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디아 엑소더스
Acadian Exodus아카디아 엑소더스(Acadian Extenders, 일명 아카디아 이주)는 르 루트르 신부의 전쟁(1749–1755) 동안 일어났으며, 노바스코샤의 전체 아카디아 인구의 거의 절반이 프랑스 지배영역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하는 데 관여했다.[1][a] 세 개의 주요 목적지는 치그네토 지역의 메사가우에체 강 서쪽, 생장 섬, 슐레로얄이었다. 엑소더스의 리더는 장 루이 르 루트르 신부로, 영국인은 '모세'[2]라는 암호명을 붙였다. 르 루트르는 아카데미의 이주를 장려한 뉴프랑스 주지사 롤랑-미셸 바린 데 라 갈리소니에르와 함께 연기했다.[3] 아카디아인을 일레 상트(Ile St)로 이송한 저명한 아카디아인. Jean과 Ile Royal은 Joseph-Nicolas Gautier이었다. 1750년대 초의 노바스코샤에서의 전반적인 격변은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오늘날 대서양 캐나다는 그 지역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인구 이동, 더 많은 요새 건설, 그리고 더 많은 병력 배분을 목격했다.[1] 1749년에서 1755년 사이에 아카디아인들의 가장 위대한 이민은 1750년에 일어났다.[4] 주로 자연 재해와 영국의 습격으로 인해, 아카데미가 프랑스 영토에서 공동체를 개발하려고 했을 때 엑소더스 사태는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기록 컨텍스트
1710년 영국의 아카디아 정복에도 불구하고, 아카디아에는 가톨릭의 아카디아인과 미크맥이 지배하고 있었다. 45년 넘게 아카데미는 영국에 대한 무조건적인 충성의 맹세를 거부했다. 이 기간 동안 아카디아인들은 둘 다 아카디아에서 떠나겠다고 위협했고 여러 번 퇴학 위협을 받았다.[5] (첫 번째 아카데미의 추방은 루이부르 포위전(1745년) 이후 오늘날 케이프 브레톤에서 추방되었을 때 일어났다. 학도들은 에드워드 콘월리스가 무조건 선서를 하라는 요구에 항의하기 위해 반도 노바스코샤를 떠났다.
아카디아 엑소더스(Acadian Outsurance)는 1749년, 주로 아카디아인들이 핼리팩스 설립을 통해 반도의 노바스코샤를 확고히 장악하는 영국에 저항하고 18개월 안에 주요 아카디아 지역인 현재의 윈저(Fort Edward)와 그랜드 프레이(Fort Vieux Logis)와 치그네테토(Fort Lawrence)에 요새를 건설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작되었다. (물론 영국의 요새는 이미 아나폴리스 로얄, 노바스코샤의 다른 주요 아카디아 중심지에 존재했다. 코베키드는 요새 없이 남아 있었다.) 영국인들은 또한 그들이 노바스코샤에 설립하고 있던 여러 개신교 사회에 요새를 세웠다. 핼리팩스, 베드포드, 로렌체타운, 루넨버그, 다트머스.
반도의 노바스코샤를 항의로 떠나려는 많은 아카디아인들의 바람과 함께, 아카디아인들을 프랑스가 점령한 영토로 철수시키는 것도 1748년 이후의 공식적인 프랑스 정책이었다.[6] 프랑스인들은 부분적으로 루이부르와 퀘벡 사이의 유일한 육로를 보호하기 위해 아카데미가 치그네토 지역으로 이주하도록 하는 데 투자되었다. 육로는 치그넥토를 거쳐 펀디 만을 따라 세인트 존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이 경로는 또한 많은 아카데미가 펀디 만을 떠나 바이에 정점으로 가서 슐레 상트로 향하기 위해 택한 길이기도 하다. 진(프린스 에드워드 섬)이나 슐레 로얄(케이프 브레튼 섬)이다.[7] 이 중요한 관문을 보호하기 위해, 1749년 초에 라 갈리송리에르는 전략적으로 길을 따라 18개월 이내에 세 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하나는 바이베르트(포르트 가스파레오), 하나는 치그네토(포트 보세주르), 다른 하나는 세인트 존 강 하구에 있었다. 라 존퀴어가 퀘벡에 도착했을 때, 그는 르 루트르와 미크마스크에게 퀘벡 시와 루이부르 사이의 복도를 보호할 수 있는 치그네토로의 아카디아인들의 이주를 지원하라고 지시했다.[8] 아카디아는 즉각적인 인구로 부흥할 것이고 영국인들은 열심히 일하고 생산적인 농부들을 빼앗길 것이다.[9] 프랑스 정책은 아카디아인들에게 프랑스 영토로 이전할 수 있는 수단과 지원을 약속했다. 어떤 경우에는 프랑스 정책과 연계하여 르 루트르와 미크마스크는 일부 마지못해 출애굽한 아카디아인들에게 강제로 출애굽에 동참하게 해야 했다.[b]
엑소더스
