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스 (테레마)

Abyss (Thelema)

셀레마에서, 아비스현상세계와 그것의 누수적 원천 사이의 거대한 간극이다.

이론과 실천

테레마의 창시자인 작가 알레이스터 크롤리는 자신의 '진실을 향한 작은 에세이'에서 심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교리는 극히 설명하기 어렵지만, 그것은 다소 이상적인 레알과 실제적인 언리얼 사이의 생각의 격차에 해당한다. 아비스에 있는 모든 것들은 적어도 양으로 존재하지만, 가능한 어떤 의미도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영적 현실의 기질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법이 없는 외양이다. 그래서 그들은 미친 망상이다. 이제 아비스는 현상의 위대한 창고가 되어 모든 인상의 근원이다."[1]

실제적인 차원에서 크롤리가 발표한 <어비스>에 관한 지침은 독자들에게 마법이나 직관을 쓰지 않고 어떤 철학적인 문제를 고려하라고 말하는데, 그 정신은 그 자신의 일치된 이 문제에 초점을 맞출 때까지, "그렇다면 그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모든 현상들은 무의미하고 단절되어 보일 것이고, 그 자신의 에고는 세리(seri)로 분열될 것이다.es. es. es. es. es. es. es. es. es. es. es 이로써 학생들은 다른 곳에서 크라울리가 시바다르샤나라고 부르는 신비한 경험을 하게 된다.[2] Crowley는 1905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지침들을 모형화했다.[3][4] 비전과 목소리는 아비스에 들어가는 두 가지 추가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가장 무서운 형벌의 처벌 아래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은 불법적인 것"[5] 즉, 크라울리의 사회적 행동 습관이나 의식적인 자기 이미지에 반하는 사막의 태양 아래에서 수용적인 동성애 성교라는 것이다.[6] 두 번째는 의식적인 마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심연의 이면에 숨겨진 이론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크라울리의 카발리스틱 체계에서, 아비스는 제11(숨겨진) 세피라 다아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세피로스와 슈퍼널을 구분한다. 설명은 다아스가 통일된 의식에서 자아와 신성의 이중성으로 인간의 몰락을 나타내는 창세기 관점의 헤르메틱 오더에서 유래한다.[7][8] 아비스는 악마 초론존이 지키고 있는데, 그들은 이 만을 건너는 세 번째 의례적인 방법을 통해 나타난다. 그는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의 그런 부분들, 즉 "감각과 표현이 가능한 순간적인 단결"을 크라울리의 용어로[9] 표현하는데, 신에 들어가기를 꺼리거나 할 수 없는 그런 부분들이다. 리처드 메츠거의 거짓말책에 나오는 그랜트 모리슨에 따르면, 적어도 초론존은

실존자아가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초론존 너머에서 우리는 더 이상 우리의 자아(Self)가 아니다. 아비스의 벼랑에 있는 '인격'은 이 분해되는 발걸음을 '비존'으로 삼지 않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할 것이고, 무슨 말을 할 것이며, 어떤 구실을 찾을 것이다.[10]

'어비스 건널목'은 위험한 수술로, 마술사 경력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성공은 졸업을 매지스터 템플리트의 학위, 즉 "사원의 주인"으로 속박한다.

거짓말의 서

크라울리는 특히 1913년 저서 『거짓말의 책』을 '악령의 새끼들'(책의 시작에 쓴 글, "악령의 새끼들을 위한 공식 간행물")으로 썼다.

참고 항목

참조

  1. ^ 크라울리, 알레이스터 진리를 향한 작은 에세이.
  2. ^ Liber OS Absmi vel Daath 팜플렛, Hermetic.com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2009년 12월 19일 검색됨
  3. ^ 고백, 58장
  4. ^ 수틴, 페이지 160.
  5. ^ 고백 66장
  6. ^ 수틴, 페이지 202.
  7. ^ 다아스를 위한 "4=7 의식"을 "스투핑 드래곤의 여덟 번째 우두머리"로 보라. Crowley, 777 그리고 Aleister Crowley 페이지 35의 다른 카발리스틱한 글들. 비전과 목소리 또한 언급한다.
  8. ^ 신성한 "수퍼널스"로부터 우리를 갈라놓는다. 이스라엘, 고려인. 골든페이지 193-194.
  9. ^ The Vision and the Voice, 10번째 Aethr, fn 13.
  10. ^ 메츠거 2003, 페이지 24. Google 북스 미리보기.

원천

  • 크라울리, 알레이스터 777편과 알레이스터 크롤리의 다른 카발리스틱한 글들이 이스라엘 스웬티의 소개로 편집되었다. 새뮤얼 와이저 주식회사 메인 주의 요크 비치. 2000. 초판 1973. 저작권 1912, 1955 "Ordo 템플리트 오리엔티스"
  • ___Aleister Crowley의 고백, Hermetic.com의 온라인 버전은 2009년 12월 19일에 회수되었다.
  • 이스라엘, 고려인. (1989년) The Golden Dawn의 가르침, 의식, 의식에 대한 원론적인 설명. 제6판 우드베리, MN: Llewelyn Publishes.
  • 수틴, 로렌스 가 할 일을 해라: 알레이스터 크롤리의 삶. 세인트 마틴스 그리핀, 2002년 뉴욕 저작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