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챈스

Age of Chance
에이지 오브 챈스
기원영국 웨스트요크셔 리즈
장르얼터너티브 록,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년 활동1983–1991
레이블라이엇 바이블

버진
과거 구성원스티븐 엘비지
제프 테일러
닐 하우슨
얀 페리
노엘 "DJ 파워컷" 왓슨
찰스 허친슨

에이지 오브 챈스1983년부터 1991년까지 활동한 영국 리즈 출신의 얼터너티브댄스 크로스오버 밴드였다. 그들은 아마도 1986년 영국 인디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한 프린스의 "키스"의 돌연변이 금속 표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었고, 이듬해 1월에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50위로 정점을 찍었다.[1] 'Don't Get Mad… Get Even'이 미국 빌보드 핫댄스/클럽 플레이 차트에서 8위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영국에서 큰 인기를 누리지 못했다.[2][3]

음악적으로 그들은 펑크, 힙합, 산업용 록, 북방 영혼의 혼합체였다. Steven E는 종종 메가폰을 사용하는 독특한 비강 발성 스타일을 제공했다. 눈에 띄는 표지 예술 비주얼은 그래픽 디자인 명성으로 이어질 그룹과 디자이너 리퍼블릭의 협업이었다. 그들은 퍼블릭 적으로 리믹스된 최초의 밴드였다 - AAKA 행크 쇼클리와 칼 라이더는 "Take it"을 리믹스했다. 그는 "Take it"을 "Take it"로 리믹스했다. "Take it"을 리믹스했다. 그들은 팝 윌 이트자체의 동시대의 사람들이었는데, 그들의 음악은 락 기타, 댄스 비트, 그리고 많은 샘플들을 포함했고 콜드컷과 더 잼스와 같은 다른 초기 영국 샘플리스트 그룹들도 포함했다.

역사

스티브 엘비지는 리즈 출신으로 세인트 마이클스 칼리지(R.C.)[4]에 다녔으며 제이크 태크레이 이후 가장 주목할 만한 음악 동창이다. 리즈 출신의 닐 하우슨(기타)도 제이콥 크레이머 예술대학에서 공부했고, 제프 테일러(리버풀)와 얀 페리(스톡포트)도 지금의 리즈 베켓 대학인 리즈 폴리테크닉에서 공부했다.

에이지 오브 챈스는 1985년 데뷔 싱글인 '모터시티/영원한 예'가 자신들의 레이블인 라이엇 바이블에 발매되어 BBC 라디오 1 DJ인 존 에 의해 선정되고 챔피언이 되면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5] 마이다 베일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세션이 이어졌고 '고잉, 고잉맨', '모브헛', '60년대 이후의 아침', 'I Don't Care' 등 4곡이 녹음됐다. "모르겠어.." 지그재그 매거진이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인 '포렌츠'와 '피아노스'에 재녹음되었다.

이들은 1986년 1월 두 번째 자작 싱글 '비트의 비블' / '리퀴드 정글'을 발표해 NME C86 컴파일 테이프에 수록된 'From Now On, This Will Be Your God' 트랙을 기고하도록 초청했다. 이 밴드는 1986년 7월 ICA 록 위크에서 런던에 데뷔했다. 1986년 6월 '빠르게, 깨끗하게, 싸게', '이제부터, 이것은 너의 하나님이 될 것이다', '키스', '서방이 어떻게 이겼는지'로 두 번째 필 세션이 녹화되었다. "키스"는 프린스 싱글이 차트에 있는 동안 존 필 세션에서 녹음되었다.

이 말썽꾸러기들은 "디스코 인페르노"와 "키스"의 커버로 그들의 광고에 최고점을 찍었다. 그들의 "소닉 메탈 디스코"는 4대강휴먼 리그를 재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1990)[6]

그 후, 이 밴드는 "키스"와 리믹스 12"s와 6 트랙 미니-LP 크러쉬 충돌에 대해 셰필드 독립 음반사 Fon에 서명했다. "키스"는 1986년 존축제 50에서 2위를 차지했다.[7]

이 밴드는 1987년 1월 버진에서 계약을 맺고 영국 전국 순회 공연을 시작했다. 그들은 "누가 큰 나쁜 소음을 두려워하는가", "Hold On" 그리고 "Bible of the Motorcity Beats"로 구성된 Janice Long 세션을 녹음했다. 이들은 프로듀서 하워드 그레이와 함께 '누가 빅 배드 노이즈/빅 배드 랩을 두려워하는가'라는 첫 싱글을 녹음하기 시작한 뒤 첫 버진 앨범 '천년의 고민'을 시작했다. 10월에 두 번째 싱글 "Don't Get Mad, Get Even"이 발매되었고, 이어서 앨범이 발매되었다. 1988년, 채널 4는 "Don't Get Mad..."를 향후 3년에 걸쳐 방영된 미식축구 프로그램의 음악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밴드는 웨일스의 록필드에서 여름에 두 번째 버진 앨범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오리지널 가수 스티븐-E는 1988년 [8]9월 두 번째 LP 녹음 도중 탈퇴해 1989년 1월 나머지 밴드 멤버들에게 새 가수 찰스 허친슨을 영입하도록 강요했고, 1990년 메카로 발매된 LP를 '리보컬'했다. 이 컬렉션의 메인 싱글인 "Higher Than Heaven"은 BBC 라디오 1의 아침 쇼 청취자들로부터 "한 주의 레코드"로 뽑혔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에서 53위에 올랐다.[1][3] 허친슨이 떠나자 페리는 1991년 밴드가 해체되기 전까지 잠시 보컬 업무를 맡았다.

