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보 쿠에르텐

Gustavo Kuerten
구스타보 쿠에르텐
Gustavo Kuerten (49199955052).jpg
나라(스포츠) 브라질
거주지브라질 플로리아노폴리스
태어난 (1976-09-10) 1976년 9월 10일 (45세)
브라질 플로리아노폴리스
높이1.90m(6피트 3인치)[1]
프로로 전향했다.1995
은퇴한2008년 5월 25일
플레이스오른손(한손 백핸드)
상금$14,807,000
인턴 테니스 호프2012(멤버 페이지)
싱글스
경력기록358–195 (64.7%)
경력직명20
최고 순위1위(2000년 12월 4일)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3R(2004)
프렌치 오픈W(1997, 2000, 2001)
윔블던QF(1999)
US 오픈QF(1999, 2001)
기타 대회
투어 파이널W(2000)
올림픽 경기QF(2000년)
복식
경력기록108–95 (53.2%)
경력직명8
최고 순위제38호(1997년 10월 13일)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QF(1999)
프렌치 오픈QF(1998)
윔블던1R (1999, 2000)
US 오픈1R (1997, 2003, 2004, 2007)
단체전
데이비스컵SF(2000)

구스타보 "구가" 쿠에르텐(포르투갈어 발음: [ɡusˈtavu ˈkiɾtẽ]; 1976년 9월 10일 출생)은 브라질 전 세계 테니스 랭킹 1위 선수다. 프랑스오픈 단식 3회(1997년, 2000년, 2001년) 우승을 차지했고, 2000년에는 테니스 마스터스컵 우승자였다. 쿠에르텐은 2002년과 2004년과 2008년 사이에 많은 경기에서 불참하는 결과를 초래한 부상 때문에 많은 문제를 겪었다. 두 번의 고관절 수술과 몇 번의 복귀 시도 끝에 2008년 5월 정상급 테니스에서 은퇴했다. 선수 생활 동안 그는 20개의 단식과 8개의 복식 타이틀을 땄다. 그는 2012년에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16년 리우 올림픽 성화 봉송을 부탁받았다.

직업 경력

남아메리카의 주니어 선수로서, 구가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토너먼트에서 많은 우승을 했다.[citation needed] 그는 종종 자기보다 높은 연령대에서 활동했다.[citation needed]

프로 2년 만에 페르난도 멜리게니에 이어 브라질에서 2위 자리에 오른 쿠에르텐은 1996년 브라질 데이비스컵 팀오스트리아를 꺾고 대회 1부리그인 월드그룹에 진출하는 데 일조하며 당시 최고점을 기록했다.

해당되지 않았다만 그의 처녀 ATP투어 victory[2]라 1997년 프랑스 오픈 –에 그의 예상치 못한 성공에 이어그는 전문적인 순위 최종 – 쿠에르텐에 도달했던 첫번째 시간은 어려운 반, 그의 갑작스런 명성과 이길 것으로 예상되는 것의 압력에 적응 중이야. 그의 경력에 관련되지 않1998년 최악의 1년이었다로 부상들 브라질에서 테니스에 대해는 그를 위해 압력이 되기 위해서는"대사" 분명한 그의 초기 패배한 뒤가 알려지지 않은 마라트 사핀은 1998년 프랑스 오픈에서:브라질 기자들의 파리행 오후 취재 파견했다고 전체의 몸 집으로 바로, 브라질에서 대회 설명되어 있지 않은 남아 돌아와 만들어졌다.[표창 필요한]

많은 남미 선수들처럼, 그가 가장 좋아하는 코트 표면은 진흙이다. 그는 3번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따냈는데, 모두 프랑스 오픈에서 롤랑 가로스의 황토 코트에서 경기를 했다. 그는 1997년, 2000년, 2001년에 이 타이틀들을 획득했다. 프랑스 오픈에서 세 번의 우승 때마다 그는 8강전에서 러시아의 예브게니 카펠니코프를 물리쳤고, 우승으로 가는 길에 10위 안에 든 두 명의 선수들을 물리쳤다. 쿠에르텐은 2000년에 세계 1위가 되었다.

쿠에르텐은 1997년과 2004년 사이에 적어도 1년에 한 번 우승했다. 그 연승은 2005년에 끝이 났는데, 그 때 부상과 평균 이하의 경기력으로 인해 그는 토너먼트에서 우승할 수 없었다. 는 또한 데이비스컵에서 브라질의 정규 출전자였다.

