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불 주
Kabul Province카불 کابل | |
---|---|
![]() 카불과 함께 강조된 아프가니스탄의 지도 | |
좌표(수도): 34°00′N 화씨 69도00도/34.00°N 69.00°E좌표: 34°00′N 69.00′E / 34.00°N 69.00°E/ | |
나라 | ![]() |
자본 | 카불 |
정부 | |
• 주지사 | 샤이크 니다 모하마드[1] |
• 부지사 | 무프티 모하마드 이드리스[1] |
• 경찰서장 | 왈리 얀 함자[1] |
면적 | |
• 합계 | 4,523 km2 (1,746 sq mi) |
• 물 | 0km2(0 sq mi) |
인구 (2021)[2] | |
• 합계 | 5,385,526 |
• 밀도 | 1,200/km2(3,100/sq mi) |
시간대 | UTC+4:30(아프가니스탄 시간) |
ISO 3166 코드 | AF-KAB |
주요 언어 | 파슈토 다리 |
카불(파슈토/다리아: کال)은 아프가니스탄의 34개 주 중 하나이다.이 지방의 수도는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인 카불 시이다.카불 지방의 인구는 2020년 현재 500만 명이 넘으며,[3] 이 중 85% 이상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현 주지사는 카리 바릴이다.
북쪽으로 파르완 주, 북동쪽으로 카피사 주, 동쪽으로 라그만 주, 남동쪽으로 난가르하르 주, 남쪽으로 로가르 주, 서쪽으로 워닥 주와 접한다.
지리
카불은 해발 1800m의 고도에서 북위 34~31'와 동경 69-12' 사이에 위치해 있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도 중 하나이다.카불은 전략적으로 남북 및 동서 교역로의 교차로에서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계곡에 위치해 있다.백만년 전 카불 지역은 로가르 산맥과 파그만 산맥 사이의 남동쪽에서부터 북쪽의 샤리카르 산맥과 서쪽의 닝나이 가르 산맥 사이에 둘러싸여 있었다.이 지역은 얼음바다를 이루었다오늘날 도시의 동쪽에 있는 폴리 차르치 지역의 깊은 우물이 그 당시의 증거다.카불은 동쪽으로는 코에 파그만 산, 남서쪽으로는 코에 쿠르 산, 북동쪽으로는 코에 시르다르와자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카불에는 카불 강이라고 불리는 강이 하나밖에 없다.카불 강은 카불에서 서쪽으로 약 70km(43mi) 떨어진 남부 고갯길을 향해 파그만 산에서 솟아 있다.카불을 지나 잘랄라바드 시를 지나 동쪽 방향으로 흐른 다음, 파키스탄 영토로 들어가 마침내 아톡의 인더스 강으로 달려가는 다카까지 이어진다.
카불 지역의 기후는 건조에서 반건조 스텝으로 간주된다.특히 5월부터 11월까지 강수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카불은 매우 건조하고 먼지가 날릴 수 있다.밤마다, 계절마다, 그리고 장소마다 극심한 기온 변화가 일어난다.아프가니스탄 기후의 주요 특징은 매년 300일 이상의 햇빛을 받는 푸른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이다.겨울 동안에도, 하늘은 보통 연평균 15~30cm (5.9~11.8인치)의 강설량 사이에 맑은 상태를 유지한다.겨울철 카불시의 일 기온은 -1 °C(30 °F), 여름은 24 °C(75 °F)이다.일년 중 가장 추운 달은 1월이고 가장 더운 달은 7월이다.7월에는 최고기온이 +42.7℃로[citation needed], 1월에는 -26.3℃로[citation needed] 최저기온이 기록되었다.
역사
아프가니스탄의 역사 |
---|
![]() |
타임라인 |
해당 지역의 관련 과거 이름 |
관련 항목 |
카불의 역사는 3,500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곳은 한때 조로아스터교의[4] 중심지였으며, 그 후 불교와 힌두교도들의 고향이기도 했다.
대영박물관의 기록에 따르면 카불의 원주민은 타직스와 파슈툰이다.
