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포스

Acts of Philip

그리스어 필립법(Acta Philipi)은 사도 필립이 [1]행한 기적적인 행위를 영웅적 로맨스의 오버톤과 함께, 원래 15개의 별개의 액타에 속하는 4세기 중후반부터의 삽화적 경구적 행동책이다.[2]

필립법전 전문이 발견된 아토스 산크세노폰토스 수도원 안뜰

역사

필립법전은 1974년 프랑수아 보본과 베르트랑 부비에가 그리스 아토스 산의 크세노폰토스 수도원 도서관에서 발견한 텍스트로[3] 가장 완전하게 표현된다.[4] 이 원고는 14세기부터 시작되었지만, 그것의 언어는 그것을 4세기 원고의 사본으로 간주한다.[4] 원고에 있는 많은 서술들은 이미 다른 출처로부터 알려졌지만, 몇몇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5]

처음에 보본은 마리암느라는 글자의 성격이 막달라 마리아와 동일할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4]

However, following the Discovery Channel's popularized speculations in The Lost Tomb of Jesus, Bovon underlined that, while he believes that the Mariamne in the Acts of Philip may be Mary Magdalene, he does not believe that the Mariamne of the Talpiot tomb discussed in The Lost Tomb of Jesus is the same person, not that Mary Magdalene's real name w마리암으로

성서문학회에 보내는 공개서한에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나는 마리암이 막달라 마리아의 본명이라고 믿지 않는다. 마리암은 마리아나 마리암 외에 가능한 그리스 등가물로서 셈미리아를 위해 요셉푸스, 오리가렌, 필립공이 증명한다. '필립법전'의 마리암느는 필립과 바르톨로뮤와 함께 사도단에 속해 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가르치고 세례를 한다. 필립은 남자들에게 세례를 주고, 메리는 여자들에게 세례를 준다. 초기에는 필립의 신앙보다 그녀의 신앙이 더 강하다. 이러한 마리암느의 묘사는 마니체안 시편에서 막달라 마리아를 묘사한 것과 매우 잘 들어맞는다. 마리아의 복음서, 피스티스 소피아. 나의 관심은 역사가 아니라 문학 전통의 수준에 있다. 나는 이미 1984년에 신약성서 연구 기사에서 이 신원확인을 제안했다.[6]

보본이 발견한 전문 번역본은 프랑스어, 1996년, 그리고 2012년 영어로 출판되었다. M.R. 제임스와 같은 이전의 영어 번역본들은 보본의 발견 이전에 알려진 파편들의 수집에 기반을 두고 있다.

내용물

예수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한 무리의 추종자들을 보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팔로워는 필립바르톨로뮤, 그리고 본문에서 필립의 여동생으로 확인되는 마리암느라는 여성이었으며 본문 후반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채식주의독신주의를 실천하는 듯한 공동체를 형성하고,[4] 과 와인 대신 채소와 을 섭취한 성찬의 형태를 사용한다.[7] 마리암은 남장을 하고 남성에 필적하는 권위의 지위를 차지하여 사제집사를 겸하고 있다.[4] 이 때문에, 마리암의 천은 에덴이브 유혹의 뱀에 대한 저항을 재확인하는 등,[8] 그누리스틱이 영향을 미치는 엔크라타이트 텍스트로 제안되어 왔다.[9]

이 단체는 강력한 기적을 행하며 기독교를 전파하는 이교도의 땅을 누비며 "동양과 지중해 신화의 원재료를 뻔뻔하게 착취하는 것만큼 그들이 지지하려는 기독교 교리에 힘입은 것"[10]이라고 묘사되어 왔다. 그들의 기적적인 업적 중에는 말하는 표범과 말하는 염소의 추가 동반자 전환이 있었는데,[4] 이는 (비 카논) 사도법에 익숙한 위업이었다.[11]

필립과 그의 동료들은 예수가 종족을 숭배하는 이교도인 오피아노이 성에서 설교하도록 보내진다. 오피오르히메라는 이름을 가진 이 도시는 필립의 무덤과 컬트 집단의 장소인 히에라폴리스와 동일시된다.[12] 이 무리는 도시로 가는 길에 여러 땅을 가로지르며, 악령으로 밝혀진 괴물들과 파라오의 마법사들이 지팡이를 돌린 뱀의 새끼들을 쫓아낸다. 그들의 복종 후에 필립은 그들이 사라지기 전에 교회를 짓기 위해 그들을 흑인으로 만든다.[12] 그 무리는 도시에 도착하는데, 그곳에서는 주민들이 그들을 공격하여 이교도들의 시련을 겪게 하지만, 그들은 기적적으로 그들을 물리치고, 결국 에치드나 뱀의 어미가 숭배되는 도시의 게이트된 신전에 도달한다.[9][13] 그 후 신전과 괴물은 최후의 기적으로 나락으로 보내진다.[9]

본문의 에피소드 중 일부는 더 밀접하게 관련된 "주기"[11]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필립스 커미션(3과 8)의 사건을 재검증하는 두 편의 에피소드가 짧은 버전과 긴 버전 모두에서 살아남았다. 나머지 본문에는 커미션 서술이 없다. 빌립의 권위는 베드로와 요한의 기도와 축복에 달려 있으며, 예수의 목소리가 "빨리 필립!"라고 촉구하는 신의 깨달음에 의해 명백하게 힘을 얻고 있다. 보아라, 나의 천사가 너와 함께 있으니, 너의 일을 게을리 하지 말아라."와 "예수께서 그와 몰래 걷고 계신다."(3장)

