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스 하이웨이

Princes Highway
프린스 하이웨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일반 정보
유형고속 도로.
길이1,898 km (1,440 mi)
열린1920
루트 번호'루트 할당' 참조
예전의
루트 번호
'이전 경로' 참조
주요 접합부
이스트 엔드 브로드웨이
울티모, 시드니
웨스트엔드 글렌 오스몬드 로드
글렌 오스몬드, 애들레이드
장소
주요 결산Wollongong, Nowra, Ulladulla, Batemans Bay, Eden, Orbost, Sale, 멜버른, Geelong, Warrnambool, Mount Gambier, Kingston SE, Tailem Bend, Murray Bridge, Crafers, Adelade, Port Wakefield
고속도로 시스템

프린스 고속도로뉴사우스웨일스주, 빅토리아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거쳐 시드니에서 해안을 거쳐 애들레이드까지 이어지는 호주의 주요 도로입니다.이 노선의 길이는 1,941km(1,206mi) 또는 1,898km(1,179mi)이지만,[citation needed] 이러한 노선은 속도가 느리고 원래 노선의 우회 구간과의 연결이 불량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 고속도로는 대부분의 길이를 해안선을 따라서 꽤 간접적이고 긴 경로를 거친다.예를 들어, 시드니에서 멜버른까지는 1번 고속도로로 1,040km(650mi)이고, 더 직접적인 흄 고속도로(31번 국도)에서는 870km(540mi)이고, 멜버른에서 애들레이드까지는 915km(569mi)이며, 서부 듀크스 고속도로(8번 국도)에서는 730km(450mi)이다.시골의 자연과 많은 길이에 걸친 낮은 교통량 때문에 프린스 하이웨이는 이 주요 도시들 사이의 주요 고속도로보다 더 경치 좋고 한가로운 경로입니다.

루트 할당

프린스 하이웨이 구간은 노선 배정이 다릅니다.시드니의 북쪽 종착역에서 글렌 오스몬드(Adelaide 교외)의 서쪽 종착역까지의 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린스 고속도로의 노선 할당
경로
할당
도로명 시작점 끝점 거리 누적
거리
메모들
km km
A36 시티 로드
킹 스트리트
프린스 하이웨이
브로드웨이 고가라 프레지던트 애비뉴와의 교차로 11.3 7.0 11.3 7.0 [1]
A1 프린스 하이웨이 고가라 프레지던트 애비뉴와의 교차로 워터폴 남쪽, 헬렌스버그로 가는 프린스 고속도로 출구 27.8 17.3 39.1 24.3 [2]
미지정 프린스 고속도로(대체 루트) 폭포 남쪽 매든스 평원 20.9 13.0 60.0 37.3 [3]
B65 프린스 고속도로(대체 루트) 로렌스 하그레이브 드라이브, 티룰 교차로 불리 메모리얼 드라이브와의 분기점 2.9 1.8 62.9 39.1 [4]
미지정 프린스 고속도로(대체 루트) 불리 메모리얼 드라이브와의 분기점 오크 플랫 인터체인지 34.5 21.4 97.4 60.5 [5]
M1 프린스 고속도로 폭포 남쪽 오크 플랫 인터체인지 62.3 38.7 101.4 63.0 [6]
A1 프린스 하이웨이 오크 플랫 인터체인지 블랙앨런 선
NSW/빅토리아 국경
415 258 516.4 320.9 [7]
A1 프린스 하이웨이 빅토리아/NSW 경계 트라랄곤
M1 프린스 Freeway* 트라랄곤 나르 워렌
C101 Prince Highway(대체 루트, Pakenham) 나르군 나르 워렌
Beaconsfield에서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간단한 구자유로'로
국도 제1호선 프린스 하이웨이 나르 워렌 사우스뱅크(West Gate Freeway 동쪽 종점)
메트로 60호선 킹스웨이
킹 스트리트
사우스뱅크 웨스트멜버른(빅토리아 스트리트)
메트로 60호선 커즌 스트리트
하커 스트리트
웨스트멜버른 파크빌(북멜버른 인근)
메트로 60호선 플레밍턴 로드 파크빌(북멜버른 인근) 파크빌(CityLink(서쪽) 인근)
메트로 83호선 지롱로드(프린세스 하이웨이) 파크빌 레이버턴 노스
M1 프린스 프리웨이
(몰트비 바이패스 질롱 순환로) *
레이버턴 노스 질롱(모리악 산)
C109 프린스 하이웨이(대체 루트, Werribee) 구길롱로드 인근 베리비(근 포인트 쿡&호퍼 건널목) Werribee(Cocoroc 인근)
A10 프린스 하이웨이(대체 루트, 지룽)
라트로브 테라스
정착로
콜락 로드
코리오(아발론 인근) 워른 폰즈
(시가지 중심 부근, 옛 서부 정렬이 지금은 Waurn Fonds Drive이지만 고속도로 극서 종점에서 폐쇄됨)
A1 프린스 하이웨이 질롱 빅토리아/남호주 국경
A1 프린스 하이웨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 국경 감비에르 산
지하 1층 프린스 하이웨이 감비에르 산 타일렘 벤드
B101
(이전 alt 루트)
남항 고속도로 밀리센트 킹스턴 SE
A1 프린스 하이웨이 타일렘 벤드 머레이 브리지
M1 남동부 고속도로/프린스 고속도로 머레이 브리지 글렌 오스몬드
B55
(빌린) (화이트 힐 - 머레이 브리지 이스트)
미지정
(Murray Bridge East – 롱 플랫)
애들레이드 로드/브릿지 스트리트/올드 프린스 하이웨이(카룬다 하이웨이
올드 프린스 고속도로(머레이 브리지)
롱 플랫 화이트 힐
미지정 올드 프린스 하이웨이(네어네, 칸만투, 콜링턴(북), 모나르토) 화이트 힐 리틀햄프턴
바커 산

*프린스 프리웨이의 두 스테이지 간 차이는 모나시 프리웨이나 프린스 프리웨이라는 이름과는 무관한 일련의 자동차 전용도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전 루트

