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흐마드 자히르

Ahmad Zahir
아흐마드 자히르
احمد ظاهر
출생명아흐마드 자히르
태어난(1946-06-14)14 1946년 6월
아프가니스탄 카불
죽은1979년 6월 14일 (1979-06-14) (33세)
아프가니스탄 파르완/바글란살랑 터널
장르로맨틱, 팝, 클래식
직업싱어, 작곡가, 작곡가
계기하모니움, 피아노, 아코디언, 통기타
년 활동1964–1979
웹사이트아흐마드 자히르의 노래
부모님

아흐마드 자히르(Ahmad Zahir, Dari/Pashto: احمدد ;;ه;; 1946년 6월 14일 ~ 1979년 6월 14일)는 아프가니스탄의 가수, 작곡가로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사상 최고의 가수로 평가받고 있다.[1] 그의 노래의 대부분은 다리에서 불렀지만 그는 파슈토에서 많은 노래를 불렀고 우르두, 러시아어, 영어로도 몇 곡을 불렀다.[2][3]

아프간인들 사이에서는 아프가니스탄 음악의 아이콘으로 여겨져 '역대 최고의 아프간 가수' 또는 '아프가니스탄의 엘비스'로 널리 평가받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음악에 대한 공헌과 영향으로 불후의 명성을 되찾고 있다.[4]

초년

아마드 자히르는 1946년 6월 14일(잘랄리 달력 1325년 자우자 24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파슈툰족으로 태어났다. [5][6][7][8][9][10][11][12] 그의 아버지 압둘 자히르는 1971년부터 1972년 사이에 보건부 장관과 아프가니스탄 총리를 지낸 궁중 의사였다. 그는 국회의장이었으며 자히르 샤 왕 시대의 영향력 있는 인물로서 1964년 아프가니스탄 헌법을 쓰는 것을 도왔다. 자히르에게는 나중에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등의 미용사로 알려질 자히라 자히르라는 누나가 있었다.

경력

자히르는 카불에 있는 하비비아 고등학교에 다녔다. 그곳에서 기타를 연주하는 오마르 술탄, 콩가스를 연주하는 패리드 잘랜드, 피아노 연주하는 악바르 나야브 등 주로 친구들과 급우들로 구성된 밴드를 결성했다. 자히르는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노래를 불렀다. 이 밴드는 후에 하비비아 고등학교의 아마추어 밴드로 알려졌고 노루즈, 에이들 피트르, 아프가니스탄 독립기념일 같은 축하 행사 동안 지역 콘서트에서 공연했다.[13] 자히르는 카불에서 소울풀한 목소리를 가진 재능 있는 가수로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바리톤 가슴 목소리와 발성적인 노랫소리는 그에게 '불불-에-하비비아(하비비아의 나이팅게일)'라는 칭호를 주었다. 하지만, 가족의 압박 때문에 자히르는 여전히 전적으로 음악에 전념할 수 없었다.

그는 계속해서 카불에 있는 다루의 l-말리메엔("교사대학")을 다니고 졸업했다. 그 후 그는 영어 강사로 학위를 받기 위해 인도에서 2년 더 고등 교육을 계속했다.[14] 인도에서 돌아온 자히르는 카불 타임즈의 기자로 취직했지만 곧 그의 첫 음악 앨범 작업에 착수했다.[15] 그는 아프간 작곡가 나이나와즈, 타라나사즈와 긴밀히 협력했다. 그의 첫 번째 녹음된 곡인 "Gar Kuni Yak Nizara"는 인도 라가와 서양의 팝 리듬을 혼합한 자신만의 작곡이었다. He continued writing and recording songs such as "Azeezam Ba Yaadat", "Ahista-ahista", "Akhir Ay Darya", "Hama Yaranam", "Agar Sabza Boodam", "Guftam Ke Mekhwaham Tura", "Shabe Ze Shabha" and "Parween-e Man".[13]