무조건적인 선서, 영국의 노바스코샤 요새화, 프랑스 정책의 지지 등에 대한 요구로 상당수의 아카데미가 영국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1749년 9월 18일, 모든 주요 센터에서 1000명의 아카데미에 의해 서명한 문서가 에드워드 콘월리스에게 전달되었다. 서류에는 무조건 선서를 하기 전에 출국하겠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10] 콘월리스는 10월 25일까지의 기한으로 무조건적인 선서를 계속 밀어붙였다. 이에 대응하여 수백 명의 아카디아인들이 노바스코샤에서 출애굽을 시작했다. 사실 일부 아카데미는 콘월리스의 반응을 듣기 전에 떠나기 시작했다.[11] 가장 먼저 출발하는 그룹 중에는 체벅토 지역에서 온 100여 명의 무리가 있었다. 그들은 î레 로얄(시드니, 케이프 브레톤)에 있는 베에 데 에스파뇰레로 갔다. 보바신과 아나폴리스 로얄의 단체들도 퀘벡의 라 존퀴어 총독에게 세인트 로렌스 강으로 떠나는 것을 지지해 줄 것을 요청했다.[12]
1749년 말에 이르러 수백 명의 아카데미가 바이에 정점으로 진출하고, 그곳에서 그들은 술레 생제로 넘어갔다.[13] 프랑스는 난민들을 생제로 수송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고 10월 초쯤에는 6,700명이 그곳에 도착했다.[6][14] 코베키드에 있는 1,000명의 아카디아인 대부분이 피지키드의 아주 큰 부분인 수백 명과 함께 그들의 땅을 비웠다.[15] 1752년경에는 생장(生長)[7]의 아카데미가 2223명으로 2년 만에 두 배나 되었다. 한 번은 생제로 향하던 중 영국 해군 순시대가 배를 타고 아카디안을 가로챘고, 한 아카디안 승객은 "영국 총독이 제안한 조건에 따라 그들의 땅과 땅을 소유하기보다는 차라리 그만두는 쪽을 택했다"[13]고 선언했다.
아카디아인들은 치그네토 전투(1750년) 동안 미사과시 강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주했다. 아카디아 마을 보바신은 로렌스가 주요 아카디아 마을에 요새를 세우는 것을 막기 위해 불탔다. 2000명 이상이 치그넥토와 셰파디 분지 지역으로 이주했다.[15]
르 루트르의 지휘 아래 미크마크와 아카디안들은 아카디아 중심부의 새로운 영국 요새와 새로운 프로테스탄트 정착촌을 습격하여 엑소더스를 지지하였다.[16] 이 기간 동안 미크맥과 아카데믹은 포트 비에우 로지스를 공격했고 다트머스를 무수히 공격했으며 반도 핼리팩스를 무수히 공격했으며 포트 로렌스(치그네토)에서 다양한 분쟁을 벌였다. 노바스코샤 루넨버그에서 외국인 개신교도가 영국에 반기를 든 것도 르루트르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c] (Le Loutre 신부의 전쟁 참조). 새로운 개신교 정착촌에 대한 공격을 막기 위해 핼리팩스, 다트머스, 로렌체타운, 베드포드, 루넨버그에 즉시 영국 요새가 세워졌다.
왕관은 아카디아 엑소스를 막으려고 노력했다. 콘월리스는 예를 들어, 존 핸드필드 대위와 두 개의 병력이 그랜드 프리에 있는 포트 비에우 로지스에 명령을 내리고, 아카디아 사람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도로를 순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3] 코베키드 전역에서도 순찰이 이루어졌다.(그런 순찰에 노엘 도이론의 사제 자크 지라드가 체포되었다. 이 작용으로 도이론은 1750년 봄 노엘, 노바스코샤를 떠나 포인트 프라임, 슐레 생제)를 떠났다.[17] 영국은 결국 아카데미의 모든 집회를 금지했고, 그들은 규정으로 정한 가격으로 영국 지휘관들에게 식량을 공급하고 요구하면 그들의 노동을 제공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놀랄 것도 없이, 많은 아카디안들이 영국인들의 공급을 거절했고, 1750년 여름까지 수백 명의 아카디안들이 그 지방에서 비행 중에 있었다.[18]
결과
아카데미의 치그네티오로의 이주는 퀘벡과 루이부르 사이의 복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749-1750년 겨울 동안 루이 라 콘은 퀘벡에서 파견되어 쁘띠코디악, 치푸디, 멤람쿡 강을 따라 치그넥토 이스무스 근처의 정착촌에 도착했다. 라 콘은 아카디아인들에게 프랑스 왕에 대한 충성을 확언해 달라고 부탁했는데, 그렇게 했다. 몇몇 남자들, 아마도 대부분은 민병대에 가입했을 것이다.[19] 1751년 초까지 250명 이상의 아카디아인들이 프랑스 민병대에 가입했다.[20] 이들 아카디아인들과 미크맥은 로렌스 요새가 건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시도로(1750년) 싸웠으며, 결국 보세주르 요새의 방어에 기여했다.