2013년, 뉴사우스웨일스는 기존의 국가 [8]및 주 노선 체계를 대체하는 새로운 영숫자 노선 번호 체계를 도입했다.프린스 하이웨이는 이전에 불리 고개 하행 60번 국도로 월롱공에 진입하여 불리, 티룰에서 남쪽 교외로 이어지는 거의 다른 경로를 달렸고, 티룰은 'M1' 노선 [9]명칭이 있는 평행 프린스 하이웨이에서 남쪽 교외로 운행했다.Prince Highway의 관보 경로는 State Route 60(및 도로 [10][11]표지판에 표시된 경로)의 경로와 다릅니다.관보에 게재된 경로는 State Route 60(현재의 국도)으로 지정되었습니다. (Memorial Drive)는 길지만 벨람비와 북월롱공 사이의 프린스 고속도로로 표지판이 붙어 있는 도로에서 벗어났습니다.

빅토리아

역사

웨스트 헬렌스버그와 불리 탑스 사이의 프린스 고속도로 구간은 [citation needed]1843년에 처음 사용된 시드니와 울롱공 사이의 원래 해안 도로였다.Bulli Tops에서 이 경로는 오늘날의 Mount Ousley Road를 따라 남쪽으로 Keira Road까지 이어졌고, Keira Road를 따라 Keira 의 서쪽을 돌았습니다.이 노선은 시드니에서 리버풀, 캠벨타운, 아핀, 불리탑스를 경유하는 내륙 루트를 대체했다.

명명된 경로로 Prince Highway는 1920년 Prince of Wales의 호주 방문 이후 기존의 도로가 "Prince's Highway"로 개명되면서 생겨났다.

1920년 1월에 제출된 원본은 왕자가 멜버른에서 시드니까지 육로를 통해 여행할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었다.야스를 [12]경유하는 내륙 경로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로가 고려되었다.그 아이디어는 부분적으로 제한된 시간과 그가 여행을 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으로 도로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비용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그러나 왕자는 그 이름을 [13]짓기 위해 그의 허가를 내주었다.

이 고속도로는 1920년 동안 뉴사우스웨일스와 빅토리아주 모두에서 개통식을 가졌다.멜버른에서 출발하는 첫 번째 도로 구간은 8월 10일 와라굴에서 [13]개통되었다.시드니에서 출발하는 도로는 10월 19일 불리에서 NSW 지방정부 장관 토마스 [14]머치에 의해 개통되었다.

뉴 사우스 웨일스 안에, 왕세자의 고속 도로 주 고속 도로 1호 7월 1일 1928,[15]에 남쪽 도시 시드니의 서덜랜드, 울렁공:오스트레일리아 동부, Nowra, 베이트만의 베이와 에덴을 통해 국가의 제노바 쪽으로 빅토리아(351.5마일의 합계를 위해)의 남쪽 경계에 간다;"왕자의 도로"이름의 1920년에 입양 전부터 가고 선고를 받았다., 흙시드니와 국경 사이의 e 도로는 해안 [15]도로라고 불렸다.

빅토리아 주 내에서는 1922년 1월 빅토리아 주 행정부에 의해 멜버른에서 서쪽으로 질롱, 캠퍼다운, 워럼불,[16] 포틀랜드까지 고속도로를 연장하는 것이 승인되었습니다.1924년 고속도로[17] 차량법안빅토리아 의회를 통과하면서 주정부가 지방도로위원회(나중에 VicRoads)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 도로인 주 고속도로의 선언이 이루어졌다.왕자의 도로는 주 고속 도로 7월 1일 1925,[18]에 마운트 감비아 호주 남부에 부근의 서쪽 경계, 항구의 요정, Warrnambool, 질롱: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를 통해 멜버른에, Dandenong, Warragul, 세일, 베언즈 데일과 Orbost을 통해 국가의 에덴 뉴 사우스에 향해 동쪽 경계에서 국가의 전체 길이를 누비며 선고를 받았다.청와대1920년 "프린스 고속도로"라는 명칭이 채택되기 전에는 멜버른과 베언스데일 사이의 도로는 (메인) 깁스랜드 도로, 베언스데일과 NSW 경계는 오르보스트-제노아-에덴 도로, 멜버른과 페어리지 사이는 멜버른-페어리 도로로 불렸다.얼남불 포트 페어리 [19]로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서는 [20]1922년 2월 주 정부에 의해 애들레이드에서 빅토리아 주와 남호주 국경으로 가는 도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그 당시 애들레이드에서 출발하는 경로올드게이트, 마일러, 매클스필드, 스트라탈빈, 랭혼 크릭을 거쳐 웰링턴에서 머레이 강을 건넌 후 메닝기, 킹스턴 SE, 로브, 비치포트, 밀리센트, 감비어 타운(감비어 [21]산)을 따라 계속되었다.1928년까지, 그 경로는 바커 산과 위스토우거쳐 랑혼 [22]으로 갔다.1935년까지 프린스 하이웨이는 네이언칸만투,[23] 머레이 브릿지와 타이렘 벤드를 통과했다.이 도로는 남동부 고속도로(Craffers-Murray Bridge 1967-1979년 단계), Swanport Bridge(1979년), 마침내 Craffers에서 Glen Osmond(2000년)로 확장되었습니다.킹스턴 SE와 밀리센트 사이의 구간도 보다 직접적인 내륙 노선으로 대체되었다.로브와 비치포트를 통과하는 해안 경로는 현재 남부 항구 고속도로인 B101번 도로입니다.

1942년 전시 방위 대책의 일환으로 키라산에서 페어리 메도우까지 도로가 건설되었다.이 경로는 마운트오즐리 [citation needed]로드의 일부를 이룬다.