자히르는 이스마일 아자미(삭소포니스트), 난갈라이(트럼펫터), 압둘라 에테마디(드럼머) 등의 멘토와 살림 사르마스트, 나이나와즈, 타라나사즈, 마슈어 자말 등의 뮤지션들과 함께 활동했다. 그는 1970년대에 22개 이상의 앨범을 녹음했다. 그의 노래는 감미로운 음색, 시적 스타일, 설득력 있는 깊이, 열정적인 감성적 발음으로 주목받았다.[citation needed] 자히르는 기껏해야 10년 동안만 아프간 음악의 현장에 있었지만, 30장 이상의 앨범을 간신히 녹음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전세계 어느 음악 산업에서나 독특하고 독특하다. 이 모든 앨범들은 성공적이었고 모든 사람들이 (이날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다. 음악가들은 거의 40년 전에 오늘날의 세계에 대한 거의 아무런 기술도 없이 이 녹음들을 완성할 수 있었고, 모든 것은 라이브 녹음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노래 '탄하 쇼담 탄하'와 클로드 모건의 '엘 빔보'(1974)의 관계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어떤 출처에서는 이 곡의 날짜와 1971년에 등장한 앨범 "Lylee"가 모건의 버전을 커버로 만들었고,[16][17] 어떤 (대부분 이 기사의 이전 버전을 바탕으로 한) 1977년까지의 날짜와 관계가 역전되었다.

그의 음악적 가족 배경 때문에, 자히르는 음악을 더 존경받는 직업으로 확립하는 것을 도왔고, 1974년에 카불 음악 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18]

사우르 혁명에 이어 자히르는 서방의 반전 저항으로 록음악을 사용한 자신의 영웅 존 레논을 본떠 세 곡의 억압에 저항하는 신공산정권의 지도자들을 비난했다.[19][20][4]

음악적 스타일과 기여

모든 아프간 음악가들 중에서, 아프간 음악의 뚜렷한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람은 아마드 자히르 이다. 위대한 아프간 가수 사르반 이후 자히르는 아프간 음악 스타일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학력자, 여행에 능통하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자히르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과 예술에 대한 엄청난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6살 때 하모니움, 기타, 아코디언 등 다양한 악기를 배웠다. 그의 특권적이고 부유한 배경(그의 아버지 압둘 자히르는 대사, 장관, 그리고 후에 아프가니스탄 총리)은 그에게 여행의 기회를 주고 미국, 유럽, 인도에서 일어나고 있는 60, 70년대의 급성장하는 음악 혁명에 노출되게 했다. 그는 모든 장르의 음악을 열렬히 듣는 사람이었으며 서부(팝, 록, 재즈), 인도, 중동(아랍어, 이란어), 유럽어(프랑스, 이탈리아 벨 샹송, 스페인 플라멩코), 아프간 포크 등의 요소들을 그의 노래에 접목시켰다.

뚜렷한 아프간 소리(인도 고전, 민속, 아프간 음악, 서양 음악과는 반대되는)는 페르시아 가수 사르반이 전설적인 작곡가 살림 사르마스트와 손잡고 만들었지만, 자히르는 그 소리를 대중화시켜 대중에게 가져간 사람이었다. 아에스타 베로, 호르셰데 맨, 아이 사르반, 무슈케 타자 메바르타드, 다르 다아만-에-사흐라 등의 사르반의 노래는 아프간 페르시아 음악의 진주로 꼽힌다. 그러나 이 노래들의 음산한 시, 복잡한 음악, 그리고 수많은 다른 미묘한 점들은 고학력자와 학식이 풍부한 소수의 아프간 사람들에게만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 노래들은 서민들의 소비를 위한 오락거리가 아니었다. 아마드 자히르는 사르반과 사르마스트의 음악적 전통의 서정적이고 구성적이며 관현악적인 면을 단순화했다. 이것은 그가 그 스타일을 단순화시켰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그것을 접근하기 쉽게 만들었고, 따라서 대중들, 특히 아프가니스탄의 젊은이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히르의 노래 "Khoda Buwat Yaret"은 틀림없는 아프간 음악 사운드의 좋은 예다. 이 노래의 가사는 페르시아의 시적 전통에 대한 교육과 지식과 상관없이 거의 모든 페르시아어 화자들이 이해할 수 있지만, 시적, 이미지, 정서적 영향은 사르반의 노래 중 최고 수준만큼이나 강력하다. 이러한 아흐마드 자히르의 노래의 접근성 때문에 독특한 아프간 스타일로 노래한 미래의 아프간 가수들의 대부분은 사르반이 아닌 아흐마드 자히르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자히르는 인도, 이란, 서부, 민속 음악 전통과는 별개로 독특하고 뚜렷한 아프간 음악 언어의 실현을 책임지고 있는 가수로 인정받을 수 있다.

