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슈터
Active shooter능동적 저격수나 능동적 살인범은 신속성, 규모, 무작위성, 그리고 종종 자살로 특징지어지는 대량 살인의 유형의 가해자를 묘사하는데, 보통 미국과 관련이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능동적인 총격자를 "밀폐된 인구밀집지역에서 살해 또는 살인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개인으로, 대부분의 경우 능동적인 총격범은 총기를 사용하며, 희생자를 선택하는 패턴이나 방법이 없다"[1]고 정의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건들은 살인자들이 그들의 공격을 압박하는 데 거의 장애가 되지 않는 장소에서 일어난다. 장소는 일반적으로 소프트 타겟(soft target), 즉 공공의 구성원을 보호하기 위한 제한적인 보안 조치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대응 법 집행과의 대립이 불가피해졌을 때 총살자가 자살하거나 경찰이 쏜 총에 맞거나 투항하거나, 적극적인 총격 사건이 10~15분 만에 끝나는 경우가 많다.[1] 뉴욕시 경찰국(NYPD) 통계에 따르면, 능동적인 총격 사건의 46%는 경찰이나 보안에 의한 무력 적용으로, 40%는 총격자의 자살로, 14%는 총격자가 항복하는 것으로, 1%도 안 되는 경우, 폭력은 공격자가 도망치는 것으로 끝난다.[2]
용어.
경찰 훈련 매뉴얼에서 능동적인 총격 시나리오에 대한 경찰의 대응은 인질 구출이나 바리케이드를 친 용의자 상황과 다르다.[3][4] 무장 바리케이드를 친 용의자에 대응한 경찰관들은 피의자를 경계 안에 가두어 상황을 파악하고, 피의자와 협상을 시도하며, 특수부대와 같은 특수부대를 대기할 목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경찰관이 총잡이가 자살하기 전에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살해할 의도가 있다고 믿는다면, 그들은 즉각적인 행동의 신속한 배치와 같은 전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5][6]
일부 학자들은 "적극적인 사격 선수"라는 용어를 비판한다. 사상자 수가 높은 집단 자수는 벨기에(덴데르몽드 보육원 공격)(1명, 유아 2명 사망), 캐나다(2014년 캘거리 칼부림)(5명 사망), 중국(2008년 베이징 드럼 타워 칼부림)(1명 사망) 일본(오사카 학교 학살 및 사가미하라 칼부림)(8명, 수면성 19명) 등 여러 차례 있었다.성인 사망자는 각각), 펜실베이니아(프랑클린 지역 고등학교 칼부림)는 사망자가 없다. 론 보쉬는 빠른 대량 살인이라는 용어를 추천한다. 전 세계적으로 화기 및 비화기 기반 대량 상해 공격(차량, 폭발물, 방화 장치, 찌르기, 슬래싱, 산성 공격 포함)이 증가함에 따라, 타우 브라운 박사와 폭력 예방국(VPA)은 보다 정확한 설명자 대량 상해 공격자(MCA)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7]
전술적 함의
활동적인 슈터들은 협상을 하지 않고, 악명을 얻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을 죽인다. 능동적인 저격수들은 일반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법 집행관들과 전투를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현재 진행중인 총격 사건에 대응하여 다친 경찰관은 거의 없고, 사망자는 여전히 적다.[8] 지적했듯이, 종종 대응 법 집행 기관과 대립할 가능성이 피할 수 없게 되면, 그 활동적인 총격범은 자살한다. 그리고 민간인들, 심지어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들이 저항할 때, 그 활동적인 저격수는 으스러진다.[9]
보르쉬의 통계 분석은 공격적인 행동이라는 전술을 추천한다. 법 집행을 위해서는 지체 없이 살인범을 대응하고 교전하는 것이 전술적 필수조건이다. 즉, 영향을 받는 번거로운 팀 구성의 정통성이 능동적인 사격 경기들의 빠른 시간적 역학관계에 대응하지 못하고 관련된 위협의 성격을 파악하지 못한다. 민간인의 경우 필요나 의무가 요구될 때 전술적 의무는 공격자를 공격하는 것이다. 이는 펜실베니아 주의 노리나 벤첼(윌리엄 마이클 스탠커비츠)과 애리조나 주의 빌 오소리(2011 투손 총격)부터 콜로라도 주의 데이비드 벤케까지 다양한 사건에 걸쳐 성공했음을 입증한 전략이다.