1997: 10위권 진입

챌린저 대회에서 우승한 쿠에르텐은 예상외로 1997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했는데, 1966년 US 오픈에서 마리아 부에노 이후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단식에서 우승했다. 이번 대회는 마쓰 윌랜더와 동률을 이룬 오픈 시대의 어떤 선수에게도 기록적인 3번째 만루홈런에 불과했다. 그는 챌린저와 그랜드 슬램을 연속해서 우승한 유일한 선수로 남아 있다. 이전 4차례 프랑스오픈 챔피언이었던 토마스 머스터(1995년), 8강 예브게니 카펠니코프(1996년), 결승에서 세르기 브루게라(1993년, 1994년)를 5세트 만에 제패하며 3위 그랜드슬램 챔피언(66위)으로 올라섰다.테니스 전문가 20위 안에 들었다. 그랜드슬램 단식 우승 당시 쿠에르텐보다 낮은 순위는 마크 에드먼슨(212위)과 고란 이바니셰비치(125위)뿐이다.[3]

그는 전 챔피언 비외른 보그기예르모 빌라스로부터 프랑스 오픈 트로피를 받았다. 우승 트로피를 받기 위해 무대로 불러들였을 때 쿠에르텐은 손을 흔들기 위해 계단 꼭대기에서 기다리고 있던 어린 시절의 아이돌 보그에게 경건하게 몇 번 절을 했다. 이후 식이 진행되는 동안 빌라스는 쿠에르텐의 귀에 무언가를 속삭여 행사 의장의 연설 도중 웃음을 자아냈다. 쿠에르텐은 나중에 빌라스가 한 말이 무엇인지는 밝히기를 거부하며 그렇게 하는 것이 비례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강력한 렌즈를 장착한 기자들은 빌라스의 입술을 읽을 수 있었고, 스페인어로 "준비하라, 무릎에 여자들을 비오겠다!"[4]라고 말한 것으로 밝혀졌다.

1999: 톱5 데뷔

1999년 당대의 클레이코트 대표 선수로 자리매김했고, 남미 3인방 중 한 명이 돼 ATP 랭킹 역대 10위권 안에 들었다.[citation needed] 4월에 그는 칠레 마르셀로 리오스를 물리치고 몬테카를로 마스터스에서 우승했다. 5월에 그는 결승전에서 패트릭 래프터를 제치고 로마 마스터스에서 우승했다. 6월에 그는 프랑스 오픈에서 8강에 올랐다. 결국 2위 안드리 메드베데프에게 졌다. 윔블던에서 그는 1968년 토마즈 코흐 이후 처음으로 8강에 오른 브라질 선수가 되었다. 그는 8강전에서 앙드레 아가시에게 패했지만, 그 무대까지 단 한 세트도 패하지 못했다. 7월에는 브라질과 프랑스1999년 데이비스컵 8강 5세트에서 세바스티앵 그로지안을 9-7로 꺾었다. 그 경기는 4시간 43분 동안 계속되었다. 그는 또한 오늘날 ATP 월드 투어 파이널로 알려진 ATP 테니스 마스터스 컵에 출전하는 첫 번째 브라질 선수가 되었으며, 시합에서는 이기고도 라운드 로빈을 통과하지 못했다.

2000년 세계 1위

또 한번의 탄탄한 클레이 코트 스윙에 이어 쿠에르텐은 11번째 매치 포인트에서 마그너스 노먼(로마 마스터스 결승에서 몇 주 앞서 그를 꺾은)을 꺾고 두 번째 프랑스오픈 우승을 차지했다. 쿠에르텐은 ATP 랭킹 역사상 세계 1위(1973년 이후)로 한 해를 마무리하는 최초의 남미인이 되었다.[2][5]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테니스 마스터스컵(그 이름으로 첫해)의 마지막 대회인 젊은 신진 마라트 사핀과의 접전이었는데, 1패는 사핀이 1위였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핀이 세계 랭킹 1위로 한 해를 마칠 4번의 기회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쿠어텐은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실내 하드 코트에서 열린 연속 경기에서 피트 샘프라스안드레 아가시를 제치고 1위로 한 해를 마무리했다.[2] 그는 연말 1위 자리를 놓고 8년 동안 미국 선수들에 대한 보유를 깼다.[6] 그는 또한 1977-78년 아르헨티나기예르모 빌라스 이후 연속 5위 안에 든 최초의 남미인이 되었다.[6]

