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브보츠퍼드 다리
Abbotsford Bridge애브보츠퍼드 다리 | |
---|---|
![]() 빅토리아 강둑에서 아보츠포드 다리 | |
좌표 | 34°06′51″S 141°59′16″E/34.141°S 141.9879°E좌표: 34°06′51″S 141°59′16″E / 34.141°S 141.9879°E/ |
들다 | 실버시티 하이웨이 (Calder Highway로) |
십자가 | 머레이 강 |
로캘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컬와 |
선행자 | 조지 채피 다리 |
그 뒤를 이어 | 파링가 다리 |
특성. | |
디자인 | 알란 트러스 수직 상승 교량 |
재료 | 강철 |
총길이 | 약 240m(790ft) |
아래 간극 |
|
No. 차선의 | 1개(교통 신호등에 의해 제어됨 |
역사 | |
구성자 | NSW 공공사업부 |
공사비 | 7만 8천 파운드 |
열린 | 1928년 4월 14일 ( |
취임식 | 1928년 7월 28일 (NSW 주지사 더들리 드 체어) | )
대체하다 | 아봇의 포드 펀트 |
위치 | |
![]() | |
참조 | |
[1][2][3][4] |
애브보츠포드 브릿지는 뉴사우스웨일스의 컬와아, 호주 빅토리아 주의 옐타 사이에 있는 머레이 강을 가로질러 실버시티 하이웨이를 운반하는 강철 알란 트러스형 도로교다.머레이를 가로지르는 리프트 스팬을 가진 유일한 강철 트러스교다.1928년에 개통된 이 다리는 NSW 공공사업부에 의해 건설되었고 퍼시 앨런에 의해 설계되었다.이 다리는 강 위에 건설된 두 번째 수직 상승 다리였으며, 마지막은 1941년에 개통된 냐 다리였다.[5]
이 다리는 1925년부터 3년에 걸쳐 건설되었다.당초 이 사업은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았지만 시공사와의 문제로 지연이 있었고, 산업적 조치도 있었다.이 다리는 밀두라 철도 노선을 머레이 강을 넘어 뉴사우스웨일스로 운반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과일 재배 산업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국경 간 교통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옐타에서는 종착역을 넘어 연장된 적이 없었다.그 다리는 현재 신호등에 의해 통제되는 도로의 단일 차선을 가지고 있다.
1931년 교량에서는 노들 기선이 리프트 스팬을 끊어 배 윗부분 갑판이 찢어지는 큰 사고가 있었다.
설명
애브보츠포드 브릿지는 길이가 약 240m(790ft)인 강철 알란 트러스 교량이다.[4]교량에는 길이 약 20m(66ft)의 리프트 스판도 1개씩 들어 있어 아직 정상 작동 중이다.[6][7]대부분의 길이에서 2차선 폭이지만 리프트 스팬은 1차선만 실을 수 있다.[6]교량 전체가 1차로로 표시돼 있고 양단에는 신호등이 달려 있어 차량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8]
이 다리는 NSW 공공사업부에 의해 1928년에 완공되었고, 비록 교통교로 개통되었지만, 일단 이 다리 위로 밀두라 철도가 연장되면,[6] 철도에 필요한 하중을 실어 나르도록 설계되었다.[9][10]종착역이 남아 있는 옐타 너머로는 결코 선이 연장되지 않았다.[11][12]다리의 위치는 밀두라까지 더 상류로 이동하지 않고 스투트 고속도로로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제공했기 때문에 편리하다고 생각되었다.다른 리프팅 교량이 여전히 강변에 존재하지만 머레이 강에 리프트 스팬이 달린 유일한 스틸 트러스 교량이다.그 다리는 머레이 강 상거래의 감소에 따라 건설되었다.[6]그 지역에서의 중요성 때문에, NSW 국가 유산 등록부에 등재되었다.[2]
역사
인근 갠트워스 마을은 양모가 해안으로 선적된 중요한 강항이었고, 그만큼 이 일대에는 다양한 교통량이 있었다.1890년대에는 과일 생산으로 유명한 선레이시아 지역에서 관개 농사가 크게 확대되었고, 교통량은 더욱 증가하였다.이 장소(당시 애봇의 포드라고 알려진)에 펑트를 설치하기로 결정되었다.[6][13]
뉴사우스웨일스와 빅토리아는 북부지역의 정착촌을 지원하기 위해 머레이 강 위에 철도를 위한 교량 건설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다.1923년, 4개의 다리를 건설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가 발표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미래의 압보츠포드 다리였다.이 지역의 다리는 컬와와, 랑워스, 그리고 북쪽에 제안된 관개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비용은 7만 8천 파운드로 추산되었다.이 네 개의 다리를 자물쇠와 결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여겨졌지만, 이 아이디어는 앉아서 하는 우려 때문에 거절당했다.[14][15]