이 도시는 7세기에 이슬람교를[citation needed] 도입하여 아랍 이슬람교도들의 침략을 받았으나 카불의 힌두교 샤히스에 의해 서서히 빼앗겼다.9세기 사파리드족과 사마니드족에 의해 재입고된 데 이어 11세기 가즈나비의 마흐무드가 힌두교 샤히 왕 제이 팔라가 자살한 것이다.가즈나비드족을 격파한 후 구르드족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칭기스칸 휘하의 몽골족의 침략을 받았다.
티무르 왕조의 창시자인 티무르는 14세기에 이 지역을 침공하여 주요 무역 중심지로 발전시켰다.1504년 이 도시는 이 나라의 북쪽에서 바부르로 함락되어 그의 수도로 만들어졌으며, 이 도시는 후기 무굴 제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1525년 바부르는 회고록에서 카불스탄을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카불의 나라에는 여러 가지 부족이 있다.그 계곡과 평야에는 투르크스, 아이맥스, 아랍인들이 살고 있다.도시와 마을 대부분에서 인구는 타지크(바부르에 의해 "사르트"라고 불림)로 구성된다.다른 마을과 지역들 중 많은 곳은 파샤이스, 파라치스, 타작스, 베레키스, 아프간이 차지하고 있다.서쪽의 언덕 나라에는 하사라와 누크데리스가 거주한다.누크데리 종족 중에는 모굴(몽골) 언어를 구사하는 종족도 있다.북동쪽 언덕 나라에는 카토르와 게브렉과 같은 카페리스탄이 있다.카불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투르키어, 모굴리어, 힌디어, 아프가니스탄어, 파샤이, 파라치, 게베리어, 베레키, 람가니어 등 11~12개의 언어가 사용된다.[5]
— Baburnama, 1525 AD
카불은 1747년 두라니 제국의 일부가 될 때까지 상당 기간 독립했다.1839년 제1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때 영국군이 이 지역을 침공했다가 1842년 철수했지만 잘랄라바드로 가던 도중 기습 매복 도중 수천 명이 숨졌다.보복으로 또 다른 영국군은 영국 인도로 후퇴하기 전에 카불을 부분적으로 불태웠다.영국은 1879년 제2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때 다시 이 도시를 점령했으나, 상주 직원들이 그곳에서 학살당한 후, 약 1년 후 에미르를 설치하면서 철수했다.
1919년 제3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때 아마눌라 칸 국왕은 1919년 5월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와 동부 도시 잘랄라바드가 영국 왕립공군의 31번과 114개 대대에 공중 급습당했을 때 권좌에 올랐다.[6][7]아마눌라 칸은 라왈핀디 조약 체결 이후 영국을 격파하고 나라의 근대화를 시작했다.1920년대 후반, 자히르 샤가 최연소 새로운 왕이 될 때까지 권력 교체가 이루어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카불은 유럽풍의 도시로 변모하면서 중앙아시아의 파리로 알려져 있었다.한때 아시아의 보석이었던 아주 진보적이고 적당히 현대적인 수도.그 당시 카불에는 현대 영화관, 카페, 정식 프랑스 정원, 학교, 도서관, 대학, 훌륭한 부티크가 있었다."카불리스"로 알려진 카불의 주민들은 고학력자, 현대인, 진보인, 그리고 국제적인 사람들이었다.여성과 남성이 초등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다녔던 곳.미니쥬프(미니 스커트)는 1970년대에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었다.고학력, 문화적으로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동시에 신앙심이 깊은 사람으로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카불에서 머리를 가리지 않거나 입었던 옷을 입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결코 문제가 없었다.이 진보적인 평화사회는 1970년대 후반에 외국의 간섭이 일어나 아프가니스탄이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으로 추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979년 12월,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의 PDPA 주도의 정부를 강화하기 위해 카불 국제 공항에 착륙했다.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에 머무는 동안 약 10년 동안 소련군 사령부가 되었다.1989년 2월 소련군은 무자헤딘에게 패배한 후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했다.1992년 봄, 모하마드 나지불라 정부는 붕괴되었고, 카불은 무자헤딘군의 손에 넘어갔다.정당들의 연합이 경쟁적인 전쟁 파벌에 침입하면서 파괴가 증가했고, 카불의 많은 부분이 손상되었다.1996년 탈레반은 이 지역을 점령하고 새로운 엄격한 이슬람 샤리아 지배를 시작했는데, 이 새로운 엄격한 이슬람 율법은 대부분의 교육, 오락, 여성의 일, 남성들의 수염을 깎는 것, 그리고 많은 정상적인 인간의 활동이나 취미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9·11 테러 이후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2001년 10월 영국 국군의 지원을 받은 미군이 영속 자유 작전 당시 연합전선(북방동맹) 지상군에 대규모 항공 지원을 제공했다.탈레반은 카불을 버리고 연합전선이 카불을 장악하게 되었다.2001년 12월 카불은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이 이끄는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정부로 탈바꿈한 아프간 과도정부의 수도가 되었다.
