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그렐라이트
Agrellite아그렐라이트 | |
---|---|
자외선에 형광을 보이는 애그렐라이트 | |
일반 | |
카테고리 | 이노실라테스 |
공식 (기존 단위) | 나까시오프2410 |
IMA 기호 | 이다[1] |
스트룬츠 분류 | 9.DH.75 |
크리스털 시스템 | 삼위일체 |
크리스털 클래스 | 피나코이드(1) (동일한 H-M 기호) |
스페이스 그룹 | P1 |
식별 | |
색 | 흰색, 회색-흰색, 녹색-흰색 |
수정습관 | 라트 - 작고 얇은 석고 껍질 모양, 직사각형 |
클라바주 | 완전[110] |
모스 눈금 경도 | 5.5 |
루스터 | 진주 같은 |
스트릭 | 백색의 |
발데인성 | 반투명의 |
비중 | 2.88 |
광학 특성 | 양악의 |
굴절률 | nα = 1.567 nβ = 1.579 n³ = 1.581 |
바이레프링스 | δ = 0.014 |
참조 | [2][3] |
아그렐라이트 (나까시24)OF10)는 실리카 테트라헤드라의 4주기 단일 사슬을 가진 희귀한 삼색 인오실산염 광물이다.
백색에서 회색의 반투명 광물로, 진주빛 광택과 백색 줄무늬가 있다.모스 경도는 5.5이고 비중도 2.8이다.캐나다 퀘벡의 키파 알칼리성 복합체(Kipawa Alkalic Complex)로 페그마타이트 렌즈에 표상 라스로 나타난다.[4]다른 지방으로는 러시아의 무르만스크 주, 타지키스탄의 다라이 피오즈 빙하, 중국 랴오닝의 사이마 콤플렉스 등이 있다.[4]유형 지역의 공통적인 동료로는 지르콘, 에우디알예테, 블라소바이트, 미제리테, 모산드리테-(Ce), 캘카이트 등이 있다.[4]
아그렐라이트는 단파에서는 강한 분홍색 형광을, 장파에서는 약한 분홍색 형광을 보인다.[5][6]형광 활성제는 주로2+ Mn으로2+, 미성년자 Eu3+, Sm3+, Dy가 있다.[6]
케임브리지 대학의 영국 광물학자 스튜어트 올로프 아그렐(1913~1996)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아그렐라이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 ^ http://www.mindat.org/min-57.html 민닷컴
- ^ http://www.webmineral.com/data/Agrellite.shtml 웹 미니어처
- ^ a b c "Agrellite". www.mindat.org. Retrieved 2021-12-08.
- ^ "Handbook of Mineralogy". www.handbookofmineralogy.org. Retrieved 2021-12-08.
- ^ a b "Luminescence,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of minerals". www.fluomin.org. Retrieved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