2011년 8월, 포트 웨이크필드와 포트 어거스타 사이의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고속도로(통칭 "하이웨이 1번 고속도로")는 [24]주 전체의 농촌 재산 주소 지정 시스템을 표준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어거스타 고속도로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중요한 업그레이드 및 우회 일정

중요한 업그레이드 및 우회 일정
날짜. 프로젝트. 길이 가치 평. 메모들
km
1940 레이버턴 편차 VIC 9.7 6 길이 6마일(알토나의 코로잇 크릭 로드부터 호퍼스 크로싱의 올드 질롱 로드)의 건설은 내무부를 대표하여 시작되었다.이 작업에는 Lavton근처의 철도에 다리를 설치하는 것이 포함됩니다.새 도로는 1940년 6월 30일 이후에 개통되었습니다. [25]
1961 몰트바이패스로드(베리바이패스) VIC 10.5 6.5 950,000파운드 1961년 6월 16일 Hon에 의해 오픈.토마스 몰트비 ED, 공공사업부 장관, 이 노선은 당시 빅토리아 총리 헨리 볼테의해 '몰트비 바이패스 도로'로 명명되었습니다. 이것은 빅토리아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로와 같은 통제된 첫 번째 고속도로, 즉 '자유 도로'였습니다.'이 고속도로는 4차로로 나뉘어져 있으며, 경로 길이가 6.5마일이며, 인접한 재산이나 교차로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접근할 수 없습니다.' [26]
1959–1962 클럽 테라스 루프 VIC 16.50 10.25 1959년에 시작된 클럽테라스 루프(Club Teras Loop)는 1962년에 완공되어 칸 강 서쪽의 클럽테라스 타운십을 지나는 15마일 길이의 좁은 표준 이하의 도로에서 완전히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였다 [27][28]
1959–1963 남북 고속도로(프린세스 고속도로) NSW 북월롱공에서 서월롱공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가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프린스 하이웨이를 남북 주요 경로로 대체하였다 [필요한 건]
1964 커넥터 도로 NSW 마운트오즐리 로드에서 그윈빌 북쪽-남쪽 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개통되었습니다. [필요한 건]
1967 프린스 고속도로 동쪽, 드러머 산 근처 VIC 8.9 5.5 1967년 1월 17일 제노바에서 Orbost Shire Council의 후원으로 열린 기념식. [29]
1967 남동부 고속도로 (1단계) SA 크레이퍼와 스털링을 우회했어요 [필요한 건]
1969 MoE 바이패스 VIC 6.1 3.8 이중 차선, 폭 24피트(7.3m)의 단일 차로가 건설되었으며, 토공사와 구배 분리 구조물이 미래의 중복 보도를 수용합니다. [30]
1972 유령의 언덕 구간 VIC 4.2 2.6 건스굴리와 에르네스 오크 사이에 두 번째 차도가 개통되었다. [31]
1973 도로 중복 VIC 6.4 4 이스트 워럼불에서 앨런스포드로 가는 이중 도로. [32]
1974 철도 건널목 제거 VIC 1.1 0.7 380만달러 연결도로(Gordon Street), 풋스크레이의 철도 및 구배분리 교량 재건 [32][33]
1975 NSW 프린스 하이웨이(Prince Highway)는 폭포에서 불리 탑스(Bulli Tops)로, 남부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필요한 건]
1976 스노우 리버 브리지, 프린스 프리웨이, 오보스트 VIC 8.4 5.2 240만 호주달러 Hon에 의해 오픈되었습니다.1976년 11월 25일 교통부 장관 J A Rafferty.이 다리는 오르보스트의 고속도로 우회도로의 일부로 건설된 4개의 다리 중 첫 번째 다리였다.
전체 우회로가 단일 2차선 차로로 되어 있고 접근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유로'에 대한 언급이 흥미롭다.CRB의 고속도로에 대한 자체 정의는 1960년대에 작성된 대부분의 연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속도로는 인접한 부동산과 이면도로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이중 차로를 가진 도로이다.고속도로의 모든 건널목은 육교나 언더패스 교량을 통해 이루어지며, 차량들은 정교하게 설계된 경사로로 고속도로를 드나든다.
[34][35]
1979 스완포트 브리지 SA 머레이 브릿지를 우회하는 남동부 고속도로를 완성했다. [필요한 건]
1981 드루인 바이패스 VIC 7 4.3 1,200만 호주달러 로빈 후드부터 드루인 동쪽의 '기존' 고속도로까지 '각 방향 2개 차선, 비상 정지 차선'이 있습니다.1981년 2월 12일 Hon에 의해 오픈.J C M 밸푸어, 하원의원 [36]
1983 버릭 바이패스 VIC 7.3 4.5 1,960만 호주달러 1983년 12월 14일 연방 교통부 장관 Hon에 의해 개통되었습니다.피터 모리스 하원의원, 빅토리아주 교통부 차관, Hon.잭 심슨 의원님 이 우회도로는 프린스 고속도로에서 헤슬 로드 근처, 비콘스필드의 핑크 힐까지였어요 [37]
1985 와라굴 바이패스 VIC 9 5.6 2,300만 호주달러 1985년 12월 12일 연방 교통부 장관인 혼에 의해 개통된 Drowin Bypass에서 Nilma까지.피터 모리스 하원의원, 빅토리아 교통부 장관 Hon.톰 로퍼 하원의원. [38]
1987 도로 중복 VIC 9 5.6 1,600만 호주달러 나르 군에서 가필드로의 복사는 1987년 4월 10일에 개통되었다. [39]
1989 도로 중복 VIC 1989년 6월에 가필드에서 번이프 강으로의 복제가 완료되었습니다. [40]
1992 모웰 바이패스 VIC 바이패스는 1992년 4월에 개통되었다. [41]
1994 롱워리 섹션 중복 VIC 7.8 4.8 2,500만 호주달러 1994년 1월에 번이프강과 로빈후드 사이에 복제가 완료되었다. [42]
1995 도로 중복 VIC 트라팔가 이스트에서 모에까지 중복 구간이 1995년 8월에 개통되었다. [43]
1997 도로 중복 VIC 7 4.3 1997년 5월 2일 야라곤-트라팔가 구간이 개통되어 멜버른-트라랄곤 간 이중 고속도로가 완성되었다. [44]
2000 하이센 터널 SA 터널은 마운트 바커 로드(Eagle On The Hill 경유)를 대체하여 남동부 고속도로의 애들레이드 끝을 크레이퍼스에서 글렌 오스몬드로 확장하였다. [필요한 건]
2002 오크 플랫 인터체인지 NSW 이 프로젝트는 2001년 10월 29일에 시작되었다.이 나들목은 철도의 수평 교차로와 인근 교통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프린스 하이웨이의 알비온 파크/오크 플랫스 구간 주변의 교통 흐름을 크게 개선하도록 설계되었다.'이 교차로는 셸하버 시의회의 동서 링크 도로와도 연결됩니다.' [45]
2002 지롱로드 업그레이드 VIC 웨스트 게이트 브리지에서 라라로의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습니다.호퍼스 크로싱~코리오 구간은 각 방향 2개 차선에서 3개 차선으로 넓어졌고, 환승 및 홍수 관리가 개선되었으며, 중앙 와이어 로프 장벽이 설치되었다.WerribeeCorio 사이의 제한속도는 110km/h에서 100km/h로 감소되었다. [46]
2005 키아마 바이패스 NSW 1억7천900만 호주달러 2005년 11월 28일 개통.북키아마 바이패스는 남쪽의 키아마 바이패스와 북쪽의 던모어 부근의 프린스 하이웨이를 연결했다. [47]
2007 파켄햄 바이패스 VIC 20 12 2억4천2백만 호주달러 2007년 12월에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공동 자금으로 교통에 개방. [48]
2008 지롱순환로 VIC FyansfordCorio ~ Hamilton Highway는 2008년 12월 14일에 개통하였다. [49]
2009 지롱순환로 VIC 3억 8천만 호주달러 Fyansford ~ Waurn Fonds의 Hamilton Highway는 예정보다 6개월 빠른 2009년 6월 14일에 개통되었습니다.Corio에서 Waurn Fonds까지의 프로젝트는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49]
2009 도로 중복 NSW 1억8백만 호주달러 Oak Flats - Dunmore 이중 차로는 2009년 10월에 개통되어 시드니에서 Kiama 남부까지 왕복 4차선 노선을 완성했습니다. [50]
2013 지롱순환로 VIC Anglesea Road to Princes Highway는 2013년 2월에 개통되었습니다. [51]
2013 도로 중복 VIC 4 2.5 Wurruk to Sale 복제품은 2013년 6월에 오픈되었습니다. [51]
2015 도로 중복 VIC 30 19 Waurn Fonds에서 Winchelsea까지. [52]
2019–2021 알비온 파크 레일 바이패스 NSW 9.8 6.1 6억 3천만 호주달러 알비온 파크 레일 바이패스의 북쪽 방향 차선은 2021년 8월 7일에 개통되었다.알비온 파크 레일 바이패스의 남쪽 방향 차선은 2021년 10월 9일에 개통되어 히스코트보마더리 사이의 높은 표준 도로의 '누락 링크'를 완료하였다. [53]