2002년 초, 나토가 이끄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이 카불에 배치되었고, 거기서부터 그들은 카불의 다른 지역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전쟁으로 피폐해진 그 도시는 수백만 명의 외국인 거주자들이 그 나라로 돌아오면서 약간의 긍정적인 발전을 보이기 시작했다.인구는 2001년 약 50만 명에서 2007년까지 3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많은 외국 대사관이 다시 문을 열었는데, 특히 가장 큰 미국 대사관이 그랬다.아프간 정부 기관들도 재개발되고 현대화되었다.2008년부터 새로 훈련된 아프간 국가경찰(ANP)과 아프간 국민군(ANA)이 이 지역의 경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나토도 주둔이 무겁지만 더 이상 거리를 순찰하지 않고 있다.
도시가 개발되고 있는 동안 파키스탄의 ISI(Inter-Services Intelligence) 첩보망에 의해 지원 및 안내를 받는 것으로 알려진 하카니 네트워크, 탈레반의 퀘타 슈라, 헤즈비-이슬라미, 알카에다 등 반정부 요소들이 이따금씩 자폭과 폭발을 감행하는 현장이기도 하다.[8]
정치
카불은 1992년 나지불라의 정부가 붕괴되기 전까지 다수의 무자헤딘 반군 단체와 군벌에 의해 점령되었다.이 시와 지방은 1996년 탈레반에 의해 점령되기 전까지 권력을 위해 싸운 다양한 반란군에 의해 경쟁되었다.새로운 엄격한 법이 탈레반에 의해 도입되었다.아프가니스탄이 어떻게 통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었지만, 아프가니스탄에는 2001년 10월 7일 미국이 주도하는 침공 이후 파키스탄으로 도망친 탈레반 지도자 물라 오마르만이 있었다.무자헤딘과 탈레반 세력에 의해 야기된 파괴로부터 카불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탈레반 법은 빠르게 폐지되었고 인문학이 발효되었다.2002년 로야 저가는 국가의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렸다.
아프가니스탄은 2004년 1월 새로운 헌법을 채택해 이슬람 공화국으로 수립했다.헌법에 따르면 아프간 정부는 대통령 1명, 부통령 2명, 국회(의회)로 구성돼 있다.국회에는 인민의 집(월시 지르가)과 원로원 집(메샤라노 지르가)의 두 집이 있다.대법원(스타라 마카마), 고등법원, 상고법원 등으로 구성된 독립된 사법부도 있다.대통령은 우올시 지가의 승인을 받아 대법원 구성원을 임명한다.