분류학
![]() |
적극적인 총격 사건이 항상 대량 살인의 분류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 대량 살인은 세 명 이상의 사람이 죽었을 때 발생한다. 능동형 사격수의 정의는 희생자가 사망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단지 그 행위에 의해 부상당하거나 부상을 입었을 뿐이다. 모든 대량 살인이 적극적인 총살자는 아니다. 여러 종류의 대량 살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주목하면 "적극적인 저격수"라는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리하고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대량 살인범들은 전통적인 범죄 분류에 저항한다. 대량 살인의 목표는 방어도, 적절한 영역이나 영토도 아니며, 범죄 조직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상승시키지도 않는 것이다. 대량 살인범은 마약이나 돈을 위해 살인을 하지 않는다. 연쇄 살인범은 대량 살인범의 일종이다. 그는 여러 사건에 걸쳐서 많은 생명을 앗아간다고 주장한다. 그 사건들은 불연속적이며 "냉각기"로 중단된다.[10]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활동적인 슈터는 압축된 시간의 틀에 따라 하나의 사건에서 많은 생명을 앗아간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이것은 대게, 연쇄 살인범은 익명성을 추구하고; 활동적인 저격수, 악명높은 악명을 추구한다. 시간에 걸친 여러 사건을 통한 반복은 연쇄살인범의 병리학에 대한 해답을 준다. 야만적인 그의 행동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다. 연쇄살인범은 시체를 숨기거나 증거를 묻을 것이다. 그는 다시 죽이고 싶어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 능동적인 사격수는 살육을 통해 불명예를 추구한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장소, 데이트, 사건에 영원히 융합시키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의 행동은 대중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에 따라 그는 탈출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연쇄 살인범은 가까운 곳에서 살인을 저지르고, 피해자들의 공간을 공유하면서 피해자들의 공포를 경험하는 것을 즐긴다. 그의 왜곡된 추정에서, 그의 피해자들은 그에게 뭔가를 "미움"을 주고, 그는 "관계"를 기념하기 위해 희생자들로부터 유품을 확보할 수 있다. 그 현역 저격수는 가까운 곳에서 살인도 한다. 그는 피해자들의 공간을 공유하면서 피해자들의 공포를 경험하는 것을 즐긴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연쇄살인범의 희생자들이 그에게 뭔가를 "조용히" 하는 반면, 능동적인 저격수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능동적인 저격수는 한 희생자에서 다음 희생자로 빠르게 이동한다.
모델은 그 대조가 각각 고통받는 독특한 형태의 학대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추측한다.[11] 연쇄살인범은 신체적/성적/감정적 학대의 피해자다.[12] 그러한 학대는 관계나 연계를 통해 학대받는 사람들을 돌봐야 하는 사람들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서 관리된다. 연쇄 살인범은, 어느 정도, 이런 행동을 본떠서 한다. 그 적극적인 사격수는 왕따의 희생물이다.[13] 괴롭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될 수 있지만, 그것은 종종 학대 받는 사람들과 특별한 관계나 연관성이 없는 여러 배우들에 의해, 별개의,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행해진다. 능동적인 사격수는, 어느 정도, 이런 행동을 본떠서 한다.
이 적극적인 저격수의 초상화는 그를 다른 유형의 대량 살인범인 이념 살인범과 대조함으로써 날카로워질 수 있다. 오클라호마시티 폭탄테러는 1995년 티모시 맥베이(Timothy McVeigh)가 알프레드 P 앞에서 트럭 폭탄을 터뜨린 것이 그 예다. 오클라호마 시내에 있는 무라 연방 건물과 이로 인한 폭발로 168명이 사망하고 680명이 부상했다.
이데올로기적 살인자는 윤리-정치적 또는 종교적 정통성에 집착하여 움직인다. 그의 행동은 그 정통성의 표현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적극적인 저격수는 자신을 일종의 "성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의 동기는 더 개인적인 것으로 보이고, 더 망연자실해 보인다.
능동적인 저격수처럼, 이 사상 살인자는 하나의 사건 범위 내에서 다수의 살인을 계획한다. 그러나 이 적극적인 저격수는 가까운 곳에서 피해자들의 공포를 경험하려고 한다. 이념적 살인자는 그렇지 않다. 그는 멀리서 살인을 저지른다. 그는 폭발물을 심거나 저격수 자리를 차지한다. 멀리서 죽이는 것은 그의 주된 동기 즉 추상적인 정통성에 대한 집착의 표현에 부합한다. 이념적 살인자에게 피해자는 부수적인 의미가 있다. 그는 연쇄살인범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처럼 그들을 "알고" 있을 필요도 없고, 그들의 공포를 능동적인 저격수가 경험할 필요도 없다. 이념적 킬러에게 추상화는 현실이고, 개개인이지만 끊임없이 계속되는 도그마 투쟁의 구성이다.