프로젝트

뉴사우스웨일스주 프린스 고속도로 프로젝트 목록
프로젝트. 길이 건설 가치 상황 메모들
km 시작 완성하다
Bulli Pass 업그레이드 1.1 0.68 진행중 [54][55]
알비온 파크 레일 바이패스 9.8 6.1 2018년 11월 2021년 10월 6억 3천만 달러 완성하다 [53][54]
Oak Flats에서 Dunmore로 업그레이드 2007년 6월 2009년 10월 1억800만달러 완성하다 [54][56]
북키아마 바이패스 7.6 4.7 2003년 11월 2005년 10월 1억 4천만 달러 완성하다 [54][57]
Kiama 온/오프 램프(북행 및 남행) 2008/2009 800만달러 완성하다 [54]
게링롱 업그레이드 7.5 4.7 2012년 7월 2015년 8월 1억 4천만 달러 완성하다 [54][58][59]
폭스그라운드 및 베리 바이패스 11.6 7.2 2015년 1월 2017년 6월 5억 8천만 달러 완성하다 [54][60][61][62][63]
베리에서 보매드리로 업그레이드 11.5 7.1 2018년 9월 2022(표준) 4억 5천만 달러 진행중 [54][64]
Nowra Bridge 연구(남행) 계획 중 [54]
South Nowra 업그레이드 – Kingorne Street에서 Forest Road로 6.3 3.9 2011년 11월 2014년 3월 6,200만달러 완성하다 [54][65][66][67]
저비스 베이 로드로 가는 숲길 23.5 14.6 2008년 12월 2,350만달러 완성하다 [54][68]
콘졸라 산 재편성 2.3 1.4 2008년 9월 2010년 4월 5,800만달러 완성하다 [54][69]
버릴 호수 다리 교체 2018년 초 5,800만달러 완성하다 [54][70]
테르메일 크릭 재편성 1.6 0.99 2015년 2월 2016년 중반 2,100만달러 완성하다 [54][59][71]
난굿가교 교체 2011년 12월 370만달러 완성하다 [54]
Victoria Creek 업그레이드 3.2 2.0 2011년 6월 2013년 3월 3,500만달러 완성하다 [54][72]
디그넘스 크릭 업그레이드 2.0 1.2 2017년 초 2019년 4월 4,500만달러 완성하다 [54]
베가 바이패스 3.6 2.2 2012년 6월 2013년 12월 5,500만달러 완성하다 [54][73][74]
팜불라 강 다리 교체 3.5 2.2 2006년 8월 2008년 3월 1,700만달러 완성하다 [54][75]

경로

뉴사우스웨일스 주

Moruya에 있는 Prince Highway at Moruya.
에덴에 있는 고속도로 왕자님들

프린스 하이웨이는 시드니 교외 치펜데일의 브로드웨이(그레이트 웨스턴 하이웨이)와 시티 로드 교차로에서 시작됩니다.시티 로드는 사실 고속도로의 첫 번째 구간을 형성하며, 프린스 하이웨이의 일부인 뉴타운의 킹 스트리트가 됩니다.킹 스트리트가 시드니 파크 로드에서 끝나는 곳에서 프린스 하이웨이는 그 자체로 계속된다.