아프가니스탄의 대통령 선거는 2004년 10월에 열렸다.800만 명이 넘는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선거에서 투표했다.아프가니스탄 공동선거관리기구는 이번 선거를 인증하고 55.4%의 득표율로 하미드 카르자이 임시 대통령을 당선자로 선언했다.카르자이의 가장 강력한 상대인 유누스 카누니는 16.3%의 표를 얻었다.이번 선거는 논란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부정선거와 투표용지 작성 의혹은 카누니를 포함한 많은 대통령 후보들에 의해 제기되었다.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국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설립되었다.조사위는 투표 부정의 증거를 찾았지만, 그들은 그것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코노미
카불의 제품은 천연가스, 면화, 양모, 카펫, 농업, 그리고 몇몇 소규모 생산 회사들을 포함한다.카불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인도, 한국, 투르크메니스탄, 케냐, 러시아, 파키스탄, 중국, 이란과 무역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카불의 경제는 미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25년 동안 위축된 후 거의 3500% 증가했다.[when?]아프가니스탄에 새로운 화폐가 도입되어 경제에 도움이 되었다.새로운 사업은 새 정권에 있었다.많은 미국 산업들이 새로운 카불에 관심을 가졌고 그 이후로 많은 새로운 회사들이 카불에 그들의 지점을 열었다.카불 시티 센터 몰은 지어졌고 거의 100개의 상점이 있다.[9]
경제가 호황기에 접어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직원 임금만큼 주거비가 오르고 있다.생활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스스로를 부양할 수 없는 무학력 아프간인들의 문제다.유엔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에게 원조와 식량, 학교 교재를 제공함으로써 도움을 준다.많은 국제 원조 단체들이 아프간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관광업
1960년대와 70년대에 카불 경제의 대부분은 관광에 의존했다.[dubious ][citation needed]카불은 섬유, 면화 생산, 카펫 생산업을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제는 그것의 파괴 동안 잃어버린 관광을 통해 왔다.[citation needed]
인구통계 및 관리
2020년 현재 카불 지방의 총 인구는 520만4667명으로 [3]이 중 약 85%가 도시 지역(주로 카불 대도시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나머지 15%는 농촌 거주자다.그것은 인종적으로 가장 다양한 지방 중 하나이다.[10]
카불 시는 다민족이다.2003년 현재 타지크 45%, 파슈툰 30%, 하자라스 20%, 우즈벡 2%, 발록 1%, 투르크멘 1%, 힌두교 1%로 구성되어 있다.[11]파슈토어와 다리어는 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
구 | 자본 | 인구 견적 2021[2] | 면적[12] | 민족 데이터(%)[13] | 메모들 |
---|---|---|---|---|---|
바그라미 | 바그라미 | 63,805 | 파슈툰스(주요), 타직스[14] | ||
차하르 아자브 | 칼라이 나임 | 42,176 | 파슈툰스, 타직스, 그리고 소수의 하자라[15] | ||
데 사브스 | 타라켈 | 62,182 | 70% 파슈툰 30% 타지크[16] | ||
파르자 | 데나웨 파르사 | 24,738 | 파슈툰과 타지크[17] 혼합 | 2005년 미르 바차코트 구에서 만들어졌다. | |
굴다라 | 굴다라 | 26,360 | 70% 타지크 30% 파슈툰[18] | ||
이스탈리프 | 이스탈리프 | 38,662 | 타지크, 파슈툰, 하자라[19] 혼용 | ||
카불(도시) | 카불 | 4,601,789 | 타지크 40%, 파슈툰 35%, 하자라스 15%, 우즈벡 5%, 발록 1%, 투르크멘 1%, 힌두교[11] 1% | ||
칼라칸 | 칼라칸 | 34,876 | 주로 타지크와 일부 파슈툰족[20] | ||
카키야바 | 학이잡바 | 16,491 | 95% 파슈툰 5% 타직족[21] | ||
미르 바차 코트 | 미르 바차 코트 | 60,155 | 타지크족과 몇몇 파슈툰족[22] | 2005년 분할하여 새로운 파르자 구(區) 생성 | |
무사히 | 무사히 | 26,901 | 파슈툰족과 다수의 타지크족[23] | ||
파그만 | 파그만 | 141,093 | 70% 파슈툰 30% 타지크[24] | ||
카라바그 | 카라 바그 | 87,867 | 60% 타직족 40% 파슈툰[25] | ||
샤카르다라 | 샤카르 다라 | 94,626 | 다수당 타지크[26] | ||
수로비 | 수로비 | 63,805 | 90% 파슈툰 10% 파샤이스[27] |
교통
카불의 교통수단은 신차 및 경력단절 운전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고 있다.카불 인근에는 대중교통 서비스가 있지만 많은 도로가 황폐화돼 있다.운전자들은 또한 많은 자전거 이용자들의 방해로 인해 방해를 받는다.사람들이 차를 구입하기 때문에 도시에서 더 많은 차량이 보인다.택시는 카불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800여 대의 버스가 있는 카불의 밀리 버스(국민버스) 시스템은 시내와 인근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도내에는 몇 개의 새로운 고속도로가 있으며, 정부는 대부분의 작은 도로들을 재건할 예정이다.이 도로에 대한 자금은 고속도로와 주요 도로에서 운전할 때 통행료를 내야 하는 현재의 운전자들로부터 나온다.이 돈은 정부가 자동차 앞유리에 부착된 월별, 분기별, 연간 점검증명서를 발급해 모은다.