2001: 지속적인 우세, 부상 시작

2001년 프랑스오픈 3관왕에 오르며 세 번째 프랑스오픈 왕관을 차지했고, 전 챔피언 짐 쿠리어(Jim Courier)가 3개 이상의 프랑스오픈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타이틀을 향한 그의 길은 그가 4라운드 상대인 마이클 러셀을 상대로 매치 포인트를 살렸다.[7][8] 그는 또한 8월에 열린 신시내티 마스터스에서 자신의 생애 최대의 하드코트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결승전에서 패트릭 래프터를 물리쳤다. US 오픈에서 그는 먼저 시드를 받았지만, 8강전에서 7번 시드의 예브게니 카펠니코프에게 연속으로 졌다.[9]

쿠에르텐은 올해를 마무리짓기 위해 다음 9경기 중 8경기를 패하면서 부상을 입기 시작했다. 2년 연속 세계랭킹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라한 시즌 엔딩은 Lleyton Hewitt를 추월했다. 그는 409만1,004달러로 2년 연속 ATP의 상금 선두를 달렸다.

2004

호주오픈에서 쿠에르텐은 2라운드에서 이반 루비치치치를 4세트 만에 꺾고 3라운드를 밟았지만 이후 파라돈 슈리차판에게 패했다.[10] 부상에 시달리는 한 해 동안 쿠에르텐은 홈에서 했던 ATP 투어 우승을 두 번째로 차지하며 우승했다. 그해 9월에서 2월로 토너먼트를 옮기고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오픈과 칠레 비냐델마르오픈과의 타협으로 표면이 경질에서 점토로 바뀌어 남아메리카 토너먼트 회선을 선명하게 조여왔다. 그의 승리로, 쿠에르텐은 이전에 2002년에 우승한 적이 있는, 양면에서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쿠어텐은 2004년 그랜드슬램 대회에서 로저 페더러를 유일하게 꺾은 책임을 맡았다. 2002년 함부르크 마스터즈에서 쿠에르텐이 클레이코트에서 페더러와 맞붙은 유일한 경기에서 페더러는 쿠에르텐을 6-0, 1–6, 6–2로 이겼다. 2004년 프랑스오픈에서 3라운드에서 다시 만났을 때 세계랭킹 1위인 우세한 컨디션을 보인 것은 페더러였고, 부상당한 쿠에르텐을 상대로 승리를 기대했던 선수였다. 대신 페더러를 제압하고 지배한 것은 쿠에르텐이었다.[11] 페더러는 2013년 윔블던에서 세르히 스타홉스키를 상대로 2라운드에서 패할 때까지 8강전 전 그랜드슬램에서 패한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다.

9월 1일, 쿠에르텐은 그를 다시 괴롭히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그의 수술된 고관절의 상세한 검사를 받기 위해 ATP 투어에서 무기한 철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그는 남은 기간 동안 다시 뛰지 않았다.

2006

2006년 첫 달, 부상과 약한 경기력으로 인해 쿠에르텐은 세계 최고의 선수로서의 지위를 되찾지 못했다. 200위권 밖으로 밀려난 쿠에르텐은 더 이상 브라질(현재의 리카르도 멜로플라비오 사레타에 뒤진)에서 1위가 아니었고 시즌의 주요 토너먼트 중 어느 것도 와일드카드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됐다. 2006년 브라질 오픈에서 복귀하려던 그의 주된 시도는 1라운드에서 좌절되었다. 이 참패에 이어 쿠에르텐은 북미 마스터스 시리즈 2개 대회인 마이애미와 인디안 웰스에 출전할 와일드카드를 가까스로 손에 넣었지만 부상 때문에 쿠에르텐은 둘 다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프랑스 테니스 연맹은 쿠에르텐이 2006 프랑스 오픈에 출전할 수 있는 와일드카드를 받을 수 있는 모든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쿠에르텐은 지난 2월 중순부터 남자 투어에서 활동하지 않아 와일드카드를 받지 못해 프로 사상 처음으로 프랑스오픈에 불참했다.