이 구간의 고속도로는 킹 스트리트(4차선 미분할)와 로열 국립공원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4차선 이중 [citation needed]차선으로 건설되는 것을 제외하고 6차선 분할 차로로 건설된다.이 길을 따라 있는 유일한 주요 엔지니어링 구조물은 조르주 강을 가로지르는 쌍둥이 톰 어글리 다리입니다.북행 다리는 1929년에 개통된 강철 트러스 구조이며, 남행 다리는 1987년에 개통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입니다.

시드니의 남부 교외(세인트 조지 지역 및 서덜랜드 샤이어)를 지나 고가라, 서덜랜드, 엔가딘을 거쳐 폭포 마을까지 운행됩니다.

프린스 하이웨이 우노나

폭포 남쪽에는 55km(34mi)의 프린스 고속도로(국도 M1)와 평행하여 대부분의 교통량을 수송하는 울롱공 시 외곽의 불리 고개 정상까지 이어져 있습니다.프린스 하이웨이는 불리 패스를 통해 울롱공의 북쪽 교외와 일라와라 지역으로 진입하고, 국도 1호선의 일부로 지정된 마운트 우슬리 로드는 페어리 메도우에서 프린스 하이웨이를 만나기 위해 울롱공의 북쪽 교외를 우회하여 도심 교통을 수송합니다.우슬리 산 도로가 울롱공으로 들어가는 지점에는 프린스 고속도로가 우슬리 산 도로와 분기하여 울롱공 교외를 지나 야라로 가는 고속도로와 평행합니다.마운트오즐리 로드-프린세스 고속도로 노선은 울롱공의 남쪽 교외를 통과하는 도시 간선도로이자 주요 도시 간선도로이며, 프린스 고속도로는 지역 간선도로 역할을 합니다.

프린스 고속도로는 Yalah에서 프린스 고속도로와의 교차로에서 우회한 알비온 파크 레일을 거쳐 오크 플랫스 인터체인지에서 고속도로의 남쪽 종착역에 도착합니다.Oak Flats에서 Prince Highway는 Kiama Heights의 Kiama 커브를 제외하고 대부분 고속도로 표준으로 이중 차로로 되어 있습니다.그 후, 고속도로는 게링공과 폭스그라운드를 통해 업그레이드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며, 일라와라 철도 노선이 동쪽으로 바로 이어지는 평지에 비해 더 큰 구배를 따라가는 베리 마을을 우회합니다.

베리 멀러스 레인을 넘어서면 보마더리 주 캄베와라 로드까지 가는 2차선 도로입니다.뮬러스 레인에서 캄베와라 로드까지 고속도로를 복제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며 [76]2022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Cambewarra Road에서 고속도로는 Bomaderry와 Nowra를 거쳐 South Nowra에 있는 Warra Warra Road와의 교차로 부근까지 4차선입니다.멸종 위기에 처한 녹색과 황금 방울 [77]개구리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는 동안 3개월간의 작업 중단에 이어, 여기에서 남쪽으로 6km(4mi) 길이의 이중 도로 표준으로의 복제가 2014년 초에 완료될 예정이었다.이 구간 너머에는 포레스트 로드부터 저비스 베이 로드와의 분기점까지 4km(2.5mi)의 4차선 단일 차로가 있습니다.

저비스 베이 로드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고속도로는 NSW 사우스 코스트를 따라 대부분 단일 2차선 차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울라둘라, 바테만스 베이(여기서는 1km(0.6mi) 타운 센터 바이패스가 이중 차로로 건설됨), 모루야, 나루마, 베가메림뷸라를 우회한 후 에덴을 통과합니다.시드니에서 550km(340마일), 멜버른에서 515km(320마일) 떨어진 빅토리아로 직행합니다.

2012-13년 나로오마 남쪽 13km 떨어진 빅토리아 크릭의 표준 미달 정렬과 3.5km(2.2mi) 베가 우회로가 개선되었다.울라둘라에서 남쪽으로 약 30km(19mi) 떨어진 테르메일 크릭과 나로오마에서 남쪽으로 약 20km(12mi) 떨어진 디그넘 크릭에서도 관련 새 교량 재배치가 제안되고 있다.현재 확인된 미래 프로젝트는 나우라-보마더리 우회도로(쇼알하벤 강 남쪽 구간에서만 확인됨)와 울라둘라-밀턴 우회도로이다.

2007년 NRMA는 프린스 하이웨이가 [79]2006년 시드니와 주 경계를 잇는 고속도로에서 10명의 사망자와 729명의 부상자를 낸 위험한[78] 도로라고 주장했다.

빅토리아

프린스 하이웨이는 중앙 분리대가 정원으로 만들어진 빅토리아주 베언스데일과 같은 몇몇 마을에서 그림처럼 아름답다.

빅토리아에서 프린스 하이웨이는 매우 길고 복잡한 길을 따라갑니다.메트로폴리탄 멜버른 내의 노선은 프린스 하이웨이 구간의 원래 이름을 표지판에 붙입니다.각 도로 구간에는 프린스 하이웨이(Prince Highway)가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으며, 단데농로드나 길롱로드와 같은 개별 이름은 괄호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National Alternative Route 1, C101 및 C109(BerwickWerribee와 같은 외곽 대도시 지역)의 노선과는 별도로, M1 Freeway 루트는 교차하며(Monash Freeway/CityLink/West Gate Freeway/Princes Freeway) 주요 혼잡 시간대에 많은 교통량이 발생합니다.호주에서 1번 국도로 가는 가장 빠른 경로입니다.