커버 아트

"키스" 표지

밴드는 그들의 옷(싸이클 탑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리즈의 더 파버샴 공공 주택에 있는 바에 서 있는 사이클리스트를 본 후에 나온 아이디어)부터 커버 아트에 이르기까지 강한 시각적 정체성을 개발했다. 첫 싱글은 구호와 미니 마니페스토가 등장하는 밴드가 제작한 컷업 그래픽 디자인 같은 펑크를 냈다. "스테이 영!! 예라고 해!! 서로를 Bay-Beah!라고 불러!!" "우연의 시대와 함께 영원히 살 수 있다." 슬로건과 시각적 이미지는 Kiss 발매와 1987년 버진 발매 시리즈를 위해 일련의 고전적인 표지 디자인을 제작한 The Designers Republic에게 전달되었다. Don't Get Mad의 소매... Get Even은 Q Magazine의 100대 최고 기록 표지(2001년) 중 하나로, "데스크톱 출판 전 시대에 너무 복잡하고, 소매가 날카롭고, 장전되었으며, 구호로 장식된 위협적인 시각적 매니페스토가 바코드, 순항미사일, (우주 최초 여성)와 함께...라고 기술되어 있다.발렌티나 테레시코바의 얼굴."[9] 디자이너 이언 앤더슨은 "그들이 제시된 방식은 철학적인 것이었고 디스코 스타일링과 교차하는 펑크적인 태도였으며, 반응을 얻기 위해 질문을 던지는 것이었다"고 회상했다. 일단 어휘가 정해지면 소매는 거의 스스로 설계할 정도였다. 우리가 디자인을 했는지는 몰라도 언어는 밴드에 의해 창조된 것이다."

라인업

  • 스티븐 엘비지 (보컬스)
  • 제프 테일러 (베이스 기타)
  • 닐 하우슨 (리드 기타)
  • 얀 페리 (반향)
  • 찰스 허친슨 (메카에서의 통신)

음반 목록

앨범

싱글스

  • "모터시티"(1985) (영국 인디 26호)[10]
  • "비트의 비" (1986) (영국 인디 넘버 [10]3)
  • "소닉 디스코 EP의 트와일라잇 월드"(최초 2 7" 싱글 수집, 1986)
  • "키스" (1986) (영국 인디 1위)[10] (1987년 재발행) 영국 50위 [11](NZ 21위)[12]
  • "누가 큰 나쁜 소음을 두려워하는가"(1987년) (NZ 34호)[12]
  • "Don't Get Mad... 짝수 받기"(1987)
  • "Take It!" (1988)
  • "타임즈 업" (1989년)
  • "천국보다 높은 곳" (1990)
  • "불장난" (1990)
  • "슬로 모션 라이엇"(1991)
  • "그녀는 비밀로 가득 차 있다"(1991)

참조

  1. ^ a b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16. ISBN 1-904994-10-5.
  2. ^ Whitburn, Joel (2004). Hot Dance/Disco: 1974-2003. Record Research. p. 17.
  3. ^ a b "History". 18 Ma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y 2006. Retrieved 30 October 2019.
  4. ^ "SecretLeeds - Share your secrets, share your city". 14 Jul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30 October 2019.
  5. ^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Who’s Who of Indie and New Wave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 14. ISBN 0-85112-579-4.
  6. ^ Christgau, Robert (1990). "A".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Pantheon Books. ISBN 0-679-73015-X. Retrieved 16 August 2020 – via robertchristgau.com.
  7. ^ "BBC - Radio 1 - Keeping It Peel - Age Of Chance". Bbc.co.uk. Retrieved 30 October 2019.
  8. ^ "press release for Times Up single". Ireallylovemusic.co.uk. Retrieved 30 October 2019.
  9. ^ Q 매거진 역대 최고 기록 100부(2001년), : 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사본(링크)
  10. ^ a b c d Lazell, Barry (1997). Indie Hits 1980-1999. Cherry Red Books. ISBN 0-9517206-9-4.
  11. ^ Strong, Martin C. (1999). The Great Alternative & Indie Discography. Canongate. ISBN 0-86241-913-1.
  12. ^ a b "AGE OF CHANCE IN NEW ZEALAND CHARTS". Charts.nz. Retrieved 14 October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