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표시줄
Address bar웹 브라우저에서 주소 표시줄(위치 표시줄 또는 URL 표시줄도)은 현재 URL을 표시하는 GUI 위젯입니다.사용자는 바에 URL을 입력하여 선택한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최신 브라우저에서는 URL이 아닌 다른 URL이 자동으로 검색 엔진으로 전송됩니다.파일 브라우저에서는 파일 시스템 계층을 통해 동일한 탐색 목적을 수행합니다.
대부분의 주소 표시줄은 주소를 입력하는 동안 자동 완성 및 제안 목록을 제공합니다.이 자동 완성 기능은 브라우저의 이력을 기반으로 제안합니다.일부 브라우저에는 주소를 자동 완성하기 위한 키보드 단축키가 있습니다.
특징들
URL 외에 일부 주소 표시줄에는 사이트에 대한 기능 또는 정보를 보여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favicon(웹 사이트를 나타내는 작은 아이콘)을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경우 주소 표시줄에 작은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이 아이콘은 [1]웹 사이트가 지정하지 않은 경우 표시됩니다.주소 표시줄은 웹 페이지의 보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도 사용됩니다.시큐어하지 않은HTTP 와 암호화HTTPS 를 구별하기 위해서 다양한 설계가 사용됩니다.또, 일부의 Web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확장 검증 증명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입력한 용어가 명확하게 [2][3]URL이 아닌 경우 검색 엔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이 일반적인 답에 이 기능을 제공할 경우 일부 엔진은 기본적인 수학 쿼리에 대한 답을 제안하기도 합니다.Firefox,[4] Opera 및 Google Chrome과 같은 일부 브라우저에서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별 검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단축키 "!w"를 Wikipedia와 연관시킴으로써 주소 표시줄에 "!w cake"를 입력하여 Wikipedia 문서에 직접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 기능은 검색 엔진 DuckDuckGo 사용자를 위해 "bangs"로 표준화되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는 스마트 북마크라고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기능에서는, 유저는, Web 사이트의 기능(검색, 편집, 투고등)을 고속화할 수 있는 커맨드를 설정합니다.그런 다음 명령어와 관련된 키워드 또는 용어를 주소 표시줄에 입력한 후 용어를 입력하거나 목록에서 명령을 선택합니다.
Opera 및 Safari와 같은 일부 브라우저에서는 주소 표시줄이 페이지 내용의 로드량을 나타내는 진행 표시줄로 두 번 표시될 수 있습니다.
비교
다음 섹션에서는 몇 가지 잘 알려진 웹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 위젯을 비교합니다.
파이어폭스
오페라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pple, Jennifer. "Favicon - How To Create A Favicon.ico". Futura Studios. Retrieved 25 February 2011.
- ^ "Search the web from Address Bar". Firefox Help. Retrieved 5 January 2014.
- ^ "Use the address bar (omnibox)". Chrome Help. Retrieved 13 May 2013.
- ^ Hoffman, Rae (10 February 2008). "Creating Firefox Search Bookmarks". Sugarrae™. Retrieved 5 January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