자히르의 데뷔 앨범은 라디오 카불과 함께 녹음되었다. 주로 팝송으로 구성된 서부 음악 장르에 속하는 아프간 최초의 앨범이다. 그러나, 비록 노래의 리듬, 멜로디 선, 질감이 아프간 팝의 특징이었지만, 그들에게는 두드러진 아프간(또는 오히려 동쪽) 요소가 있었다. 드럼을 사용하기 보다는, 자히르는 노래의 리듬을 잡기 위해 타블라를 선택했다. 자히르가 가장 좋아하는 악기인 아코디언(팝은 아니지만 서양 악기)이 이번 앨범에 비중 있게 등장한다. 이 앨범의 가장 인기 있는 노래는 "Az Ghamat Ay Nazanin"이었다.

그러나 그를 슈퍼스타덤으로 쏘아 올린 것은 자히르의 두 번째 앨범(Radio Carbon으로도 녹음)일 뿐만 아니라, 비평가들로부터 예술적인 걸작이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 앨범은 뚜렷한 아프간 사운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가수 사르반과 살림 사르마스트에 의해 만들어진 아프간 스타일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매우 이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사르반 & 사르마스트 듀오(서사적이고 복잡한 음악적)의 음악과 달리 자히르의 앨범은 아프간 사운드의 주요 요소들을 간직하고 있지만 매우 대중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정적이고 음악적인 언어를 가지고 있다. 하마 야라남, 로조 샤밤(아프가니스탄의 위대한 가수 나세나와 콜라보레이션), 탄하 투예르, 토라 아프수네 차슈마남 등의 곡들은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사와 (주로 청소년들에게) 아프간 음악적 입맛에 딱 맞는 사운드 때문에 큰 인기를 끌었다.

다른 자히르 앨범과 곡들은 대부분 아가르 바하르 비야드, 라일리 라일 잔, 쿠다 부와트 야렛과 같은 곡들로 이 앨범의 음악적 스타일을 이어가고 있다. 자히르는 다른 예술가들의 위대한 노래를 다루는 것을 꺼리지 않은 최초의 아프간 음악가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다른 예술가들의 음악을 다루는 것을 그들의 예술적 탁월함에 경의를 표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는 유명한 인도 영화 바비(당시 아프가니스탄에서 히트를 쳤던)와 이란 노래(술탄-에 콸바, 하게즈 하게즈, 하마시 다르도 하마시 란조),[21][22] 그리고 심지어 엔리코 마키아스 서부의 위대한 인물들 중 [23][24]몇 명인 엘비스 프레슬리의 재생을 취재했다. 이러한 다재다능함과 자신의 공연에 타인의 창작물을 채택하려는 의지는 그가 직접 창작한 창작의 장점을 크게 높였다.

죽음

자히르는 1979년 6월 14일 33번째 생일에 세상을 떠났다. 살랑터널 주변에서 교통사고로 숨졌다는 소식이 언론에 보도됐다. 그의 죽음을 두고 비판론자들은 그가 당시 마르크스주의 정부와 정치적 입장이 대립하면서 암살당했고, 절친한 친구와 두 명의 여성 공범에 의해 도시를 유인해 살해당했다고 주장하는 등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13] 다른 사람들은 그가 고위 정치인 하피줄라 아민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거나, 자히르와 아민의 딸 사이의 불륜 때문에,[20] 또는 아민의 신임을 받는 보좌관 다우드 타룬이 명령한 것으로 보고 있다.[25] 카불에서 열린 자히르의 장례식에 많은 추모객들이 참석하여 도시의 거리를 봉쇄하고 일상 활동을 중단시켰다.[4]

그는 결국 이혼한 첫 아내 나지아에게서 아들 리샤드를 남겼다.