1752년 10월, 홉슨 주지사는 더 많은 개신교 정착민들이 출애굽에 동참할 것을 우려하여 개신교 정착민들을 아카디아인들 사이에서 살도록 보내지 않았다.[21]
치그네토와 율레 생제로 도망친 피난민들의 처지는 매우 어려웠다. 1758년 제명 이전에 슐 로얄로 간 사람들의 상태는 잘 기록되어 있지 않다. 들 생장에도 오른 이들은 수많은 자연재해에 시달렸다. 그 섬을 덮친 일련의 재앙들이 있었다. 1749년, 검은 들쥐 떼가 그 해의 농작물을 파괴했다. 메뚜기 떼가 그 해를 따라갔다. 그리고 그 다음해에는 엄청난 가뭄이 들었다.[22]
치그네토에 간 1500명은 과밀에 시달렸다.[23] 그들은 양조장이 지어지기를 기다리며 살아남았다. 미나스의 아카디안들은 양식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끊임없는 지지였다.[24] 다트머스에 대한 아카디아와 미크맥 공습(1751년)에 대한 보복으로 영국은 치그텍토를 급습해 다트머스를 파괴하고 수백 에이커의 농작물을 망쳤다.[20] 아카디안들은 엑소더스로부터 망명하기 시작했고 영국 식민지로 돌아가기 위해 신청을 했다.[25] 아카디아 난민들의 조건에 따라 1753~1754년 르 루트레는 미나스의 아카디아인들에게 자신의 새로운 정착지로 피난하라고 압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대신, 그는 그들에게 더 많은 곡식을 재배하도록 격려했다. 그들은 프랑스, 아카디아, 원주민의 대규모 인구를 지원하기에 충분한 기록적인 양으로 그것을 했다.[24]
르루트르는 즉시 퀘벡과 프랑스의 도움을 요청하여 이 지역에 양조장을 재건하는 것을 지원하였다. 그는 1753년에 성공하여 돌아왔고 리비에르 아우 라크(현재의 뉴브런즈윅 주, Aulac River)에 대한 대양화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이 시작되었다.[26] 불행히도 이듬해 폭풍 조수가 대규모 간척사업의 주요 교차점을 뚫고 들어와 아카디아인들이 수개월의 강도 높은 작업으로 이룬 거의 모든 것을 파괴했다. 다시 몇몇의 아카디안들이 영국으로 망명하려 했다.[27]
아카디아인, 미크마크인, 프랑스인은 보세주르 전투에서 패했다. (르 루트르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영국인들에게 붙잡혀 투옥되었다.) Beausjour가 몰락한 후, 영국은 Fundy Campaign (1755년)과 함께 아카디아 인들을 추방하기 시작했다.
아카디아 엑소더스(Acadian Extenders)는 1755년 영국이 아카디아 식민지를 떠나는 것에서 특히 î 생장(El Saint-Jean)과 î 로얄(El Royal)에 살았던 대부분의 아카디아인들을 살려주었다. (대부분의 아카디아 난민들은 일단 추방이 시작되면 영국의 노바스코시아 식민지를 떠나려는 선택권을 어느 정도 입증했다.) 물론 1758년 루이부르가 함락되면서 프랑스 식민지로 떠난 아카디아인들도 추방되었다.
역사비교
역사학자 스티븐 패터슨은 아카디아 엑소더스를 나폴레옹이 침략하기 전에 자신의 땅을 불태운 퇴각하는 러시아인들과 비교했고, 영국의 추방을 셔먼 장군이 남북전쟁 중 조지아 전역으로 거침없이 진군할 때 자신의 진로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한 것에 비유했다.[28]
참고 항목
메모들
- ^ 패터슨(1994년 페이지 132)은 이 탈출에 아카디아인의 3분의 1이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
- ^ 일부 아카디아인들은 프랑스 왕관과 원주민 동맹국들에 의해 본토의 노바스코샤를 떠나야 했다. 노바스코샤 본토를 떠나는 것을 거부하는 아카데믹들은 폭력으로 위협받았다. 1750년 1월, 원주민 군대는 코베키드 아카디아인들이 죽음의 고통에 의해 체베나카디 강의 서쪽을 지나가는 것을 금지했다. "이주를 거부하면 "... 집을 약탈당하고 아내와 자식들이 떠내려가고 심지어 눈앞에서 학살까지 당하게 될 것이다." 프랑스령 율레 생의 주지사. 1749년부터 1752년까지 수백 명의 아카디아인을 받은 진은 코베키드 아카디아인들이 "매우 유감스럽게 집을 떠나 야만인들이 강요할 때 비로소 짐을 옮기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마찬가지로, 1750년 4월 30일 콘월리스는 무역의 영주들에게 이렇게 썼다. " ...의 주민들. 코베키드는 '라 코른(아카디아 프랑스군 최고 군사지도자)'과 '루트르'의 총살 위협을 받으며 성에서 은퇴하고 있다. (Scott & Scott(2008), 페이지 59; 또한 Griffiths(2005), 페이지 393을 참조한다.
