF W 1R QF SF A 3R A 5 / 24 67–19 78%
승패 0–1 0–1 0–1 0–1 3–3 4–4 6–4 14–4 14–3 13–4 21–3 18–2 17–3 16–3 19–3 16–2 16–2 20–3 22–1 16–3 10–4 13–4 11–4 4–1 9–4 2–1 16 / 85 284–69 80.45%
연말 선수권 대회
ATP 파이널 자격 미달(DNQ) RR A W W SF RR A F W SF SF RR F W SF SF RR DNQ A DNQ 4 / 15 36–23 61%

혼합 복식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는 밥 브라이언을 돕는다.두 선수는 2006년 US오픈 혼합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토너먼트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SR W~L 획득률(%)
호주 오픈 A A A QF 1R 1R QF QF QF A A 2R 2R A QF A A QF A A A A 0 / 10 14–10 58%
프랑스 오픈 2R QF A SF QF QF A SF QF W W A A 1R A A 1R QF A A A A 2 / 12 27–10 73%
윔블던 QF 1R QF QF 2R SF 2R F 3R W QF 2R QF SF A 3R 2R A A A A NH 1 / 16 37–15 71%
US 오픈 A A 1R F W W QF W 2R A A W 2R 2R A A A A A A A A 4 / 10 29–6 83%
승패 4–2 3–2 3–2 12–4 8–3 10–3 4–3 14–3 6–4 11–0 7–1 7–2 5–3 4–3 2–1 2–1 0–2 4–2 0–0 0–0 0–0 0–0 7 / 48 106–41 57%

레퍼런스

  1. ^ "Bob Bryan". ATP World Tour. Retrieved April 15, 2019.
  2. ^ Clarey, Christopher (August 27, 2020). "The Bryan Brothers Retire as They Played: Together". The New York Times.
  3. ^ "ATP Players of the Decade 2000–2009". ATP Tennis. Retrieved January 27, 2011.
  4. ^ Mitchell, Kevin (January 16, 2019). "Andy Murray's career could be saved by metal hip implant, says Bob Bryan".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January 18, 2019.
  5. ^ "Bryan Brothers Announce Retirement, Ending Legendary Doubles Partnership ATP Tour Tennis".
  6. ^ "ESPN Bio:Bob Bryan". ESPN. Retrieved February 3, 2009.
  7. ^ "ATP Bio:Bob Bryan".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ATP). Retrieved April 12, 2021.
  8. ^ ATP 은 2009년 4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된 2003년 11월 17일 랭킹을 2배로 올렸습니다.
  9. ^ ATP 팀, 2009년 3월 2일 웨이백 머신에서 2005년 11월 21일 아카이브 랭킹 2위 획득
  10. ^ ATP 팀은 2009년 6월 7일 웨이백 머신에서 2006년 11월 20일 아카이브 랭킹을 2배로 올렸습니다.
  11. ^ ATP 팀, 2008년 7월 5일 웨이백 머신에서 2007년 11월 19일 아카이브 랭킹 2위 획득
  12. ^ "World TeamTennis Adds Stars Tiafoe, Puig, Roanic, Bouchard, & Sock As Rosters Set For 2020". WTT.com. June 16, 2020.
  13. ^ "Bob Bryan profile". imdb.com. Retrieved February 3, 2009.
  14. ^ Making Music Magazine 특집 2010년 12월 18일 Wayback Machine, 2010년 7월 9일에 액세스.
  15. ^ "The Formul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1, 2003. Retrieved November 3, 2008.
  16. ^ "Davis Cup - Teams".

외부 링크


어워드
선행
The Bahamas마크 놀스와 다니엘 네스토어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 다니엘 네스토르
ITF 남자 복식 세계 챔피언
(Mike Bryan과 함께)

2003–07
2009–14
에 의해 성공자
선행
The Bahamas 마크 놀스와 다니엘 네스토어
The Bahamas 마크 놀스와 다니엘 네스토어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 다니엘 네스토르
ATP, 올해의 팀 2관왕
(Mike Bryan과 함께)

2003
2005-07년
2009년~2014년
에 의해 성공자
The Bahamas 마크 놀스와 다니엘 네스토어
Serbia 네나드 지몬치치 & 다니엘 네스토르
Netherlands장줄리앙 로제&호리아 테커우
선행
없음.
ATP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팀
(Mike Bryan과 함께)

2006–17
에 의해 성공자
United States 마이크 브라이언 & 잭
선행 아서 애쉬 올해의 인도주의자
(Mike Bryan과 함께)

2015
에 의해 성공자
기록.
선행 세계 1위에서의 가장 많은 주 (더블)
(Mike Bryan과 함께)

2011년 12월 12일 ~ 2012년 11월 5일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