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그리 데쿠마테스

Agri Decumates
AD 120년 로마 제국과 게르마니아, AD 98년 타키투스가 언급한 일부 게르만 부족이 있다.
라임즈 게르마니쿠스와 아그리 데키마테스
어퍼 게르만어 & 래미안 라임즈
알레만닉 확장 및 로마-알레만닉 전투 현장, 3~5세기

The Agri Decumates or Decumates Agri ("Decumatian Fields") were a region of the Roman Empire's provinces of Germania Superior and Raetia; covering the Black Forest, Swabian Jura, and Franconian Jura areas between the Rhine, Main, and Danube rivers; in present southwestern Germany, including present Frankfurt, Stuttgart, Freiburg im Breisgau, and We바이에른의 이덴부르크. 그 이름에 대한 유일한 고대의 언급은 타키투스의 책 게르마니아(29장)에서 나왔다.[1][2] 그러나 후기 지리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지역의 "헬베티아인의 사막"을 언급하고 있다.[3]

데쿠마테스의 의미는 사라졌고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영국의 고전주의자인 마이클 그랜트에 따르면, 이 단어는 아마도 이 지역의 정치적 분열을 나타내는 고대 켈트어를 가리킬[4]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이 용어가 이 나라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십일조를 지불했다는 것을 암시한다는 것이다.[5]

타키투스에 따르면 이 지역은 원래 헬베티족켈트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곧 게르만족과 갈리아족 정착민들이 도착했다고 한다. 타키투스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라인 강과 다뉴브 강 저편에 정착되어 있지만, 독일 부족들 사이에서 십일조 경작자[agri decimates]를 헤아려서는 안 된다. 가울에서 온 무모한 모험가들이 욕망에 용기를 얻어 소유권이 의심스러운 이 땅을 점령했다. 얼마 후, 우리의 국경선이 발전하고, 우리의 군사적 위치가 추진되어, 우리 제국의 외딴 구석이자 로마 지방의 한 부분으로 여겨졌다.[2]

플라비안과 이후 황제들의 통치하에 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점령하고 정착하였다.[2] 그들은 군사 통신과 이동을 위한 도로망을 구축하고, 로마 가울 지방에 침투하기 위해 이 지역을 이용하는 침략 부족들로부터 보호를 개선했다. 프런티어 요새(라임)는 라인브롤(Rheinbrohl)-아른스부르크(Arnsburg)를 운행하는 노선을 따라 건설되었다.Inheiden—Schierenhof—Gunzenhausen—Pföring (라임즈 게르마누스).

로마의 더 큰 정착지는 스모레켄나(로텐부르크 네카르), 키비타스 아우렐리아 아쿠엔시스(바덴바덴), 로포두눔(라덴부르크)이었다. 그리고 아래 플라비애 (로트웨일)이다.

로마인들은 3세기 중반까지 아그리 데쿠마테스 지역을 지배했는데, 이때 갈리에누스 황제(259–260)가 알레만니를 침공하고 "우수하고 통치자" 포스투스 휘하에 서로마 제국의 상당 부분이 분리되기 전에 그곳을 피신했다.[6]

아우렐리아누스 황제(AD 270–275)는 3세기 후반 로마가 부활하는 동안 소위 "군부" 황제들에 의해 이 지역을 잠시 재점령했을지도 모른다.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해도 로마 통치의 재확립은 짧았다. 프로부스 황제의 죽음(282년) 이후 이 지역은 마침내 포기되었고 알레만니가 지배권을 장악하였다.[7] 게르만 민족은 그 이후로도 그 지역에 계속 거주해 왔다.[1] 그러나 로마의 정착촌은 즉시 버려지지 않았다. 로마 문양이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지 오래인 이웃 가울에서 계속되었듯이 로마인의 생활 방식이 5세기까지 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J. G. F. 힌드는[8] 아그리 데쿠마테스의 옛 로마 거주민들은 3세기 후반부터 5세기 후반까지 라인 강 서쪽에서 마인츠와 메츠 사이에 있는 라인 강과 사아르 강 사이의 지역으로 이주한 "10개의 캔톤"인 데킴 파기에서 발견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메모들

  1. ^ Jump up to: a b M. 그랜트, 고대세계 안내서, 페이지 17
  2. ^ Jump up to: a b c 타크, 제르 29호
  3. ^ 프톨레마이오스 지리 — 제2권, 제10장
  4. ^ J. G. F. 힌드 "Agri Decumates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페이지 188. 여기서 그는 그것을 올드 아일랜드 데흐메드와 연결한다.
  5. ^ Smith, William (1854),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6. ^ L. de Blois, 갈리에누스 황제의 정책, 페이지 5,250
  7. ^ D. Geuenich, Geschichte der Alemannen, 페이지 23
  8. ^ J. G. F. 힌드 "Agri Decumates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페이지 189f.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