트럭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또는 그 나라의 다른 도시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아프간 정부는 외국 기업이나 단체의 도움을 받아 카불의 많은 도로에서 작업을 시작했다.혼다, 도요타, 포드 자동차 회사, 쉐보레와 같은 자동차 회사들도 카불에서 다시 소개되었다.
헬스케어
식수가 깨끗한 가구의 비율은 2005년 65%에서 2011년 56%로 떨어졌다.[28]숙련된 출산 수행원이 참석하는 출생아 비율은 2005년 46%에서 2011년 73%로 증가했다.[28]
교육
전체 문해율(6세 이상)은 2005년 58%에서 2011년 47%로 떨어졌다.[28]전체 순등록율(6~13세)은 2005년 46%에서 2011년 65%로 증가했다.[28]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교육 중심지다.전국의 모든 지방에서 온 사람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 카불에 온다.남녀를 위해 문을 연 학교와 대학이 많다.1970년대에는 카불 인구의 약 55%가 재료나 적절한 학습 자원이 없는 교육을 받았으나, 요즘에는 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이 부모에 의해 직장에 보내져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다.교육율은 지난 20년 동안 급격히 떨어졌다.카불에 있는 대부분의 학교들은 전쟁 중에 전투 지점으로 설정되었고 철거되었다.
카불의 대학교 목록

- 아프가니스탄 기술 직업 연구소
- 아프가니스탄의 미국 대학
- 박타르 대학교
- 카불 의과대학
- 카불 대학교
- 카르단 대학교
- 카르완 대학교
- 케이트브 대학교
- 매리암 대학교
- 아프가니스탄 국립 군사 아카데미
- 페이암 고등교육원
- 카불 폴리테크놀로지 대학교
카불의 학교 목록
- 아흐마드 샤 바바 고등학교(소년용, 아흐마드 샤 두라니(Ahmad Shah Durrani)의 이름)
- 아이샤-이-두라니 학교(또는 Maedchungimim school, Aysha-e Durani)와 위츠하트 체육관(Witchchaftsgym)은 Maedchen Jamhuriat(독일-아프가니스탄 여학생용 학교)
- 아마니 고등학교 (1924년 설립된 독일-아프간 소년학교)
- 더르카나이 고등학교 (여아용)
- 가지 고등학교(소년용, 아마눌라 칸의 이름)
- 굴람 하이더 칸 고등학교
- 하비비아 고등학교 (영국-아프가니스탄 학교 1904년 하비비아 대학으로 설립)
- 카불 국제학교
- Lycée Esteqlal과 Lycée Malalaï (각각 1922년과 1932년에 설립된 프랑스의 Lycées)
- 말랄라이 고등학교(여학생용, 말랄라이 안나(Malai 고등학교
- 말리카 소라야 고등학교(소녀용, 소라야 타르지 여왕의 이름)
- 나데리아 고등학교 (소년용)
- 나조 아나 고등학교(소녀용, Nazo Tokhi의 이름)
- 라만 바바 고등학교(소년용, 라만 바바의 이름)
- 술타나 라자 고등학교 (여학생용)
스포츠

카불은 매년 열리는 부카시 크리켓과 축구 토너먼트의 중심지로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때로는 이웃 파키스탄, 이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서 온 팀들이 참가한다.스포츠는 아프가니스탄의 직원들이 토너먼트와 경기, 특히 축구 경기에서 모두 함께 하는 일상이다.골프는 카불 골프장에서 하는데, 카불 골프 클럽은 카불 워터파크 근처 수도에서 차로 조금 떨어져 있다.크리켓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큰 성과를 거둔 1위 스포츠다.매년 열리는 크리켓 토너먼트는 샤파기즈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며, 이번 대회에는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온 팀들이 참가한다.아프가니스탄 크리켓 팀이 월드컵에 참가했다.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도 아시아 축구 리그에 많이 참가했다.파키스탄과 인도에서 난민으로 생활하던 많은 아프간인들이 본국으로 송환되면서 크리켓 경기를 들고 왔다.아프가니스탄에는 현재 국제적으로 활약하는 크리켓 국가대표팀이 있다.이 주 자체는 2010년 에티살라트 50에서 우승한 카불 주 크리켓 팀이 아프간 국내 크리켓에 대표적이다.