1924년, 인근 정착촌 주민들은 제안된 교량 부지에 철도 노선의 건설을 촉구했지만, 그들은 이 노선의 연장이 연기될 것이라고 들었다.[16]그 해에는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량을 건설하기로 결정되었고, 교량 제작, 교대 및 말뚝 제작, 미래 건설 현장으로의 자재 수송 등을 위하여 입찰자를 허용하였다.[6][17]
1925년 초, 미래의 다리 현장에서 기초 더미와 텐트가 발견될 수 있었다.이 지역의 남성들도 이 구조에서 고용을 기다리고 있었고, 중반쯤에는 실업 문제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비슷하게 정부 부채가 증가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압보츠포드 브릿지로 가는 철도가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8][19]11월에는 공사가 시작되어 이듬해 9월 25일경 개통될 것으로 예상되었다.[20]
1926년 5월 동안, 갠드워스와 다리 사이의 진입도로는 점진적으로 경계가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다리 자체의 건설이 완료될 때까지 전체를 완공할 수는 없었다.[21]지난 6월에는 계약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22]
그 다음해 2월이 되자 공사가 재개되었다.[23][24]4월 8일, 다리 위에서 일하고 있는 25명의 남자들이 파업에 들어갔다.이것은 그 당시에 수행된 시간 의존적인 콘크리트로 인해 우려되었다.공사가 실업구제로 간주되자 건설 당국은 그 일을 대신할 사람을 찾기 시작했다.[25]4월 13일까지, 더 자세한 내용이 등장했는데, 파업 중인 사람들의 수는 실제로 32명이었고, 그것은 점심시간을 일찍 보내기 위해 떠난 세 명의 남자들을 부당하게 해고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파업은 적어도 4월 21일까지 계속되었다.[26][27]공사는 5월 초까지 재개되었고, 그 당시 다리는 절반 이상이 완공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0]
하천의 수위가 낮아 교량 골조에 대한 추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스테이징을 설치할 수 없었지만 교량 마지막 2개 교각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5월 중순 알려졌다.이 시점의 예상 완공 시기는 연말이었다.[28]9월 초에는 옐타에서 철도의 연장이 일단 다리가 완공되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는 사실이 주목되었다.[29]
이 다리는 1928년 1월에 아직 공사 중이었으며, 당시 완공 예정일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았다.[30]그 다리는 마침내 4월 14일에 개통되었다.[31][32]Dudley de Chair NSW 총재가 7월 10일 공식적으로 다리를 개방한 것은 리본을 자르고 리프트 스팬의 양쪽 끝에 대문을 여는 것으로 기념되었다.답례로 그는 은담배 케이스를 선물받았다.[33][34]
1931년 8월 이 다리에서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노 젓는 기선 E.R.O.가 다리의 리프트 스팬에 부딪쳤다.스팬이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지 않아 기선의 깔때기 윗부분이 잘려나가 상갑판이 찢어지게 되었다.사고 당시 고압 증기가 방출돼 일부 구경꾼들은 보트에 불이 붙은 것으로 보고 있다.처음에는 상갑판의 잔해 속에서 선장이 발견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당시 그는 하갑판에서 배를 항해하고 있었다.선장은 상당한 기술을 발휘했다; 그는 모든 명료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스팬을 더 올리면 그것이 충분히 높지 않다는 것을 즉시 깨달았다.그리고 물살에 걸린 보트가 하류로 내려가자 하는 그의 행동을 통해 보트가 다리에서 꼼짝 못하게 막았다.[35]
초창기와 마찬가지로, 이 다리는 과일 생산 산업, 특히 수확 철에 관련된 많은 교통량을 여전히 운반한다.브릿지 리프트는 교통지체를 피하기 위해 타이밍을 맞춘다.[7]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교량 용량이 부족해 상업 활동을 저해한다고 보고 있다.[6]
참고 항목
참조
- ^ "Schedule of Classified Roads and Unclassified Regional Roads" (PDF). Roads and Maritime Services. August 2013. pp. 0, 3, 7. Retrieved 27 August 2013.
- ^ a b "Abbotsford Bridge Over Murray River". State Heritage Register. NSW Environment and Heritage. 1998–2009. Retrieved 29 August 2013.