메모들

  1. ^ 4세기 후반은 프랑수아 보본의 데이트(Bovon, "Actes de Philipe")와 암슬러의 데이트(Amsler's)이며, 4세기 중반은 앙크리트 서클의 데 산테로스 오테로의 데이트(De Santeros Otero)이다.
  2. ^ "it is divided into separate Acts, of which the manuscripts mention fifteen: we have Acts i–ix and from xv to the end, including the Martyrdom, which last, as usual, was current separately and exists in many recensions." (M.R. James, The Apocryphal New Testament (Oxford: Clarendon Press), 1924. on-line text Archived 2007-09-26 at the Wayback Machine); 이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본문에서 개별 액타의 개별적 기원은 제임스에 의해 인정된다: "제1법은 지금처럼 그렇게 갑작스럽게 시작되었을 수 없다. 두 번째는 도입부에서도 마찬가지로 갑작스럽다. 셋째는 파르티아에 대한 언급으로 그것과 연결되지만, 필립이 아직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 안에는 크게 하찮게 느껴진다. 네 번째는 장면에 의해 세 번째인 아조토스와 연결된다.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니아테라에서는 이전의 것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아홉 번째와 함께 우리는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된다."
  3. ^ 프랑수아 보본, 베르트랑 부비에, 프레데릭 암슬러에 의해 출판된 '액타 필리피: Textus vol. I Textus, vol. II Commentarius; 시리즈 코퍼스 크리스티아노룸 11–12 (Turnhout: Brepols) 1999.
  4. ^ a b c d e f 피터 H. 데스몬드, "4세기 교회 이야기: 여성 사제, 채식주의자, 여름 드레스", 하버드 매거진 (2000년 5월~6월) 온라인판 웨이백머신2007-03-19
  5. ^ 2007-04-17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Magdalene.org, "이미 알려진 여러 단일 법률의 완전한 모음, 이전에 번역된 필립의 법률에 존재하는 빈칸을 보본의 발견"
  6. ^ 2007-07-01년 웨이백머신보관성서문학회에 보낸 보본의 편지
  7. ^ 여성 사제, 채식주의 - 웨이백머신에 2007-03-07년 보관된 초기 기독교 원고
  8. ^ 즐라트코 플레쉬, Gnoristic Universe의 시인: 2006년 존의 아포크리폰의 서술과 우주론, 브릴
  9. ^ a b c Daniel Ogden (2013). Dragons, Serpents, and Slayers in the Classical and Early Christian Worlds: A Sourceboo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9251-1-7.
  10. ^ Tom Bissell (2016). Apostle: Travels Among the Tombs of the Twelv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ISBN 978-11-018709-7-6.
  11. ^ a b István Czachesz, Apostolic Commission Narratives in the Canonical and Apocryphal Acts of the Apostles. (University of Groningen dissertation, 2002) " 6: The Acts of Philip", pp 136ff (pdf file) Archived 2011-05-20 at the Wayback Machine links chapters 1–2, 3–7, 8–14 and the martyrdom narrative of 15.
  12. ^ a b Daniel Ogden (2013). Drakon: Dragon Myth and Serpent Cult in the Greek and Roman World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573-2-5.
  13. ^ 필립의 복음서 2007-09-26을 웨이백머신보관했다.

에디션

  • 보본, F, B. 부비에, F. 암슬러, 액타 필리피: Textus (Turnhout, 1999) (Corpus Christianorum, 11).
  • 아믈러, F. 액타 필리피: 코멘타리우스 (Turnhout, 1999) (Corpus Christianorum, 12).
  • F. 암슬러 외 A. 프레이(е), 콩코드아 액터넘 필리피(Turnhout, 2002) (기관에서는 l'étude des langues de l'Orient ancien, 4)가 쏟아진다.

번역

  • F. 보본, B. 부비에, F. 암슬러, 액트 라피르트르 필리프 소개, 노트 거래, Turnhout: Brepols 1996 (= Apocrypes) 컬렉션 de poche de l'AELAC 8). ISBN 978-2-503-50422-3
  • 프랑수아 보본과 크리스토퍼 R. 매튜스, <필립의 행동>: 2012년 베일러 대학 출판부의 새 번역본. ISBN 9781602586550.

연구

  • De Santos Otero, "Acta Philipi", W. Schneemelcher (ed)의 "Acta Philipi", New Tattent Apocrypha. vol. II(사도, 아포칼립스관련 주제와 관련된 글) (Cambridge-Louisville, 1992), 468–473.
  • 보본, F, B. 부비에, F. 암슬러, 액테스 드 라피르트르 필리프 (Tournhout, 1996년) (Apocrypes, 8년)
  • 보본, F, "필립의 법전 메리 막달렌" F. 스탠리 존스(ed.), 어느 메리?(atlanta: 성서 문학 협회) 2002, 75–89.
  • S. Matthews, C. Briggs Kitredge, M. Johnson-Debaufre(에드스), Walk in the Ways of Wise: 엘리자베스 슈슬러 피오렌자(Harrisburg, 2003), 109–121의 명예 에세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