- ^ 파라거(2005년) 275, 280쪽은 로렌스가 프랑스의 개입이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진술하고 있는데, 이는 엑소더스에 합류한 외국인 개신교도의 수를 감안할 때 그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참조
- ^ a b 존스턴(2005년), 페이지 152.
- ^ 애킨스(1869), 페이지 230.
- ^ Taillemite, Étienne (1974). "Barrin de La Galissonière, Roland-Michel". In Halpenny, Francess G (ed.).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III (1741–1770) (online e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 그리피스(2005년), 페이지 389.
- ^ 그리피스(2005년), 페이지 401.
- ^ a b 그리피스(2005년), 페이지 393.
- ^ a b 패러거(2005년), 페이지 268.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57.
- ^ 패터슨(1994), 페이지 131.
- ^ 그리피스(2005년), 페이지 384, 패러거(2005년), 페이지 254
- ^ 그리피스(2005년), 페이지 388.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61.
- ^ a b c 패러거(2005년), 페이지 262.
- ^ Wicken, William (2002). Mi'kmaq Treaties on Trial: History, Land, and Donald Marshall Juni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179. ISBN 978-0-8020-7665-6.
- ^ a b 패터슨(1994), 페이지 140.
- ^ 패러거(2005년).
- ^ 스콧 & 스콧(2008)이다.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65.
- ^ 존스턴(2005년), 페이지 150.
- ^ a b 패러거(2005년), 페이지 271.
- ^ 아킨스(1869), 페이지 678.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69.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70.
- ^ a b 패터슨(1994), 페이지 146.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75, 290.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77.
- ^ 패러거(2005년), 페이지 291.
- ^ 패터슨(1994), 페이지 147.
참고 문헌 목록
- Akins, Thomas Beamish, ed. (1869). Selections from the Public Documents of the Province of Nova Scotia: Pub. Under a Resolution of the House of Assembly Passed March 15, 1865. Halifax: Charles Annand.
- Faragher, John Mack (2005). A Great and Noble Scheme: The Tragic Story of the Expulsion of the French Acadians from Their American Homeland. W.W Norton & Company. ISBN 978-0-393-05135-3.
- Grenier, John (2008). The Far Reaches of Empire: War in Nova Scotia, 1710-1760.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ISBN 978-0-8061-3876-3.
- Griffiths, N.E.S. (2005). From Migrant to Acadian: A North American Border People, 1604-1755.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ISBN 978-0-7735-2699-0.
- Johnston, A.J.B. (2005). "French Attitudes Toward the Acadians, ca. 1680-1756". In Ronnie Gilles LeBlanc (ed.). Du Grand Dérangement à la Déportation: nouvelles perspectives historiques. Université de Moncton. pp. 131–166. ISBN 978-1-897214-02-2.
- Landry, Peter (2007). The Lion and the Lily. Trafford. ISBN 978-1-4251-5450-9.
- Murdoch, Beamish (1866). A History of Nova-Scotia, Or Acadie. II. Halifax: J. Barnes.
- Patterson, Stephen E. (1994). "1744–1763: Colonial Wars and Aboriginal Peoples". In Phillip Buckner; John G. Reid (eds.). The Atlantic Region to Confederation: A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125–155. ISBN 978-1-4875-1676-5.
- Salusbury, John (2011). Ronald Rompkey (ed.). Expeditions of Honour: The Journal of John Salusbury in Halifax, Nova Scotia, 1749-53.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ISBN 978-0-7735-9089-2.
- Scott, Shawn; Scott, Tod (2008). "Noel Doiron and the East Hants Acadians". Royal Nova Scotia Historical Society. 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1. Retrieved 2 May 2011.
일차 출처
- 런던 매거진, 1750 페이지 371
- Brodhead, John Romeyn (1858). Documents Relative to the Colonial History of the State of New York. 10. Albany: Weed, Parsons and Co. p.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