2007

쿠에르텐의 형태는 2007년에 개선되지 않았다. ATP 투어 대회에 출전할 수 있을 만큼 순위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쿠에르텐은 와일드카드에 의존해 출전했다. 쿠에르텐은 올해 2-7로 완패했다. 11월에는 뇌성마비를 앓았던 구스타보 쿠에르텐의 동생 길르메가 사망했다.[1]

2008

쿠에르텐은 2008년이 그의 마지막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12][13] 쿠에르텐은 프랑스 오픈, 브라질 오픈, 마이애미 마스터스 등 자신에게 감성적인 가치가 있는 대회를 중심으로 일정을 짜기로 했다. 쿠에르텐은 단식 2회(코스타소이페, L. to 베를로크, 마이애미, l. to Berlocq and Miami, l. to Grosjean) 이후 마이애미에서 열린 니콜라스 라펜티와 함께 펠리시아노 로페스,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와의 ATP 마스터스 시리즈 첫 경기에서 오랜만에 승리했다.

은퇴

구스타보 쿠에르텐은 2008년 5월 25일 롤랑가로스에서 1만5000명의 관중 앞에서 마지막 프로 단식 경기를 치렀다. 그는 '럭키' 유니폼을 입고 코트에 도착했다. 그것은 그가 첫 프랑스 오픈 대회에서 우승했던 1997년에 입었던 것과 같은 파란색과 노란색 유니폼이다. 상대 폴-헨리 마티외와의 매치 포인트를 살렸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국 1997년 프랑스 오픈 결승전에서 3세트(6–3, 6–4, 6–2)로 패했다. 그는 경기 후 대회 조직위원들과 그가 선수 생활을 통해 이룬 성과로 참석한 모든 팬들로부터 영예를 안았다.[14]

플레이 스타일

쿠에르텐은 그라운드 스트로크에 무거운 톱스핀을 꽂고 코트 뒤쪽에서부터 상대를 지치게 하는 탄탄한 서브를 구사하는 등 베이스라인 방식의 플레이를 수용했다. 하지만 쿠에르텐은 고전 클레이 코트 전문가들이 선호하는 전통적인 수비형 베이스라인 플레이와는 반대로 공격형 베이스라인 플레이를 강조했고, 그들과는 달리 첫 서브가 그의 가장 큰 무기였다. 서양 그립을 이용한 외손 백핸드로 오른손잡이를 했다. 톱스핀으로 연주한 아크 백핸드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샷이었다.[15][16][9] 그는 폴리에스테르 현을 가지고 경기한 가장 초기 적응자 중 한 명이었다. 폴리에스테르 현은 그가 페이스를 위해 스윙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공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톱스핀을 만들 수 있었다.[17]

데이비스컵

쿠에르텐의 데이비스 컵 기록[18]
합계 표면 실내/외부
점토 카펫 잔디 딱딱한 실내 야외
34 28 6 8 26
로스트 15 8 5 2 5 10

쿠에르텐은 1996년 데이비스컵에서 브라질에서 처음 뛰기 위해 소집되었는데, 그 때 그는 브라질에서 2위(페르난도 멜리게니에게)가 되었다. 이후 쿠에르텐은 항상 초청에 응해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였다고 주장해 왔다.

1999년과 2000년 시즌에 쿠에르텐은 데이비스컵 경기에서 100%를 주지 않았다고 비난하는 팬들의 비난을 받았다. 그들은 그가 ATP 토너먼트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고 주장했다. 어느 순간 쿠에르텐이 경기를 중단해 자신이 경기에 임할 수 있도록 외쳤던 팬과 말다툼을 벌였다.

2004년 리피차지전에서 캐나다에 예상치 못한 패배, 그해 1차전에서 스웨덴에 패한 뒤 미국 1군으로 강등된 데 이어 브라질테니스연맹의 정치에 대한 불만이 쏟아졌다. 쿠에르텐은 미국 1그룹에서 브라질에서 뛰는 것을 거절했다. 당시 브라질 대표팀 주장 리카르도 어치올리의 예상치 못한 발포가 계기가 됐다. 쿠에르텐은 선수들과 상의 없이 내린 결정이라 자의적인 결정이라고 생각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그것은 조직의 이사회가 내린 일련의 의문스러운 결정들 중 마지막이었다.

다른 모든 브라질 프로 선수들은 쿠에르텐의 선례를 따랐고, 새로 부임한 주장 제이미 온신스도 그 뒤를 따랐다. 그 결과 브라질은 주니어 선수들로 구성된 팀과 1차전을 치러야 했고(많은 협상을 거쳐야만 가능했고, 그 기간 동안 국가가 라운드를 몰수할 위험이 있어 미국 2조에 자동 강등되는 결과를 초래했을 것임) 그로 인해 패배와 함께 강등 가능성을 초래했다.미국 2그룹으로의 진출.

