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u Mikhnaf

Abu Mikhnaf
Abu Mikhnaf
개인적인
태어난c. 689
죽은AH 157 (773/774)
종교이슬람교
시대이슬람 황금기
법학샤이아
주 관심사이슬람의 역사
주목할만한작품키타브 알 사키파, 키타브 알 리다, 키타브 알 슈라, 키타브 알 자말, 키타브 알 시핀, 키타브 막탈 알 하산, 키타브 막탈후세인, 시랏 알 후세인, ...[1]
무슬림 지도자
영향받은

루트 이븐 야히야 이븐 사이드아즈디(, 아랍어: لُوط بْن يَحْيَى بْن سَعِيد الأَزْدِيّ어, 로마자: 이븐 야 야 이븐 사 ʿī드 알 ʾ 아즈드 ī; 689년–773년/775년)는 그의 쿠냐 아부 미흐나프(, 아랍어: أَبُو مِخنَف어, 로마자: ʾ 아부 미흐나프)로 흔히 알려진 초기 이슬람 역사가입니다.

인생

아부 미흐나프는 689년에 태어났습니다.[3] 그의 이름은 룻이고, 아버지는 야히야 이븐 사이드 이븐 미흐나프로 쿠파에 사는 강력한 아즈드 부족의 귀족 가문에 속했습니다.[3][4] 그의 증조부는 657년 시핀 전투에서 칼리프 알리 (656–661)r. 군대의 아즈드 족장이자 부족민의 지휘관인 미흐나프 이븐 술라임이었습니다.[4][5] 미흐나프의 아들인 무함마드 아부 미흐나프의 친할아버지는 시핀에서 17살이었고 그의 전투에 대한 보고는 아부 미흐나프에 의해 기록되었습니다.[6] 그는 700년 이븐 알 아사드가 주도한 이라크의 대규모 반란과 750년 아바스왕조우마이야왕조를 무너뜨리는 것을 목격했습니다.[4] 그는 무함마드 이븐 사이드 알 칼비의 친구였고, 아부 미흐나프의 많은 책들이 전해진 것은 후자의 아들 히샴 이븐 알 칼비를 통해서였습니다.[4] 그는 774년/75년에 죽었습니다.[3]

역사학

아부 미흐나프는 아랍 산문가 중 가장 오래된 인물로,[7] 아흐바리 (뉴스나 전통의 전파자)[8]이며, 초기 이라크 역사적 전통의 중요한 원천이며,[9]타바리 역사의 주요 원천이었습니다.[7] 아부 미흐나프는 알하지즈 이븐 유수프(694–714)의 오랜 통치 기간 동안 이라크에서 일어난 사건들, 페르시아의 아자리카 반군과의 주바이리드와 우마이야 분쟁(684–698), 시스탄에 맞선 이븐 알아샤트 원정(699–700)의 거의 독점적인 정보원입니다.[10][7][1][8]

그의 역사적 서술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시아파의 관점이 아니라 쿠판이나 이라크의 편향을 반영합니다.[11]

그는 독자적인 질문, 사실 수집 및 직접 정보를 찾기 위해 수집한 대화와 무대화의 형식으로, 놀랍도록 솔직하고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세부 사항과 완전성이 풍부한 이야기를 제시했지만, 예를 들어, 그는 자신보다 나이가 많거나 동시대의 다른 전통주의자들을 무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아미르 알 샤히, 라시비, 무갈리드 이븐 사이드, 무함마드 이븐 사이드 알 칼비와 같은 권위를 사용했습니다.[7]

이븐 아사키르는 그의 책 디마쉬크에서 이븐 알 칼비를 아부 미흐나프의 송신자로 여러 곳에 열거했습니다.[12] 2세기 전반 히지리에 살았던 압드 알 말리크 이븐 나팔 이븐 무사히크, 압드 알 라흐만 이븐 준답, 알 하지즈 이븐 알리, 누마이르 이븐 왈라 등이 아부 미흐나프의 권위자였습니다.[9]

"이슬람 역사학"에서 "체이스 F. 로빈슨"은 그를 이븐 이사크의 반열에 올려놓았고, 역사적 전통에서 40여 개의 제목을 기고한 최초의 무슬림 역사가 중 한 명으로 꼽혔으며, 그 중 13개 이상의 제목은 모노그래픽 마크탈 작품이었습니다.[8] 그의 모노그래프들은 Al-BaladhuriAl-Tabari와 같은 후기 역사가들이 그들의 컬렉션에 모았습니다.[8] 알다하비, 야히야 이븐 마인, 알다라쿠트니, 아부 하팀과 같은 후기 수니파 학자들 중 그를 비판한 사람은 거의 없고,[13] 일부는 그를 순수한 근원으로 묘사합니다.[6]