그는 정통성에 집착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대학살을 통해 그의 대의명분에 대한 악명을 추구한다. 현역 슈터 역시 악명을 추구하고, 신중한 이벤트 계획도 세우지만 추격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이데올로기적 살인자는 일반적으로 포획을 회피하고 사건을 넘어서 살자는 것을 의미한다(연쇄 살인범도 그렇듯이). 그 적극적인 사격수는 자신의 정체성과 그 사건을 병합하여 그 너머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비교와 대조에서 도출된 요소들을 통합하여, "적극적인 총격자(살인자)"는 하나의 계획된 사건에서, 가까운 곳에서, 즉 배수로, 무작위로, 또는 무작위로 살인을 시도하는 대량 살인자로 정의될 수 있다.
인과
왜 활동적인 슈터들이 그들이 하는 일을 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적어도 가까운 곳에 있는 동기가 복수라고 주장한다.[14] 다른 이들은 왕따가 문제를 낳게 한다고 주장하는데, 때로는 적극적인 저격수가 직접적이든 파생적이든 왕따의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13] 그로스만과 드가에타노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현대 문화를 둘러싼 폭력적인 이미지의 만연성이 이 현상을 주관한다고 주장한다.[15]
어떤 사람들은 세상에 대한 특정한 해석, 의식적이거나 잠재의식적인 온톨로지 등이 그 현상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11] 그들은 그 활동적인 저격수가 희생자와 희생자의 세계에 살고 있으며, 모두 하나 혹은 다른 세상에 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온톨로지에는 어떤 뉘앙스도 없고, 자비심, 우정, 품위, 그리고 실로 선악의 혼합에 대한 범주들 사이의 여지도 없다. 그의 세계에 대한 해석은 왕따나 폭력적인 이미지(폭력적인 영화, 책, 비디오 게임에 대한 일반적인 강박관념을 강조함)에서 자라나거나 먹혀들 수도 있지만, 그를 죽이거나 죽도록 몰아가는 것은 그의 세계에 대한 절대주의적인 해석이다.
다니엘 모델은 <액티브 킬러의 심리학>에서 "액티브 킬러가 잉태한 세계는 피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어두운 변증법이다. 그의 피폐한 온톨로지에는 뉘앙스도 없고, 해결책도 없다. 고립된 것과 절대적인 두 부류는 지치고 그의 세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변증법을 추진하는 독특한 논리는 치명적인 추론을 낳는다: 희생자와 희생자의 세계에서 성공은 희생을 의미한다."[11]
해결 방법
많은 정부 시설, 기업, 캠퍼스에는 카메라와 센서 기반의 보안 시스템이 있으며, 일부 아날로그 및 최근에는 디지털이 적용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일부는 또한 공식적인 지휘 센터를 포함하거나 최소한 어떤 조직에서든 인력에 의해 감시된다.[clarification needed] 이 자료들은 매우 훌륭한 법의학적 뒷받침이 되어 능동적인 저격수를 문서화한다. 그러나 그들은 적극적인 슈터를 적시에 묘사하는 데 있어서 엇갈린 결과만을 제시한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Active Shooter: How to Respond" (PDF).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 ^ "The Active Shooter Threat" (PDF). MSA Special Analysis.
- ^ https://info.publicintelligence.net/LAactiveshootertactics.pdf
- ^ https://www.ncbrt.lsu.edu/images/news/tacticalmagazine.pdf
- ^ "Abstracts Database - National Criminal Justice Reference Service". www.ncjrs.gov.
- ^ Communications, Government of Canada, RCMP, Public Affairs and Communication Services Directorate, Corporate. "Immediate Action Rapid Deployment (IARD) Program". www.rcmp-grc.gc.ca.
- ^ "2016 Preparedness Summit". eventscribe.com. Retrieved 2017-10-04.
- ^ Ron, Borsch. "Solo Officer Entry for Active Shooters: Ron Borsch Q&A Part 1". Spartan Cop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 2015. Retrieved September 9, 2016.
- ^ 마사드 아유브, 무장 방어에 대한 솔직한 대화: 전문가들이 원하는 것. 론 보쉬, 9장 론 시티즌 히어로즈 https://www.amazon.com/Straight-Talk-Armed-Defense-Experts/dp/1440247544.
- ^ Morton, R., ed. (2008). "Serial Murder: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for Investigator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 ^ a b c Modell, Daniel (December 2013). "The Psychology of the Active Killer". Law Enforcement Executive Forum. 13 (4). Retrieved 2021-03-11 – via Ares Tactics.
- ^ de Becker, Gavin (1999). The Gift of Fear. New York: Random House.
- ^ a b Vossekuil, B.; Fein, R.; Reddy, M.; Borum, R.; Modzeleski, W. (2002). "The Final Report and Findings of the Safe School Initiative". US Secret Service and US Department of Education.
- ^ McGee, J.P.; DeBernardo, C.R. "The Classroom Avenger"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October 30, 2007.
- ^ Grossman, D.; DeGaetano, G. (1999). Stop Teaching our Kids to Kill. New York: Crow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