항의는 계속되었고, 그 결과 브라질은 주니어 팀과 다시 리피차지 경기를 치러야 했고, 2005년 시즌에는 미국 2조로 강등되었다. 2005년 현재, 항의의 여파로 BTC 이사회가 무너진 이후, 쿠에르텐과 다른 선수들은 현재 전 선수 페르난도 멜리게니가 주장했던 팀으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쿠에르텐은 2004년 9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엉덩이 부상이 코트를 떠나지 못했기 때문에 선수들의 파업이 끝날 때까지 복귀를 연기해야 했다. 그는 2005년 7월 15일부터 7월 17일까지 브라질 산타카타리나(흙 위에서)에서 열린 미국 조날 그룹 2차전에 유효한 네덜란드 앤틸레스와의 타이로 돌아왔다.

장비 및 후원자

구가는 선수 생활 동안 룩실론 폴리에스테르 현과 함께 헤드 라켓을 사용했다.[19] 그는 디아도라 옷을 입고 올림피쿠스와 헤드의 짧은 기간에 갈아입었다. 은퇴 후인 2012년에는 프랑스 브랜드 라코스테(옷용), 푸조(TV 광고용)와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구가는 또한 "구가 쿠에르텐"이라는 이름의 자신만의 옷과 안경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사생활

쿠에르텐은 브라질 남부 플로리아노폴리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6살 때 테니스를 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가족의 비극으로 점철된 인생과 경력의 초기 시작이었다. 아마추어 테니스 선수였던 아버지 알도는 1985년 쿠에르텐이 8살이던 쿠리치바에서 주니어 테니스 경기를 심판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20] 그의 형인 라파엘은 현재 그의 사업 매니저다. 막내동생 기일허메는 출생 중 산소부족이 장기화돼 회복 불가능한 뇌손상을 입었고, 그 결과 2007년 사망할 때까지 정신지체와 심각한 신체장애를 겪었다.[1] 쿠에르텐은 동생의 매일의 고군분투로 깊은 영향을 받았고, 이후 매년 프로 선수 생활에서 우승한 한 대회의 상금 전액을 비슷한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고향 NGO에 기부했다. 그는 프랑스 오픈 남자 단식 트로피의 축소 모형 3종을 포함해 자신이 받은 트로피를 동생에게 기념품으로 선물했다.

어린 선수로서 쿠에르텐은 카를로스 알베스에게 처음 배웠다. 알베스는 앞으로 8년간 쿠에르텐 감독을 계속할 것이다. 그가 14살이었을 때, 쿠에르텐은 다음 15년 동안 그의 코치가 될 라리 파소스를 만났다. 파소스는 쿠에르텐과 그의 가족을 설득하여 그 젊은이는 테니스를 쳐서 생계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재능이 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주니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전 세계를 여행하기 시작했다. 쿠어텐은 1995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2000년에는 어린이와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플로리아노폴리스에 본부를 둔 비영리 자선단체인 구스타보 쿠에르텐 연구소를 설립했다.[20][21]

은퇴 후 그는 브라질의 플로리아노폴리스 섬에서 정착했으며, 그는 라고아 컨시상 호반 지구에서 활동 중이다. 그는 여전히 지역 마니아들과 함께 가르치고 테니스를 치는 것을 즐긴다. 그의 고향에서 그는 "카초로 그란데"로 알려져 있다. 그는 열렬한 서퍼다.[22]

쿠에르텐은 플로리아노폴리스의 산타카타리나 주립대학(UDESC) 예술센터인 CEART에서 드라마 강좌에 합격했다. 그는 2009년 2월 16일에 그곳에서 공부를 시작했다.[23][24]

2010년 11월, 동생 기러메의 생일날, 그는 마리아나 손시니와 결혼했고, 이 부부는 딸과 아들이 있다.[25][26][27]

2016년 10월 그는 1995년부터 2002년 사이에 저작권 및 영상권으로 벌어들인 수입과 관련된 탈세 혐의로 법정에 섰고, 11월에는 700만 R$(앱퍼)를 내라는 명령을 받았다. 미화 200만 달러.[28][29]

