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스 대 버크 사건

Adams v. Burke
애덤스 대 버크 사건
1873년 12월 8일 결정
전체 대문자 이름애덤스 대 버크 사건
인용문 84 U.453 ( 보기)
17 벽 453; 21 L. Ed. 700; 1873 미국 LEXIS 1384
법원 구성원 자격
대법원장
비어 있다
배석 판사
네이선 클리포드 · 노아 스웨이인
사무엘 F.밀러 · 데이비드 데이비스
스티븐 J. · 윌리엄 스트롱
조지프 P. 브래들리 · 워드 헌트
사례의견
다수Miller, Chase, Clifford, Davis, Field, Hunt가 참여
반대Bradley, Strayne, Strong과 함께

애덤스 버크 사건(84 U.S. (17 Wall) 453(1873)은 미국 연방대법원처음으로 소모주의 원칙을 상세히 설명한 사건이다.이 원칙에 따르면 특허제품(특허권자 또는 특허권자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만든 것)의 이른바 허가판매는 해당 제품을 특허독점으로부터 해방시킨다.그 상품은 구매자의 완전한 재산이 되어 "독점 없이 통과"된다.그 후 소유자는 특허권자의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 또는 처분할 수 있다.애덤스는 널리 인용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저작권법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며 "최초 판매 원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법원이 최근 설명한 바와 같이, Kirtsaeng v. John Wiley & Sons, Inc., 133 S. Ct. 1351 (2013)에서 이 원칙은 17세기 초 Coke on Littleton에서 설명한 초기 영국의 재산 관습법에서 유래했다.관습법상 개인이 소유하는 재산(개인재산의 항목)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는 경우, 그 재산 사용이나 처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효력이 없으며, 이는 무역과 상거래를 방해하기 때문에 남성들 간의 흥정을 방해한다.일단 특허받은 제품을 판매하여 상업의 흐름에 진입시키는 것이 허용되면, 그 사용의 제한(아마도 비밀)이나 추가 처분 대상이 될 수 있다면, 사업가들은 그 제품의 거래가 효과적인지 여부를 알 수 없게 되어 사업의 확실성이 크게 저하될 것이다.

사실상의 배경

1863년 미국 특허 38,713호는 관 뚜껑이 열렸는지 닫혔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해관계인이 관에 있는 피상속인의 명판과 비문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관 뚜껑을 발명가 메릴과 호너에게 발행했다.1865년에 그들은 캠브리지의 록하트와 실리에에 배치되었다.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주변의 반경 10마일 원형 지역에 특허 소유권이 있습니다.이 사건의 원고인 애덤스는 매사추세츠 [1]주 네이틱 시를 포함한 이 서클 이외의 지역에서 특허의 양수인이었다.

피고인 버크는 보스턴에서 17마일 떨어진 매사추세츠주 네이틱에서 사업을 하는 장의사였다.버크는 그것들을 제조한 록하트와 실리로부터 특허받은 관 뚜껑을 구입했다.그런 다음 버크는 그것들을 Natick(보스턴에서 10마일 이상 떨어진 곳)으로 가져가 자신의 사업에 사용했다.애덤스는 그를 [2]고소했다.

재판소의 의견

매사추세츠 지방 순회 법원은 그 사건을 기각했다.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특허제품이 조건이나 제한 없이 합법적으로 구매자의 손에 넘어갔을 때, 그것은 더 이상 독점권이나 특허법의 보호 하에 있지 않고, 그 밖에 있다.이러한 판매에 의해 구매자는 특허의 대상인 공산품에 대한 절대적인 권리를 취득하고, 다른 종류의 재산을 취급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그는 그것을 사용하거나, 수리하거나, 개선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후속 구매자는 판매자와 동일한 권리를 획득하며, 최초 구매자가 [3]권리와 분리되지 않았다면 합법적으로 할 수 있었던 모든 물건 또는 그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대법원의 의견

애덤스는 대법원에 상고했고 대법원은 이를 인정했다.법원은 지배원칙이 다른 특허 [4]소송에 관여한 적이 있지만, 이는 대법원의 첫인상 사건이라는 것을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했다.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T] 제조, 판매 및 사용의 모든 권리를 가진 자에 의한 판매.기계는 그 기계의 사용권을 일정 시점에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운반한다.특허권자 또는 그 권리를 가진 자가 그 가치가 있는 기계 또는 기구를 판매할 때 사물의 본질적 성질을 파악한다.사용의 대가를 받고 그 사용을 제한할 권리를 갖는다.법정의 말로 표현하면 그 조항은 독점의 범위 없이 통용된다.[삭제 생략]즉, 판매행위에 있어서 특허권자 또는 그 양수인이 그 특정 기계 또는 증서의 발명의 사용에 대해 청구하는 모든 로열티 또는 대가를 수령한 경우에는 특허권자의 [5]독점으로 인한 추가 제한 없이 구매자의 사용에 개방된다.

이에 따라 법원은 "당사가 기술한 기계 또는 도구의 종류에서 그것들이 합법적으로 제조 및 판매된 후에는 특허권자 또는 그 양수인 또는 [6]라이선스의 이익을 위해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제한이 없다고 본다"고 판결했다.

애덤스 사건 교리에 따른 후속 대법원 판례는 다음과 같다.

단, 다음을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이 기사의 인용문은 블루북 스타일로 쓰여 있다.자세한 내용은 토크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1. ^ 애덤스 버크스 사건, 1 연방수사국 사건케이스 100 (케이스 번호 50) (C.C.D.)미사 1871년)
  2. ^ 연방요원 1명, 캐스 100명
  3. ^ 애덤스 버크스 사건, 1 연방수사국 사건케이스 100 (케이스 번호 50) (C.C.D.)미사 1871년)
  4. ^ 이 소송에서 항소에 의해 제기되는 문제는 특허법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제이며, 이 소송의 정확한 요점은 본 재판소에 의해 결정된 적이 없다.다만, 이 소송에 적용되는 고려사항의 일부는 결정되고 다른 유사한 성격의 사건은 빈번히 재발하고 있다.애덤스, 84세의 455세
  5. ^ 애덤스, 84번지 455-56번지
  6. ^ 애덤스, 84세의 457세
  7. ^ 이 사건에서 법원은 애덤스의 특허 소진 원칙이 판매에는 적용되지만 대리점 계약이나 제조 허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8. ^ 이 경우 법원은 애덤스 특허 소진 원칙은 라이선시의 고객이 라이선스의 제한 또는 제한을 통지한 경우, 정해진 분야에서의 사용 또는 판매만을 목적으로 특허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라이선시에 의해 이루어지는 판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