빅토리아주에서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국경에서 뉴사우스웨일스 국경까지의 길이가 955km(593마일)입니다.고속도로는 Gippsland 지역의 Orbost, Bairnsdale Sale을 통과합니다.고속도로는 라트로브 계곡을 지나 Morwell, Warragul, Pakenham지나 Dandenong으로 향하며 멜버른 남동쪽 교외로 진입합니다.이 섹션의 대부분은 고속도로 표준이며, 주요 미해결 작업은 Traralgon의 고속도로 우회이다. 그러나 Traralgon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는 이미 도시 이중 차선 표준에 따라 건설되었다.

이 도로는 멜버른을 통과할 때 먼저 론즈데일 스트리트(단데농 경유), 그 다음 세인트 킬다로 가는 단데농 로드, 앨버트 파크 경유 퀸즈 로드(이 구간은 1969년 멜버른 교통 계획에서 F14 고속도로의 일부로 표시됨)의 경로를 따라갑니다.멜버른 도심에 더 가까이 가면 킹스 웨이, 그리고 킹 스트리트 경로를 따라 멜버른 중심부를 지나갑니다.중심업무지구를 나와 커즌가를 따라 북멜버른으로 진입한 후 플레밍턴 로드 북서쪽, 레이스코스 로드, 스미스필드 로드, 발라랫 로드 등을 따라갑니다.다시 발라랏길에서 남서쪽으로 갈라진 길롱길과 발라랏길이 서부 고속도로로 이어진다.멜버른을 통과하는 고속도로의 이중 명칭이 혼란스러운 이유는 1920년에 고속도로가 명명되었을 때 이미 이름이 붙여진 거리와 도로를 따라가기 때문이다.

멜버른과 그 교외의 많은 부분을 지나는 국도 1호선은 프린스 고속도로가 아니라 멜버른의 동쪽 외곽에 있는 프린스 고속도로와 교차하는 모나시 고속도로와 멜버른 중심부를 우회하는 웨스트 게이트 고속도로입니다.이 두 고속도로는 시티링크 유료도로의 남쪽 링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이렇게 하면 멜버른 중심부에 있는 프린스 하이웨이(Prince Highway) 도로의 혼란스럽고 혼잡한 배열을 피할 수 있습니다.M1에는 Narre Warren과 Werribee 사이의 전체 도시 길이 75km(47mi)에 대한 첨단 고속도로 관리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고속도로 센서 및 관련 데이터 스테이션과 함께 속도 및 차선 이용 가능 여부, 전자 메시지판, 실시간 주행 시간 표시 및 간선 도로 실시간 정보 표시(램프 앞)를 보여주는 오버헤드 레인 사용 관리 시스템(LUMS) 간선. 64개 이상의 램프 신호 및 미터링 사이트가 있습니다.따라서 대부분의 온램프는 트래픽의 밀도와 속도에 따라 신호등이 제어됩니다.

남서쪽으로 질롱 방향으로 가면 서문 고속도로와 질롱 로드가 합류해 프린스 고속도로가 된다.호주의 도시 간 고속도로로는 이례적으로 어느 방향으로든 4~3차선의 충분한 교통량을 운반한다(종종 오전과 오후의 정체가 계속되고 있다).질롱의 북쪽 외곽에서는 고속도로에서 질롱과 그 교외를 지나는 3차선 이중 차로로 도로 전환되며, 신호등 제어 교차로가 있다.지롱을 관통하는 고속도로는 종종 극심한 정체를 빚는다.

(2008–2009년) 고속도로 표준 길롱 순환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M1 노선은 어떠한 신호등도 마주치지 않고 윈첼시에서 트라랄곤까지 고속도로 표준도로를 따라갑니다(아직 우회하지 않은 야라곤과 트라팔가 제외).순환도로는 지롱 서쪽 끝의 와른 폰즈에서 원래의 고속도로와 다시 연결된다.

지롱 내에서 프린스 하이웨이는 지롱 교외 코리오의 프린스 프리웨이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지롱 시티 센터의 도심 서부 우회로를 통해 지롱의 북쪽과 남쪽 교외를 지나 지롱 남부 교외의 웨이언 폰즈에 있는 현재의 1번 고속도로 구간까지 이어진다.이 고속도로는 코리오에서 라트로브 테라스까지 6차선 이중 차로로, 와운 폰즈까지 4차선 이중 차로로 이어집니다.1989년 프린스 고속도로(La Trobe Teras를 따라)의 재정렬은 사우스 지롱의 무라불 스트리트와 벨몬트의 하이 스트리트를 따라 원래 경로를 대체할 수 있는 이중 차선, 4차선 제한 접근 도로를 제공합니다.지룽 순환도로의 마지막 구간이 완공되자 2013년 프린스 하이웨이의 또 다른 구간이 와운 폰즈로 대체되었다.

지룽(Geelong) 이후 고속도로는 대체로 서쪽 방향으로 향하며, 윈첼시(Winchelsea)로 가는 이중 차도 도로로 'M1'을 계속 지정한다(2015년 개통).Winchelsea 서쪽에 있는 이 도로는 현재 Camperdown도달하기 전에 Colac을 지나 Warrnambool 항구에 도달하는 이중 차도 표준으로 재건되고 있습니다.지룽에서 와람불까지 내륙으로 이어져 느리지만 경치가 좋은 그레이트오션 로드를 피한다.여기서부터 프린스 하이웨이는 포틀랜드를 지나 남호주로 넘어갑니다.이 지점에서 고속도로는 시드니에서 1,530km(950mi), 멜버른에서 465km(289mi), 애들레이드에서 510km(320mi) 떨어져 있습니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감비에르산에서 고속도로는 북서쪽으로 굽어지면서 쿠롱 국립공원을 지나 북쪽으로 더 나아갑니다.킹스턴 SE 이후 머레이 하구의 호수를 피하기 위해 내륙(북쪽)으로 방향을 튼다.Tailem Bend 직전에 Melbourn과 Adelayde 사이의 주요 경로의 일부인 Dukes Highway와 합류합니다.그 후 고속도로는 북서쪽으로 돌아서 남동부 고속도로가 되고, 머레이 강을 건너 머레이 다리를 지나 애들레이드 남동쪽 외곽에 있는 글렌 오스몬드까지 이어집니다.