그가 가장 좋아하는 축구팀은 브라질의 Avai Futebol Clube이다.[30] 모델 겸 TV 진행자인 레나타 쿠에르텐과는 먼 사촌이다.[31]

수상 및 수상

1998년, 2002년, 2004년 쿠에르텐은 테니스 기자 협회로부터 스포츠맨십으로 Free Orange Roland Garros 상을 받았다.[32] 고국인 브라질에서 그는 1999년에 프레미오 브라질 올리피코 상을 받았고 1999년과 2000년에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6] 그는 2003년에 ATP Asher Ashe 올해의 인도주의 상을 받았다.[32] 쿠에르텐은 2012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3][5][20] 2016년 6월에 그는 특히 남미에서 이 기구를 대표하는 글로벌 대사가 되었다.[34] 2005년 테니스 매거진은 그를 '테니스 시대의 가장 위대한 40인' 명단에 37위에 올려놓았다.

2010년 쿠에르텐은 테니스에 기여한 공로로 ITF에서 가장 높은 영예인 필리프 차티어상을 받았다. 같은 해 그는 아르헨티나로부터 그 10년 동안 남미 최고의 테니스 선수로 메르코수르 코넥스 을 받았다.

쿠에르텐은 2011년 국제 클럽의 권위 있는보로트라 스포츠맨십 상을 수상했다.

2016년 2월 16일, 공식적으로는 구가 쿠에르텐 코트라는 그의 이름을 따서 리오 오픈의 중앙 코트가 명명되었다.[35]

2016년 8월 5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마라카낭 경기장성화를 전달하고 호텐시아 마르카리로 중계했다.[36]

경력통계

W F SF QF #R RR Q# DNQ A NH
(W) 원, (F) 준결승전, (SF) 준결승전, (QF) 준결승전, (#R) 4, 3, 2, 1라운드, (RR)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Q#) 예선전, (A) 부재, (NH) 개최되지 않음 SR=스트라이크 레이트(이벤트 승리/경쟁)

그랜드 슬램 성능 타임라인

토너먼트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SR W-L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2R 2R 2R 1R 2R 1R 2R 3R A A A A 0 / 8 7–8
프렌치 오픈 A 1R W 2R QF W W 4R 4R QF 1R A A 1R 3 / 11 36–8
윔블던 A A 1R 1R QF 3R A A 2R A A A A A 0 / 5 7–5
US 오픈 A A 3R 2R QF 1R QF 4R 1R 1R 2R A A A 0 / 9 15–9
윈-로스 0–0 0–1 10–3 3–4 13–4 9–3 12–2 6–3 5–4 6–3 1–2 0–0 0–0 0–1 3 / 33 65–30

결승전: 3개(3개 타이틀)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상대 점수
이기다 1997 프렌치 오픈 점토 Spain 세르기 브루게라 6–3, 6–4, 6–2
이기다 2000 프렌치 오픈 점토 Sweden 마그너스 노먼 6–2, 6–3, 2–6, 7–6(8–6)
이기다 2001 프렌치 오픈 점토 Spain 알렉스 코레차 6–7(3–7), 7–5, 6–2, 6–0

연말 선수권 대회 경기 시간표

토너먼트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SR W-L
테니스 마스터스컵 자격이 없음 RR W RR 자격이 없음 1 / 3 5–6

결승전: 1(1위)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상대 점수
이기다 2000 포르투갈 테니스 마스터스컵 하드(i) United States 안드레 아가시 6–4, 6–4, 6–4