- ^ Google (28 August 2013). "Silver City Highway–Calder Highway intersection (Streetview)"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28 August 2013.
- ^ a b Google (28 August 2013). "Abbotsford Bridge"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28 August 2013.
- ^ "Nyah Lift Span Bridge". Wakool Shire Council. Retrieved 26 May 2014.
- ^ a b c d e f g "Abbotsford Bridge over Murray River". NSW 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 Retrieved 1 February 2017.
- ^ a b "Wentworth Shire announces new procedures associated with bridge span lifts". Mildura Independent. 4 February 2013. Retrieved 28 August 2013.
- ^ Google (28 August 2013). "Abbotsford Bridge (Streetview)"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28 August 2013.
- ^ "Border Railways". The Argus. Melbourne. 28 October 1924. p. 17. Retrieved 29 August 2013.
- ^ a b "Outback Conditions". The Barrier Miner. Broken Hill, NSW. 5 May 1927. p. 3. Retrieved 29 August 2013.
- ^ Waugh, Andrew (February 2003). "Midura–Yelta" (PDF). Signalling Histories. pp. 4–5. Retrieved 29 August 2013.
- ^ "Interactive Map". Land Channel.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Primary Industries. Retrieved 29 August 2013.
- ^ Hassell Planning Consultants Pty Ltd, in association with Colin Pardoe (September 2001). "Heritage of the Wentworth Shire". Wentworth Shire Heritage Study. Wentworth Shire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pril 2013. Retrieved 29 August 2013.
- ^ "Border Railways". The Argus. Melbourne. 22 September 1923. p. 33. Retrieved 29 August 2013.
- ^ "New Bridge Over Murray". The Argus. Melbourne. 22 September 1923. p. 33. Retrieved 29 August 2013.
- ^ "Country News". The Argus. Melbourne. 23 February 1924. p. 21. Retrieved 29 August 2013.
- ^ "Border Railways". The Argus. Melbourne. 28 October 1924. p. 17. Retrieved 29 August 2013.
- ^ "Up River News". Murray Pioneer and Australian River Record. Renmark, SA. 13 February 1925. p. 1. Retrieved 29 August 2013.
- ^ "Unemployment". The Argus. Melbourne. 22 July 1925. p. 16. Retrieved 29 August 2013.
- ^ "News in Brief". Albury Banner and Wodonga Express. NSW. 27 November 1925. p. 34. Retrieved 29 August 2013.
- ^ "Curlwaa Irrigation Area". The Land. Sydney. 21 May 1926. p. 3. Retrieved 29 August 2013.
- ^ "Country News". The Argus. Melbourne. 10 June 1926. p. 17. Retrieved 29 August 2013.
- ^ "Engine Depot at Mildura". The Argus. Melbourne. 17 February 1927. p. 7. Retrieved 29 August 2013.
- ^ "Opportunities". Construction and Local Government Journal. NSW. 23 February 1927. p. 18. Retrieved 29 August 2013.
- ^ "Work and Wages". The Argus. Melbourne. 9 April 1927. p. 38. Retrieved 29 August 2013.
- ^ "Abbotsford Bridge Strike". Barrier Miner. Broken Hill, NSW. 13 April 1927. p. 1. Retrieved 29 August 2013.
- ^ "Untitled". Barrier Miner. Broken Hill, NSW. 21 April 1927. p. 2. Retrieved 29 August 2013.
- ^ "Abbotsford and Mildura Bridges". Murray Pioneer and Australian River Record. Renmark, SA. 13 May 1927. p. 12. Retrieved 29 August 2013.
- ^ "On The Way To Griffith". Murray Pioneer and Australian River Record. Renmark, SA. 9 September 1927. p. 9. Retrieved 29 August 2013.
- ^ "Country News". The Argus. Melbourne. 24 January 1928. p. 10. Retrieved 30 August 2013.
- ^ "Country News". The Argus. Melbourne. 14 April 1928. p. 18. Retrieved 30 August 2013.
- ^ "Country News". The Argus. Melbourne. 20 April 1928. p. 10. Retrieved 30 August 2013.
- ^ "Border Railways". The Argus. Melbourne. 11 July 1928. p. 19. Retrieved 30 August 2013.
- ^ "The Governor". The Sydney Morning Herald. 11 July 1928. p. 15. Retrieved 30 August 2013.
- ^ "'E.R.O's' Top Deck Smashed". Murray Pioneer and Australian River Record. Renmark, SA. 28 August 1931. p. 4. Retrieved 30 August 2013.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애브봇포드 브리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