하디스 송신기로서, 그는 약하고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겨집니다.[11]

작동하다

이븐 나딤은 그의 알피흐리스트 목록 22에, 알나자시는 아부 미흐나프가 작곡한 28권의 모노그래프 목록을 작성했습니다.[1]

Maqtal Al-Husayn

그는 카르발라 전투의 사건들을 다루는 보고서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한 최초의 역사가였습니다. 그의 작품은 후대의 시아파와 타바리와 같은 수니파 역사가들 사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1] 그는 무함마드 이븐 카이, 하리스 이븐 압드 알라 이븐 샤릭 알 아미리, 압드 알라 이븐 아심, 다하크 이븐 압드 알라 아부, 아부 야납 알 칼비, 아디브의 목격자 증언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허물라, 무함마드 이븐 케이스.[14]

후투 알 샴

알 아즈디, 이븐 알 칼비, 이븐 아탐, 알 와키디의 '푸투 알 샴'이라는 제목의 다양한 작품들은 아부 미흐나프의 '푸투 '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이븐 ʿ 아삭 ī르와 알발라두르 ī는 모두 그들의 이야기를 아부 미흐나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참고문헌

  1. ^ a b c d "Kitab Maqtal al-Husayn, translator's forward"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8-02-19. Retrieved 2007-01-02.
  2. ^ 아부 미나프: 우슐라 세즈긴의 에이인 베이트라그주르 역사학자 우마이야디센 자이트
  3. ^ a b c 생선은 1990년, 4쪽, 노트 18.
  4. ^ a b c d Wellhausen 1927, p.vii.
  5. ^ 란다우-타세론 1998, 페이지 93, 노트 453.
  6. ^ a b Shoshan, Boaz (2004). Poetics of Islamic historiography deconstructing Ṭabarī History. Leiden: Brill. pp. 35, 36, 38, 41, 43, 71, 100, 101, 110, 125, 126, 130, 144, 145, 176, 209, 210, 211, 213, 214, 215, 217, 219, 221, 223, 224, 225, 226, 228, 229, 230, 234, 236, 239, 240, 241, 242, 245, 246, 250, 251, 265. ISBN 9789004137936.
  7. ^ a b c d Bukhsh, S. Khuda (2000). Studies : Indian and Islamic. London: Routledge. pp. 42, 43. ISBN 0415244641.
  8. ^ a b c d Robinson, Chase F. (2004). Islamic historiography (1st, reprinte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8, 34, 35. ISBN 9780521629362. Retrieved 26 August 2014.
  9. ^ a b translated, Ṭabarī; Howard, annotated by I.K.A. (1990). The History of al-Tabari Vol. 19: The caliphate of Yazīd b. Muʻāwiyah.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 2, 8, 17, 21, 22, 23, 26, 27, 29, 30, 31, 34, 42, 47, 48, 49, 50, 54, 56, 58, 61, 63, 64, 66, 68, 69, 70, 72, 76, 80, 83, 86, 87, 88, 90, 91, 95, 99, 100, 101, 106, 107, 108, 109, 110, 111, 114, 115, 116, 120, 121, 122, 125, 127, 132, 135, 137, 139, 144, 148, 149, 150, 154, 159, 160, 164, 166, 167, 168, 170, 175, 177, 181, 183, 189, 195, 197, 198, 199, 209, 211, 214, 216, 234, 235, 242. ISBN 9780791400401.
  10. ^ Rowson 1989, p. 13.
  11. ^ a b Gibb, H. A. R. (1960). "Abu Mikhnaf". In Gibb, H. A. R.; Kramers, J. H.; Lévi-Provençal, E.; Schacht, J.; Lewis, B. & Pellat, Ch.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Volume I: A–B. Leiden: E. J. Brill. p. 140. OCLC 495469456.
  12. ^ a b Cobb, Paul M., ed. (2012). The lineaments of Islam : studies in honor of Fred McGraw Donner (Volume 95 of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ed.). Leiden: Brill. pp. 167–173. ISBN 9789004218857. Retrieved 26 August 2014.
  13. ^ "الكتب – سير أعلام النبلاء – الطبقة السابعة – أبو مخنف- الجزء رقم7".
  14. ^ 무함마드타바리예언자들과 왕들의 역사; 제X권 야지드의 칼리프. I.K.가 번역한 Muawiyah.A Howard, SUNY Press, 1991, ISBN 0-7914-0040-9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