레거시

그가 죽은 후, 자히르는 국민적 영웅으로 여겨졌다.[26] 그의 무덤은 1990년대 후반 탈레반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후에 사랑하는 팬들에 의해 재건되었다.[27] 그의 유산을 이어갈 수 있다는 희망으로 그의 이름으로 재단을 설립한 팬들이 2018년까지만 해도 새롭게 단장했다.

그의 노래 '쿠다 부와드 야렛', '아스만 칼리스트', '아그마르 바하르 비야야드', '라일리 라일리 잔', '차슈메 시야 다리', '짐짐짐(카자키 아브로예트)' 등 대다수의 아프간인들이 그의 노래를 알고 있다. 그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음악 역사에서 만들어진 최고의 음악들 중 일부에 랭크되어 있다.

자히르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떨친 50명의 역사 속 황금 목소리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고 NPR(National Public Radio(National Public Radio, NPR)는 전했다.[4][28]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미국 영화감독 샘 프렌치가 자히르의 삶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감독하기 위해 2018년에 임명되었다.[29][30]

음반 목록

아프가니스탄의 음악 앨범

  • 제1권 딜락 암(1973)
  • 제2권 – 바하(1973년)
  • 제3권 – 샤브 줄마네(1974)
  • 제4권 – 어머니(1974)
  • 제5권 – 아와라(1975)
  • 제6권 – Gulam-e Qamar(1975)
  • 제7권 – 술탄 칼바암(1976년)
  • 제8권 – Az Ghamat Hy Nazanen(1976년)
  • 제9권 – 굴바단(1971)
  • 제10권 – 야아레 베와파(1977)
  • 제11권 – 라일레(1971)[16][17] 또는 (1977)
  • 제12권 – 아흐마드 자히르와 질라(1978년)
  • 제13권 – 아한지 진다게(1978년)
  • 제14권 – 샤브-e 히즈라안(1979) (후유물)

참고: 자히르의 많은 아프간 음악 앨범의 오디오 카세트 버전에는 원본 비닐 레코드에 수록된 곡들이 누락되어 있다.

아리아나 음악 앨범

  • 제1권 – Daard-e Dil(1972)
  • 제2권 – 모숨-에 굴(1977)

참고: 오리지널 아리아나 뮤직 레코드 앨범에는 숨겨진 트랙이 많이 들어 있다.

음악 센터 앨범

  • 제1권 – 아시크루야트 몬 (1973년)
  • 제2권 – 네셰 가쉬둠(1976년)
  • 제3권 – 라일레 자안(1977)
  • 제4권 – 아흐마드 자히르시타라 하아(1977년)
  • 제5권 – To Baamanee (1978년)

기타 음반 목록 정보

  • 그는 1976년 "레이리 자안"과 1977년 "쿠다 부와트 야렛"이라는 두 개의 뮤직비디오만 라디오 카불 TV에서 녹음했다.
  • 자히르는 라디오 카불과 라디오 아프가니스탄 스튜디오에서 여러 곡을 녹음했는데, 이 곡은 후에 앨범으로 나왔다. 이 앨범들 중 8장이 발매되었다.