참조

  1. ^ a b c "Gustavo Kuerten". atpworldtour.com. Association of Tennis Professionals (ATP). Retrieved January 24, 2016.
  2. ^ a b c Collins, Bud (2016). The Bud Collins History of Tennis (3rd ed.). New York: New Chapter Press. p. 637. ISBN 978-1-937559-38-0.
  3. ^ "RETURN WINNERS: THE 1997 ATP FRENCH OPEN FINAL". www.baseline.tennis.com. Baseline Tennis. June 10, 2018.
  4. ^ Peter FitzSimons (December 27, 2008). "A memorable Kuerten call". The Sydney Morning Herald.
  5. ^ a b Richard Pagliaro (March 14, 2012). "Charismatic Kuerten truly one of a kind". ESPN.
  6. ^ a b c d "Gustavo Kuerten". www.tennisfame.com.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ame.
  7. ^ Matt Trollope (May 30, 2015). "Guga returns to Roland-Garros". Fédération Française de Tennis (FFT).
  8. ^ Michael McDonough (June 10, 2001). "Kuerten wins third French Open title". The Independent.
  9. ^ a b "Top seed Kuerten toppled". BBC Sport. September 6, 2001.
  10. ^ "Kuerten breaks new ground". BBC Sport. January 21, 2004.
  11. ^ Jon Henderson (May 30, 2004). "Kuerten magic floors Federer". The Guardian.
  12. ^ "Gustavo Kuerten announces retirement plans". Irish Examiner. January 7, 2008.
  13. ^ "Three-time French Open champ Kuerten says he'll retire this year". ESPN. January 15, 2008.
  14. ^ "Few shared the love of tennis, competition quite like Guga". ESPN. May 29, 2008.
  15. ^ Ben Blackmore (June 3, 2010). "Gustavo Kuerten: A true artisan of Paris". ESPN.
  16. ^ Stephen Bierley (June 9, 2001). "Backhand gives Guga a shot at making clay history". The Guardian.
  17. ^ Steve Tignor (October 8, 2015). "1997: Gustavo Kuerten's game-changing win with polyester strings". Tennis.com.
  18. ^ "Player profile – Gustavo KUERTEN (BRA)". Davis Cup. Retrieved May 17, 2011.
  19. ^ Tim Newcomb (November 25, 2015). "The history of natural gut strings and why they're still used in tennis today". www.si.com. Sports Illustrated.
  20. ^ a b c Ed McGrogan (March 8, 2012). "Newport's newest: an interview with Gustavo Kuerten". Tennis.com.
  21. ^ "Instituto Guga Kuerten". Instituto Guga Kuerten.
  22. ^ Sport, Telegraph (August 6, 2016). "Who is Gustavo Kuerten? Profile of Brazilian set to light the Rio 2016 Olympic cauldron in Pele's absence". The Telegraph.
  23. ^ "Kuerten going from the courts to college". USA Today. São Paulo, Brazil. Associated Press. January 26, 2009.
  24. ^ "Aprovado no vestibular 2009 de teatro da Udesc Guga leva trote de amigos". O Globo (in Portuguese). January 27, 2009.
  25. ^ "Em silêncio e na sala de troféus, Gustavo Kuerten troca alianças" (in Portuguese). Globo.com. November 8, 2010.
  26. ^ Juliana Wosgraus (June 9, 2013). "Nasceu segundo filho de Guga Kuerten e Mariana Soncini" (in Portuguese). ClicRBS.
  27. ^ "Guga in the house". Montreal Gazette. June 2, 2011.
  28. ^ Gatto Luigi (October 27, 2016). "Gustavo Kuerten in trouble with tax authorities!". Tennis World USA.
  29. ^ Gatto Luigi (November 26, 2016). "Gustavo Kuerten was sentenced to pay 2 million dollars of taxes". Tennis World USA.
  30. ^ "Gonçalves: Avaí pode explorar melhor imagem de Guga como "apaixonado"" [Gonçalves: Avaí can better explore Guga's image as "in love"]. sportv.globo.com (in Portuguese). December 28, 2015.
  31. ^ Tamanaha, Nádia (December 2013). "Renata Kuerten relembra carreira e fala sobre corpo: 'não mudaria nada'". Terra (in Portuguese). Retrieved March 31, 2019.
  32. ^ a b "Curator's Corner: In the Museum with Guga Kuerten". www.tennisfame.com.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ame. November 8, 2012.
  33. ^ "Brazilian Tennis Star Guga Kuerten To Be Inducted in 2012", Tennis Fame,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ame & Museum, retrieved October 15, 2012
  34. ^ "Kuerten named Global Ambassador for Hall of Fame".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ITF). June 3, 2016.
  35. ^ "Rio Open will pay tribute to Guga Kuerten and name the Central Court after former number one". www.rioopen.com. Rio Open. February 16, 2016.
  36. ^ "Opening Ceremony". 2016 Summer Olympics. August 5, 2016. NBC.

추가 읽기

  • Gustavo Kuerten e Roland Garros: uma História de Amor. Instituto Takano. 2002. ISBN 85-902671-1-3.
  • O tênis no Brasil: de Maria Esther Bueno a Gustavo Kuerten. Codex. 2004. ISBN 85-7594-031-7.

외부 링크

수상
선행자
취임식
올해의 브라질 스포츠맨
1999, 2000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