이 시점에서 프린스 하이웨이는 애들레이드에서 6km(4mi), 시드니에서 2,055km(1,277mi) 떨어져 있습니다.북서쪽으로 글렌 오스몬드 로드를 거쳐 애들레이드 도심까지 이어지며, 여기서 사우스 테라스를 따라 서쪽으로 달리다가 킹 윌리엄 스트리트를 따라 북쪽으로 도심을 지나 메인 노스 로드를 따라 포트 웨이크필드 로드를 따라 해안과 다시 합류합니다.Port Wakefield에서 Augusta Highway로 계속되며, Port Pirie를 따라 Port Augusta로 이어집니다.Port Augusta는 Eyre Highway와 Stuart Highway의 교차로에서 끝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2–6 City Road, Chippendale NSW 2008 to President Avenue, Kogarah NSW 2217". Google Maps. 2016. Retrieved 11 October 2016.
  2. ^ "President Avenue, Kogarah NSW 2217 to Princes Highway & A1 & M1 & Princes Motorway, New South Wales". Google Maps. 2016. Retrieved 11 October 2016.
  3. ^ "Princes Motorway & Princes Highway & M1 & A1, New South Wales to Princes Motorway & Princes Highway & M1 & Lookout Walking Track, Maddens Plains NSW 2508". Google Maps. 2016. Retrieved 11 October 2016.
  4. ^ "136 Princes Highway, Thirroul NSW 2515 to 310 Princes Highway, Bulli NSW 2516". Google Maps. 2016. Retrieved 11 October 2016.
  5. ^ "Princes Highway, Bulli NSW 2516 to National Highway 1, Oak Flats NSW 2529". Google Maps. 2021. Retrieved 10 October 2021.
  6. ^ "M1, Helensburgh NSW 2508 to Croome NSW 2527". Google Maps. 2021. Retrieved 10 October 2021.
  7. ^ "M1, Croome NSW 2527 to Border Firetrail, New South Wales". Google Maps. 2021. Retrieved 10 October 2021.
  8. ^ Roads and Maritime Services (26 November 2012). "Alpha-numeric route numbers – Road Projects – Roads and Maritime Services". Retrieved 17 December 2012.
  9. ^ Spatial Information Exchange, New South Wales Land and Property Inform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08, retrieved 8 September 2011
  10. ^ Schedule of Classified Roads and State & Regional Roads (PDF), Roads and Traffic Authority of New South Wales, 31 January 2011, retrieved 8 September 2011
  11. ^ "Roads and Traffic Authority" (PDF), Government Gazette of the State of New South Wal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vol. 189, p. 9185, 25 October 2002, retrieved 8 September 2011
  12. ^ "MELBOURNE-SYDNEY ROAD". The Argus. Melbourn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4 January 1920. p. 18. Retrieved 8 September 2011.
  13. ^ a b "PRINCE'S HIGHWAY". The Argus. Melbourn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1 August 1920. p. 9. Retrieved 8 September 2011.
  14. ^ "PRINCE'S HIGHWAY". The Sydney Morning Herald.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 October 1920. p. 12. Retrieved 8 September 2011.
  15. ^ a b "Main Roads Board of New South Wales Annual Report: Volume 1, number 1" (PDF). Main Roads Board of New South Wales. Vol. 1, no. 1. Sydney: OpenGov NSW. September 1929. pp. 20–2.
  16. ^ "PRINCE'S HIGHWAY". The Argus. Melbourn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5 January 1922. p. 12. Retrieved 8 September 2011.
  17. ^ 1924년 12월 30일, 고속도로시골 도로 자동차와 트랙션 엔진에 관한 추가 규정을 제정하는 법률
  18.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Twelf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25".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31 December 1925. p. 3.
  19.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Second Annual Report".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 November 1915. pp. 15–7, 19, 21, 28, 30–2.
  20. ^ "THE PRINCE'S HIGHWAY". The Register. Adelaid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0 February 1922. p. 6. Retrieved 8 September 2011.
  21. ^ "PRINCE'S HIGHWAY". The News. Adelaid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8 October 1924. p. 9 Edition: Sporting Edition. Retrieved 13 February 2015.
  22. ^ "SOUTH-EASTERN DISTRICT COUNCILS' ASSOCIATION". The Narracoorte Herald. S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8 August 1928. p. 4. Retrieved 13 February 2015.
  23. ^ "519 Men Engaged On Road Work". The Advertiser. Adelaid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 June 1935. p. 10. Retrieved 13 February 2015.
  24. ^ "Highways renamed in SA". Logistics, Trucking and Transport News – Prime Mover Magazine. Retrieved 17 November 2012.
  25.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Twenty-Seven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40".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8 November 1940. p. 6.
  26.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1961년 6월 30일에 종료된 48번째 연례 보고서, 빅토리아주 멜버른:Government Printer, 1961. 20페이지
  27.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Forty-Six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59".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7 November 1959. p. 21.
  28.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Fifty-Four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67".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2 January 1968. p. 14.
  29.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54회 연차보고서: 1967년 6월 30일에 종료된 의 빅토리아주 버우드:브라운, 프리어, 앤더슨, 1968. 페이지 13
  30.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56회 연차 보고서: 1969년 6월 30일에 끝난 해의 빅토리아주 버우드:브라운, 프라이어, 앤더슨, 1970. 페이지 5, 10
  31.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59차 보고서: 1972년 6월 30일에 끝난 해의 빅토리아주 버우드:브라운, 프라이어, 앤더슨, 1972년 9페이지
  32. ^ a b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Sixtieth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73".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 November 1973. pp. 7, 24.
  33. ^ "Country Roads Board Victoria. Sixty-First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74". Country Roads Board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1 November 1974. p. 24.