또한 농구, 배구, 골프, 핸드볼, 권투, 태권도, 역도, 보디빌딩, 육상, 스케이팅, 볼링, 스누커, 체스, 카불의 팀도 있는데, 카불의 팀들은 현지에서 대회에 참가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순회하며 경기를 한다.카불에서 가장 오래되고 인기 있는 경기장 중 하나는 가지 스타디움인데, 이 경기장에서는 토너먼트, 콘서트, 그리고 국가적인 축하 행사가 열린다.카불 국립 크리켓 경기장은 2011년 현재 건설 중이다.가지 스타디움은 또한 현재 재건 프로그램을 거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디움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과 새로운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다.학교와 대학은 단체 스포츠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아프간인들은 다음 올림픽을 위해 카불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د نږدې شلو ولایاتو لپاره نوي والیان او امنیې قوماندانان وټاکل شول". November 7, 2021.
- ^ a b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PDF).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April 2021. Retrieved June 21, 2021.
- ^ a b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0-21" (PDF).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N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July 2020. Retrieved 6 June 2021.
- ^ 남아시아 카불: 잃어버린 영광의 도시.BBC 뉴스(2001-11-12).2010-10-19년에 검색됨.
- ^ Zahir ud-Din Mohammad Babur (1525). "Events Of The Year 910". Memoirs of Babur.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1-14. Retrieved 2010-08-22.
- ^ "The Road to Kabul: British armies in Afghanistan, 1839–1919". National Army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1-26. Retrieved 2011-02-11.
- ^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British Library. Retrieved 2011-02-11.
1919 (May), outbreak of Third Anglo-Afghan War. British bomb Kabul and Jalalabad;
- ^ "U.S. blames Pakistan agency in Kabul attack". Reuters. September 22,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5, 2011. Retrieved 2011-09-22.
- ^ 아프간 전쟁 및 평화 보고를 위한 IWPR 쇼핑몰의 책임자Iwpr.net.2010-10-19년에 검색됨.
- ^ https://repository.upenn.edu/cgi/viewcontent.cgi?article=1012&context=senior_seminar[bare URL PDF]
- ^ a b "2003 National Geographic Population Map" (PDF). Thomas Gouttierre, Center For Afghanistan Studies,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Matthew S. Baker, Stratfor. National Geographic Society.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02-27. Retrieved 2010-06-27.
- ^ "FAO in Afghanistan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www.fao.org. Retrieved 29 March 2018.
- ^ http://www.aims.org.af에서 가져온 민족 인구 통계
- ^ "Archived copy" (PDF). www.aims.org.a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October 2005. Retrieved 17 January 2022.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Char Asiab(PDF) 2011-1-22에 검색됨.
- ^ "Archived copy" (PDF). www.aims.org.a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October 2005. Retrieved 11 January 2022.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Farza(PDF) 2011-1-22에 검색됨.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9-23. Retrieved 2012-11-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이스탈리프(PDF) 2011-1-22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칼라칸(PDF) 2011-1-22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Kak-e-Jabbar (PDF) 2011-1-22년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Mir Bacha Kot (PDF) 2011-1-22년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무사히(PDF) 2011-1-22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Paghman (PDF) 2011년 1월 22일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카라바그(PDF) 2011년 1-22일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샤카르다라(PDF) 2011-1-22에 검색됨.
- ^ UNHCR 서브 오피스 중앙 지역 – 지역 프로파일 – 2011-1-22년에 검색된 웨이백 머신(PDF)에 2011-06-15가 보관됨
- ^ a b c d Archive, Civil Military Fusion Centre, : 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카불 주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