참조

  1. ^ "Ahmad Zahir: The Enduring". Arwa Haider. BBC News. 6 December 2018. Retrieved 10 October 2019. A new documentary celebrates Ahmad Zahir, the '60s and '70s icon who mysteriously died in 1979. Arwa Haider talks to the people making the film, including Zahir’s daughter, about how the singer combined popularity with protest.
  2. ^ https://www.bbc.com/culture/article/20181206-ahmad-zahir-the-enduring-appeal-of-the-afghan-elvis
  3. ^ "The 'Afghan Elvis': the extraordinary life of Ahmad Zahir". Monica Whitlock; BBC World Histories magazine. 4 July 2019. Retrieved 10 October 2019. He sang mostly in – Persian – but also in Urdu and English.
  4. ^ Jump up to: a b c d Inskeep, Steve (1 February 2010). "Ahmad Zahir: The Voice of the Golden Years". Morning Edi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y 2011. Retrieved 24 May 2011.
  5. ^ "احمد ظاهر، الويس پريسلی افغانستان Ahmad Zahir: Elvis Presley of Afghanistan". BBC Persian. 6 Dec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6. ^ "احمد ظاهر ولې پښتو سندرې کمې ویلې دي؟ Why Did Ahmad Zahir Sing Less Pashto Songs?". BBC Pashto. 13 June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7. ^ "احمد ظاهر یو لیجنډ سندرغاړی Ahmad Zahir: A Legendary Singer". Haroon Bacha. Mashaal Radio. 23 Octo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8. ^ "Kabul Journal; The Afghan Elvis 'Lives' 24 Years After His Death". Amy Waldman. New York Times. 20 March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9. ^ "'Evergreen': Afghan Elvis's legacy endures, decades after death". Wakil Khosar. Al Jazeera. 10 October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21.
  10. ^ "Pilgrims flock to Kabul to pay tribute to the Afghan Elvis". James Astill. The Guardian. 27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11. ^ "Afghan Singer's Legacy Continues At Home And Abroad". Mustafa Sarwar. Gandhara. 29 October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12. ^ "Remembering Afghanistan's Elvis". BBC. 19 June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13. ^ Jump up to: a b c 마이완디, 패리드 "아흐메드 자히르 – 간략한 전기 (그의 아들 리샤드 자히르의 말로)." Ahmadzahir.com. 2010년 11월 19일 검색됨 2010년 10월 22일 웨이백 머신보관
  14. ^ https://study.com/academy/lesson/ahmad-zahir-biography-songs-poems.html
  15. ^ http://daily.redbullmusicacademy.com/2016/06/ahmad-zahir-the-afghan-elvis
  16. ^ Jump up to: a b 스피디 룩 백과사전. "아흐메드 자히르"
  17. ^ Jump up to: a b RateYourMusic.com "아프간 음악 제11권 라일레"
  18. ^ Emadi, Hafizullah (2005). Culture and customs of Afghanistan.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05. ISBN 0-313-33089-1.
  19. ^ http://www.ahmadzahir.com/biography/
  20. ^ Jump up to: a b https://www.bbc.co.uk/blogs/adamcurtis/entries/92b6abd2-9882-3cfc-b659-8036e3cae4e6
  21. ^ RaazeCmorgh (20 March 2012), Aref - Soltan e Ghalbha (Old Version) عارف - سلطان قلبها, retrieved 18 October 2017
  22. ^ RaazeCmorgh (4 November 2011), Mahasti - Bache Nasho Ey Del مهستی - بچه نشو ای دل, retrieved 18 October 2017
  23. ^ AhmadZahirChannel (19 January 2012), Ahmad Zahir - Ay Gulozare Man Bagh O Bahare Man- Radio Vol 1, retrieved 18 October 2017
  24. ^ karim elhousni (9 April 2012), Enrico Macias - Enfants de Tous Pays - Lyrics, retrieved 18 October 2017
  25. ^ https://www.khaama.com/ahmad-zahirs-death-anniversary-observed-in-kabul-01248/
  26. ^ Hainard, Jacques; Pierre Centlivres; Roland Kaehr (1997). Dire les autres: réflexions et pratiques ethnologiques: textes offerts à Pierre Centlivres (in French). Éditions Payot. p. 107. ISBN 2-601-03221-9.
  27. ^ https://www.economist.com/node/2273041
  28. ^ https://www.npr.org/2011/03/08/131281603/50-great-voices
  29. ^ https://da.azadiradio.com/a/29530159.html
  30. ^ https://www.facebook.com/ahmadzahirdoc/posts/exciting-news-we-are-thrilled-to-announce-our-new-director-of-the-ahmad-zahir-do/143113524703087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