  34.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64회 연차보고서: 1977년 6월 30일에 종료된 연도의 빅토리아주 버우드:브라운, 프라이어, 앤더슨, 1977. 페이지 7
  35.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69회 연차보고서 1981-1982 빅토리아주 큐: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 1982. 페이지 24
  36. ^ 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제68회 연차 보고서 1980~1981년, 빅토리아 주 큐:컨트리 로드 보드 빅토리아, 1981.10 페이지
  37. ^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제1회 연차보고서 1983-84, 빅토리아 큐: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1984.10 페이지
  38. ^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Annual Report for the year ended 30 June 1986". Road Construction Authority of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24 November 1986. p. 7.
  39. ^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빅토리아 큐, 1986-87 연차보고서: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1987. 페이지 64
  40. ^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1988-1989년 연례보고서, 빅토리아 큐: 도로건설청, 빅토리아, 1989년 페이지 45
  41. ^ Vic Roads.VicRoads 연차보고서 1992-93(빅토리아 주 큐):VicRoads, 1993, 페이지 43
  42. ^ Vic Roads.VicRoads 연차보고서 1993-94(빅토리아 주 큐:VicRoads, 1994, 페이지 15
  43. ^ Vic Roads.VicRoads Annual Report 1995-96, Victoria, Kew:VicRoads, 1996, 페이지 15
  44. ^ Vic Roads.VicRoads Annual Report 1996-97, Kew, Victoria:VicRoads, 1997, 페이지 16
  45. ^ 도로교통국 NSW.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2002년 연례보고서: RTA, 2002. 페이지 38.
  46. ^ Viseth Uch, 2007년M1 – Prince Freeway / Highway West. [온라인] http://mrv.ozroads.com.au/ 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2018년 2월 21일 입수]
  47. ^ 도로교통국 NSW. 2006년 연례 보고서,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RTA, 2006. 페이지 26.
  48. ^ Vic Roads.VicRoads Annual Report 2007-08, Kew, Victoria:VicRoads, 2008, 페이지 35
  49. ^ a b Vic Roads.VicRoads 연차보고서 2008-09.큐, 빅토리아:VicRoads, 2009, 페이지 43
  50. ^ 도로교통국 NSW. 뉴사우스웨일스 주 시드니, 2009-10 연차 보고서: RTA, 2010. 페이지 26.
  51. ^ a b Vic Roads.빅토리아 주 큐의 2012-13 연차 보고서:VicRoads, 2013, 페이지 20
  52. ^ "VicRoads Annual Report 2014-15". VicRoads. Melbourne: Victorian Government Library Service. 3 September 2015. p. 13.
  53. ^ a b Transport for NSW, N. S. W. "Albion Park Rail bypass - Princes Highway upgrade". Transport for NSW. Retrieved 10 October 2021.
  5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Princes Highway upgrades".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February 2014. Retrieved 11 October 2016.
  55. ^ "Bulli Pass". NSW Roads and Maritime Services. 14 March 2017. Retrieved 26 February 2019.
  56. ^ "Oak Flats to Dunmore Realignment". Cordell Construction Projects.
  57. ^ "North Kiama By-pass". Princes Highway Priority Projects. Princes Highway Taskforce. 27 August 2004. Retrieved 11 October 2016.
  58. ^ "Gerringong upgrade" (PDF).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June 2014. Retrieved 11 October 2016.
  59. ^ a b "A1 Princes Highway / M1 Princes Motorway upgrades" (PDF).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May 2016. Retrieved 11 October 2016.
  60. ^ "Foxground and Berry bypass". Transport for NSW - Roads & Maritime. Retrieved 1 August 2020.
  61. ^ "Project Update" (PDF).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62. ^ Arnold, Alex (3 November 2014). "Berry bypass on way as homes demolished". Illawarra Mercury. Retrieved 11 October 2016.
  63. ^ "Foxground and Berry bypass". Roads and Maritime Services NSW. Retrieved 19 February 2019.
  64. ^ "Berry to Bomaderry Upgrade". Transport for NSW - Roads & Maritime. Retrieved 1 August 2020.
  65. ^ "South Nowra Upgrade".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66. ^ "Works begins on Princes Highway duplication". GWN 7.
  67. ^ "It's official – highway is open". South Coast Register. 31 March 2014. Retrieved 11 October 2016.
  68. ^ "Princes Highway safety upgrade now complete". Anthony Albanese MP.
  69. ^ "Conjola Mountain Realignment" (PDF). BMD Constructions.
  70. ^ "Burrill Lake Bridge".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3 July 2018. Retrieved 25 February 2019.
  71. ^ "Termeil Creek upgrade". Roads & Maritime Services.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23 January 2017. Retrieved 25 February 2019.
  72. ^ "Princes Highway Upgrade:Victoria Creek". Seymour White Constructions. 30 July 2014. Retrieved 11 October 2016.
  73. ^ "Bega Bypass". GH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anuary 2015.
  74. ^ "Bega Bypass". Mikon. 2014. Retrieved 11 October 2016.
  75. ^ "New Pambula River bridge set for construction". ABC News. Australia. 23 June 2006. Retrieved 11 October 2016.
  76. ^ Transport for NSW, N. S. W. "Berry to Bomaderry - Princes Highway upgrade". Transport for NSW. Retrieved 10 October 2021.
  77. ^ "Work to restart at South Nowra" (PDF). Roads & Maritime Services (Press release). 22 March 2012. Retrieved 18 May 2012. Work was suspended in November 2011 and since then Roads & Maritime Services has been working to ensure the frogs are protected while the work is carried out, NSW Roads Minister Duncan Gay said.
  78. ^ "Princes Highway ignored by NSW govt: NRMA". ABC News. Australia. 22 June 2007. Retrieved 5 February 2008. NRMA managing director Alan Evans says the highway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in the state and he is disappointed that it has been ignored.
  79. ^ "Road traffic crashes in New South Wales: Statistical Statement for the year ended 31 December 2006" (PDF). Crash statistics. New South Wales Road Traffic Authority.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August 2008. Retrieved 5 February 2008. (표 25: 58-59 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